KR20090089545A -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545A
KR20090089545A KR1020080014774A KR20080014774A KR20090089545A KR 20090089545 A KR20090089545 A KR 20090089545A KR 1020080014774 A KR1020080014774 A KR 1020080014774A KR 20080014774 A KR20080014774 A KR 20080014774A KR 20090089545 A KR20090089545 A KR 20090089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iner
cosmetic
storag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08001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9545A/ko
Publication of KR2009008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화장하는 데 필요한 화장품 내용물을 소량으로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 내측 또는 측부에 상기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부 내측 또는 측부에 상기 화장품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차례대로 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는 복수의 적층수납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회동되며 상기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어 휴대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화장품을 일정 규격의 케이스에 담아 종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분실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되고 언제 어디서든 어떤 용도를 위한 화장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장품, 휴대, 소형, 용기, 수용, 화장용품

Description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PORTABLE SMALL TOTAL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어 휴대하기 용이하면서도 사용자가 화장하는 데 필요한 화장품 내용물을 소량으로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이 사용하는 용품이고, 특히 여성들의 경우 다양한 용도, 화장부위 및 색상에 따라 갖가지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여성들은 핸드백이나 가방에는 화장을 하거나 고칠 수 있도록 그러한 용도에 필요한 화장품을 휴대하고 다닌다.
그런데 보통 사용되는 화장품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있어 개별적으로 소지하여야 했다. 즉, 거울 달린 파우더, 스킨 및 로션을 기본으로 하여, 입술 화장을 하거나 고치기 위해서는 립스틱 또는 립글로즈를 구비하여야 할 뿐 아니라, 눈 화장을 하거나 고치기 위해서는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색조 화장을 하거나 고치기 위해서는 색조 화장 세트와 볼터치 붓을 구비하여야 하고, 여행을 가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화장을 지우거나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화장품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화장품을 개별적으로 휴대하는 경우에는, 그 화장품의 휴대, 보관 및 사용시에 많은 불편과 번잡을 야기시켰을 뿐만 아니라 분실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갖가지 화장품을 하나의 용기에 담는 화장용기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는 화장용기가 커서 휴대하기 곤란하거나, 일부의 화장품만을 수용할 수 있어 그 화장용기 이외의 추가적으로 필요한 화장품을 별도 소지하여야 했다.
그러므로 소지하여야 하는 화장품 종류가 여러가지이다 보니 이동이나 외출, 여행시 하나하나 필요한 화장품들을 일일이 찾아서 가방에 넣는 시간 또한 많이 걸렸고 한두 가지 빼놓고 외출이나 여행하는 경우에는 그로 인해 화장하는데 장애가 되는 경우도 많이 있는 게 현실이다.
또한 화장품을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품케이스는 화장품을 다 사용하면 버리고 새로운 화장품으로 교체해야 함으로써 폐 화장품케이스로 인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화장품을 일정 규격의 케이스에 담아 종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취향 및 사용용도에 맞게 화장품 내용물을 변경할 수 있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 쓴 화장품 내용물만을 교체하거나 충전(리필)할 수 있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화장하는 데 필요한 화장품 내용물을 소량으로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 내측 또는 측부에 상기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부 내측 또는 측부에 상기 화장품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차례대로 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 가능한 복수의 적층수납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회동되며 상기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각 적층수납부는 2개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분리된 각 적층수납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각 적층수납부는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적층수납부의 상부층은 2개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각 적층수납부가 개방된 때 상기 적층수납부의 분리된 2개의 상부층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각 적층수납부의 상부층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본체부와 각 적층수납부의 상부에는, 상기 화장품 내용물이 담겨진 화장품케이스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5발명에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본체부와 각 적층수납부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적층수납부 중 하나 이상의 측부에는, 상기 화장품 내용물 중 액체로 된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7발명에서, 상기 수용용기는, 내부에 수용하는 내용물의 교체 또는 충전이 용이하도록 해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발명은, 제8발명에서,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본체부와 적층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방출하는 펌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각 적층수납부의 상부에는 각각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수납부 또는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수납부와 본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발명은, 제10발명에서, 서로 대면하는 본체부와 적층수납부 또는 적층수납부 사이에는 홈부와, 탄성에 의해 상기 홈부에 진출가능한 볼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적층수납부의 임의의 슬라이드 구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발명은, 제10발명에서, 상기 적층수납부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적층수납부의 임의의 슬라이드 구동을 방지하도록 직각 범위에서 회동되는 차단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는,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어 휴대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화장품을 일정 규격의 케이스에 담아 종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분실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되고 언제 어디서든 어떤 용도를 위한 화장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에 필요한 모든 화장용품을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용기에 담아서 휴대하면 기존의 여러가지 제품을 하나하나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없앨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분실이나 보관에 따른 문제가 상당히 해결되고 일일이 화장품을 찾아서 휴대해야 하는 시간 또는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취향 및 사용용도에 맞게 화장품 내용물을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공급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중심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여 각자의 개성에 따라 화장품 용기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다 쓴 화장품 내용물만을 교체하거나 충전(리필)할 수 있음으로써, 화장품 케이스의 폐기량을 줄일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절감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화장품을 추가로 구입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개방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화장품케이스의 착탈 방식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수용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실시예의 슬라이드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 B-B',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는 크게 본체부(10), 적층수납부(20) 및 덮개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적층수납부(20)와 덮개부(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의 하단에는 상기 적층수납부(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부(10)의 상부 내측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상기 화장품 내용물이 담겨진 화장품케이스(4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이 구비된다.
상기 화장품 내용물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과 백분 등과 같은 베이스메이크업 및 아이라이너와 브러쉬, 분첩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부(10)에 수용되는 화장품 내용물은 일례를 들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본체부(10)는 덮개부(30)를 개방하는 것으로 바로 사용가능하게 되므로 가장 일반적이고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 내용물을 상기 본체부(10)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 중 일부와 같이 측부에 액체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에 수용된 내용물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수납공간(11)에는 다수의 수납홈(미도시, 도 3 참조)이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화장품 내용물을 담은 화장품케이스(40)의 하단에는 상기 수납홈에 대응하는 수납돌기(41)가 형성된다(도 3 참조). 따라서 상기 화장품케이스(40)를 상기 수납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화장품케이스(40)는 상기 수납공간(11)에 장착될 수 있고, 도 2a에 도시된 화장품케이스(40c, 40d) 이외의 다른 화장품케이스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하부로는 적층수납부(20)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이하 '종방향'이라 칭함)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하단에는 종방향을 따라 가이드구동부(13, 도 6의 (b) 및 (c)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구동부(13)는 이하에서 설명될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가이드부(24)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24)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적층수납부(20a)가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구동부(13)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부분(13w)과 폭이 좁은 부분(13n)으로 구분된다. 폭이 넓은 가이드구동부(13w)는 그 폭에 맞게 형성된 가이드부(24w)를 따라 이동되고(도 6의 (b) 참조), 상기 가이드부(24w)의 일단으로부터 폭이 좁은 가이드구동부(13n)가 이동되는 폭이 좁은 가이드부(24n)에 접할 때까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도 6의 (c) 참조). 그리고 폭이 좁은 가이드구동부(13n)는 그 폭에 맞게 형성된 가이드부(24n)뿐만 아니라, 폭이 넓은 가이드부(24w)에도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가이드구동부(13)와 가이드부(24)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종방향과 평행한 상기 본체부(10)의 측부에는 홈부(15, 도 6의 (a)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홈부(15)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로 아래에 장착되는 적층수납부(20a)의 볼스프링(25)과 연동하여 상기 적층수납부(20a)가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임의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측부에는 잠금해제버튼(17)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해제버튼(17)은 상기 본체부(10)에 덮개부(30)가 덮여진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30)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덮개부(30)를 열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잠금해제버튼(17)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것 이외에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구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단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차례대로 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상부에는 가이드부(24)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가이드구동부(23)가 구비된다. 다만,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 중에서 최하단에 배치되는 적층수납부(20d)의 하부에는 가이드구동부(23)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구동부(23)도 본체부의 가이드구동부(13)와 마찬가지로 폭이 넓은 부분(23w)과 폭이 좁은 부분(23n)으로 구성되고, 가이드부(24)는 폭이 넓은 가이드구동부(23w)에 대응하는 부분(24w)과 폭이 좁은 가이드구동부(23n)에 대응하는 부분(24n)으로 구성된다(도 6의 (b) 및 (c) 참조).
또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상부에는 볼스프링(25)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홈부(26)가 구비된다(도 6의 (a) 참조). 이때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볼스프링(25)은 상기 본체부(10) 또는 상기 적층수납 부(20a, 20b, 20c, 20d)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의 홈부(26)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홈부(26)에 탄성에 의해 진출됨으로써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임의로 슬라이드 구동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상부 내측 또는 측부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각각 수용된다. 도 2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총 4개로 구성되는 경우에 본체부(10)로부터 3개의 적층수납부(20a, 20b, 20c)의 상부 내측에는 고체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예를 들면, 립스틱, 연지, 기타 색조화장품 등)이 화장품케이스(40e, 40f, 40g)에 담겨 수용되고, 최하단의 적층수납부(20d)의 측부에는 액체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스킨로션, 에센스, 크림, 에멀젼, 아이섀도 등)이 수용용기(50)에 담겨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최하단의 적층수납부의 상부에도 수납공간(21)이 마련되어 브러쉬 등의 화장용품(42)을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체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은, 상기 본체부(1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화장품케이스(40e, 40f, 40g)에 담겨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에는 다른 종류의 화장품 내용물을 교체하여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수납부(20)에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화장품케이스(40)에는 상기 수납홈(21a)에 대응하는 수납돌기(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21a)은 매트릭스형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존에 상기 적층수납부(20)에 장착되어 있던 화장품케이스(40)와 다른 크기의 화장품케이스를 상기 적층수납부(2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첫번째 적층수납부(20a)에 수용된 화장품케이스(40e)를 두번째 또는 세번째 적층수납부(20b, 20c)에 수용된 화장품케이스(40f, 40g)를 제거한 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은 직접 상기 적층수납부(20d)에 수용되어 개방덮개(59, 도 15 참조)를 통해 화장품 내용물을 교체 또는 충전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액체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을 교체 또는 충전(리필)하기 용이하도록 수용용기(50)에 담겨 상기 적층수납부(20d)의 수용홈(28)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용기(50)는 그 일부가 해체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용용기(50)의 뚜껑(53)과 본체(51)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어 있어 상기 뚜껑(53)을 본체(51)로부터 필요에 따라 해체 가능하고, 해체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상기 수용용기(50)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용용기(50)는 상기 수용홈(28)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데,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로 상기 수용용기(50)가 상기 수용홈(28)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적층수납부(20d)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면,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용기(50)를 상기 수용홈(28)에 끼움결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용기(50)에 담겨진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용 기(50)에는 펌핑부(57)가 더 구비된다. 상기 펌핑부(57)는 상기 수용용기(50)가 상기 적층수납부(20d)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용기(50)로부터의 내용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용기(50)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용기(50)가 적층수납부(20d)에 수납된 때에는 상기 적층수납부(20d)의 펌핑홈(27)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상기 펌핑부(57)가 임의로 눌려져 수용용기(5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뿐, 상기 펌핑부(57)가 수용용기(50)의 측부에 구비되고 펌핑홈(27) 내부에 위치되는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펌핑부(57)는 상기 수용용기(50)의 뚜껑(53)에서 상기 입구부(55)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도 13 참조).
여기서 상기 펌핑홈(27)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용기(50)가 상기 수용홈(28)에 착탈될 때 상기 수용용기(50)에서 돌출된 펌핑부(57)의 이동동선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적층수납부(20d)의 측부로 절개되어 있고, 펌핑부(57)를 누르기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절개부분이 확장되어 있다.
또한 수용용기(50)의 입구부(55)는 상기 수용용기(50)의 내용물을 방출할 때만 사용될 수 있도록 거의 직각으로 굽혀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덮개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덮개부(30)는 본체부(10)의 일측에서 회동하여 상기 본체부(10)를 덮음으로써 상기 본체부(10)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보호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부(1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30)의 내측면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케이스(40a)가 장착되고 기타 자주 사용하는 색조 화장품도 화장품케이스(40b)에 수납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덮개부(30)의 내측면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큰 거울을 달고 싶으면 현재 상기 덮개부(30)의 내측면에 장착된 화장품케이스(40a, 40b)를 모두 제거한 후, 큰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케이스를 상기 덮개부(30)의 내측면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된 화장품케이스(40a, 40b)의 해체 및 큰 거울의 장착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체부(10)와 적층수납부(20)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는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어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핸드백, 가방 등에 넣고 다닐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부(10) 등의 일측에 연결고리를 마련하여 휴대폰 줄 등을 연결하여 휴대폰과 함께 가지고 다닐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를 이용하려면 먼저 덮개부(30)를 본체부(10)로부터 개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부(30)는 상기 본체부(10)에서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덮개부(30)를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개방하기 위해서는 잠금해제버튼(17)을 눌러 잠금상태를 푼 후 상 기 덮개부(30)를 본체부(10)에 대해 회동한다.
상기 덮개부(30)를 열면 화장을 하거나 고치기 위한 기본적인 화장품 내용물들이 나타난다. 그리고 현재 개방된 화장품 내용물 이외의 다른 화장품 내용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슬라이드 구동시켜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차례대로 슬라이드 구동시켜 모두 개방할 수도 있고(도 2b 참조), 필요한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된 적층수납부(20)까지만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된 적층수납부(20)만을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개방할 때는, 개방하고자 하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 상부의 적층수납부(20a, 20b, 20c) 또는 본체부(1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개방하고자 하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그 후방에서 밀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개방하고자 하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볼스프링(25)이 밀려 들어가면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 상부의 적층수납부(20a, 20b, 20c) 또는 본체부(10)의 홈부(15, 26)로부터 상기 볼스프링(25)이 빠져 나와 상기 개방하고자 하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개방하고자 하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슬라이드 구동은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가이드부(24)와 상기 가이드부(24)에 대응하는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 상부의 적층수납부(20a, 20b, 20c) 또 는 본체부(10) 하부의 가이드구동부(13, 23)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방하고자 하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밀게 되면, 상기 가이드구동부(13, 23)가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가이드부(2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일방향으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슬라이드되게 한다. 이때 이러한 슬라이드 구동은 상기 가이드구동부(13, 23)의 폭이 넓은 부분(13w, 23w)이 상기 가이드부(24)의 폭이 좁은 부분(24n)에 대면하게 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개방하고,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최하단에 위치한 적층수납부(20d)에는 액체로 된 화장품 내용물 및 브러쉬 등의 화장용품(42)이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최하단에 위치한 적층수납부(20d)를 개방하여 필요한 화장품 내용물 및 화장용품(42)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액체로 된 화장품 내용물(스킨로션, 에센스, 아이섀도 등)은 수용용기(50)에 담겨져 있으므로, 상기 수용용기(50)를 적층수납부(20d)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용기(50)에 담겨진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용기(50)가 상기 적층수납부(20d)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용기(50)의 펌핑부(57)를 누름으로써 상기 수용용기(50)에 담겨진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수용용기(50)의 입구부(55)는 일반적으로 거의 직각으로 굽혀져 상기 수용용기(50)의 뚜껑(53)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입구부(55)를 원상태로 위치시킨 후 상기 수용용기(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한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를 원상태로 정리하기 위해서는 개방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슬라이드 구동시킨다. 이때도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가이드부(24)를 따라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 또는 본체부(10)의 가이드구동부(13, 23)가 이동하면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슬라이드 구동된다.
이렇게 슬라이드 구동된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는 그 상단의 적층수납부(20a, 20b, 20c) 또는 본체부(10)에 완전히 덮여질 때까지 이동되고, 이때 그 상단의 적층수납부(20a, 20b, 20c) 또는 본체부(10)의 홈부(15, 26)에 자신의 볼스프링(25)이 탄성에 의해 삽입된다. 상기 볼스프링(25)이 홈부(15, 26)에 삽입되면 상기 볼스프링(25)은 탄성에 의해 상기 홈부(15, 26)에 밀착되므로, 상기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를 가지고 다닐 때 임의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슬라이드되면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에서 화장품 내용물을 교체 및 충전(리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상기 화장품 내용물이 고체(분말을 포함함)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내용물이 담겨진 화장품케이스(40)를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20)의 수납공간(11, 21)으로부터 분리한 후, 분리된 화장품케이스(40)를 교체 또는 충전(리필)하여 상기 수납공간(11, 21)에 재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11, 21)에는 다수의 수납홈(21a, 도 3 참조)이 매트릭스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품케이스(40)의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21a)에 대응하는 수납돌기(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납돌기(41)를 상기 수납홈(21a)에 끼움으로써 상기 화장품케이스(40)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1, 21)에는 특정한 화장품케이스(40)만 장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화장품케이스도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공간(11, 21)의 수납홈(21a)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어 있어 하나의 수납홈(21a)에만 끼울 수 있는 크기의 화장품케이스(40f, 40g), 인접한 두개의 수납홈에만 끼울 수 있는 크기의 화장품케이스, 또는 총 8개의 수납홈(21a)에 끼울 수 있는 크기의 화장품케이스(40e)를 블록쌓기 형태로 끼워 넣음으로써, 다른 크기 또는 종류의 화장품케이스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장품 내용물이 액체로 된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내용물이 담겨진 수용용기(50)를 상기 적층수납부(20d)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수용용기(50)에서 나사결합되어 있는 수용용기(50)의 뚜껑(53)을 해체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용기(50)의 뚜껑(53)을 해체함에 의해 개방된 상기 수용용기(50)의 본체(51)에 필요한 화장품 내용물을 충전(리필)하거나 다른 화장품 내용물로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변형예에서는 적 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임의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부(15, 26)와 볼스프링(25)을 사용하는 대신에 차단바(60)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단바(60)는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종방향)을 향한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임의의 슬라이드 구동을 방지하도록 직각 범위에서 회동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바(60)가 본체부(10)와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에 직각으로 위치되면, 상기 차단바(60)는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을 차단하게 되므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임의로 슬라이드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바(60)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직각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을 따라 위치되면,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으로는 아무런 장애물이 없게 되므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는 원활하게 슬라이드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바(60)가 상기 본체부(10)의 측부를 따라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차단하는 위치 사이에서만 회동하도록 상기 차단바(60)는 회전제한부(61)에 수용된다. 이러한 회전제한부(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의 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부(10)의 측부와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 중 하나 이상의 측부에 각각 돌출 구비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변형예에서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본체부(10)에 대해 횡방향(도 9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된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종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그 종방향에 직각인 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를 위한 가이드부(24)와 가이드구동부(13, 23)도 제1실시예에서와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 및 본체부(10)에 형성된다. 즉, 제1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24)와 가이드구동부(13, 23)가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단변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장변 방향으로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홈부(15, 26) 및 볼스프링(25)도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측부 중 단변측에 구비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장변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홈부(15, 26)와 볼스프링(25)은, 도 10 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되는 차단바(60)로 교체될 수도 있고 차단바(60)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외에 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본체부(10)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는 것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나,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가 각각 2개로 분리되어 있고 그 분리된 적층수납부(20a1, 20a2 20b1, 20b2, 20c1, 20c2, 20d1, 20d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상이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변형예에서의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는 2개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때 2개로 분리된 복수의 적층수납부(20a1, 20a2, 20b1, 20b2, 20c1, 20c2, 20d1, 20d2) 각각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서로 동일하지만, 각 적층수납부(20a1, 20a2 20b1, 20b2, 20c1, 20c2, 20d1, 20d2)가 개방될 수만 있다면 그 크기는 서로 달라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제2실시예에서와 달리 상기 적층수납부(예를 들면, 20a1, 20b1, 20c1, 20d1)의 후방측에 다른 적층수납부(예를 들면, 20a2, 20b2, 20c2, 20d2)가 접촉 또는 근접하여 있으므로 그 후방측을 밀어서 각 적층수납부(20a1, 20a2, 20b1, 20b2, 20c1, 20c2, 20d1, 20d2)를 슬라이드 구동시키기는 다소 곤란하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각 적층수납부(20a1, 20a2, 20b1, 20b2, 20c1, 20c2, 20d1, 20d2)의 일측 또는 양측에 파지부(29)를 형성하여 상기 적층수납부(20a1, 20a2, 20b1, 20b2, 20c1, 20c2, 20d1, 20d2)의 슬라이드 구동시킬 때 상기 파지부(29)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파지부(29)는 홈 형태일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측부를 따라 병렬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형태일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29)를 당기면서 각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를 슬라이드 구동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각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는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수용용기(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9)의 설치위치를 피하여 적층수납부(20a, 20b, 20c, 20d)의 횡방향 측부에 수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소형용기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형용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제3실 시예의 슬라이드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 13의 D-D',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10)가 다층으로 구성된다. 즉,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20)가 각각 상부층(10-2, 10-3, 20-2, 20-3)과 하부층(10-1, 20-1)으로 구분되어 마련되고, 각 상부층(10-2, 10-3, 20-2, 20-3)이 2개로 분리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층(10-2, 10-3, 20-2, 20-3)과 하부층(10-1, 20-1)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20)의 2개의 상부층(10-2, 10-3, 20-2, 20-3)은, 상기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20)의 하부층(10-1, 20-1)이 슬라이드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20)의 하부층(10-1, 20-1)에는 상부층(10-2, 10-3, 20-2, 20-3)의 슬라이드 구동을 위한 가이드부(19, 24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층(10-2, 10-3, 20-2, 20-3)에는 상기 가이드부(19, 24a)에 대응하는 가이드구동부(13a, 23a)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9, 24a) 및 가이드구동부(13a, 23a)와 아울러, 상기 본체부(10) 및 적층수납부(20)의 하부층(10-1, 20-1)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가이드부(24) 및 가이드구동부(13, 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4) 및 가이드구동부(13, 23)에 따른 슬라이드 구동은 상기 적층수납부(20a, 20b)의 하부층(20a-1, 20b-1)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층(20a-2, 20a-3, 20b-2, 20b-3)에서도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부층(20a-1, 20b-1)에 형성된 가이드 부(24)는 상부층(20a-2, 20a-3, 20b-2, 20b-3)에도 동일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개방된 본체부(10)와 적층수납부(20)의 상부층(20a-2, 20a-3, 20b-2, 20b-3) 및 하부층(20a-1, 20b-1)에는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화장품 내용물이 화장품케이스(40)에 담겨 끼워진다. 이러한 수납공간과 화장품케이스(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최하단에 위치한 적층수납부(20b)의 하부층(20b-1)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수용용기(5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하부층(20b-1)에 액체 상태의 화장품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용기(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용기(50)의 개방덮개(59)를 개방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직접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용기(50)의 펌핑부(57)는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상기 수용용기(50)의 입구부(55) 주변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소형용기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펌핑부(57)를 눌러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수용용기(5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일례를 든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덮개부(3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본체부(1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잠금해제버튼(31)이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30)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해제버튼(31)의 위치 및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개방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화장품케이스의 착탈 방식을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수용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의 슬라이드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 B-B',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소형용기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형용기의 측면도,
도 17은 제3실시예의 슬라이드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 13의 D-D',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본체부 11 : 수납공간
13 : 가이드구동부 15 : 홈부
20 : 적층수납부 21 : 수납공간
23 : 가이드구동부 24 : 가이드부
25 : 볼스프링 26 : 홈부
27 : 펌핑홈 28 : 수용홈
29 : 파지부 30 : 덮개부
40 : 화장품케이스 50 : 수용용기
51 : 본체 53 : 뚜껑
55: 입구부 57 : 펌핑부
60 : 차단바 61 : 회전제한부

Claims (12)

  1. 한 손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화장하는 데 필요한 화장품 내용물을 소량으로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 내측 또는 측부에 상기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부 내측 또는 측부에 상기 화장품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차례대로 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 가능한 복수의 적층수납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회동되며 상기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수납부는 2개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분리된 각 적층수납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수납부는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적층수납부의 상부층은 2개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각 적층수납부가 개방된 때 상기 적층수납부의 분리된 2개의 상부층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수납부의 상부층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각 적층수납부의 상부에는, 상기 화장품 내용물이 담겨진 화장품케이스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본체부와 각 적층수납부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적층수납부 중 하나 이상의 측부에는, 상기 화장품 내용물 중 액체로 된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내부에 수용하는 내용물의 교체 또는 충전이 용이하도록 해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본체부와 적층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방출하는 펌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수납부의 상부에는 각각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수납부 또는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수납부와 본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본체부와 적층수납부 또는 적층수납부 사이에는 홈부와, 탄성에 의해 상기 홈부에 진출가능한 볼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적층수납부의 임의의 슬라이드 구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수납부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적층수납부의 임의의 슬라이드 구동을 방지하도록 직각 범위에서 회동되는 차단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KR1020080014774A 2008-02-19 2008-02-19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KR20090089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774A KR20090089545A (ko) 2008-02-19 2008-02-19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774A KR20090089545A (ko) 2008-02-19 2008-02-19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545A true KR20090089545A (ko) 2009-08-24

Family

ID=4120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774A KR20090089545A (ko) 2008-02-19 2008-02-19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95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0934A (zh) * 2012-12-18 2013-03-13 唐林华 一种全自动化妆盒
KR101300145B1 (ko) * 2011-11-16 2013-08-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90001341U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미영 멀티 화장품 용기
KR20190103650A (ko) 2018-02-28 2019-09-05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용 멀티 케이스
KR20190120960A (ko) * 2018-04-17 2019-10-25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145B1 (ko) * 2011-11-16 2013-08-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02960934A (zh) * 2012-12-18 2013-03-13 唐林华 一种全自动化妆盒
KR20190001341U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미영 멀티 화장품 용기
KR20190103650A (ko) 2018-02-28 2019-09-05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용 멀티 케이스
KR20190120960A (ko) * 2018-04-17 2019-10-25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9557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removable palette
US9743742B2 (en) Portable interchangeable cosmetic compact
CN102666311A (zh) 用于便携手持式电子设备的间隔式保护盒
KR20090089545A (ko) 화장품 종합 휴대용 소형용기
US11344090B2 (en) Multi-layer multi-compartment cosmetic and personal items container for holding both flat and tall items
US9820552B2 (en) All in one beauty pen—beauty bullet
US20080060672A1 (en) Cosmetic case
KR20090014092A (ko) 화장품 수납수단을 가지는 휴대폰
KR100967446B1 (ko) 다종 화장품 용기
CN113260279A (zh) 滑动彩妆化妆品外壳
KR101944049B1 (ko) 용기와 브러시를 교체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200013301A (ko) 듀얼 타입의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223795B1 (ko) 휴대용 화장품 용기
KR100543797B1 (ko) 종합 화장품 용기
US20220095766A1 (en) Replaceable makeup box structure
US11375797B2 (en) System case for storing and carrying cosmetic essentials
KR20150105668A (ko) 다기능 색조 제품 케이스
KR102130277B1 (ko) 슬라이드식 화장품 콤팩트 케이스
US20220312938A1 (en) Modular Multi-Layer Multi-Compartment Cosmetics Container
KR102079083B1 (ko) 듀얼 콤팩트 용기
KR200167239Y1 (ko) 화장용 콤팩트
KR200446992Y1 (ko) 화장품 케이스
US20230200517A1 (en) Portable, refillable and exchangeable makeup case for women
KR200440619Y1 (ko)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메이크업 팔레트
KR200430554Y1 (ko) 아이새도우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