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842A - 천을 끼우는 창문 - Google Patents

천을 끼우는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842A
KR20090082842A KR1020080047376A KR20080047376A KR20090082842A KR 20090082842 A KR20090082842 A KR 20090082842A KR 1020080047376 A KR1020080047376 A KR 1020080047376A KR 20080047376 A KR20080047376 A KR 20080047376A KR 20090082842 A KR20090082842 A KR 2009008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loth
convex
window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771B1 (ko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박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태 filed Critical 박종태
Publication of KR2009008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30) 내부에 있는 창문의 구조체인 창문틀(12)에 천(1)을 끼우는 방법으로 베이스판(6)에 오목부홈(8), 볼록부(홈9)및 복합홈(10)을 형성한 베이스부(90)를 두고 이의 상부에서 개스킷(2)이나 볼록캡(3)을 눌러 끼워 줌으로서 오목 볼록부홈의 깊이만큼 천의 길이를 줄여주면서 천을 팽팽하게 결합하는 방법 즉 인장결합시스템(100)을 내장한 창문틀(12)에 천(1)을 끼우는 창문(도1)입니다.
본 발명은 창문에 천(1)을 끼우는 것으로 한지의 장점과 같이 통풍이 원활하여 별도의 공조시설이 필요 없고, 햇빛을 차단하므로 별도의 커튼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병풍역할 및 아트월과 같은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내는 복합기능을 가진 창문으로 계절의 변화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누구나 쉽게 천을 갈아 끼울 수 있도록 한 것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천 끼우는 창문(도1)으로 새로운 창호 문화를 만드는 것입니다.
베이스부, 오목부홈, 볼록부홈, 마감장식몰딩, 개스킷, 볼록캡, 인장결합시스템,

Description

천을 끼우는 창문{ the window set a fabric }
본 발명은 외벽측 창문 및 실내 인테리어 창문에 있었어,
기존의 창문틀에 끼우는 유리 대신 천(1)을 창문틀에 끼우는 방법으로 베이스판(6)의 상부에 오목부홈(8), 볼록부홈(9) 및 복합홈(10)으로 형성된 베이스부(90)를 설치하고 이의 상부에서 개스킷(2) 과 볼록캡(3)을 끼워 그때 천(1)이 홈의 깊이만큼 천(1)을 줄여줌으로 천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기본원리(도8)를 이용하여 창문틀(12)에 천이 팽팽하게 설치하고 이때에 천에 발생 된 인장력(15)으로 천이 빠지지 않도록 결합부와 정착부(도9)를 형성하고 홈의 내부에 톱니요출(5)을 두어 천을 쪼여줌으로 더 강한 부착력이 발생되어 천이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천을 창문틀에 설치하는 방법 즉 인장결합시스템(100)으로 목재창문은 창문틀의 단부에 ㄴ자 홈을 파서 인장결합시스템(도14,100)을 부착하고, 알루미늄과 플라스틱 창문은 인장결합시스템(100)의 베이스부(90)를 내장한 압출 성형된 창문틀(12)에 천을 끼우는 창문을 만드는 것으로 새로운 천창호지 창문 문화를 만드는 것입니다.
종래는 특히 전통한옥에서는 창문틀 내부에 창살을 설치하고 그 위에 한지를 풀로 붙인 전통한지 창문으로 공기는 투과하고 온기는 보존하는(도7) 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내구력이 떨어지는 단점으로 현대건축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현대건축의 이중창문의 외부 창문은 투명유리(25)로 하고 방 내부 측의 창문은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불투명유리를 창문에 끼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통풍이 차단되어 단열효과는 있으나 공기가 통하지 않아 새집증후군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아토피 같은 현대병을 유발하게 되고 불투명유리에 여러 가지 디자인을 하지만 인테리어 효과를 내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천은 인장력이 강하여 내구력이 우수하고 또한 천은 공기가 잘 통하는 천도 있으나 공기를 차단하는 바람막이 천과 방수천 등이 있으며 특수기능을 가진 다양한 천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계절에 따라 적당한 천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에 따라 천 바탕면의 디자인을 적당히 선택 수 있는 강한 장점으로 우수한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천을 건축소재로 사용하여 섬유산업의 발전 및 새로운 창문 문화를 만들고자 한 것입니다.
이러한 천으로 전통한지의 장점과 불투명유리의 장점을 복합할 수 있는 천을 창문에 팽팽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발상전환을 통하여 새로운 천창호지 창문의 문화를 이루고자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종래는 천을 창문에 사용한 예가 없으며 필요시에 인테리어 창문에는 별도의 합판을 창문에 붙이고 그 위의 가장자리에 본드를 붙여 인테리어용으로 설치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전통한지의 장점과 현대건축의 창문에 불투명유리의 장점을 혼합할 수 있는 천을 계절에 따라 창문틀에 쉽게 설치하고 쉽게 천을 교체할 수 있도록 즉 탈부착이 용이하고 또한 별도의 창살이나 별도의 바탕 면에 합판이 필요 없도록 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천창호지 창문을 개발하기위하여 창문틀(12)에 천을 강한 인장력(15)및 부착력으로 창문틀에 팽팽하게 연결 결합하는 방법 즉 인장결합시스템(100)을 내장한 창문틀에 천을 끼우는 창문을 만드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본원리는 도5와 같이 편편한 일자인 천이 베이스부(90)의 홈(8)에 개스킷(2)을 끼울 시에 홈의 굴곡면의 깊이만큼 천이 줄어들므로(도8) 천(1)을 잡아당겨 인장력(15)이 발생하는 원리로 천을 팽팽하게 당겨주는 특징과 이때에 천에 발생된 인장력(15)으로 천이 빠지지 않도록 베이스부(90)의 홈(8,9,10)에서 쪼여 줌으로 더 강한 부착력이 발생 되어 천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본원리로 천(1)을 팽팽하게 결합하는 방법 즉 인장결합시스템(100)을 내장한 창문틀(12)에 천을 끼우는 창문에 있었어,
창문틀(12)에 천을 설치하는 인장결합시스템(100)의 주요구성은 베이스판(6)에 한 개 이상의 오목부홈(8), 한개 이상의 볼록부홈(9)및 오목 볼록 부홈을 혼합한 복합홈(10)의 조합으로 결합부와 정착부가(도9) 형성된 베이스부(90)를 두고 1차적으로 결합부에서 천을 편편하게 펼친 후에 적당히 잡아당겨 개스킷(2) 이나 볼록캡(3)을 누르면 팽팽하게 잡아 당겨주고 2차적으로 정착부에 형성된 홈에 다시 개스킷(2) 이나 볼록캡(3)을 누르면 천 자체의 인장력이나 외부의 풍압 및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최종 쪼여 정착시킴과 동시에 개스킷의 상부에 마감부(11)를 결합한 마감장식몰딩(80)을 끼워 주어 홈의 거친 면을 깨끗하게 커브 해주어 최종 마감처리 하는 방법 즉 천을 인장결합시스템(100)을 내장한 창문틀에 천을 쉽게 끼우고 뺄 수 있는 창문을 만드는 것으로 과제를 해결하게 되었습니다.
인장결합시스템(100)이 내장된 창문틀(12)에 천을 끼워 창문을 만드는 것으로,
기존의 주택의 이중창(도2) 내부 측 창문에 불투명유리를 끼워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형태이고, 전통한옥은 한지를 붙인 창문으로 공기는 투과하고 내부 열은 보온하는 장점(도7)은 있으나 내구력 떨어지므로 현대건축에 잘 사용되지 않으나 천은 한지와 유리의 장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소재로 본 발명은 창문에 천을 쉽게 끼우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풍이 원활한 한지의 장점과 커튼역할도 하고 프라이버시도 유지하며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내는 천(1)을 쉽게 갈아 끼울 수 있으므로 창문에 계절에 따른 적당한 인테리어 아트 월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장결합시스템(100)을 붙인 목재창문틀(도15의 12-2의a와 12-3의 b)에 적용한 예와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으로 성형 압출된 창문에 적용한 예(도15의 12-1의a, b 와 12-2의 b,12-3의 a)를 통하여 활용범위를 알 수 있듯이 기존의 모든 형태의 창문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천창호지 창문의 새로운 문화로 실내공기의 적당한 순환으로 새집증후군 피할 수 있어 아토피와 같은 현대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 , 창을 열지 않고 공기순환을 할 수 있으므로 방충망 기능을 갖고 있으며,
천이 햇빛을 차단하므로 커튼을 겸하는 효과가 있어 커튼이 필요 없으며,
도17,18과 같이 천을 이중으로 끼울시 외부 측의 천(나)은 바탕 원색칼라로 염색된 천으로 하고, 내부 측의 천(가)은 단순 무늬로 디자인된 천을 사용 시 자연조명 즉 태양빛에 의한 색의 조합으로 바탕면 칼라가 형성되는 문양이 나타나므로(다) 밤(가)과 낮(다)에 천 창문의 바탕면 무늬가 다른 효과를 내므로 카멜레온 같은 창문의 효과가 있는 창문으로 창문틀이란 액자 속에 우아하고 세련된 무늬가 장식된 천을 끼우고 창문틀에 장식마감몰딩(80)을 돌리므로 창문이 마치 한 폭의 작품을 연출하는 액자인 카멜레온 아트월로 은은하고 심미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상과 같이 공조시설, 케텐, 방충망 및 카멜레온 아트월의 복합기능을 가진 창문으로 창문의 새로운 문화를 개척하 효과가 있습니다.
천부(90)에 볼록캡(3)으로 만 형성된 인장결합시스템(을 끼우기 위해 창문을 형성하는 골격 즉 창문틀에 내장한 인장결합시스템(100)의 형태별로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인장결합시스템(100)은 도10의표 100의 예는 오목부홈(8)만 내장한 베이스부(90)에 개스킷(2)과 마감장식몰딩(80)만으로 형성된 인장결합시스템(100)과,
도11의 표 100의 예는 볼록부홈(9)만 내장한 베이스100)과,
도12의 표 100의 예는 복합형(10)을 내장한 베이스부(90)에 볼록캡(3)으로 만 형성된 인장결합시스템(100)과,
상기의 도10,11,12는 싱글형태로 이루어진 인장결합시스템(100)으로 비교적 창문의 폭이 좁은 부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14의표 100-1,2,3의 실시 예는 결합부와 정착부가(도9) 결합된 혼합형으로 형성된 인장결합시스템(100)으로 창문의 폭 넓거나 풍압이 비교적 큰 곳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9에서 상기의 인장결합시스템(100-1,2,3)의 주요구성요소는 크게 결합부와 정착부로 형성하며 결합부에서 홈과 개스킷(2) 또는 볼록캡(3)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는 1차적으로 천을 당겨주면서 팽팽하게 하고 2차적으로 정착부에서는 홈 과 개스킷 과 장식몰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이 빠지지 않도록 최종 정착시키며 개스킷의 상부에 마감부(11)를 결합한 마감장식몰딩(80)으로 마감하는 구성요소로 되어있습니다.
인장결합시스템(100)의 베이스부(90)에 형성된 홈의 종류는 도10과 같은 오목부홈(,8), 도11과 같은 볼록부홈(9), 도12와 같은 오목부홈과 볼록부홈을 복합한 복합홈(10)등이 있으며,
상기의 오목부홈(8)의 종류는 도10의 8의a 와 같이 베이스판(6)의 상부로 사이드 벽(20)의 상단에 걸림턱(7)만 둔 경우로 걸림턱(7)으로 개스킷(2)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8의b는 오목부홈의 내부에 톱니요출(5)을 두는 예로 천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내부마찰력을 증대시켜주는 경우이며, 8의c는 베이스판의 상부로 사이드벽(20)의 내부에 요출을 주어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걸림턱을 두지 않아 쉽게 마감장식몰딩(80)을 빼고 끼울 수 있는 형태이며, 8의d는 ㄴ자형 베이스판(6)의측 단부에 걸림턱(7)을 두는 형태입니다.
볼록부홈(9)은 종류는 도11의 분류표와 같이 9의a는 베이스판(6)의 상부로 싱글 돌출볼록키(4)의 상단의 양측에 걸림턱(7)을 주어 볼록캡(3)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경우이며, 9의b는 쌍 돌출볼록키(4)주고 내부는 V자형홈(30)을 주어 볼록캡(3)을 끼울시 신축성이 있도록 하는 역할로 볼록캡(3)을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한 경우이며, 9의c는 돌출볼록키(4)의 양측에 톱니요출(5)경우이며 이때 볼록캡(3)은 최종 마감장식몰딩(80)역할을 겸하는 것입니다.
복합홈(10)의 종류는 도12의 분류표와 같이 10의a와b는 베이스판(6)의 상부 양측 사이드벽(20)의 내부는 오목부홈(8)을 형성하고 사이드벽(20)의 외부는 볼록부홈(9)의 형태와 같이 걸림턱(7)을 두어 복합홈(10)으로 형성된 것으로 오목부홈(8)의 장점과 볼록부홈(9)의 장점을 결합한 것입니다. 10의c는 ㄴ형의 베이스판(6)의 중앙부에 오목부홈(8)을 두고 단부에 걸림턱(7)을 준 것으로 창문의 용도와 모양에 따라 적당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분류표입니다.
상기의 볼록부홈(8)에 설치하는 볼록캡(3)의 종류는
도13의 분류표와 같이 볼록형의 양단부의 사이드훅(19)에 걸림턱(7) 둔 볼록캡(3의 a)과, 내부에 톱니요출(5)을 둔 볼록캡(3의b)과, 걸림턱(7)은 없고 톱니요출(5)만 있는 볼록캡(3의c)등이 있습니다.
상기의 오목부홈(8)에 설치하는 개스킷(2)의 종류는
도13의 분류표와 같이 요출O형개스킷(2의a), 사각개스킷(2의b),V자형사각개스킷(2의c), 활형개스킷(2의d)등이 있으며
요출O형개스킷(2의a)은 원형의 표면에 톱니요출(5)준 것이며, 사각개스킷(2의b)은 측면의 표면에 톱니요출(5)준 것이며, V자형사각개스킷(2의c)은 내부에 V자형홈(30)을 두어 오목부홈(8)에 천을 끼울 시에 신축성이 있도록 하였으며, 활형개스킷(2의d)은 활형의 단부에 원형으로 곡면을 두고 활 모양으로 홈에 휘어 끼우는 것입니다.
도13의 80은 상기의 개스킷(2)과 마감부(11)를 결합한 마감장식몰딩(80)으로 인장결합시스템의 단부를 깨끗하게 마무리하며 천의 테두리를 장식하는 최종몰딩으로 한 폭의 그림액자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는 마감장식몰딩(80)입니다.
도14와 같이 인장결합시스템의 형태별 분류표의 실시 예 100-1,2는 베이스부(90)에 2개의 오목부홈(8)을 둔 인장결합시스템 실시 예 이며,
100-3의 a는 베이스부에 2개의 볼록부홈(9)을 둔 인장결합시스템 실시 예 이며,
100-3의 b, c는 베이스부에 1개의 볼록부홈(9)과 1개의 오목부홈(8)을 둔 인장결합시스템 실시 예 이며,
상기의 인장결합시스템은 오목부홈(8)과 볼록부홈(9)조합으로 여러 형태의 인장결합시스템을 만들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최적의 선택으로 사용가능합니다.
도15의 분류표는 도10,도11,도12,도14의 인장결합시스템(100)을 창문의 구조체인 창문틀(12)에 내장한 것으로,
도15의표 12-1의a, b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한 창문틀의 단부에 이중으로 인장결합시스템을 형성하여 천을 이중으로 끼우는 것이고 이의 내부에 창문틀의 휨 방지를 위한 ㄷ자형홈(70)을 두어 유리나 버팀보강대를 끼우는 공간을 둔 창문틀이며,
12-2의a는 목재 창문틀에 ㄴ자형 홈을 파고 이의 내부에 인장결합시스템을 이중으로 내장한 목재 창문틀이며,
12-3의b는 목재 창문틀에 ㄴ자형 홈을 파고 이의 내부에 인장결합시스템을 싱글로 내장한 목재 창문틀이며,
12-2의b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한 창문틀의 단부에 상부는 인장결합시스템을 형성하여 천을 끼우는 것이고 하부는 유리를 끼우도록 된 유리와 천을 복합으로 끼우는 공간을 둔 창문틀이며,
12-3의a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한 창문틀에 인장결합시스템을 중앙부에 두고 양측에서 천을 끼우거나 또는 유리를 끼울 수 있고 또한 한 면은 유리를 끼우고 다른 한 면은 천을 끼우는 유리와 천을 복합하여 끼울 수 있는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입니다.
상기와 같이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로 천을 끼우는 창문의 기능과 미적 감각에 따라 적당히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16의 (가)는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이 천을 끼울 시에 휘어지는 현장 을 방지하기위하여 창문틀 속에 구조보강재(27)를 삽입하여 휨 현상을 보강하기도 하지만 구조보강재의 삽입에도 휨 현상이 생기는 큰 창문틀에는 창문틀의 내측 중앙부에 ㄷ자형홈(70)홈을 두어 ㄷ자형홈(70)홈에 버팀보강대(40)를 끼워 휨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이의 ㄷ자형(70)홈에 유리를 끼워 휨 현상을 하기도하며, 코너 보강재를 끼우는 공간 및 버팀보강대(40) 삽입을 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다목적 ㄷ자형홈(70)홈입니다.
도17과 도18과 같이 천을 끼우는 창문에서 실내 측에는 (가)와 같이 단순한 문양으로 디자인된 천을 끼우고 실외측은 (나)와 같이 바람막이 및 방수기능을 가진 천에 원색 칼라로 염색된 천을 끼우고 이때에 밤에는 도18의 (가)와 같이 단순한 그림만 나타나고 낮에는 (다)와 같이 자연조명 즉 태양빛으로 (가)와 (나)의 결합으로 천에 보이는 현상이 은은하고 심미한 조합된 그림이 나타 나도록한 이중 천을 끼우는 창문에 우아한 아트 월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상의 이중창문에 베이스부(90)의 홈(8,9,10)을 이용한 천 인장결합시스템(도10,11,12의100,도14의 100-1,2,3)으로 목재 창문틀에 적용한 예와 알루미늄 과 플라스틱으로 압출성형한 창문틀에 적용한 예(도15)를 통하여 활용범위를 알 수 있듯이 기존의 모든 형태의 창문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천(1)이 홈의 깊이만큼 천을 줄여줌으로 이때에 천을 팽팽하게 당겨주는 방법 즉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에 천을 끼우는 창문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도 1은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에 천을 끼운 창문 입면도
도 2는 외부측은 유리, 내부측은 천으로 된 이중창문 A 단면상세도
도 3은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 B 단면상세도
도 4는 인장결합시스템 C 단면상세도
도 5는 천을 끼우는 인장결합시스템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
도 6은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 D 단면사시도
도 7은 천을 끼운 창문의 공기는 투과하고 열은 보온되는 개념도
도 8은 천에 끼울시 홈의 깊이만큼 천을 당겨주어 인장력이 발생하는 기본원리도
도 9는 인장결합시스템의 구성요소 분류표
도 10은 오목부홈의 형태별 분류표
도 11은 볼록부홈의 형태별 분류표
도 12는 복합홈의 형태별 분류표
도 13은 개스킷, 볼록캡, 마감장식몰딩의 형태별 분류표
도 14는 인장결합시스템의 형태별 분류표
도 15는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의 형태별 분류표
도 16은 창문틀의 휨 방지 위해 ㄷ자형홈에 버팀대를 설치한 개념 및 단면상세도
도 17은 천을 이중으로 끼운 창문 단면도
도 18은 실내 측의 천과 실외 측의 천과 조합으로 나타난 색상조합도

Claims (7)

  1. 목재, 알루미늄, 플라스틱 재질의 창호에서 창틀(30)내부의 창문틀(12)에 천을 끼우는 창문에 있었어,
    창문틀의 베이스판(6)에 한 개 이상의 오목부홈(도10의 8) 또는 한 개 이상의 볼록부홈(도11의 9) 및 복합홈(도12의 10)으로 성형한 홈(8,9,10)이 내장된 베이스부(90)를 설치 한 것과,
    상기의 베이스부(90)에 설치한 각종 홈(8,9,10)에 천(1)을 편편하게 편 후에 상부에서 오목부홈(8)에는 탄상재질의 개스킷(도13의 2)으로 볼록부홈(9)에는 볼록캡(3)으로 눌러 주어 이때 천의 길이를 줄여들게 하여 천을 팽팽하게 하고 또한 천을 꽉 쪼여주어 천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개스킷(2) 과 볼록캡(3)으로 끼우는 것과,
    상기의 베이스부(90)에 설치한 오목부홈(8)에 개스킷(2)과 마감부(11)가 결합된 마감장식몰딩(80)으로 홈의 상부를 깨긋하게 마감처리도하고 천을 정착시키는 역할을 겸하는 마감장식몰딩(도13의 80)을 설치하는 것과,
    상기의 베이스부(90), 개스킷(2), 볼록캡(3), 마감장식몰딩(80)이 결합한 각 구성요소의 작용으로 천을 팽팽하게 결합하는 방법(도5) 즉 인장결합시스템(도10,11,12,14의100)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도15의 12-1,2,3)에 천을 끼우는 창문.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90)에 형성된 오목부홈(8)에 있었어(도10),
    베이스판(6)의 양측에 사이드벽(20)두고 이의 상부에 걸림턱(7)이 있는 오목부홈(8의a)을 두는 것과,
    상기 오목부홈(8의a)의 내부에 톱니요출(5)이 있는 오목부홈(8의b)을 두는 것과,
    베이스판(6)의 양측에 사이드벽(20) 만두고 내부에 톱니요출(5)이 있는 오목부홈(8의c)을 두는 것과,
    ㄴ자형 베이스판(6)의 양측 단부에 걸림턱(7)이 있는 오목부홈(8의d)을 두는 것과,
    상기와 같은 형태의 오목부홈(8)을 내장한 베이스부(90)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을 끼우는 창문.
  3.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에 형성된 볼록부홈(9)에 있었어(도11),
    베이스판(6)에 돌출볼록키(4)를 두고 이의 상단 양측으로 걸림턱(7)이 있는 볼록부홈(9의a)을 두는 것과,
    상기의 볼록부홈(9의a)의 돌출볼록키(4) 중앙부에 V자형신축조절홈(30)이 있는 볼록부홈(9의b)을 두는 것과,
    베이스판(6)에 돌출볼록키(4)의 양측에 톱니요출(5)이 있는 볼록부홈(9의c)을 두는 것과,
    상기와 같은 형태의 볼록부홈(9)을 내장한 베이스부(90)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을 끼우는 창문.
  4. 제1항의 홈에 끼우는 개스킷(2)에 있어서(도13의2),
    원형의 표면에 톱니요출(5)이 있는 개스킷(2의a)과,
    양 측면에 톱니요출(5)이 있는 개스킷(2의b)과,
    사각의 양 측면에 톱니요출(5)을 두고 내부중앙부에 V자형 신축조절홈(30)이 있는 개스킷(2의c)과,
    활형의 단부에 원형의 둥근면이 있는 개스킷(2의d)과,
    상기와 같은 형태의 개스킷(2)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을 끼우는 창문.
  5. 제1항의 홈에 끼우는 볼록캡(3)에 있어서(도13의3),
    볼록형의 양단부 사이드훅(19)에 걸림턱(7)이 있는 볼록캡(3의a)과,
    상기의 볼록캡(3의a)의 내부에 톱니요출(5)이 있는 볼록캡(3의b)과,
    볼록형의 양단부 사이드훅(19)에 톱니요출(5)만 있는 볼록캡(3의 c)과,
    상기와 같은 형태의 볼록캡(3)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을 끼우는 창문.
  6. 제1항의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에 천을 끼움에 있었어(도17,도18),
    실외측은 기능성 천에 바탕면 칼라로 염색한 천(나)을 끼우고 실내측 천은 그림이 그려진 천(가)을 끼워 밤에는 단순히 문양의 천이 나타나고(가) 낮에는 자연조명으로 실외천(나)과 실내천(가)의 조합으로 심미한 칼라 문양이 나타나도록(다) 한 밤과 낮의 문양이 다르게 나타나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이중천을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을 끼우는 창문.
  7. 제6항의 이중으로 천을 끼움에 있었어(도16),
    천을 홈에 끼울시 인장력의 발생으로 인장결합시스템을 내장한 창문틀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이중으로 설치된 인장결합시스템의 양측 사이에 버팀보강대(40)및 유리를 끼우는 ㄷ자형홈(70)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을 끼우는 창문.
KR1020080047376A 2008-01-28 2008-05-22 천을 끼우는 창문 KR100998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748 2008-01-28
KR20080008748 2008-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842A true KR20090082842A (ko) 2009-07-31
KR100998771B1 KR100998771B1 (ko) 2010-12-06

Family

ID=4129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376A KR100998771B1 (ko) 2008-01-28 2008-05-22 천을 끼우는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7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27B1 (ko) * 2011-02-16 2013-04-04 한국메탈주식회사 안전 방충창
KR101315786B1 (ko) * 2011-07-19 2013-10-08 허정훈 당구대 천의 설치 및 교체도구와 이를 이용한 설치 및 교체방법
WO2014039910A1 (en) * 2012-09-06 2014-03-13 Clear Wall Corporation Energy-efficient fenestration assemblies
KR102169716B1 (ko) * 2019-05-31 2020-10-26 주식회사 비룡씨에이치씨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4717A (zh) * 2018-06-29 2018-11-27 池州市浮子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隐纱式节能门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9880A (en) 1978-06-16 1980-02-26 Gene Ballin Combination mounting frame and film for a window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27B1 (ko) * 2011-02-16 2013-04-04 한국메탈주식회사 안전 방충창
KR101315786B1 (ko) * 2011-07-19 2013-10-08 허정훈 당구대 천의 설치 및 교체도구와 이를 이용한 설치 및 교체방법
WO2014039910A1 (en) * 2012-09-06 2014-03-13 Clear Wall Corporation Energy-efficient fenestration assemblies
KR102169716B1 (ko) * 2019-05-31 2020-10-26 주식회사 비룡씨에이치씨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771B1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2004A (en) Awning structures
KR20090082842A (ko) 천을 끼우는 창문
CA2345452A1 (en) Window and door sash with interior wood covering
CN206800846U (zh) 一种电视背景墙用装饰墙布
CN207812909U (zh) 公共空间超高墙面石材与铝板造型稳固安装结构
CN205805327U (zh) 一种具有扇中挺的门窗系统
CN203603685U (zh) 组合框型材
KR20090131614A (ko) 인장시스템으로 천을 팽팽하게 끼우는 창문
CN205477198U (zh) 一种门窗装饰板件的夹装结构及其板片装饰件
CN210482813U (zh) 玻璃装饰墙板
KR20090131690A (ko) 천패널을 끼우는 창문
CN201314141Y (zh) 一种透气采光帐篷
CA2514175C (en) Decorative window assembly
CN201271120Y (zh) 组合帘
CN206487025U (zh) 一种带有装饰面板的铝合金型材
KR20100003066A (ko) 천 도어
TWI745216B (zh) 內藏式骨架玻璃帷幕的橫直料銜接單元
CN203145718U (zh) 具有装饰面的门窗
CN2898241Y (zh) 燕尾槽封边装饰门
US20080011430A1 (en) Shade without threading cords
KR102108055B1 (ko) 장식용 조명등 및 그 제조방법
CN206091213U (zh) 一种组合型石材线条
CA2291921A1 (en) Decorative window shutter
JP3081902U (ja) 屏風折り式飾り格子
JP3041661U (ja) 家紋付六角型吊り灯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