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837A -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내입 방법 - Google Patents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내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837A
KR20090082837A KR1020080009873A KR20080009873A KR20090082837A KR 20090082837 A KR20090082837 A KR 20090082837A KR 1020080009873 A KR1020080009873 A KR 1020080009873A KR 20080009873 A KR20080009873 A KR 20080009873A KR 20090082837 A KR20090082837 A KR 20090082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terogeneous material
storage space
receiving device
fixing part
materi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08000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2837A/ko
Publication of KR2009008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 내입 방법
(2)발명의 목적
종래의 기술로는 고정부로서 밀폐를 시키는 기술이 있었다.
(3)발명의 구성
이종물질을 낙하 혼합시키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그 수용장치의 고정부가 용기목의 상단부 내측이나 외측에 걸리고, 상기한 고정부는 작동부의 저장공간의 하부를 중심으로 조립되며, 상기한 작동부를 중심으로 작동부의 저장공간을 별도의 밀폐마개로서 막도록 구성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저장공간을 고정부를 중심으로 별도의 밀폐마개로사 밀폐를 시킨 바, 그 밀폐성이 현저히 향상된 장점이 있다.
이종물질, 수용장치, 작동부, 고정부, 밀폐마개

Description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 내입 방법{omitted}
본 발명은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 내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종물질 수용장치 기술로서는, 원가절감을 위하여 수용부의 저장공간을 막는 고정부를 많이 거론하였다. 특히 일본의 경우 30년 전부터 이러한 기술을 공개하였으며, 현존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5,000여건의 특허 중에서도 많이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도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부를 용기의 목에 외측으로 끼우거나 또는 고정부를 용기목의 내측 하단부에 끼워 고정하는 수단이 2002년부터 기술적으로 본격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그 수단에 있어서, 고정부를 용기목의 스크류를 중심으로 결합하는 것은 별개의 기술인바, 본 발명에서는 거론이 되지 못하며, 다만 고정부를 간단하게 용기목에 고정시키는 것에 한정하여 본 발명을 논하여야 하며, 이에 근거하여 선행을 기술하고자 한다.
종래의 기술은, 고정부를 용기목에 고정하는 수단이 고정부를 용기목에 강제로 끼워 조립하는 기술이 있었으나, 이럴 경우, 이종물질 수용장치를 용기목에 조립하는 속도가 문제가 되고, 특히 유리병의 경우 균열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또한 고정부를 용기목의 내경 하단부에 형성할 경우, 그 제작 기법상 사실 어렵고 실현 불가능하여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리고 이상의 단점 외에 고정부의 밀폐부가 작동부의 저장공간을 직접 밀폐시킬 경우, 그 기밀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본 발명은 밀폐마개를 분리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일부를 터치하거나 개방하는 과정에 저장공간에 있던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낙하 혼합되도록 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고정부가 용기 목의 상단 내외측에 형성된 걸림환돌기나 환홈에 고정부의 대응하는 턱이나 홈이 걸려 쉽게 분리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과, 또한 상기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저장공간을 고정부가 아닌 별도의 밀폐마개로서 기밀을 하여 그 밀폐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고정부가 아닌 별도의 밀폐마개를 통하여 저장공간을 기밀 시킨바, 저장공간의 내용물이 장기간 기밀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를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도 1에서 보인바와 같이, 패킹 형태의 고정부(10)와 저장공간(21)이 있는 작동부(20)로 분리되고, 상기 작동부(20)는 분리되는 과정에 저장공간(21)에 있던 이종물질이 낙하공간(11)을 경유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는 용기목(100)의 내측이나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환돌기나 턱이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환돌기나 턱에 그 대응하는 고정부(10)의 걸림턱이나 걸림홈이 걸려 긴히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동부(20)가 고정부(1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 고정부(10)가 용기목(1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10)는 작동부(20)를 중심으로 조립되는 과정에 저장공간(21)의 하부를 차단하지 않고 일부 이상이 열려 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한 저장공간(21)의 하단은 별도의 밀폐마개(30)로서 기밀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밀폐마개(30)는 마지막 단계에서 기밀하는 것과 또는 필요에 따라서 저장공간(21)을 밀폐마개(30)로서 기밀한 후 고정부(10)를 조립하면 밀폐마개(30)가 고정부(10)에 끼여 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보인바와 같이 밀폐마개(30)는 다양한 구조로서 저장공간(21)의 하단을 밀폐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용장치는 특수한 음료나 특수한 먹는 물, 주류 등 다양한 제품에 엑기스나 파우더 등의 내용물을 낙하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 을 분리하였다가 혼합하는 화공약품이나 기타 생활용품 등에 다양하게 접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이종물질수용장치 10 : 고정부
11 : 낙하공간 20 : 작동부
21 : 저장공간 30 : 밀폐마개
100 : 용기목 a : 결합부

Claims (1)

  1.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일부를 터치하거나 개방하는 과정에 저장공간에 있던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낙하 혼합되도록 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와, 상기한 이종물질 수용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작동부의 내부로 패킹형태의 고정부가 삽입되고, 상기한 작동부가 분리되는 과정에는 고정부는 용기목에 고정되는 기술을 요하는 선행에 있어서,
    상기 패킹 형태의 고정부는 작동부의 저장공간을 중심으로 결합되며, 그 결합된 저장공간의 하단은 별도의 밀폐마개로서 기밀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 내입 방법.
KR1020080009873A 2008-01-28 2008-01-28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내입 방법 KR20090082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873A KR20090082837A (ko) 2008-01-28 2008-01-28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내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873A KR20090082837A (ko) 2008-01-28 2008-01-28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내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837A true KR20090082837A (ko) 2009-07-31

Family

ID=4129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873A KR20090082837A (ko) 2008-01-28 2008-01-28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내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28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42Y1 (ko) * 2012-10-23 2014-11-03 김혜란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42Y1 (ko) * 2012-10-23 2014-11-03 김혜란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032B2 (en) Self-mixing container with a releasable internal vessel and its usage
JP2004075133A (ja) 容器の封止機構及びその機構に使用するキャップ
JP2002500604A (ja) 二成分容器
JP4340313B2 (ja) ボトルキャップ
KR20090098617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US11919688B2 (en) Content container
KR101486078B1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KR20090082837A (ko) 패킹 형태의 고정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이종물질내입 방법
JP3139281U (ja) ボトルキャップ
KR101668109B1 (ko) 혼합분말 등의 첨가를 위한 캡슐이 장착된 혼합음료용기
KR101486079B1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KR20090097064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090337B1 (ko) 용기 목에 결합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면 구조
KR20120128738A (ko) 내용물 배출용 병뚜껑의 구부 주위 밀폐구조
US20080251521A1 (en) Package for Two Components
KR2009008283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작동부 고정 구조
KR20090105772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90082835A (ko) 금속외장재를 이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90082059A (ko) 금속외장재를 이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90086009A (ko) 금속외장재를 이용하여 이종물질 수용장치를 용기목에고정시키는 방법
KR20080031699A (ko) 금속외장재를 이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90096261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작동부 고정 구조
KR20090098619A (ko) 금속외장재를 이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90085492A (ko) 금속외장재를 이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70062376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