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591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591A
KR20090082591A KR1020080008442A KR20080008442A KR20090082591A KR 20090082591 A KR20090082591 A KR 20090082591A KR 1020080008442 A KR1020080008442 A KR 1020080008442A KR 20080008442 A KR20080008442 A KR 20080008442A KR 20090082591 A KR20090082591 A KR 20090082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portion
detachable lever
display devic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영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2591A/en
Publication of KR2009008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5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Abstract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easily combine or separate a body unit, which support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with or from a base. A display unit(110) displays image information. A body unit(200) supports the display unit. A base(300) supports the body unit. A hole for inserting one side of the body unit is formed on the base. A removable lever detachably attaches the body unit to the base. The removable lever is comprised to detachably attach the body unit to the base according to rot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the removable lever contacts one side of the body unit to one side of the base, or releases the contacted state of the body unit and the bas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바디부를 베이스에 쉽게 결합/분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coupled / detached to a base fo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LCD/PDP 모니터, LCD/PDP TV 등이 있다.In general, display devices include LCD / PDP monitors and LCD / PDP TVs.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구비된다.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 body unit vertically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nd a base supporting the body unit.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바디부와 베이스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Therefore, the display unit can be maintained in a standing state by the body unit and the bas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view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한편,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포장시에는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포장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부와 베이스가 결합/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is kept upright, it takes up a lot of volume during packaging. To this end,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es gener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and the base can be combined / separated so as to facilitate packaging.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바디부와 베이스가 결합/분리되는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a body part and a base are coupled / detached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바디부(10)와 베이스(20)가 결합/분리되는 구조는 상기 바디부(10)에 형성되는 홀(11)과, 상기 홀(11)에 걸리도록 상기 베이스(20)에 형성되는 돌기(21)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art 10 and the base 20 are coupled / disconnected is caught in the hole 11 and the hole 11 formed in the body part 10. It is made of a protrusion 21 formed on the base 20 so as to.

따라서, 상기 홀(11)에 돌기(21)가 걸리면 바디부(10)와 베이스(20)는 결합되고, 상기 홀(11)로부터 돌기(21)가 분리되면 바디부(10)와 베이스(20)는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21 is caught in the hole 11, the body part 10 and the base 20 are coupled, and when the protrusion 21 is separated from the hole 11, the body part 10 and the base 20 are separated. ) Can be separ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홀(11)에 돌기(21)가 삽입되어 바디부(10)와 베이스(20)가 결합된 이후에, 다시 바디부(10)와 베이스(2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돌기(21)를 상기 홀(11)로부터 이탈시켜야 하는데, 상기 돌기(21)를 상기 홀(11)로부터 이탈시키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홀(11) 및 돌기(21)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That is, after the protrusion 21 is inserted into the hole 11 and the body portion 10 and the base 20 are coupled, the protrusion 21 is separated in order to separate the body portion 10 and the base 20 again. Should be removed from the hole 11,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protrusion 21 from the hole 11, and if the force is applied to the hole 11 and the protrusion 21 will be damag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이와 같이, 홀(11)과 돌기(21)가 손상되면, 바디부(10)가 베이스(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없으며, 심지어는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As such, when the holes 11 and the protrusions 21 are damaged, the body part 10 cannot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20, and thus the display part cannot be maintained in an upright position.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annot be easily seen, and even causes the problem of replacing the display device itself with another one.

본 출원은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바디부를 베이스에 쉽게 결합/분리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coupled to /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supporting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바디부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시키는 착탈레버;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 body part supporting the display part; A base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nd a detachable leve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ody part to the b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레버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부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레버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을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etachable lever may be provided to detach the body portion to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More preferably, the detachable lever may be provided to close on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one side surface of the base or release the close contact with rotation.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레버는 회전에 따라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을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레버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e is formed with a hole in which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the detachable lever is to close the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o close to one side of the base or release the close contact It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detachable lever is preferably provided rotatab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한편, 상기 착탈레버의 일단에는 소정각도 회전된 경우에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detachable lever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body portion so th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se when the predetermined angle is rotated. Here,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바디부의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요철이 형성되거나, 상기 가압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pressurized by the pressing portion may have irregularities or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착탈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바디부를 가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detachable lever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or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pressing portion in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body portio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fixing protrusion or fix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or fixing protrusion. It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는 밀착된 경우에 서로 맞물리는 다수개의 홈과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nd protrusions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one side of the base.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바디부를 베이스에 쉽게 결합/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ody part supporting the display part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easily coupled / detached to the base.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바디부(200), 상기 바디부(200)를 지지하는 베이스(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0 on which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a body unit 200 supporting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body unit ( And a base 300 supporting 200.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LCD 또는 PDP 모니터의 디스플레이부이거 나, LCD 또는 PDP TV의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CD 또는 PDP 모니터, LCD 또는 PDP TV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display unit 110 may be a display unit of an LCD or a PDP monitor or a display unit of an LCD or a PDP TV.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oncept including an LCD or a PDP monitor, an LCD or a PDP TV.

상기 바디부(200)와 베이스(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정보를 편안한 자세로 볼 수 있어서, 편리하다. The body part 200 and the base 300 are provided to maintain the display unit 110 in an upright position. In this way,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maintained in an upright position, the user may display the display unit 110. ) Can be seen in a comfortable posture,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수직으로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바디부(200)가 수직 상태로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In detail, the body 200 supports the display 110 vertically, and the base 300 supports the body 200 to be stably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200)는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소정각도 회전시키거나 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200)와 디스플레이부(110)의 연결부에는 소정의 힌지장치(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ody portion 200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user to rotate the display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or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a selection. To this end, as shown in FIG. 2, a predetermined hinge device 12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dy 200 and the display 11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상하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된 영상정보가 보기에 편안한 각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adjust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isplay 110 to be displayed at a comfortable angle while rotating the display 110 up and down a predetermined ang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상기 바디부(200)에 지지되면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장치(120)가 개시되지만,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 록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hinge device 120 for rotating the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display 110 is supported by the body 200 is disclo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provide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may be provided to be sli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바디부(200)가 베이스(3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포장시에 상기 바디부(200)를 상기 베이스(300)로부터 분리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편리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body 200 is detachable from the base 300. Then, the user may reduce the volume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by separating the body 200 from the base 300 at the time of packaging, which is convenient.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부(200)가 베이스(300)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ody 200 to be detachable to the bas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사시도로서, 바디부(200)가 베이스(3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iewed from the bottom up,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200 is coupled to the base 300.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바디부(200)를 베이스(300)에 착탈시키는 착탈레버(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lever 40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ody 200 to the base 30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착탈레버(400)를 조작하여 상기 바디부(200)를 상기 베이스(300)에 쉽게 결합시키거나, 상기 베이스(30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ouple the body part 200 to the base 300 by operating the detachable lever 400, o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300, it is conveni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레버(400)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를 상기 베이스(300)에 착탈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착탈레버(400)는 소정각도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부(200)가 상기 베이스(300)에 결합되도록 하며, 반대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부(200)가 상기 베이스(30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etachable lever 400 may be provided to detach the body 200 to the base 30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hat is, when the detachable lever 40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body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base 300, and when the reverse rotation is performed, the body portion 200 is separated from the base 300. It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예를 들면, 상기 착탈레버(400)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3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300)에 안착된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착탈레버(400)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300)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one side of the detachable lever 400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base 300, and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to fix one side of the body part 200 seated on the base 300. have. Of course, one side of the detachable lever 40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to the base 300,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to fix one side of the base 300.

여기서, 상기 착탈레버(400)의 타측이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구조는 상기 착탈레버(4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홈(미도시)과, 상기 바디부(200) 일측에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lever 400 fixes one side of the body part 200 includes a fixing groove (not shown)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lever 400 and one side of the body part 200. It may be made by a fixing protrusion (not show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

이와 같이, 상기 착탈레버(400)가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를 상기 베이스(300)에 착탈시키도록 구비되면, 사용자는 상기 착탈레버(400)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바디부(200)를 상기 베이스(300)에 쉽게 결합/분리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다. As such, when the detachable lever 400 is provided to detach the body 200 from the base 300 according to rotation, the user may rotate the detachable lever 400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detachable lever 400. 200 can be easily coupled / detached to the base 300, which is convenient.

더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착탈레버(400)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을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3, the detachable lever 400 closely contacts one side 210 of the body 200 to one side 310 of the base 300 according to rotation. It may be provided to release the contact.

즉, 상기 착탈레버(400)는 소정각도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을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시킴으로써 바디부(200)를 베이스(300)에 결합시키며, 반대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과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의 밀착을 해제시킴으로써 바디부(200)를 베이 스(300)로부터 분리시킨다. That is, when the detachable lever 40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body part 200 is attached to the base part 200 by closely contacting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art 200 to on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300 to the base unit 300 by releasing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one sid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and the one side 310 of the base 300 when the rotation is reversed ).

이와 같이, 상기 착탈레버(400)가 소정각도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을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시키도록 구비되면, 바디부(200)는 베이스(3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에 의해 수직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110)는 안정하게 세워진 채로 유지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detachable lever 40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side part 210 of the body part 200 is provided to closely contact th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20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00, and thus the display unit 110 vertically supported by the body 200 may be stably maintained.

한편, 상기 바디부(200)가 베이스(3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과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이 밀착되는 면적을 넓게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body portion 200 to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00, the area where one sid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and one side 310 of the base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Need to be widened.

이를 위해,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300)에는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삽입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레버(400)는 회전에 따라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을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the base 300 has a hole (not shown) into which one side 210 of the body part 200 is inserted, and the detachable lever 400 is rotated.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inserted into the hole may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그러면,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과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이 밀착되는 면적은 상기 홀에 삽입되는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의 길이만큼 넓어질 수 있어서, 바디부(200)는 베이스(3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n, the area in which the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and the on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ngth of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hole. As wide as, the body portion 20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00.

이때,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은 다른 부위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베이스(300)에 형성된 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과 밀착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함이다.At this time,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is preferably provided longer than the other portion.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base 300, and at the same time to expand the area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또한,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착탈레버(400)는 상기 베이스(300)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착탈레버(400)는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시키도록 구비시키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removable lever 400 is preferably provided rotatab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300. Then, the detachable lever 400 may be easily provided so that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inserted into the hole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도 4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착탈레버(400)가 회전에 따라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을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시키는 구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the detachable lever 400 closely contacts one side 210 of the body 200 to one side 310 of the base 300 according to the rot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착탈레버(400)의 일단에는 소정각도 회전된 경우에 상기 바디부(200)의 소정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420)가 구비된다. 3 and 4, one end of the detachable lever 40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unit 420 for press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200 when a predetermined angle is rotated.

따라서, 상기 착탈레버(400)가 소정각도 회전되면 상기 가압부(420)가 상기 바디부(200)를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detachable lever 40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ssing part 420 presses the body part 200, and thus,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art 200 is the base 300.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310 of the.

또한, 상기 가압부(420)는 상기 착탈레버(4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바디부(200)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구비되는데, 이 경우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은 베이스(300)의 일측면(310)과의 밀착이 해제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420 is provided to release the pressing of the body portion 200 when the detachable lever 40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is case one sid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side 310 of the base 300.

즉, 상기 가압부(420)는 상기 착탈레버(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의 소정부위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sing unit 420 may be provided to press or release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etachable lever 400.

도 4에는 상기 가압부(420)에 대한 일형태로서, 상기 가압부(420)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420)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가압부(420)는 상기 착탈레버(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의 소정부위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시킬 수 있다. In FIG. 4,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sing unit 420, the pressing unit 420 is formed in a convex shape. As such, when the pressing portion 420 is formed in a convex shape, the pressing portion 420 presses or release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tachable lever 400. You can.

또한, 상기 가압부(420)의 소정위치에는 오목함과 볼록함이 교대로 다수회 형성되는 요철(421)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가압부(421)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바디부(200)의 소정부위에 요철(211)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20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421 is formed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alternately, or of the body portion 200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421 Unevenness 21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그러면, 상기 요철(211,421)에 의해 상기 가압부(420)와 바디부(200)가 접촉되는 부위는 마찰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가압부(42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는 쉽게 분리될 수 없어서, 보다 견고하게 상기 베이스(300)에 결합될 수 있다. Then, since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in the portion where the pressing portion 420 and the body portion 200 contact by the unevenness 211 and 421, the body portion 200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420. Since it cannot be easily separated, it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00.

상기 가압부(420)와 상기 바디부(200) 모두에 상기 요철(421,211)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요철(211,421)은 상기 바디부(200)가 베이스(30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unevenness 421 and 211 may be formed in both the pressing part 420 and the body part 200. In this case, the unevenness 211 and 421 may prevent the body part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300. It is preferably formed to engag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예를 들면,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요철(211,421)은 오목함과 볼록함이 형성되는 방향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디부(200)는 베이스(300)에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바디부(200)가 베이스(30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요철(211,421)이 가로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되면 상기 바디부(200)는 베이스(30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없고,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3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concave and convexities 211 and 421 may b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 whic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re formed. In general, since the body 200 is coupled to the base 300 in a standing state, the body 200 should be separat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300. Thus, the unevenness 211 and 421 may be separated. When the body portion 200 is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ody portion 200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300, and thus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00.

또한, 상기 가압부(420)와 상기 바디부(200) 사이에는 고무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가압부(420)는 상기 고무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바디부(200)를 더욱 가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과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은 더욱 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ubber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art 420 and the body part 200. Then, the pressing portion 420 may further press the body portion 200 by the rubber member (not shown), and thus the one side surface 210 and the base 300 of the body portion 200. One side 310 of may be more in close contact.

한편, 상기 베이스(300)의 하부에는 상기 착탈레버(400)가 안착되는 안착홈(330)과, 상기 착탈레버(400)가 상기 안착홈(330)에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홀(340)이 구비되고, 상기 착탈레버(40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힌지홀(340)에 삽입되어 상기 착탈레버(4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힌지돌기(43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300, the seating groove 330 to which the detachable lever 400 is seated, and the hinge hole 340 to which the detachable lever 40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330 and rotatable. ) Is provided, and a hinge protrusion 430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340 to guide rotation of the detachable lever 40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etachable lever 400.

그리고, 상기 안착홈(330)의 일측에는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삽입되는 홀(32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상기 홀(32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 내부에는 홈(23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의 반대면에는 착탈레버(400)의 소정부위가 안착되는 홈(22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330 may be provided with a hole 320 into which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art 200 is inserted. Meanwhile, a groove 2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0 so that one sid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may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e 3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210 of the 20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220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tachable lever 400 is seated.

따라서, 상기 홀(320)에 삽입된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은 상기 안착홈(330)에 안착된 착탈레버(400)가 소정각도 회전되면, 상기 가압부(420)에 의해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될 수 있다.Therefore,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inserted into the hole 3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detachable lever 400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330, by the pressing unit 420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310 of the base 300.

이때, 상기 착탈레버(400)는 상기 가압부(420)가 상기 바디부(200)의 소정부위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In this case, the detachable lever 400 needs to be fixed while the pressing unit 420 maintains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200 is pressed.

이를 위해, 상기 착탈레버(400)의 타단에는 상기 가압부(420)가 상기 바디 부(200)를 가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44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30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고정홈(440)에 대응하는 고정돌기(350)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착탈레버(400)의 타단에는 고정돌기가, 베이스(300)에는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other end of the detachable lever 400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440 for fixing the pressing portion 420 in a pressurized state of the body portion 200,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300 The fixing protrusion 350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440 may be provided. Of course, the other end of the detachable lever 400, the fixing projections, the base 30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따라서, 상기 착탈레버(400)는 소정각도 회전되어 가압부(420)가 상기 바디부(200)의 소정부위를 가압한 채로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은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바디부(200)는 베이스(3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tachable lever 400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pressing unit 420 may be fixed while press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0, and thus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may be fixed. )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310 of the base 300, the body portion 20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00).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바디부(200)가 베이스(3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과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는 밀착된 경우에 서로 맞물리는 다수개의 홈(미도시)과 돌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과 돌기가 형성되는 방향은 상기 요철(211,421)과 마찬가지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S. 3 and 4, in order to more firmly couple the body portion 200 to the base 300, one side surface 210 and the base 300 of the body portion 200 are provided. One side surface of the 3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not shown) and protrusions (not shown)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neven (211,421), preferably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과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이 서로 밀착된 경우에, 상기 홈과 돌기가 서로 가로방향으로 맞물리면, 상기 바디부(200)는 베이스(30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없고,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3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one side surfac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and the on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ody portion 200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300, and thus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00.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바디부(200)가 베이스(300)에 결합/분리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body part 200 is coupled to / detached from the base 300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 및 도 6은 도 2의 A-A' 단면도로서, 도 5는 바디부의 일측이 베이스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착탈레버가 소정각도 회전되어 바디부가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 of FIG. 2,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base, and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leve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ody is coupled to the base. Drawing.

먼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디부(200)를 베이스(30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을 베이스(300)에 형성된 홀(320)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바디부(200)는 착탈레버(40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5, the user inserts one side 210 of the body part 200 into the hole 320 formed in the base 300 to couple the body part 200 to the base 300. Let's do it.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200 is not pressed by the detachable lever 400.

한편,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상기 홀(32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 내부에는 홈(230)이 구비되는데, 상기 베이스(300)에는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상기 홀(320)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홈(230)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200)를 지지하는 돌출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groove 230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0 so that one sid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e 320, the base 300 When one side 210 of the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hole 320, a protrusion 360 inserted into the groove 230 to support the body 200 may be provided. .

다음으로,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착탈레버(400)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착탈레버(400)의 가압부(420)가 바디부(200)의 소정부위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을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시킨다. Next, as shown in FIG. 6, the user rotates the detachable lever 400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420 of the detachable lever 400 presse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0. One side surface 210 of the part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그리고, 사용자는 바디부(200)의 일측면(210)이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레버(400)의 고정홈(440)을 베이스(300)의 고정돌기(350)에 끼움으로써, 상기 착탈레버(400)를 고정시킨다. And, the user is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210 of the body portion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310 of the base 300, the fixing groove 440 of the detachable lever 400 of the base 300 By fitting to the fixing protrusion 350, the detachable lever 400 is fixed.

따라서,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착탈레버(400)에 의해 베이스(3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the body part 20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00 by the detachable lever 400.

한편, 반대로 사용자가 바디부(200)를 베이스(3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정홈(400)과 고정돌기(350)를 분리시키고, 착탈레버(400)를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바디부(200)의 일측면(210)과 베이스(300)의 일측면(310)의 밀착을 해제시키면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user to separate the body portion 200 from the base 300, the fixing groove 400 and the fixing protrusion 350 are separated, and the detachable lever 400 is rotated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portion ( The adhesion between one side surface 210 of the 200 and one side surface 310 of the base 300 may be rel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탈레버(400)를 회전시킴으로써, 쉽게 바디부(200)를 베이스(300)에 결합/분리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may easily couple / disconnect the body 200 to the base 300 by rotating the detachable lever 400.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바디부와 베이스가 결합/분리되는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and the base is coupled / separated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은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viewed from the bottom 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4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5는 바디부의 일측이 베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도 2의 A-A'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with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base;

도 6은 착탈레버가 소정각도 회전되어 바디부가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2의 A-A'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in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leve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bas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unit

200 : 바디부 300 : 베이스200: body 300: base

400 : 착탈레버400: detachable lever

Claims (11)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A body part supporting the display part;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A base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nd 상기 바디부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시키는 착탈레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detachable leve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ody part to the b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탈레버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부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detachable lever is provided to detach the body part from the base according to rotatio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착탈레버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을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detachable lever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on or to release the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The base is formed with a hole in which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상기 착탈레버는 회전에 따라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을 상 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을 해제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detachable lever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e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side of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r releas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착탈레버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etachable lever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제 3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o 5, 상기 착탈레버의 일단에는 소정각도 회전된 경우에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ne end of the detachable lever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body portion so th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se when the predetermined angle is rotat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압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pressing portion has a convex shap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바디부의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irregularities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압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rubb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착탈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바디부를 가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other end of the detachable lever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or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pressing portion in a state of pressing the body portio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or fix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or fixing protrus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는 밀착된 경우에 서로 맞물리는 다수개의 홈과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n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one side surface of the bas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and protrusion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KR1020080008442A 2008-01-28 2008-01-28 Display Apparatus KR200900825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442A KR20090082591A (en) 2008-01-28 2008-01-28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442A KR20090082591A (en) 2008-01-28 2008-01-28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591A true KR20090082591A (en) 2009-07-31

Family

ID=4129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442A KR20090082591A (en) 2008-01-28 2008-01-28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259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02989A (en) Thin display
CN100381028C (en) Display apparatus
CN100440103C (en) Monitor
TWI233068B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assembling/disassembling method of display part
EP1785661B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EP1757855A2 (en) Display apparatus
KR101169278B1 (en) Monitor device
TWI489871B (en) Support structure assembled by insrting and pulling
JP2009522040A (en) Flat image display shelf
US20120091298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KR20090082591A (en) Display Apparatus
KR101202322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KR20040039639A (en) Stand structure of display set
KR100658837B1 (en) A supporting apparatus for a display monitor
CN217583979U (en) Support and display
KR200231316Y1 (en) Stand for LCD monitor
CN214889865U (en) Display device
KR20090076243A (en) Display device
KR200479153Y1 (en) Structure for mounting monitor, monitor and pos terminal thereof
KR20080014337A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KR200474707Y1 (en) A holder of electronic equipment
KR20100010528U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CN211371758U (en) Rotating bracket and camera
KR200346081Y1 (en) Display
KR10126343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