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654A - Fishing rod - Google Patents

Fishing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654A
KR20090079654A KR1020080005787A KR20080005787A KR20090079654A KR 20090079654 A KR20090079654 A KR 20090079654A KR 1020080005787 A KR1020080005787 A KR 1020080005787A KR 20080005787 A KR20080005787 A KR 20080005787A KR 20090079654 A KR20090079654 A KR 2009007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rame
fishing rod
ligh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58411B1 (en
Inventor
정성모
Original Assignee
정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모 filed Critical 정성모
Priority to KR102008000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411B1/en
Publication of KR2009007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A fishing rod is provided to use a luminous body to be facilitated easily in a fishing place and to fix it without a separate device. A fishing rod comprises a rod which is provided with a handle part at the one terminal; a connection frame(50) which is combined to the handle part; and a light emitting frame(32)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by an elastic member(54)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has a luminous body(40) installed inside so as to be attached or detached, and expo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uminous body to the outside.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Fishing ro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낚시를 할 때에도 손잡이의 위치 파악과 고정이 용이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shing rod that is easy to grasp and fix the handle even when fishing at night.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싯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싯대의 손잡이부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andle of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단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낚싯대(1)의 후방에는 손잡이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낚싯대(1)는 민물 낚싯대, 바다 낚싯대 등의 모든 낚싯대에 적용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handle portion 3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ishing rod 1 coupled to be pulled out in multiple stages. The fishing rod 1 is applied to all fishing rods, such as freshwater fishing rods, sea fishing rods, preferably made of carbon black, such as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3)의 내부에는 발광체(4)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체(4)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 한 쌍의 배터리수용부재(6,6')와, 배터리수용부재(6,6')의 내측에 수용된 복수 개의 배터리(8,8'), 그리고 상기 배터리(8,8')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조명전구(1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light emitting body 4 is installed inside the handle part 3. The light emitter 4 includes a pair of battery receiving members 6 and 6 'that are detachably screwed together, a plurality of batteries 8 and 8' housed inside the battery receiving members 6 and 6 ', And lighting lamps 11 and 11 'operated by a power applied from the batteries 8 and 8'.

상기 배터리수용부재(6,6')의 일측에는 상기 조명전구(11,11')를 고정함과 아울러 배터리(8,8')를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캡(13,13')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수용부재(6,6')의 외측에는 상기 조명전구(11,11')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스위치(15,15')가 설치된다. On one side of the battery receiving member (6, 6 ') is fixed to the light bulb (11, 11') and the inner cap (13, 13 ') to draw out or insert the battery (8, 8') Screwed in. Further, switches 15 and 15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members 6 and 6' to selectively light the lighting bulbs 11 and 11 '.

상기 스위치(15,15')에 인접한 상기 배터리수용부재(6,6')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터리수용부재(6,6')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돌기(1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7)는 상기 손잡이부(3)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상기 배터리수용부재(6,6')는 전방 및 후방을 조명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이나 후방 일측만을 선택적으로 조명하도록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receiving members 6 and 6 'adjacent to the switches 15 and 15',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7 are formed to protrude to prevent the battery receiving members 6 and 6 'from flowing. do. The support protrusion 17 is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3). The battery accommodating members 6 and 6 'may illuminate the front and the rea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battery accommodating members 6 and 6' may be installed to selectively illuminate only one side of the front or rear side.

한편, 상기 손잡이부(3)의 후단에는 외부캡(21)이 패킹(23)을 개재하여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외부캡(21)에는 후방으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투명판(25)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외부캡(21)의 선단 외주면에는 돌기부(2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3 is detachably screwed through the packing 23 through the outer cap (23). A transparent plate 25 is attached to the outer cap 21 so as to illuminate backward, and a protrusion 27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outer cap 21.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은 야간에 낚싯대(1)를 거치한 상태에서 스위치(15)를 조작하여 조명전구(11,11')를 작동시킨다. 상기 낚싯대(1)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여 설치된 조명전구(11,11')는 외부로 빛을 발산하여 조명이 이루어진다.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operates the light bulbs 11 and 11 'by manipulating the switch 15 while the fishing rod 1 is mounted at night. The lighting bulbs 11 and 11 ′ installed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fishing rod 1 emit light to the outside and are illuminat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싯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야간 낚시중에 낚싯대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8,8')와 조명전구(11,11')를 사용하는데, 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in the prior art, the batteries 8 and 8 'and the light bulbs 11 and 11' are used to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fishing rod during night fishing, which i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increases in manufacturing cost. There is this.

또한, 낚시터는 외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8,8')와 조명전구(11,11')의 수명이 다할 경우, 교체물품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shing ground is located outside, when the batteries 8, 8 'and the light bulbs 11, 11' end of lif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replacement article.

그리고, 낚시용품 중에 물고기에 의해 상기 낚싯대(1)가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도시되지 않음)를 별도로 장착해야 한다. 스토퍼는 상기 낚싯대(1)를 거치시키는 거치대(도시되지 않음)에 걸려 낚싯대의 분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사용자는 이를 개별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낚싯대(1)를 분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fishing rod 1 from being dragged by the fish in the fishing article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The stopper is hooked to a cradle (not shown) for mounting the fishing rod 1 to prevent the loss of the fishing rod, the user has a hassle to prepare them individually, if the fishing rod (1)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los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야간 낚시중에도 손잡이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rod that can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handle even during night fishing wit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시터에서 조달이 용이한 발광체가 사용되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rod using a light emitting body that is easy to procure in a fishing fiel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장치 없이 고정이 가능한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rod that can be fixed without a separate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로드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발광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d having a handle portion at one end; A connection frame coupled to the handle part;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by an elastic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e light emitting body is detachably installed therein, and comprises a light emitting frame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발광프레임에는 상기 발광체가 결합되는 마개부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발광프레임 또는 상기 마개부에 연결된다.The light emitting frame may be detachably provided with a stopper to which the light emitter is coupled, and the elastic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frame or the stopper.

상기 발광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발광프레임의 결합정도를 규제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frame is formed a projection for regulating the coupling degree of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light emitting frame.

상기 발광체는 투명 플라스틱 막대의 내부에 발광물질을 함유하는 케미컬라이트가 사용된다.The light emitter is a chemical light containing a light emitting material inside the transparent plastic rod.

상기 탄성부재는 태엽스프링이다.The elastic member is a spring.

상기 태엽스프링에 인접한 연결프레임의 내부에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태엽스프링이 관통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다.A fixing plate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rame adjacent to the spring, and the fixing plate is formed with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spring is passed.

상기 발광프레임은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light emitting frame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상기 발광프레임에는 상기 발광체가 설치되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발광창이 형성된다.The light emitting frame is formed with a light emitting window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body is installed.

본 발명에 의하면 빛을 발산하는 소형의 발광체가 발광유니트에 간단하게 장착되어, 야간 식별장비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제품의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light-emitting body that emits light is simply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thereby performing a function of nighttime identification equipment,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낚시터에서 구하기 쉬운 발광체를 발광유니트에 사용하므로, 소모품인 발광체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도 발광체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하다. 즉, 상기 발광체를 계속적으로 교체하여 발광유니트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which is easy to obtain from the fishing field is us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easily obtained even when the life of the light emitting unit which is a consumable product is easy, and the replacement is easy.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continuously replacing the light emitte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발광유니트를 구성하는 발광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탄성부재에 의해 거치대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스토퍼와 같은 낚시용품을 개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물고기의 저항에 의해 낚싯대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frame and the connecting frame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fixed to the holder by the elastic member,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epare fishing supplies such as stoppers, and the fishing rod can be lost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fish. There is no worry.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싯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싯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발광유니트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가 거치대에 설치되는 과정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낚싯대가 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emitting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by which the rod is installed on the cradle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and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shing rod of FIG. 6 is fixed to the cradl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낚싯대(20)는 다단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안테나식 로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드(22)는 일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단계적으로 인출가능하다. 상기 로드(22)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ishing rod 20 comprises a plurality of antenna rods 22 that are coupled to be pulled out in multiple stages. The rod 22 is formed to be thinner toward one side to be withdrawn in stages. The rod 22 is preferably made of carbon black or the lik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상기 로드(22)의 후단에는 손잡이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24)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4)의 표면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플라스틱이나 철재 등의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rear end of the rod 22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24. The handle portion 24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 to facilitate the grip of the user. The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2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but in addition,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or steel may be used.

상기 손잡이부(24)에는 결합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4')이 형성된 손잡이부(24)의 내부에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반복된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숫나사부(52)가 결합된다. The handle portion 24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4 ′. The inside of the handle portion 24 in which the coupling hole 24 'is formed is a female thread portion in which threads and screw bones are repeated. The male hole 52 to be described below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4 '.

한편, 상기 손잡이부(24)의 후단에는 발광유니트(30)가 결합된다. 상기 발광 유니트(30)에는 각종 구성이 설치되기 위한 내부공간(30')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유니트(3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프레임(32)과 연결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unit 3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24. The light emitting unit 30 is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30 ′ for installing various components. As illustrated in FIG. 4, the light emitting unit 30 includes a light emitting frame 32 and a connecting frame 50.

상기 발광프레임(32)은 대략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발광프레임(32) 후단의 외경은 연결프레임(50)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프레임(32)의 일부가 연결프레임(50)의 내부에 삽입된다.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frame 50 so that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frame 50.

상기 발광프레임(32)에는 다수개의 발광창(32')이 상기 내부공간(30')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발광창(32')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광체(40)의 빛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프레임(32)은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과 발광창(32')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windows 32 'are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frame 3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30'. The light emitting window 32 ′ serves to expos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er 40 to be described below to the outside. The light emitting frame 3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In this case, the image and the light emitting window 32 ′ may not be formed.

그리고, 상기 발광프레임(32)에는 돌출부(34)가 상기 발광프레임(32)의 외주면을 둘러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4)는 상기 발광프레임(32)의 일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다. 상기 돌출부(34)는 상기 발광프레임(32)이 상기 연결프레임(50)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formed such that the protrusion 34 protrude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e protrusion 34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e protrusion 34 regulates the degree to which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frame 5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프레임(32)이 상기 연결프레임(50)에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50)이 상기 발광프레임(32)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발광프레임(32)과 상기 연결프레임(5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는 상태이면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발광프레임(32)과 연결프레임(5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는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될 거치대(60)에 상기 낚싯대(20)를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described as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frame 50, bu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e connection frame 50 is inserted into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conditions In general, the light emitting frame 32 and the connection frame 50 will be said to be in a stat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he reason why the light emitting frame 32 and the connecting frame 50 are detachably coupled is to fix the fishing rod 20 to the holder 6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발광프레임(32)의 후단에는 상기 내부공간(30')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마개부(36)가 구비된다. 상기 마개부(36)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프레임(3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rear end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provided with a stopper 36 for shielding the internal space (30 ') from the outside. The stopper 36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frame 32, as shown in FIG.

상기 마개부(36)가 상기 발광프레임(3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은 발광체(4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마개부(36)가 상기 발광프레임(32)과 반드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설계조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부(38)에 발광체(40)의 설치가 용이한 경우에는 상기 마개부(36)가 상기 발광프레임(32)의 내부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Since the stopper 36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light emitter 40, the stopper 36 is necessarily detachable from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t does not have to be combined. That is, when the light emitting body 40 is easily installed in the coupling portion 38 to be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the stopper portion 36 may be fixed inside the light emitting frame 32.

상기 발광프레임(32)의 내측을 향하는 마개부(36)의 일면에는 결합부(3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8)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8)에는 발광체(40)가 결합되는 삽입공(38')이 형성된다. The coupling part 38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topper part 36 facing the inside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e coupling portion 38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The coupling part 38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38 ′ to which the light emitter 40 is coupled.

상기 발광체(40)는 소지가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한 소형물품이다. 상기 발광체(40)는 빛을 발산하여 야간에도 상기 손잡이부(24)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The light emitter 40 is a small article that is easy to carry and easy to install. The light emitter 40 emits ligh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part 24 can be determined even at night.

즉, 상기 발광체(40)는 야간 식별장비로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투명 플라스틱 막대의 내부에 발광물질을 함유하는 케미컬라이트(chemical light)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That is, the light emitter 40 is used as a nighttime identification device, and generally, chemical light containing a light emitting material inside the transparent plastic rod is most used.

상기 발광체(40)의 원리를 케미컬라이트를 예로 들어 간략하게 설명한다. The principle of the light-emitting body 40 will be briefly described taking chemical light as an example.

케미컬라이트는 겉으로 보이는 외피 속에 모세유리관이 들어 있다. 모세유리관 속에 들어가는 화학물질은 D.M.P, 부탄올, 과산화수소 등이고, 이들은 발광을 촉진하는 활성화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여 액티베이터(Activator)라고도 한다. 또한 외피 속에는 D.B.P, 옥살리클로라이드, 염료 등의 화학물질이 들어 있고 이를 옥살레이트(Oxalate)라고 한다.Chemicalite contains a capillary tube inside the apparent envelope. Chemicals that go into the capillary tube are D.M.P, butanol, and hydrogen peroxide. They are also called activators because they play an activating role in promoting luminescence. In addition, the outer shell contains chemicals such as D.B.P, oxalichloride, and dyes, which are called oxalates.

케미컬라이트를 손에 쥐고 꺽으면 내부 모세유리관이 파열되고 그 속의 화학물질들이 밖으로 나와 외피 속의 옥살레이트와 혼합돼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이때 형광이 발생하게 되여 밝은 빛을 띄게 되는 것이다.If you hold the chemical light in your hand, the inner capillary tube ruptures, and the chemicals inside it come out and mix with the oxalate in the skin, causing a chemical reaction.

케미컬라이트는 염료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색깔을 띠게 할 수 있으며, 통상 옐로그린(yellowgreen)의 가시성이 가장 좋아 밤낚시용 제품에는 옐로그린의 색깔을 많이 띠고 있다.Chemical light can have a variety of colors through the change of dye, and yellowgreen is usually the best visibility for the night fishing products have a lot of yellow color.

이와 같이 빛을 발하는 발광체(40)는 찌(도시되지 않음)의 상부나 낚시대의 초리대(도시되지 않음) 끝에 고정시켜 야간에 물고기의 입질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야광찌로서 사용한다. 상기 발광체(40)는 거의 모든 야간 낚시꾼들이 다량으로 소지하고 있어 쉽게 구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er 40 emitting light is fixed to the top of the bobbin (not shown) or the tip of a fishing rod (not shown) and used as a luminous bob to easily grasp the quality of the fish at night. The light emitter 40 can be easily obtained because almost all night anglers are possessed in large quantities.

그리고, 상기 결합부(38)의 중앙에는 고정구(4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42)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54)의 일단을 상기 결합부(38)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 fastener 4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38. The fixture 42 serves to fix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4 to be described below to the coupling portion 38.

한편, 상기 발광프레임(32)에는 연결프레임(5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연결프레임(50)과 상기 발광프레임(32)은 서로 결합 되기 위해 상호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데, 예를 들어, 상기 연결프레임(50)은 상기 발광프레임(32)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frame 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e connecting frame 50 and the light emitting frame 32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nnecting frame 50 is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Has an inner diameter

상기 연결프레임(50)의 일단에는 상기 손잡이부(24)의 결합공(24')에 삽입되는 숫나사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숫나사부(52)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프레임(50)을 상기 손잡이부(24)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One end of the connecting frame 50 is formed with a male screw portion 52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4 'of the handle portion 24. The male screw portion 52 is formed by repeating the thread and the screw bone serves to couple the connecting frame 50 to the handle portion 24.

상기 연결프레임(5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54)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54)의 일단은 상기 연결프레임(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부(36)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발광프레임(32) 및 마개부(36)가 상기 연결프레임(5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발광프레임(32), 마개부(36) 및 연결프레임(50)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An elastic member 54 is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on frame 50.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4 is fixed to the connection frame 5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topper 36. The elastic member 54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frame 32 and the stopper 36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 50.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54 serves to maintain the bonding force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e stopper 36 and the connecting frame 5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마개부(36)에 연결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탄성부재(54)가 발광프레임(32)에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발광프레임(32)이 상기 연결프레임(50)에 결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마개부(36)는 상기 발광프레임(32)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상기 마개부(36)를 상기 발광프레임(3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발광체(4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마개부(36)와 상기 발광프레임(32)의 대응되는 부분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암나사부와 숫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54 is connected to the stopper 36, bu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e elastic member 54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54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 50, the stopper 36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at is, since the plug portion 36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e coupling of the light emitter 40 is facilitated. In this case, a female screw portion and a male screw portion for screwing may be formed at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stopper 36 and the light emitting frame 32.

상기 탄성부재(54)는 힘을 저장하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태엽스프링(일명 스파이럴스프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탄성부재(54)로 인해 상기 발광프레임(32)이 상기 연결프레임(5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 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마개부(36) 역시 상기 발광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The elastic member 54 may be used a variety of members for storing the force,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aking a spring spring (aka spiral spring) as an example.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frame 50 due to the elastic member 54, and the stopper portion 36 is also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frame 32. will be.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4)에 인접한 상기 연결프레임(50)의 내부에는 고정판(56)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56)의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54)가 관통하는 가이드공(5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56')은 상기 탄성부재(54)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In addition, a fixing plate 56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rame 50 adjacent to the elastic member 54. A guide hole 56 ′ through which the elastic member 54 penetrate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56. The guide hole 56 ′ guid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54.

한편, 도 6에는 낚싯대(20)를 거치시키는 거치대(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60)는 낚싯대(20)의 손잡이부(24)를 거치시키는 안착부(62)와 스토퍼라 불리는 고정구가 걸리는 걸림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 cradle 60 for mounting the fishing rod 20. The cradle 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ing portion 62 for mounting the handle portion 24 of the fishing rod 20 and a catching portion 64 to which a fixture called a stopper is caught.

상기 안착부(62)에는 상기 손잡이부(24)가 거치된다. 상기 걸림부(64)는 상기 안착부(62)의 하방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4)는 낚싯대(20)가 물고기에 의해 물속으로 끌려가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부(24)에 별도로 설치되는 스토퍼가 걸리는 곳이다. The handle part 24 is mounted to the seating part 62. The locking portion 64 is formed below the seating portion 62. The catching portion 64 is a place where the stopper is separately installed on the handle portion 24 so that the fishing rod 20 is not drawn into the water by the fish.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싯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상기 손잡이부(24)의 결합공(24')에 상기 발광유니트(3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마개부(36)는 상기 탄성부재(54)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발광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First, the light emitting unit 30 is fixed to the coupling hole 24 ′ of the handle part 24. At this time, the stopper 36 is detachable from the light emitting frame 32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54.

사용자가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상기 마개부(36)를 상기 발광프레임(32)으로부터 인출하면, 상기 결합부(38)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사 용자는 발광체(40)를 상기 결합부(38)의 삽입공(38')에 삽입한다. 상기 결합부(38)는 탄성변형이 일어나며 상기 발광체(40)를 고정하게 된다. When the user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4 and withdraws the plug portion 36 from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e coupling portion 38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user inserts the light emitter 40 into the insertion hole 38 ′ of the coupling portion 38. The coupling portion 38 is elastic deformation occurs to fix the light emitting body 40.

상기 발광체(40)를 상기 결합부(38)의 삽입공(38')에 고정하기 전에 상기 발광체(40)를 손으로 꺾어 흔들게 되면, 투명 플라스틱 막대의 내부에서 발광물질이 빛을 발산한다. When the light emitter 40 is shaken by hand before the light emitter 40 is fixed to the insertion hole 38 ′ of the coupling part 38, the light emitting material emits light inside the transparent plastic rod.

그리고, 상기 마개부(36)를 상기 발광프레임(32)의 내부에 위치시키면, 상기 발광체(40)의 빛이 상기 발광프레임(32)의 발광창(32')을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When the stopper 36 is positioned inside the light emitting frame 32, the light of the light emitter 40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emitting window 32 ′ of the light emitting frame 32.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소형의 발광체(40)를 발광유니트(30)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야간낚시중에도 상기 발광체(40)의 빛으로 손잡이부(24)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물고기의 입질이 오면 재빠르게 상기 손잡이부(24)를 확인하여 챔질을 할 수 있다. As such, the user can easily install the small light emitter 40 in the light emitting unit 3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24 can be easily grasped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er 40 during the night fishing. Therefore, when the mouth of the fish comes to check the handle portion 24 can be quickly chamfered.

그리고, 상기 발광체(40)는 대부분의 낚시꾼들이 사용하는 케미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광체(40)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도 낚시터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하다. 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er 40 may use a chemite that is used by most anglers, even when the life of the light emitter 40 expires, the light emitter 40 may be easily obtained and easily replaced.

한편, 상기 발광유니트(30)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거치대(60)에 스토퍼 없이도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프레임(32)을 상기 연결프레임(50)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발광프레임(32)과 연결프레임(50)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54)가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unit 30 can be fixed to the cradle 60 that is generally distributed without a stopper. That is, when the light emitting frame 32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frame 50, the elastic member 54 is ex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frame 32 and the connecting frame 50. This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 6.

상기 탄성부재(54)가 상기 거치대(60)의 안착부(62)를 지나 상기 걸림부(64)에 위치하면,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프레임(32)과 연결프레임(50) 이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상기 거치대(60)에 고정된다. When the elastic member 54 is positioned on the engaging portion 64 past the seating portion 62 of the cradle 60, as shown in FIG. 7, the light emitting frame 32 and the connecting frame 50 ) Is fixed to the holder 60 by the elastic member 54.

즉, 낚싯대(20)는 별도의 장비 없이도 상기 거치대(60)에 고정되며, 물고기의 저항이 심할 경우에도 낚싯대가 물속으로 끌려가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4)의 길이가 물고기의 움직임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화가능하므로 낚싯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ishing rod 20 is fixed to the holder 60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even when the resistance of the fish is severe can prevent the fishing rod is dragged into the water and lost.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54 is elastically change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sh, the impact applied to the fishing rod 20 can be alleviat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싯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서 손잡이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portio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싯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발광유니트를 보인 단면도.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light emit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낚싯대가 거치대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shing rod is installed in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낚싯대가 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shing rod of Figure 6 fixed to the cradl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낚싯대 22: 로드20: rod 22: rod

24: 손잡이부 24': 결합공24: handle portion 24 ': coupling hole

30: 발광유니트 32: 발광프레임30: light emitting unit 32: light emitting frame

32': 발광창 34: 돌출부32 ': light emitting window 34: protrusion

36: 마개부 38: 결합부36: stopper 38: coupling

38': 삽입공 40: 발광체38 ': hole 40: illuminant

42: 고정구 50: 연결프레임42: fixture 50: connecting frame

52: 숫나사부 54: 탄성부재52: male part 54: elastic member

56: 고정판 56': 가이드공56: fixing plate 56 ': guide ball

Claims (8)

일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로드와;A rod having a handle part at one end thereof;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 그리고A connection frame coupled to the handle part; And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발광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A fish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by an elastic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e light emitting body is detachably installed therein,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frame to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프레임에는 상기 발광체가 결합되는 마개부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발광프레임 또는 상기 마개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The fishing rod of claim 1, wherein a plug portion to which the light emitter is couple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ight emitting frame, and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frame or the plug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발광프레임의 결합정도를 규제하는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The fishing r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frame to regulate a coupling degree between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light emitting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투명 플라스틱 막대의 내부에 발광물질을 함유하는 케미컬라이트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The fishing r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ight emitter is a chemical light containing a light emitting material inside the transparent plastic r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태엽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The fishing r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spr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스프링에 인접한 연결프레임의 내부에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태엽스프링이 관통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The fishing r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fixing plate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rame adjacent to the spring, and the fixing plate is formed with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spring is pass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프레임은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The fishing r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ight emitting frame is formed of a material which transmits ligh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프레임에는 상기 발광체가 설치되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발광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The fishing rod of claim 6, wherein the light emitting frame is formed with a light emitting window communicating with an inner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body is installed.
KR1020080005787A 2008-01-18 2008-01-18 Fishing rod KR100958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87A KR100958411B1 (en) 2008-01-18 2008-01-18 Fishing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87A KR100958411B1 (en) 2008-01-18 2008-01-18 Fishing r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54A true KR20090079654A (en) 2009-07-22
KR100958411B1 KR100958411B1 (en) 2010-05-19

Family

ID=4129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87A KR100958411B1 (en) 2008-01-18 2008-01-18 Fishing r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4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80U (en) *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강원산업 Under cap of fishing r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777Y1 (en) * 1995-07-06 1998-07-01 윤용근 Insertion structure of light emitting port on lower cover of handlebar
KR100324428B1 (en) 1999-07-01 2002-02-27 윤석근 Apparatus for emitting light of a fishing rod
KR100691733B1 (en) * 2004-10-04 2007-03-12 안종철 Fishing rod with stopper function and rear support used there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80U (en) *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강원산업 Under cap of fishing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411B1 (en)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3171A (en) Fishing crucifix to emit light with color change
KR100958411B1 (en) Fishing rod
KR200479338Y1 (en) Fish gathering lamp
KR101555309B1 (en) Electrical float for fishing
KR200447338Y1 (en) Luminary buoy
KR200488121Y1 (en) A light emitting bar
KR20100004589U (en) Led light emitting device for fishing float
JP2007097461A (en) Light-emitting fishing rod
KR200370810Y1 (en) Float with a emitter
KR20140090581A (en) Device employing light emitting stick
US20080301996A1 (en) Fishing lure and bait illumination attachment
JP3144156U (en) Luminous lure
KR102148501B1 (en) Fishing rod with electroluminescence and buoyancy control function
KR200348742Y1 (en) luminous stuff with fishing rod handle
KR20240075281A (en) Light stick capable of interchange transparent cover
KR200188648Y1 (en) Luminous ball
KR20050102381A (en) Lighting device for fishing rod
KR20140090731A (en) Light emitting stick and device employing the same
KR200323973Y1 (en) Light equipped top guide fishing rod
KR100648302B1 (en) a stick type light emitting apparatus
KR102040886B1 (en) Improved electronic chemical light for fishing
KR200302035Y1 (en) fish rod with a built-in illuminant
KR200246412Y1 (en) carry for radiate from bar
KR20120002552U (en) Electrical froat for fishing
KR100787559B1 (en) Multistage light emitting fishing float and multistage fluorescent fishing 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