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458A -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458A
KR20090079458A KR1020080005430A KR20080005430A KR20090079458A KR 20090079458 A KR20090079458 A KR 20090079458A KR 1020080005430 A KR1020080005430 A KR 1020080005430A KR 20080005430 A KR20080005430 A KR 20080005430A KR 20090079458 A KR20090079458 A KR 20090079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harging
usb
pi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519B1 (ko
Inventor
고재인
문신호
박용태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00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Abstract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USB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를 검출하고 충전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제어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USB 커넥터를 통하여 둘 이상의 배터리 충전 방식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USB 장치인지 아닌지를 검출하여 충전을 위한 전류량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PDA, USB, 어댑터, 배터리, 충전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에 인가되는 신호를 자동 인식하고, 인식된 신호에 의거하여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를 비롯한 무선통신 장치(예컨대, 휴대폰, PDA 등)는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 전용이나 혹은 표준의 충전기가 필요하거나 혹은 DC 어댑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배터리 충전기나 어댑터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방전된 경우에는 충전하기 힘든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배터리 충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여러 배터리 충전 방식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통상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이 커넥터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을 지원한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방식으로 USB 방식이 있 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도 USB 커넥터가 구비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일의 커넥터를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장치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배터리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커넥터에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USB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를 검출하고 충전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제어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는 전원 전압용 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데이터 핀(D+) 핀, 제2 데이터(D-) 핀, 및 접지용 핀을 구비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원 전압의 레벨과 상기 제2 데이터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USB 장치인지를 검출하여 USB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USB 신호 검출부; 및 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원 전압의 레벨에 기초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인에이블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USB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은, USB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 또는 DC 어댑터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커넥터의 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는 전원 전압용 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데이터 핀(D+) 핀, 제2 데이터(D-) 핀, 및 접지용 핀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이면 미리 정해진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출력 전압을 지연하여 지연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출력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 의 제 2 데이터 핀의 신호를 래치하여 USB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USB 커넥터를 통하여 둘 이상의 배터리 충전 방식을 지원한다. 예컨대, USB 장치로부터 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어댑터로부터 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가 지원하는 충전 방식에 따른 커넥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이즈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USB 장치인지 아닌지를 검출하여 충전을 위한 전류량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PDA 장치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제어부(13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0), 커넥터(120), 충전제어부(130) 및 충전부(140)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부(170), 메모리부(180), 디스플레이부(190), 오디오 코덱부(200) 및 데이터/어드레스 버스(210) 등을 더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16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된다
CPU(110)는 전원 전압(Vcc)을 수신하여 동작하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 전압(Vcc)은 주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된 배터리(160)로부터 입력되지만, 백업 배터리(미도시)나 커텍터(120)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어댑터, PC 등)를 통해서 입력될 수도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 전압(Vcc)은 CPU(110) 외에도 휴대용 단말기(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도 공급되며, 전원 전압(Vcc)의 분배 및 공급을 위한 회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CDMA 통신 모듈 및/혹은 GSM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LCD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오디오 코덱부(2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코딩/디코딩한다. 메모리부(18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커넥터(12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PC, 어댑터 등)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4개의 핀을 구비한다. 케이블(미도시)의 한 쪽은 커넥터(120)에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은 외부 장치의 커넥터 에 연결된다. 적어도 4개의 핀 중 하나는 전원 전압(VBUS)용 핀, 두 핀은 데이터(D+, D-) 전송용 핀들, 나머지 하나는 접지(그라운드, GND)용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5개 이상의 핀이 구비되는 커넥터인 경우에는, 4개의 핀을 제외한 나머지는 NC(No connect) 상태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120)는 5핀 혹은 9핀 USB 커넥터일 수 있다.
충전 제어부(130)는 커넥터(120)에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부(15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제어부(130)는 커넥터(120)의 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된 신호(VBSU, D+, D-, GND)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120)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USB 장치인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충전부(150)를 제어한다.
충전부(150)는 충전 IC(charger IC)로 구현될 수 있으며, 충전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60)로 배터리 충전용 전원(전압 및/또는 전류, BAT)을 공급하여 배터리(160)를 충전한다. 충전부(150)는 또한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시스템으로 시스템 전원(SYS)을 공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 제어부(130)는 USB 신호 검출부(140) 및 지연 회로(131)를 구비한다.
USB 신호 검출부(140)는 커넥터(120)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원 전압(VBUS)의 레벨과 상기 제2 데이터 핀의 신호(D-)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120)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USB 장치인지를 검출하여 USB 검출 신호(USB_INT)를 발생한다. 또한, USB 신호 검출부(140)는 커넥터(120)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원 전압(VBUS)을 검출하고 지연하여, 검출 신호(VBUS_CLK)를 출력한다.
USB 신호 검출부(140)는 레귤레이터(141, 이하 LDO 라 함), 전압 검출기(142) 및 플립플롭(143)을 포함한다.
LDO(141)는 커넥터(120)의 전원 전압용 핀과 연결되어 커넥터(120)의 전원 전압용 핀에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전압이 인가되면 미리 정해진 출력 전압(BYP)을 발생하는 레귤레이터의 역할을 한다. 예컨대, LDO(141)는 커넥터(120)의 전원 전압용 핀과 연결되는 입력 단자와 출력 전압(BYP)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구비하여,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VBUS)의 범위가 일정 전압(예컨대, 3V) 이상인 경우 미리 정해진 레벨의 출력 전압(예컨대, 3V)을 발생할 수 있다. 즉, LDO(141)는 전원 전압(VBUS)의 전압 레벨이 3V 이상이면, 3V의 출력 전압(BYP)을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LDO(141)가 충전부(150)의 외부에 구현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LDO(141)가 충전부(150)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전압 검출기(142)는 내부 지연회로를 가지며, LDO의 출력 전압(VBUS)을 지연하여 출력한다. 전압 검출기(142)에서 지연 시간을 두는 것은, 사용자가 USB 케이블 혹은 충전 케이블을 커넥터(120)에 연결할 때, 한 번에 제대로 꽂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USB 케이블 혹은 충전 케이블이 커넥터(120)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연결될 때까지의 시간적 마진을 두기 위함이다.
전압 검출기(142)의 출력 신호(VBUS_CLK)는 플립 플롭(143)의 클럭 단자(CLK) 및 지연회로(131)로 입력된다. 커넥터(120)의 제2 데이터 핀의 신호(D-)는 플립플롭(143)의 입력 단자(D)로 입력된다. 플립 플롭(143)은 D-Q 플립플롭일 수 있다.
플립 플롭(143)은 전압 검출기(142)의 출력 신호(VBUS_CLK)의 상승에지(rising edge)에서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D-)를 래치하여, USB 검출 신호(USB_INT)로서 출력한다.
커넥터(120)에 외부 USB 장치가 연결되면, 전원 전압(VBUS)은 일정한 전압 레벨(예컨대, 5V)이 되고, 제2 데이터 핀의 신호(D-)는 일정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로직레벨(예컨대, 로우레벨)을 유지한 후,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제1 데이터 핀의 신호(D+)와 상보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커넥터(120)에 외부 USB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전압 검출기(142)의 출력 신호(VBUS_CLK)의 상승에지(rising edge)에서 제2 데이터 핀의 신호(D-)는 로우레벨 신호이므로, 플립플롭(143)의 출력 신호인 USB 검출 신호(USB_INT) 역시 로우레벨 신호가 된다.
만약, 커넥터(120)에 외부 USB 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예컨대, 어댑터)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전압 검출기(142)의 출력 신호(VBUS_CLK)의 상승에지(rising edge)에서 플립플롭(143)의 입력 단자(D)로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 신호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DO(141)의 출력 단자를 저항을 통해 플립플롭의 입력 단자(D)와 연결할 수 있다. 즉, 플립플롭의 입력 단자(D)가 커넥터(120)의 제2 데이터 핀에도 연결되고 저항을 통해 LDO(141)의 출력 단자에도 연결된다.
이 경우, 커넥터(120)에 외부 USB 장치가 연결되면, 제2 데이터 핀의 신 호(D-)에 의해 USB 검출 신호(USB_INT)는 로우레벨 신호가 되고, 커넥터(120)에 어댑터가 연결되면, LDO(141)의 출력 신호(BYP)에 의해 USB 검출 신호(USB_INT)는 하이레벨 신호가 된다. 즉, 커넥터(120)에 USB 장치가 아닌 어댑터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USB 검출 신호(USB_INT)는 하이레벨 신호가 된다.
USB 검출 신호(USB_INT)는 충전부(150)의 선택 단자(DC/USB SEL)로 입력된다.
지연 회로(131)는 전압 검출기(142)의 출력 신호(VBUS_CLK)를 소정 시간 지연하여 출력한다. 지연 회로(131)의 출력 신호(VBUS_CLKd)는 충전부(150)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을 제어하기 위하여 충전부(150)의 인에이블 신호 단자(CH_EN)로 입력된다. 따라서, 지연 회로(131)의 출력 신호(VBUS_CLKd)는 충전부(150)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이다.
지연 회로(131)의 출력 신호(VBUS_CLKd)는 커넥터(120)의 전원 전압용 핀에 미리 정해진 범위(예컨대, 3V 이상)의 전압 전압이 인가된 후, 전압 검출기(142)의 지연시간과 지연회로(131)의 지연 시간 후에 소정 레벨(예컨대, 하이레벨)로 활성화된다. 따라서, LDO(141), 전압 검출기(142) 및 지연회로(131)는 커넥터(120)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원 전압의 레벨에 기초하여 충전부(150)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VBUS_CLKd)를 발생하는 인에이블 회로라 할 수 있다.
충전부(150)는 선택 단자(DC/USB SEL)로 입력되는 USB 검출 신호(USB_INT)에 응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IC)의 레벨을 설정한다. 예컨대, USB 검출 신호(USB_INT)가 로우레벨인 경우, 즉 커넥터(120)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경우(USB 충전 모드)에는, 충전 전류(IC)는 제1 레벨(예컨대, 500mA 미만)로 제한된다. 반면, USB 검출 신호(USB_INT)가 하이레벨인 경우, 즉 커넥터(120)가 어댑터와 연결된 경우(어댑터 충전 모드)에는, 충전 전류(IC)는 제1 레벨보다 큰 제2 레벨(예컨대, 약 770mA)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커넥터(120)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경우(USB 충전 모드)는, 충전부(150)가 배터리(160)로 공급하는 전류(IC) 및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전류의 합이 제3 레벨(예컨대, 약 500mA)로 제한되고, 커넥터(120)가 어댑터와 연결된 경우(어댑터 충전 모드)에는, 충전부(150)가 배터리(160)로 공급하는 전류(IC) 및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전류의 합이 제3 레벨보다 큰 제4 레벨(예컨대, 약 900mA)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DC 어댑터에 연결되어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충전 전류량(혹은 충전전류량과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합)이 비교적 높아도 무방하나, USB 장치(예컨대, PC)에 연결되어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충전 전류량(혹은 충전전류량과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합)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충전 전류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충전부(150)는 인에이블 신호 단자(CH_EN)로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 즉, 지연 회로(131)의 출력 신호(VBUS_CLKd)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배터리(160)를 충전한다. 따라서, 지연 회로(131)의 지연 시간은 충전부(150)가 USB 검출 신호(USB_INT)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충전 전류(IC)를 설정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120)에 연결되는 장치가 USB 장치인지 DC 어댑터인지를 자동 검출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전류를 다르게 설정함으 로써, 배터리 충전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커넥터(120)에 연결되는 장치가 USB 장치인 경우 충전 전류 소모를 제한함으로써, USB 장치(예컨대, PC)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USB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를 검출하고 충전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제어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전원 전압용 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데이터 핀(D+) 핀, 제2 데이터(D-) 핀, 및 접지용 핀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원 전압의 레벨과 상기 제2 데이터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USB 장치인지를 검출하여 USB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USB 신호 검출부; 및
    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원 전압의 레벨에 기초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인에이블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USB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SB 신호 검출부는
    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이면 미리 정해진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전압 검출기; 및
    상기 전압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의 제 2 데이터 핀의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플립플롭을 포함하며,
    상기 인에이블 회로는 상기 전압 검출기의 검출 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는 지연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제1 로직 레벨의 상기 USB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전류의 레벨을 미리 결정된 제1 레벨로 설정하고, 제2 로직 레벨의 상기 USB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전류의 레벨을 상기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로 설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6.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USB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 또는 DC 어댑터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커넥터의 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전원 전압용 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데이터 핀(D+) 핀, 제2 데이터(D-) 핀, 및 접지용 핀을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가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이면 미리 정해진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출력 전압을 지연하여 지연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출력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의 제 2 데이터 핀의 신호를 래치하여 USB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방법은
    상기 지연 출력 전압을 지연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충전 전류를 설정하는 단계는
    제1 로직 레벨의 상기 USB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전류의 레벨을 미리 결정된 제1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 및
    제2 로직 레벨의 상기 USB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전류의 레벨을 상기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0080005430A 2008-01-17 2008-01-17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0974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430A KR100974519B1 (ko) 2008-01-17 2008-01-17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430A KR100974519B1 (ko) 2008-01-17 2008-01-17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458A true KR20090079458A (ko) 2009-07-22
KR100974519B1 KR100974519B1 (ko) 2010-08-10

Family

ID=4129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430A KR100974519B1 (ko) 2008-01-17 2008-01-17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5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486A3 (en) * 2011-03-21 201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WO2016056819A1 (en) * 2014-10-06 2016-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71B1 (ko) * 2005-11-28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109569A (ko) * 2006-05-12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용 ac 전원 어댑터및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원 설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486A3 (en) * 2011-03-21 201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US9037756B2 (en) 2011-03-21 2015-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US9627899B2 (en) 2011-03-21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WO2016056819A1 (en) * 2014-10-06 2016-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US9960616B2 (en) 2014-10-06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519B1 (ko) 201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795B1 (ko)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9129065B2 (en) USB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888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hrough a reverse local data transfer connection
US1128840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TWI559122B (zh) 通用電力介面
KR101494900B1 (ko) 충전 장치 식별을 통한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방법
US10042801B2 (en) System for detecting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10829523B (zh) 一种电子设备及反向充电方法
US8200852B2 (en) Multi-mode dongle for peripheral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00060233A1 (en) Charger with USB detection
US20160004650A1 (en) Portable device, cable assembly, and usb system
US20070075680A1 (en) Charging mode control circuit
JPWO2013168289A1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30122266A (ko) 호스트모드에서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45544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US8941361B2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91520B1 (ko) 저전압 트랜시버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2310756A (zh) 防止usb装置损坏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9317092B2 (en) Universal serial bus chargers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s
US7654861B2 (en) Connector and method thereof
TWI559125B (zh) 行動電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CN106774769B (zh) 一种终端工作模式的切换方法及装置、手持终端
KR100974519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CN106329625B (zh) 一种充电方法及装置
CN106797414A (zh) 一种终端的漏电流检测电路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