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026A -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 - Google Patents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026A
KR20090079026A KR1020080004936A KR20080004936A KR20090079026A KR 20090079026 A KR20090079026 A KR 20090079026A KR 1020080004936 A KR1020080004936 A KR 1020080004936A KR 20080004936 A KR20080004936 A KR 20080004936A KR 20090079026 A KR20090079026 A KR 20090079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algae
culture
deep
mediu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우
주동식
조순영
김옥선
어명희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026A/ko
Publication of KR2009007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해양심층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배지는 표층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배지보다 우수한 미세조류의 배양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미세조류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해양심층수, 미세조류, 배지, 배양

Description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 {A method for culturing microalgae by using deep seawater}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오희목 et al., 미세조류를 이용한 생물공학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해양미세조류은행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pp. 49-65, 1998
[문헌 2] 주동식 et al., 배양조건에 따른 Spirulina platensis의 성장 및 phycocyanin 함량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3(5), 475-481, 2000
[문헌 3] Rigobello-Masini, M. and J.C. Masini, Application of modified gran functions and derivative methods to potentiometric acid titration studies of the distribution of inorganic carbon species in cultivation medium of marine microalgae, Analytica Chimica Acta, 448, 239-250, 2001
[문헌 4] 김세권 et al., 해양미세조류의 생화학적 조성 및 항산화성, 한국수산학회지, 34(3), 260-267, 2001
[문헌 5] Korea ocean reserch Lab, Feasibility study for the multipurpose development of deep ocean water resource, MOMAF Report UCM, 00903-2284, 2000
[문헌 6] Takahashi, M, It knows and the deep sea water, Doseo publ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3, 35-37, 2001
[문헌 7] Guillard, R.R.L, Division rates, In: Stein J.R. (ed), Handbook of Phycological Methods - Culture Methods and Growth Measurement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89-311, 1975
[문헌 8] 임진영 et al., 해수산 Chlorella의 최적 배양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31(1), 138-142, 1998
미세조류는 수권생태계에서 부유생활을 하는 단세포생물로, 그 종류로는 남조류, 규조류, 녹조류, 와편모조류, 황갈편모조류 및 은편모조류 등이 있지만(오희목 et al., 미세조류를 이용한 생물공학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해양미세조류은행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pp. 49-65, 1998), 해양 및 담수에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대부분은 녹조류나 남조류이다(주동식 et al., 배양조건에 따른 Spirulina platensis의 성장 및 phycocyanin 함량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3(5), 475-481, 2000). 미세조류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필수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생체이용률이 좋으며 인체 건강증진에 활력을 주는 무기질과 비타민을 적절하게 함유하고 있어 미래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활발한 광합성을 하므로 지구 온난화를 줄이는 친환경식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대량배양생산을 통하여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다기능성 미래식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미세조류는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 수산양식용 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Rigobello-Masini, M. and J.C. Masini, Application of modified gran functions and derivative methods to potentiometric acid titration studies of the distribution of inorganic carbon species in cultivation medium of marine microalgae, Analytica Chimica Acta, 448, 239-250, 2001). 우리나라는 양식 생산량이 1980년대부터 계속 급증하여 최근 총 양식 생산량이 약 120만톤에 달하였고, 앞으로 양식생산량은 계속 급증할 것으로 기대된 다. 하지만 이처럼 양식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은 인위적 종묘생산의 증대가 요구되며, 이는 곧 인위적 종묘생산방법 중 하나인 자치어의 사육에 필요한 미세조류의 대량배양 생산방법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미세조류의 대량배양 생산방법의 필요성에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자연환경이 미세조류의 배양에 적합하지 못하여 미세조류의 대량배양 생산방법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김세권 et al., 해양미세조류의 생화학적 조성 및 항산화성, 한국수산학회지, 34(3), 260-267, 2001).
한편, 해양심층수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에 존재하여 수온이 연중 2℃ 이하로 안정되어 있는 청정한 해수로, 우리나라의 경우 동해로 북태평양에서 용승한 해양심층수가 유입되며, 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심층수는 표층수와 비교하여 영양염 물질 특히 식물성장에 필요한 질산염, 인산염 및 규산염 등의 무기영양염물질이 풍부하다. 둘째, 해양심층수는 원소의 조성비가 생물체의 조성비와 유사하며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입상 형태 및 용존 형태의 가분해성 유기물과 현탁물이 적으며 병원균, 세균류, 유해한 기생충, 부착생물 및 환경호르몬 등의 유해한 인공오염물이 적다. 셋째, 해양심층수는 연중 수온이 표층수에 비해 낮다. 넷째, 해수로서는 무기화가 진행되고 있고 수질이 물리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으로 안정하고 수질의 변동이 적어 안정적이다. 마지막으로, 해양심층수는 저온 안정성, 청정성, 부영양성, 숙성성, 미네랄성 등의 자원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갖는 해양심층수는 육상의 청정양식, 고급 음용수 개발, 고부가가치의 신물 질추출, 청정에너지 개발, 수산, 유용물질생산, 에너지 회수 등의 여러 분야에 있어서 자원적가치가 높고 재생순환형이므로 잘 이용하면 고갈의 염려가 없는 깨끗한 대형자원이라 할 수 있다(Korea ocean reserch Lab, Feasibility study for the multipurpose development of deep ocean water resource, MOMAF Report UCM, 00903-2284, 2000; Takahashi, M, It knows and the deep sea water, Doseo publ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23, 35-37, 2001).
현재 해양심층수는 수산분야, 식품, 제조, 건강증진 등의 분야에서 그 유용성이 실증되어져 있으며 일부 실용화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효과에 대해서 상기 문헌 중 어디에서도 교시되거나 기재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동해안의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해양심층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배지가 표층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배지보다 우수한 미세조류의 배양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를 배지성분으로 함유하는 f/2배지를 제조하는 1 단계: 상기 제 1단계의 공정으로 준비된 배지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 미세조류를 삼각플라스크에서 1 내지 2000 럭스(Lux),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200 럭스(Lux)로,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0℃에서 1 내지 15일,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일 동안 증균배양하는 2 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배양된 배양액량의 약 1 내지 500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배에 달하는 부피의 상기 제 1단계의 배지를 실린더에 첨가하여 1 내지 30일,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일 동안 별도로 탄소를 공급하지 않고 공기량(30 L/min)을 조절하여 배양하는 제 3단계로 구성된 일련의 제조공정을 통한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정의되는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해양심층수를 배지성분으로 함유하는 배지, 바람직한 배지성분으로는 해양심층수 0.1 내지 20L ,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L당, 60 내지 9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75(g/L)의 NaNO3, 1 내지 1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5(g/L)의 KH2PO4ㆍ·H2O, 20 내지 4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30(g/L)의 Na2SiO3·ㆍ9H2O, 1 내지 1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9.8(g/L)의 CuSO4 ·5H2O, 1 내지 1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6.3(g/L)의 Na2MoO4ㆍ·2H2O, 10 내지 3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22(g/L)의 ZnSO4·ㆍ7H2O, 1 내지 2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g/L)의 CoCl2·ㆍ6H20, 100 내지 20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g/L)의 MnCl2 ·4H20, 0.1 내지 5(g/L), 보다 바람직하게는, 1(g/L)의 Vitamin B12, 0.01 내지 2(g/L), 보다 바람직하게는, 0.1(g/L)의 Biotin 및 0.01 내지 2(g/L), 보다 바람직하게는, 0.2(g/L)의 Thiamine HCl을 함유하며, 해양심층수의 용량에 상관없이 1 내지 2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g/L)의 FeCl3ㆍ·H2O 및 1 내지 20(g/L), 보다 바람직하게는, 4.36(g/L)의 Na2EDTA·ㆍ2H2O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해양심층수”는 바람직하게는 동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울릉도 인근 지역, 가장 바람직하게는 위도 37도, 경도 130도 지역, 바람직하게는 수심 약 200~1,000m,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심 약 500~800m,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심 약 600~700m에서 취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미세조류”는 남조류, 규조류, 녹조류, 와편모조류, 황갈편모조류 및 은편모조류, 바람직하게는 녹조류, 남조류, 규조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Dunaliella sp.(C-010), Dunaliella sp.(C-248), Chlorella sp.(C-020), Chloromonas sp.(C-201), Tetraselmis sp.(P-001), Tetraselmis sp.(P-002), Isochrysis sp.(H-001), Isochrysis sp.(H-011), Lyngbya sp.(CY-025), Chatoceros sp. (B-530) 및 Porphyridi um sp.(RH-00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배지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기존에 알려진 배양방법과 비교하여 미세조류의 배양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균체량도 현저히 증가시키는 탁월한 미세조류 배양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해양심층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배지는 표층수를 사용하 여 제조된 배지 보다 우수한 미세조류의 배양효과를 나타내므로 미세조류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재료의 준비
미세조류는 한국해양미세조류은행(KMCC)에서 동해안 해양 유래 미세조류 19종을 선별하여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해양심층수는 (주)울릉미네랄(수심: 650 m)에서 조달받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인 표층수는 경포대 앞바다에서 채수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pH 측정 방법
pH 측정은 미세조류를 접종한 날부터 매 24시간 마다 pH meter(Mettler Toledo, SevenEasy pH, switzerland)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균체량 측정
균체량 측정은 미세조류를 접종한 날부터 매 24시간마다 5 mL의 시료를 취하 여 마이크로필터 종이(φ 0.45 μm, micro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0.85% 생리식염수 10 mL로 수세하여 2시간 동안 100℃에서 건조한 다음 30분 동안 방냉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조체의 성장 정도는 초기 조체 무게에 대한 측정 시점의 조체 무게비의 대수[ln(x/xo)]로 나타내어 초기 조체 농도에 대한 경시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해수에 따른 녹조류의 pH 균체량의 변화
녹조류인 Dunaliella sp.(C-010), Dunaliella sp.(C-248), Chlorella sp.(C-020) 및 Chloromonas sp.(C-201)을 표층수와 심층수로 각각 배양함에 따라 배양시간에 따른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임진영 et al., 해수산 Chlorella의 최적 배양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31(1), 138-142, 1998).
녹조류인 Dunaliella sp.(C-010), Dunaliella sp.(C-248), Chlorella sp.(C-020) 및 Chloromonas sp.(C-201)을 각각 표층수 또는 심층수를 함유하는 f/2배지(Guillard, R.R.L, Division rates, In: Stein J.R. (ed), Handbook of Phycological Methods - Culture Methods and Growth Measurement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89-311, 1975)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표 1. 참조) 500 mL 삼각플라스크에서 7-10일 동안 증균배양하였다. 이후, 녹조류의 성장을 더욱 증폭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배양액을 동일한 해수를 함유한 1.5 L의 f/2배지가 들어있는 실린더에 20mL 분주하여 14일 동안 별도로 탄소를 공급하지 않 고 공기량(30 L/min)을 조절하여 배양하였다.
녹조류의 성장에 따른 pH 및 균체량 변화측정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녹조류를 표층수로 배양하였을 때의 pH의 변화를 살펴보면, Dunaliella sp.(C-010)는 배양 6일째에 pH 9.13, Dunaliella sp.(C-248)는 배양 5일째에 pH 8.85, Chlorella sp.(C-020)는 배양 6일째에 pH 8.83, Chloromonas sp.(C-020)는 배양 7일째에 pH 9.36으로 최대값에 도달한 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심층수로 배양하였을 때에는 pH의 변화는 Dunaliella sp.(C-010)는 배양 5일째에 pH 9.58, Dunaliella sp.(C-248)는 배양 4일째에 pH 8.89, Chlorella sp.(C-020)는 배양 7일째에 pH 8.74, Chloromonas sp.(C-020)는 배양 6일째에 pH 9.61로 나타남으로써 심층수로 배양시 최대 pH 도달시간이 1일정도 빠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량 변화를 살펴보면, 심층수 배양군은 Dunaliella sp.(C-010), Dunaliella sp.(C-248), Chlorella sp.(C-020) 및 Chloromonas sp.(C-201)이 각각 배양 7일째에 최대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표층수 배양군은 전체적으로 증식이 느리고 균체의 절대량도 낮게 나타났다. 특히, 표층수 배양군에서 Dunaliella sp.(C-010)은 최대 균체량이 0.4인 반면, 심층수 배양군에서는 1.4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조류의 배지성분으로 표층수보다는 심층수를 사용하는 것이 녹조류의 배양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및 도 2 참조).
f/2 배지의 조성
Elements Stock solution (g/L) Dilution per 1L of seawater (mL)
NaNO3 75 1
KH2PO4ㆍ·H2O 5 1
Na2SiO3·ㆍ9H20 30 1
f/2 trace metal solution 1
FeCl3ㆍ·H2O 3.15
Na2EDTA·ㆍ2H2O 4.36
CuSO4ㆍ5H2O 9.8 1
Na2MoO4ㆍ·2H2O 6.3 1
ZnSO4·ㆍ7H2O 22 1
CoCl2·ㆍ6H2O 10 1
MnCl2ㆍ4H2O 180 1
f/2 vitamin solution 0.5
Vitamin B12 (Cyanocobalamin) 1 1
Biotin 0.1 10
Thiamine HCl 0.2
실험예 2. 해수에 따른 남조류의 pH 균체량의 변화
남조류인 Tetraselmis sp.(P-001), Tetraselmis sp.(P-002), Isochrysis sp.(H-001) 및 Isochrysis sp.(H-011)을 표층수와 심층수로 각각 배양함에 따라 배양시간에 따른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임진영 et al., 해수산 Chlorella의 최적 배양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31(1), 138-142, 1998).
남조류인 Tetraselmis sp.(P-001), Tetraselmis sp.(P-002), Isochrysis sp.(H-001) 및 Isochrysis sp.(H-011)을 각각 표층수 또는 심층수를 함유하는 f/2배지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표 1. 참조) 500 mL 삼각플라스크에서 7-10일 동안 증균배양하였다. 이후, 남조류의 성장을 더욱 증폭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배양액을 동일한 해수를 함유한 1.5 L의 f/2배지가 들어있는 실린더에 20mL 분주하여 14일 동안 별도로 탄소를 공급하지 않고 공기량(30 L/min)을 조절하여 배양하였다.
남조류의 성장에 따른 pH 및 균체량 변화측정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남조류를 심층수로 배양하였을 때 pH의 변화는 Tetrase lmis sp. P-002의 경우에 배양 1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배양 3일째에 pH 9.11로 최대값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표층수로 배양하였을 때에는 pH의 변화가 배양 6일째에 pH 8.81로 나타났다. 균체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Isochysis sp.(H-001), Isochysis sp.( H-011) 및 Tetrase lmis sp.(P-002)는 심층수배지보다 표층수배지에서 비교적 잘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etraselmis sp.(P-001)는 표층수 배지군에서 배양 6일째에 균체량이 0.48로 최대 균체량을 나타낸 반면, 심층수 배지군에서는 배양 8일째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최대 균체량이 0.96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조류 중 Tetraselmis sp.(P-001)만이 배지성분으로 표층수보다는 심층수를 사용하는 것이 Tetraselmis sp.(P-001)의 배양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및 도 4 참조).
실험예 3. 해수에 따른 규조류의 pH 균체량의 변화
규조류인 Lyngbya sp.(CY-025), Chatoceros sp.(B-530), Porphyridi um sp.(RH-0010)을 표층수와 심층수로 각각 배양함에 따라 배양시간에 따른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임진영 et al., 해수산 Chlorella의 최적 배양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31(1), 138-142, 1998).
규조류인 Lyngbya sp. CY-025, Chatoceros sp. B-530, Porphyridi um sp. RH-001을 각각 표층수 또는 심층수를 함유하는 f/2배지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표 1. 참조) 500 mL 삼각플라스크에서 7-10일 동안 증균배양하였다. 이후, 구조류의 성장을 더욱 증폭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배양액을 동일한 해수를 함유한 1.5 L의 f/2배지가 들어있는 실린더에 20mL 분주하여 14일 동안 별도로 탄소를 공급하지 않고 공기량(30 L/min)을 조절하여 배양하였다.
규조류의 성장에 따른 pH 및 균체량 변화측정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규조류를 심층수로 배양하였을 때 pH의 변화를 살펴보면 Lyngbya sp.(CY-025)는 배양 4일째에 pH 9.01, Chatoceros sp.(B-530)는 배양 6일째에 pH 9.18, Porphyridi um sp. (RH-001) 7일째에 9.18로 최대값을 나타낸 반면, 표층수로 배양하였을 때에는 Lyngbya sp.(CY-025)는 배양 7일째에 pH 8.98, Chatoceros sp.(B-530)는 배양 8일째에 pH 8.91, Porphyridi um sp.(RH-001) 5일째에 8.72로 나타났다. 균체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Chaetoceros sp.(B-530) 및 Porphyridium sp.(RH-001)는 표층수 배지로 배양하였을 때, 각각 배양 9일째 및 6일째에 최대 균체량 0.66 및 0.50을 나타낸 반면, 심층수 배지로 배양하였을 때에는 각각 배양 6일째 및 5일째에 최대 균체량 0.92, 0.57로 배양시간이 단축되었을 뿐만 아니라 균체량의 증가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yngbya sp.(CY-025)는 표층수로 배양하였을 때 최대 균체량이 0.76로 나타난 반면, 심층수로 배양하였을 때에는 1.1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조류의 배지성분으로 표층수 보다는 심층수를 사용하는 것이 규조류의 배양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및 도 6 참조).
도 1은 표층수를 사용하여 배양했을 때 녹조류의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심층수를 사용하여 배양했을 때 녹조류의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3는 표층수를 사용하여 배양했을 때 남조류의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4은 심층수를 사용하여 배양했을 때 녹조류의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5은 표층수를 사용하여 배양했을 때 규조류의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심층수를 사용하여 배양했을 때 규조류의 pH 및 균체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5)

  1. 해양심층수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의 배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방법은 해양심층수를 배지성분으로 함유하는 f/2배지를 제조하는 1 단계: 상기 제 1단계의 공정으로 준비된 배지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 미세조류를 삼각플라스크에서 1 내지 2000 럭스(Lux)로, 10 내지 30℃에서 1 내지 15일 동안 증균배양하는 2 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배양된 배양액량의 약 1 내지 500배에 달하는 부피의 상기 제 1단계의 배지를 실린더에 첨가하여 1 내지 30일 동안 별도로 탄소를 공급하지 않고 공기량(30 L/min)을 조절하여 배양하는 제 3단계로 구성된 일련의 제조공정을 통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해양심층수를 배지성분으로 함유하는 배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심층수는 동해에서 취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는 남조류, 규조류, 녹조류, 와편모조류, 황갈편모조류 및 은편모조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배양방법.
KR1020080004936A 2008-01-16 2008-01-16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 KR20090079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936A KR20090079026A (ko) 2008-01-16 2008-01-16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936A KR20090079026A (ko) 2008-01-16 2008-01-16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026A true KR20090079026A (ko) 2009-07-21

Family

ID=4133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936A KR20090079026A (ko) 2008-01-16 2008-01-16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0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050A (ko) * 2018-10-12 2020-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나리엘라 배양용 조성물 및 이의 배양방법
KR20210155682A (ko) * 2020-06-16 2021-12-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은편모조류를 이용한 물벼룩 대량배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050A (ko) * 2018-10-12 2020-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나리엘라 배양용 조성물 및 이의 배양방법
KR20210155682A (ko) * 2020-06-16 2021-12-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은편모조류를 이용한 물벼룩 대량배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The difference in effective light penetration may explain the superiority in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attached cultivation over the conventional open pond for microalgae
Cheng et al. Improving CO2 fixation efficiency by optimizing Chlorella PY-ZU1 culture conditions in sequential bioreactors
Ji et al. Biofilm cultivation of the oleaginous microalgae Pseudochlorococcum sp.
Ramaraj et al. Microalgae biomass as an alternative substrate in biogas production
CN102250773A (zh) 一株栅藻及其培养方法和应用
CN104611227B (zh) 一种耐受高ph的斜生栅藻及其选育方法
Léonard et al. Cyanobacteria immobilised in porous silica gels: exploring biocompatible synthesis routes for the development of photobioreactors
Fatemeh et al.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ptical density and biomass of the green algae Chlorella vulgaris in outdoor conditions
KR101261917B1 (ko) 전분 고함량 미세 조류 배양용 배지 및 그를 이용한 전분 고함량 미세 조류 배양 방법
Velichkova et al. Biomass produc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from aquaculture with Chlorella vulgaris under different carbon sources.
Sreekumar et al. Lipid enhancement in microalgae by temporal phase separation: Use of indigenous sources of nutrients
CN106029893A (zh) 生产油脂成分的方法、高级不饱和脂肪酸的制造方法、以及衣藻种jsc4株
CN103052715B (zh) 用于生产生物燃料的帕米尔绿球藻的培养
CN104357327A (zh) 一种利用豆制品废水大规模培养微藻的方法
KR20090079026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법
Zheng et al. Bioremediation of aquiculture wastewater by microalgae Isochrysis zhanjiangensis and production of the biomass material
CN102943044B (zh) 一株栅藻及其应用
CN102911872A (zh) 栅藻藻株及其应用
Asma et al. Growth rate assessment of high lipid producing microalga Botryococcus braunii in different culture media
CN102021121B (zh) 一种集蜂曲霉菌株及其应用
KR102134885B1 (ko) 고효율의 연속식 미세조류 배양시스템
JP2015192598A (ja) 紅藻シアニジウム目のための脂質生産用培地組成物および脂質生産方法
Kin-Chung et al. A study on algal growth behavior under different sparging period of CO2 supplementation
Saiu et al. Study of the growth parameters of the Nannochloropsis oculata for the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from wastewater through design of experiment approach
KR101626394B1 (ko) 활동성 어류를 이용한 옥외 배양시 응집성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