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961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961A
KR20090078961A KR1020080004843A KR20080004843A KR20090078961A KR 20090078961 A KR20090078961 A KR 20090078961A KR 1020080004843 A KR1020080004843 A KR 1020080004843A KR 20080004843 A KR20080004843 A KR 20080004843A KR 20090078961 A KR20090078961 A KR 20090078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mounting member
hot air
processing apparatus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05958B1 (en
Inventor
한동주
최철진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958B1/en
Publication of KR2009007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8Target temperature for the drying process, e.g. low-temperature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is provided to handle a small amount of laundry without driving a washing machine main body and dry laundry within a short time. A laundry treating apparatus(100) includes a washing machine main body(10), a case(20), a drawer(40), a barrier(42), a hot air supply device(22), and a placing member(50).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performs washing and drying operations. The case is smaller than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and the front side of the case is opened. The drawer enters the case and taken out of the case. The drawer has a space for receiving an to-be-dried object. The barrier divides the space into left and right regions. The hot air supply device supplies hot air to the space. The plac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barrier and selectively extended or contracted.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Clothing treating apparatus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을 빠른 시간 내에 건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capable of drying a dry item in a short time.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the laundry machin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washing, drying or washing or drying clothes. Here, one washing apparatus may perform only washing or drying functions, or both washing and drying. In recent years, a steam supply device is provided, and a washing device hav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wrinkle removal, odor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etc., has been popularized.

그리고,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축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축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es are classified into a front loading type or a top loading type according to the drawing direction of clothes. In addition, there are a vertical axis type in which a pulsator or a washing tank is rotated and a horizontal axis type in which a drum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washing.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horizontal axis types are drum washing machines or drum dryers.

종래의 세탁장치들 중 세탁기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거나, 건조 기 능을 겸비한 세탁기를 구비하게 된다.Among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a washing machine may not have a drying function.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a drying function, a separate dryer or a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may be provided.

한편, 최근 사용자의 수요증가 및 생활수준 향상에 대응하여 세탁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장치들은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한 가정에서는 하나의 세탁장치만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소량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서 대형 세탁장치를 구동시켜야만 한다.Meanwhile, in recent years, washing machines having a washing and drying function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demand of users and an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It is common to have only one washing machine in a household, so a large washing machine has to be driven to dry a small amount of clothes.

상술한 종래의 세탁장치들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소량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서 세탁 및 건조기능을 가진 대형 세탁장치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며, 이에 따른 불필요한 전기료의 지출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in order to dr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lothes, it is necessary to drive a large washing machine having a washing and drying function, resulting in waste of energy, thereby causing unnecessary electricity expenses.

또한, 의류를 빠른 시간 내에 건조시키며, 정해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공간활용도가 큰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desire of consumers who want a product having a large space utilization, which dries clothes quickly and uses a predetermined space efficient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본체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and the like without driving a relatively large washing machine body.

또한, 수용되는 피건조물을 빠른 시간 내에 건조하면서, 피건조물이 처리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which can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in which the to-be-processed object is processed while drying the accommodated object within a short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본체; 상기 세탁장치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장치본체보다 부피가 작으며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드로워; 상기 공간을 좌우로 분할하는 격벽; 상기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및 상기 격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machine body for performing the washing or drying; A cas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and having a smaller volume than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and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A drawer drawn into or out of the case and having a space in which a dry matter is received;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space from side to side; Hot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space; And a mounting member mounted to the partition wall and selectively extended or contracted to the partition wall.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며, 상기 거치부재는 피건조물이 상기 열풍공급장치에 인접하도록,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t air supply device supplies hot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space, the mounting member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so that the object to be adjacent to the hot air supply device.

한편, 상기 거치부재는 서로 중첩되어 선택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가능한 복수 개의 연장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member may overlap with each oth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nsion plates that can be selectively stretched or shrunk.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가 수축되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면서, 상기 드로워 및 상기 연장판에는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And,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is contracted, the drawer and the extension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이때,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장판에 구비된 돌출턱 및 상기 드로워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턱을 고정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protruding jaw provided on the extension plate and a locking jaw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drawer to fix the protruding jaw.

한편,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격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member is preferably fixed to the partition rotatably.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연장판이 중첩되어, 상기 격벽에 밀착되어 접혀지도록 회전시키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hinge portion which rotates so that the extension plate overlaps and is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이외에도 상기 거치부재는 릴부재 및 상기 릴부재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가능한 연장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드로워 및 상기 연장시트에는 상기 연장시트의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reel member and the extension sheet capable of drawing in or out of the reel member, the drawer and the extension sheet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extension sheet. .

이때,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장시트에 구비된 고리 및 상기 드로워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고리에 고정되는 고정훅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hook provided on the extension sheet and a fixing hook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drawer and fixed to the hook.

또한, 상기 연장시트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메시(mesh)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sheet may be made of a mesh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본체를 구동시키지 않더라도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ecause it is possible to process a small amount of clothes and the like even without driving the relatively large washing machine body, it is convenient to use and save energy.

또한, 피건조물을 보다 빨리 건조할 수 있으며, 소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 용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 matter can be dried faster, and the dry matter can be dried using a predetermined space efficiently.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1 to 3B,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는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본체(10), 상기 세탁장치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장치본체(10)보다 부피가 작으며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20) 및 상기 케이스(20)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드로워(4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1,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0,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0 to perform the washing or drying, the volume is smaller than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0 The drawer 40 includes a case 20 having a front surface open and a drawer 40 drawn into or out of the case 20 and having a space in which the object to be dried is accommodated.

상기 세탁장치본체(10)는 세탁기능 또는 건조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기능 또는 건조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에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드로워(40)가 슬라이딩되어 수용된다.The washing apparatus main body 10 may perform only a washing function or a drying function or perform both a washing function or a drying function.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case 20 so that the drawer 40 is slid and accommodated.

한편, 도 1에서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세탁장치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세탁장치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가 상기 세탁장치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세탁장치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케이스(20)가 상기 세탁장치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20) 및 상기 드로워(40)의 사용시 허리 등을 굽힐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Meanwhile, in FIG. 1, the case 20 is located under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0, but the case 2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0. When the case 20 is installed below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0, the case 20 may support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s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0, there is no need to bend the waist or the like when the case 20 and the drawer 40 are used, which is convenient for the user.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케이스(20)보다 부피가 작으며, 내부에 건조하고자 하는 피건조물이 수용된다. 물론, 상기 드로워(40)의 외측면에는 바퀴(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40)는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drawer 40 is smaller in volume than the case 20 and accommodates a dry item to be dried therein. Of course, a wheel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wer 40, the guide portion (not show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wheel can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0. The drawer 40 may be smoothly slid by the guide part.

상기 드로워(40)는 전면에 손잡이(44)가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4)를 이용해 상기 드로워(4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The drawer 40 is equipped with a handle 44 on the front, the user can slide the drawer 40 by using the handle 44.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로워(40)에 형성된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22)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22)는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며,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미도시) 및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풍을 상기 드로워(40)상의 공간에 공급하는 팬(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hot air supply device 22 supplying hot air to a space formed in the drawer 40.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is installed in the case 20, and a heater (not shown) for generating heat and a fan (not shown) for supplying hot air generated from the heater to the space on the drawer 40. It is possible to have a.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로워(40)에 형성된 공간을 좌우로 분할하는 격벽(42)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4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42 that divides the space formed in the drawer 40 from side to side. The partition 42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40.

또한, 상기 격벽(42)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드로워(40) 내측면 전면부터 후면까지 연장된다. 한편, 상기 격벽(42)은 높이방향으로 상기 드로워(40)의 좌우 측벽의 높이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42 extend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drawer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wall 42 may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drawer 40 in the height direction.

만일 상기 격벽(42)의 높이를 상기 드로워(40)의 좌우 측벽과 동일하게 형성한다면, 상기 드로워(40)의 좌/우 공간이 격리되므로, 상기 드로워(40)의 좌/우 공간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로워(40)의 좌측 공간에서만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고, 우측 공간에는 물건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42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drawer 40, the left / right space of the drawer 40 is isolated, the left / right space of the drawer 40 Can be used separatel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drying of the object only in the left space of the drawer 40, and to store the object in the right space.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격벽(42)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거치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재(50)의 상면에는 처리하고자 하는 피건조물이 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피건조물은 운동화와 같은 신발류이거나 셔츠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ounting member 50 mounted on the partition 42 and selectively extended or contra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mounted to be treated. For example, the article may be footwear, such as sneakers, or a shirt.

한편, 상기 열풍공급장치(22)는 상기 드로워(40) 상의 공간의 상측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상면에 피건조물을 거치한다. 이 경우 상기 피건조물이 상기 열풍공급장치(22)에 인접하게 되어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시간이 빨라진다. 물론, 상기 피건조물이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드로워(40)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므로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에 유리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may supply hot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space on the drawer (40). At this time, the mounting member 5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40 to mount the dry object on the upper surface. In this case, the dry matter is adjacent to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and the drying time of the dry matter is increased. Of course, the dry matte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40, the air inside the drawer 40 is smoothly circulated, it will be advantageous to dry the dry matter.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서 가로축은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거치부재(50)의 높이이다. 물론, 상기 거치부재(50)의 높이는 피건조물의 높이와 동일하다. 세로축은 40분동안 건조시켰을 때 피건조물에서 수분이 제거된 량이다. 이때, 상기 열풍공급장치(22)는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으로부터 대략 276mm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horizontal axis in FIG. 5 is the height of the mounting member 50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40. Of course, the height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object to be dried. The vertical axis is the amount of water removed from the dried product after drying for 40 minutes. At this time,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is located at a height of about 276mm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40).

도 5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열풍공급장치(22)로부터 거리가 170mm정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실험과 같이 상기 열풍공급장치(22)가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으로부터 276mm의 높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재(50)가 상기 드로워(40)로부터 대략 100mm 정도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피건조물이 상기 열풍공급장치(22)에 소정 거리만큼 인접하게 되어 상기 피건조물에 열풍이 원활히 공급되고, 상기 피건조물 하부에 공기 흐름이 생겨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 of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member 50 has a distance of about 170 mm from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In other words, when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is installed at a height of 276 mm from the bottom of the drawer 40 as in the experiment, the mounting member 50 is about 100 mm from the drawer 40. It is preferred to be spaced apart. This is because the dry object is adjacent to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hot air is smoothly supplied to the dry object, and an air flow is gene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y object, which is advantageous in drying the dry object.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재(50)는 서로 중첩되어 선택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복수 개의 연장판(68)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연장판(68)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설명의 편의상 상기 연장판(68)을 3개로 한정해서 이하 설명한다. Also,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mounting member 50 includes a plurality of extension plates 68 overlapping each other and selectively extending or contracting. Of course, the number of the extension plate 68 is not limited,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xtension plate 68 is limited to three and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복수 개의 연장판(68)은 크기가 상기 연장판(68) 중에서 가장 크고 상기 격벽(42)에 인접하는 제1연장판(62), 중간 크기의 제2연장판(64) 및 가장 작은 크기의 제3연장판(66)으로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extension plates 68 are the largest of the extension plates 68, the first extension plate 62 adjacent to the partition 42, the second extension plate 64 of medium size, and the smallest size. The third extension plate 66 of the.

상기 제1연장판(62)의 내부에는 상기 제2연장판(64)이 인입될 수 있는 제1연장판 홈(7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장판(64)의 내부에는 상기 제3연장판(66)이 인입될 수 있는 제2연장판 홈(72)이 형성된다.A first extension plate groove 70 through which the second extension plate 64 may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extension plate 62. In addition, a second extension plate groove 72 through which the third extension plate 66 may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extension plate 64.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연장판(68)이 서로 인입되는 경우 길이가 줄어든다. 반면에, 상기 연장판(68)이 서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가 늘어난다. The mounting member 50 is reduced in length when the extension plate 68 is introduced in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nsion plate 68 is drawn out from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increased.

즉, 건조를 수행할 때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를 연장하여 상기 거치부재(50)의 상면에 피건조물을 거치시킨 후, 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를 감소시켜 상기 드로워(40)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That is, when drying is carried out,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extended to mount the dry mat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50, and after drying is completed,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reduced.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drawer 40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가 수축되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7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74)는 외력을 가하면 변형 이 이루어지나, 그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을 갖는다. 상기 탄성부재(74)는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 등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member 50 includes an elastic member 74 for apply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contracted. The elastic member 74 is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ut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74 may be a general coil spring or the like.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연장판(68)이 신장되는 반면에,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연장판(68)이 상기 탄성부재(7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길이가 줄어든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extended, the extension plate 68 is extended, whereas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extension plate 68 is the elastic member 74. The length is reduc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그리고, 상기 드로워(40) 및 상기 연장판(68)에는 상기 거치부재(50)의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유닛(80)이 구비된다.And, the drawer 40 and the extension plate 68 is provided with a fixing unit 80 for fixing to maintain the extended state of the mounting member (50).

상기 고정유닛(80)은 상기 연장판(68)에 구비된 돌출턱(76) 및 상기 드로워(40)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턱(76)을 고정하는 걸림턱(78)을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80 includes a protruding jaw 76 provided on the extension plate 68 and a locking jaw 78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drawer 40 to fix the protruding jaw 76. .

상기 돌출턱(76)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제3연장판(66)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아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8)은 'ㄴ'자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걸림턱(78)에는 상기 돌출턱(76)의 일단이 수용되어, 면접촉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걸림턱(78)이 상기 드로워(40)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가 감소되지 않은 채로 고정된다.The protruding jaw 76 has a polygonal shape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extension plate 66 in a vertical direction. The locking jaw 78 has a shape similar to the letter 'b'.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protruding jaw 76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jaw 78, the surface contact is fixed. That is, since the locking jaw 78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drawer 40,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fixed without being reduced.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격벽(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연장판(68)이 중첩된 채로 상기 격벽(42)에 밀착되어 접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부(82)를 포함한다.The mounting member 50 is rotatably fixed to the partition 42. In other words, the mounting member 50 includes a hinge portion 82 which rotate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42 while the extension plate 68 is overlapped.

즉, 상기 거치부재(50)를 신장시키고 상기 거치부재(50)의 상면에 피건조물을 거치하여 건조를 수행한 후,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거치부재(50)를 접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40)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That is, the mounting member 50 is elongated and the drying is carried out by mounting the objec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50, and when the drying is completed, the folding member 50 is folded as shown in FIG. 3B. The space of the drawer 40 can be utilized.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상기 거치부재(50)는 릴부재(90) 및 상기 릴부재(90)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가능한 연장시트(92)를 포함한다.The mounting member 50 includes a reel member 90 and an extension sheet 92 capable of drawing in or drawing out into the reel member 90.

상기 릴부재(90)는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 상기 통에 수용되어 상기 연장시트(92)가 감기는 드럼 및 상기 연장시트(92)에 작용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연장시트(92)를 상기 드럼에 감아 상기 연장시트(92)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The reel member 90 has a cylindrical appearance and has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drum is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and the drum is wound around the extension sheet 92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xtension sheet 92 is removed.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wound around the drum 92 to reduce the length of the extension sheet 92.

한편, 상기 연장시트(92)는 상기 릴부재(90)의 통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드럼에 감길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장시트(92)는 상기 릴부재(90)로부터 인출하였을 때 그 상면에 피건조물을 거치하기 용이하도록 사각평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sheet 9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be drawn into the barrel of the reel member 90 to be wound on the drum. In addition, when extending from the reel member 90, the extension sheet 92 preferably has a shape of a square plane so as to easily mount the dry object on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드로워(40) 및 상기 연장시트(92)에는 상기 연장시트(92)의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유닛(99)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시트(92)의 길이는 상기 릴부재(90)에 인입 또는 인출되어 가변적이므로 상기 고정유닛(99)에 의해서 고정되지 않으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시트(92)가 접혀 감겨진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drawer 40 and the extension sheet 92 are provided with a fixing unit 99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extension sheet 92. Since the length of the extension sheet 92 is variable by drawing in or out of the reel member 90, the extension sheet 92 is folded and wound as shown in FIG. 4B unless it is fixed by the fixing unit 99. Maintain state.

상기 고정유닛(99)은 상기 연장시트(92)의 일단에 구비되어 내부에 홈(97)이 형성된 고리(9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99)은 상기 드로워(40)의 측벽에 구비되는 고정훅(98)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리(96)의 홈(97)에 상기 고정훅(98)이 삽입되면서, 상기 고리(96)가 상기 고정훅(98)에 걸리게 된다.The fixing unit 99 includes a ring 96 provide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sheet 92 and having a groove 97 formed therein. In addition, the fixing unit 99 includes a fixing hook 98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drawer (40). At this time, while the fixing hook 98 is inserted into the groove 97 of the ring 96, the ring 96 is caught by the fixing hook 98.

물론, 상기 고리(96)는 상기 연장시트(92)의 일단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훅(98)도 상기 고리(96)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시트(92)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시트(92)의 상면에 피건조물이 거치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Of course, a plurality of the ring 96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sheet 92, the fixing hook 98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ring (96).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extension sheet 92 can be firmly maintained.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92 can be stably supported.

이외에도, 상기 연장시트(92)는 복수 개의 관통홀(94)을 구비하는 메시(mesh)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시트(92)의 상면에 피건조물이 거치되었을 때, 피건조물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관통홀(94)을 통해 상기 연장시트(92)의 아래로 낙하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시트(92)의 청결도를 유지하며, 상기 릴부재(90)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거치부재(50)를 고장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sheet 92 may be formed of a mesh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94. When the objec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sheet 92, foreign matter falls from the object to the bottom of the extension sheet 92 through the through hole 94. Therefore, the cleanliness of the extension sheet 92 is maintained, and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reel member 90 so that the mounting member 50 can be used without failure.

상기에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기능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Functions and action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B,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케이스(20)로부터 드로워(40)를 전방으로 인출한다.Power is applied to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and draws the drawer 40 forward from the case 20.

다음으로 거치부재(50)가 접혀 상기 격벽(42)에 밀착된 상태라면 상기 거치부재(50)를 힌지부(8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거치부재(50)가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위치시킨다.Next, if the mounting member 50 is 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42, the mounting member 50 is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82 so that the mounting member 50 of the drawer 40 is rotated. Place it parallel to the floor.

이때, 상기 거치부재(50)에 외력을 가하여 신장시킨다. 제2연장판(64)이 제1연장판 홈(70)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고, 제3연장판(66)이 상기 제2연장판 홈(72)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인출되어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가 연장된다. 물론, 탄성부재(74)는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가 수축되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므로, 상기 탄성복원력을 극복할 정도의 외력을 가해야 한다. At this time, the mounting member 50 is extend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second extension plate 64 is slid out from the first extension plate groove 70, and the third extension plate 66 is slid out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groove 72 to be drawn out. The length of is extended. Of course, since the elastic member 74 appli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contracted, an external force should be applied to overco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그리고, 상기 제3연장판(66)의 돌출턱(76)이 상기 드로워(40) 측벽의 걸림턱(78)에 걸리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돌출턱(76)은 거치부재(50)의 길이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운동하려 하고, 반면에 상기 걸림턱(78)은 상기 돌출턱(76)의 운동을 방해하므로 상기 거치부재(50)의 연장된 길이가 유지된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jaw 76 of the third extension plate 66 is fixed to the engaging jaw 78 of the side wall of the drawer 40. At this time, the protruding jaw 76 tries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reduced, while the locking jaw 78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the protruding jaw 76 and thus the mounting member 50. The extended length of) is maintained.

이어서, 건조하고자 하는 피건조물을 상기 거치부재(50)의 상면에 거치한 후에 상기 드로워(40)를 상기 케이스(20)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인입한다. 상기 드로워(40)의 바퀴가 상기 케이스(20)의 가이드부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드로워(40)가 인입된다.Subsequently, after placing the dry object to be dr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50, the drawer 40 is slid into the case 20 and drawn in. The wheel of the drawer 40 is rotated in the guide portion of the case 20 so that the drawer 40 is retracted.

이후에 상기 열풍공급장치(22)가 구동되면서 상기 드로워(40) 및 상기 피건조물에 열풍을 공급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22)는 상기 드로워(40)의 상측에 열풍을 공급하므로 상기 피건조물은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에 거치되는 것보다 상기 열풍공급장치(22)에 인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효율이 향상된다.Thereafter,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is driven to supply hot air to the drawer 40 and the dry object. Since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supplies hot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40, the dry object is closer to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than to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40. . Therefore,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dried object is improved.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40)를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인출한 후 상기 피건조물을 상기 거치부재(50)로부터 제거한다.When drying of the dry items is completed, the power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s cut off. The drawer 40 is removed from the case 20, and then the dried object is removed from the mounting member 50.

한편,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힌지부(82)를 중심으로 상기 드로워(40)의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돌출턱(76)과 상기 걸림턱(78)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탄성부재(7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가 줄어든다. 이때, 상기 제3연장판(66)은 상기 제2연장판 홈(72)에 인입되고, 상기 제2연장판(64)은 상기 제1연장판 홈(70)에 인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member 50 is rotat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rawer 40 around the hinge portion (82). Then, as the protruding jaw 76 and the locking jaw 7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is reduc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4. In this case, the third extension plate 66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extension plate groove 72,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64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extension plate groove 70.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50)를 상기 드로워(40)의 바닥면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격벽(42)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드로워(40)를 상기 케이스(20)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인입한다.Then, the mounting member 5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40 and then closely attached to the partition 42. Subsequently, the drawer 40 is slid into the case 20 and drawn therein.

만약, 상기 드로워(40) 내에 보관해야하는 물건이 있다면 물건을 상기 드로워(40)에 수납한 채로 상기 드로워(40)를 상기 케이스(20)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인입할 수도 있다.If there is an object to be stored in the drawer 40, the drawer 40 may be slid into the case 20 while the object is stored in the drawer 40.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1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content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상기 거치부재(50)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시트(92)를 잡아당긴다. 상기 릴부재(90)의 스프링 등은 상기 연장시트(92)가 연장되지 않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므로 상기 연장시트(92)를 상기 릴부재(90)로부터 인출하려면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한다.To extend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50, the extension sheet 92 is pulled out. A spring or the like of the reel member 90 appli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extension sheet 92 does not extend, so that a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must be applied to withdraw the extension sheet 92 from the reel member 90.

상기 드로워(40)의 측벽에 구비된 상기 고정훅(98)에 연장시트(92)의 고리(96)가 삽입가능할 때까지 상기 연장시트(92)를 연장한다. 상기 고정훅(98)은 상 기 고리(96)를 고정하므로 상기 연장시트(92)가 상기 릴부재(9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해하며 상기 연장시트(92)의 연장된 길이를 고정한다.The extension sheet 92 is extended until the ring 96 of the extension sheet 92 is insertable into the fixing hook 98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drawer 40. Since the fixing hook 98 fixes the ring 96, the extension sheet 92 prevents the extension sheet 92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reel member 90 and fixes the extended length of the extension sheet 92.

이후에 건조가 수행되는 과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Thereafter, the drying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피건조물의 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드로워(40)를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인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리(96)를 상기 고정훅(98)으로부터 탈거하면, 상기 릴부재(90)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연장시트(92)는 상기 릴부재(90)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연장시트(92)의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After drying of the object is completed, the drawer 40 is withdrawn from the case 20. Next, when the ring 96 is removed from the fixing hook 98, the extension sheet 92 is introduced into the reel member 90 by the spring of the reel member 90, and the extension sheet 92 is introduced into the reel member 90. ) Decreases in length.

따라서, 상기 드로워(40)에 보관해야하는 물건을 상기 드로워(4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드로워(40)를 상기 케이스(20)에 인입시킨다.Therefore, an object to be stored in the drawer 40 can be stored in the drawer 40. Finally, the drawer 40 is introduced into the case 20.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본체를 제외한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except for the washing machine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a은 도 2의 정단면도.3A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도 3b는 도 3a에서 거치부재가 접힌 상태의 정단면도.Figure 3b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member folded in Figure 3a.

도 4a는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본체를 제외한 정단면도.Figure 4a is a front sectional view excluding the washing machine bod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4b은 도 4a에서 거치부재가 접힌 상태의 정단면도.Figure 4b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member folded in Figure 4a.

도 5는 거치부재의 높이에 따라 40분 동안 피건조물에서 제거되는 수분량을 나타낸 그래프.5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moisture removed from the dry matter for 40 minute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mounting memb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의류처리장치 10: 세탁장치본체100: clothes handling apparatus 10: washing machine body

20: 케이스 22: 열풍공급장치20: case 22: hot air supply

40: 드로워 42: 격벽40: drawer 42: bulkhead

50: 거치부재 68: 연장판50: mounting member 68: extension plate

74: 탄성부재 80: 제1실시예에서의 고정유닛74: elastic member 80: fixing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82: 힌지부 90: 릴부재82: hinge 90: reel member

92: 연장시트 99: 제2실시예에서의 고정유닛92: extension sheet 99: fixing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Claims (12)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본체;Washing machine body to perform the washing or drying; 상기 세탁장치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장치본체보다 부피가 작으며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A cas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and having a smaller volume than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and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상기 케이스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드로워;A drawer drawn into or out of the case and having a space in which a dry matter is received; 상기 공간을 좌우로 분할하는 격벽;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space from side to side; 상기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및Hot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space; And 상기 격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mounting member mounted to the partition to selectively extend or contra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며,The hot air supply device supplies hot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space, 상기 거치부재는 피건조물이 상기 열풍공급장치에 인접하도록,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the hold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such that a dry object is adjacent to the hot air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치부재는 서로 중첩되어 선택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가능한 복수 개의 연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ounting member is overlapping each other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extension plates that can be selectively stretched or shrunk.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가 수축되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ounting member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is contract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드로워 및 상기 연장판에는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wer and the extension plate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moun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장판에 구비된 돌출턱 및 상기 드로워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턱을 고정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fixing unit is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ding jaw provided on the extension plate and a locking jaw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drawer to fix the protruding jaw.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격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ounting member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fixed to the parti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연장판이 중첩되어, 상기 격벽에 밀착되어 접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Wherein the mounting member is overlapping,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hinge portion for rotating to fol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치부재는 릴부재 및The mounting member is a reel member and 상기 릴부재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가능한 연장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extension sheet capable of drawing in or out of the reel membe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드로워 및 상기 연장시트에는 상기 연장시트의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wer and the extension sheet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extension sheet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장시트에 구비된 고리 및 상기 드로워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고리에 고정되는 고정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fixing unit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provided in the extension sheet and a fixed hook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drawer is fixed to the hook.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연장시트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메시(mesh)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extension sheet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sh (mesh)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KR1020080004843A 2008-01-16 2008-01-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405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843A KR101405958B1 (en) 2008-01-16 2008-01-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843A KR101405958B1 (en) 2008-01-16 2008-01-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961A true KR20090078961A (en) 2009-07-21
KR101405958B1 KR101405958B1 (en) 2014-06-12

Family

ID=4133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843A KR101405958B1 (en) 2008-01-16 2008-01-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9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6786A (en) * 2018-01-08 2019-07-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drawer can automatic open-close Dual laundry machi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3596B2 (en) 2021-09-03 2024-01-16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assemblies for laundry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200Y1 (en) 2003-07-02 2003-10-08 윤석훈 shoes the preservable hygiene
KR101041904B1 (en) * 2004-06-04 2011-06-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apparatus
KR100710315B1 (en) 2006-07-25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6786A (en) * 2018-01-08 2019-07-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drawer can automatic open-close Dual laundry machines
CN110016786B (en) * 2018-01-08 2024-05-0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Duplex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ally openable dra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958B1 (en)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8321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060237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258690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841308B1 (en) laundry device
RU2576509C2 (en) Laundry treatment device
RU2405077C2 (en) Multifunctional machine for handling laundry
RU2405076C2 (en) Multifunctional machine for handling laundry and method of its control
RU2432424C2 (en) Domestic appliance
KR100857799B1 (en) Subsidiary drying apparatus
US8769997B2 (en) Laundry machine
EP194440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80024864A (en) The wash system which is composed of a furniture form
KR20090078961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60215440A1 (en) Clothes refreshing appliance
KR100808177B1 (en) Refresher
KR20100094678A (en) Complex washing machine
CN107130418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130180123A1 (en) Appliance having a drying rack
KR2009007896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96313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46775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20133473A (en) Clothes dryer
KR100873129B1 (en) laundry device
KR102070775B1 (en) Laundry machine
KR10210780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