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924A -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924A
KR20090078924A KR1020080004784A KR20080004784A KR20090078924A KR 20090078924 A KR20090078924 A KR 20090078924A KR 1020080004784 A KR1020080004784 A KR 1020080004784A KR 20080004784 A KR20080004784 A KR 20080004784A KR 20090078924 A KR20090078924 A KR 20090078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int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ocaplo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924A/ko
Publication of KR2009007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3Implementing client middleware, e.g.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은 적어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생성자를 생성하고,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상기 위치 생성자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위치 생성자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broadcasting receiver}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방송국 등에서 비디오, 오디오 방송 신호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방송 신호들을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데이터 방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플랫폼(platform)으로는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MHP(Multimedia Home Platform),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등이 있다. 일 예로, OCAP은 북미향 케이블 데이터 방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이고, MHP는 유럽향 데이터 방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이며, ACAP은 북미향 지상파 데이터 방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이다.
상기 OCAP에는 크게 3 종류의 OcapLocator format들이 정의되어 있다. 즉, 소스 식별자(Source ID)를 기반으로 정의된 Locators, 주파수(Frequency)와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를 기반으로 정의된 Locators, 그리고 서비스 이 름(Service Name)을 기반으로 정의된 Locators이다.
일 예로, 주파수(Frequency)와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 기반의 Locators는 국내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사용하고, 소스 식별자 기반의 Locators는 북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OcapLocator는 인터넷 웹브라우저에서 사용되고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미디어 소스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구현시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소스 식별자(Source ID)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및 서비스 이름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를 각각 구분해서 개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데이터방송 미들웨어를 북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했을때 많은 문제들이 발생할 것이다.
즉, 북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정보는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로부터 찾아야 하지만, 국내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는 주파수와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OcapLocator에서 찾기 때문에 상기 북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찾지 못하거나 잘못된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는 OcapLocator에 대해서 각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간에 호환성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간에 호환성을 갖는 위치 생성자를 정의하고, 이 위치 생성자를 각 데이터 방송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관련 플랫폼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은, 적어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위치 생성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위치 생성자를 참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위치 생성자를 정의하고, 각 데이터 방송 플랫폼에서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상기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위치 생성자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방송 미들웨어 간에 호환성을 갖게 되므로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구현시,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및 서비스 이름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를 각각 구분해서 개발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개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은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OcapLocator 생성자를 정의하고, 이 OcapLocator 생성자를 적용하여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찾도록 하는데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일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주파수, 프로그램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에도 대응할 수 있고, 소스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에도 대응할 수 있다. 상기 OcapLocator 생성자는 OcapLocator 클래스에 포함된다. 상기 OcapLocator는 인터넷 웹브라우저에서 사용되고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미디어 소스 또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다.
도 1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플랫폼(Platform)이 탑재된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102),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106),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107), 및 하드웨어 자원(108)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플랫폼(104) 사이에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은 크게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로 구분된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은, 일예로 오픈 케이블 방식에서 채택된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은, 일예로 OCAP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OCAP 어플리케이션은 OCAP에서 규정한 실행 환경과 API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OCAP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와 같이 설명하여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상기 OCAP(104)은 하드웨어 자원 및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 이션에 고수준 API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OCAP은 오픈 케이블 방식의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위해 탑재된다. 즉, 상기 OCAP은 케이블 방식의 양방향(interactive)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제작 기반이 되는 표준이다. 다시 말해, 상기 OCAP은 오픈 케이블 방식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규격이다.
상기 OCAP(104)은 실행 엔진(Execution Engine)과 표현 엔진(Presentation Engi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엔진은 자바(Java)로 작성된 어플리케이션을 해석하고 실행시키며, 표현 엔진은 HTML로 작성된 어플리케이션을 해석하고 실행시킨다. 상기 실행 엔진은 자바 버츄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 ; JVM)이라 하기도 한다. 일 예로, OCAP-J(자바)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들은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API를 사용한다. 즉, 모든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은 바로 하드웨어 자원을 다루지 않고, API를 통해서만 하드웨어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을 유지시킨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을 위해 OCAP(104)은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하드웨어 자원으로부터 분리시켜준다.
상기 OCAP(104)과 하드웨어 자원(106) 사이에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이 탑재된다. 상기 하드웨어 자원(106)은 TV 제조업자 등에 의해 초기 생산시부터 셋팅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 장치, 그래픽 장치, 방송 디코더, 통신 인터페이스, 튜너(Tuner), 저장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은 케이블 네트워크(110)를 통해 방송국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고, 초기 생산시부터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의 기능은,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이 제공하는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 예를 들어, AWT, HAVi 등등)에 의해 제한되는데, 사실상 상기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기의 거의 모든 하드웨어가 조작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는 예를 들어, 자바 클래스 패키지(Java class package)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은 모니터 어플리케이션(Monitor Application),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주문형 비디오(VOD), 및 기타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XYZ)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은 OCAP 표준에 정의된 API를 사용하는 서비스 운용 소프트웨어로서, 다른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시작과 종료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 등의 방송 수신기 자원에 대해서 여러 어플리케이션의 충돌이 생겼을 때 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거의 모든 수신기의 기능에 대해서 우선 제어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은 채널 관리, 케이블카드(만일 삽입되어 있다면)의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케이블카드가 삽입된 호스트에서의 기본 채널 전환 및 동작은 기본적으로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TV 구동이나 기타 부가적인 서비스(EPG, VOD) 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운로드받고 실행할 수 있다.
상기 EPG는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TV 가이드(Guide) 기능 뿐만 아니라, 채널 업/다운(up/down) 등의 방송 수신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는 Watch TV 프로그램의 성격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EPG를 이용하여, 페이 퍼 뷰(Pay-per-view)와 같은 유료 서비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VOD(Video-On-Demand)는 일반적인 VOD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RVOD(Real VOD), NVOD(Near VOD)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하드 디스크(Hard Disc)가 있을 경우, 상기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여, VOD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은, 전술한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같이 방송국 등에 의해 전송 및 다운로드 되는 프로그램이 아니고, 방송 수신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방송 수신기의 제작시부터 삽입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이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104) 및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통신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 예컨대 JNI(Java Native Interface)를 통한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OCAP 기반의 방송 수신기에서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정의하고, 이 OcapLocator 생성자를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소스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OcapLocator 생성자(constructor)를 정의한다. 여기서 각 OcapLocator 생성자는 상기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파라미터를 제외한 다른 파라미터의 포함 여부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하나 이상의 OcapLocator 생성자는 아래와 같이 OcapLocator 클래스에 추가할 수 있다.
기존의 OcapLocator 클래스에 존재하는 OcapLocator 생성자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modulationFormat)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modulationFormat)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modulationFormat, int[] PID,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modulationFormat, int eventID, int[] componentTags,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modulationFormat, short[] streamType, int[] index,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modulationFormat, short[] streamType, java.lang.String ISO639LanguageCode,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modulationFormat, java.lang.String componentName,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sourceID)
- OcapLocator(int sourceID, int[] PID,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sourceID, int eventID, int[] componentTags,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sourceID, short[] streamType, int[] index,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sourceID, short[] streamType, java.lang.String ISO639LanguageCode,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sourceID, java.lang.String componentName,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java.lang.String serviceName, int[] PID,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 클래스에 새롭게 추가되는 OcapLocator 생성자 : 도 2 참조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int[] PID,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int eventID, int[] componentTags,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short[] streamType, int[] index,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short[] streamType, java.lang.String ISO639LanguageCode,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java.lang.String componentName,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
도 2는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OcapLocator 포맷에 소스 식별자(Source ID)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OcapLocator 클래스를 생성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OcapLocator 클래스에 대응하는 OCAP URL form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program_number와 modulation_format 사이에 source id가 포함되어 OCAP URL form들이 기술되고 있다.
상기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int[] PID,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는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변조 포맷 정보, PID 정보, 이벤트 식별자(ID), 문자열 형태의 경로 세그먼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생성자이다.
상기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int eventID, int[] componentTags, java.lang.String pathSegments)는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변조 포맷 정보, 이벤트 식별자(ID), 컴포넌트 태그, 문자열 형태의 경로 세그먼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생성자이다.
상기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short[] streamType, int[] index,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는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변조 포맷 정보, 스트림 타입, 인덱스, 이벤트 식별자(ID), 문자열 형태의 경로 세그먼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생성자이다.
상기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short[] streamType, java.lang.String ISO639LanguageCode,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는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변조 포맷 정보, 스트림 타입, 문자열 형태의 언어코드, 이벤트 식별자(ID), 문자열 형태의 경로 세그먼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생성자이다.
상기 OcapLocator(int frequency, int programNumber, int sourceID, int modulationFormat, java.lang.String componentName, int eventID, java.lang.String pathSegments)는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변조 포맷 정보, 문자열 형태의 컴포넌트 이름, 이벤트 식별자(ID), 문자열 형태의 경로 세그먼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생성자이다.
상기 OcapLocator 생성자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OcapLocator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의 종류에 따라 OcapLocator 생성자는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즉,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이 탑재된 방송 수신기에서는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입력받고,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채널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소스 식별자를 읽어 와, 도 2와 같이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생성한다. 이후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도 2의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들 중 해당 OcapLocator 생성자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포맷에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를 추가하여 OcapLocator 생성자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소스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이 탑재된 방송 수신기에서는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입력받고,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채널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주파수와 프로그램 번호를 읽어 와,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생성한다. 이후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들 중 해당 OcapLocator 생성자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서 생성된 OcapLocator 생성자들이 기존의 OcapLocator 클래스에 추가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새로운 자바 클래스 패키지에 정의할 수도 있다. 즉, 새로운 OcapLocator 클래스 패키지를 정의하고, 이 OcapLocator 클래스 패키지 안에 새로운 OcapLocator 생성자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때 새롭게 정의된 OcapLocator 클래스 패키지 및 OcapLocator 생성자에 대해 새로운 명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단체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 내 하드웨어 자원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4는 튜너(tuner, 401), 복조기(demodulator, 402), 역다중화기(demultiplexer, 403), A(Audio)/V(Video) 디코더(404),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405), 어플리케이션 제어부(application control part, 406), SI 디코더(system information decoder, 408), SI 데이터베이스(system information database, 409), 캐로셀 디코더(carousel decoder, 410),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application database, 411), 저장부(NVRAM or flash memory, 412), 제어부(control part, 4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기의 외부에 보안 모듈(414)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는 채널 매니저(channel manager, 40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튜너(401)는 특정 채널의 주파수 튜닝을 통해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방송 신호는 복조기(402)로 전송한다. 이때, 튜너(401)는 채널 매니저(407)의 제어를 받을 수 있고, 상기 제어에 의해 수신 되는 신호의 결과(Result)와 강도(Strength)를 상기 채널 매니저(407)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A/V 방송 신호뿐만 아니라 데이터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는 데이터 방송 플랫폼(예를 들어, OCAP)에 의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 AIT)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복조기(402)는 상기 튜너(401)에서 튜닝되어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demodulating)하여 역다중화기(403)로 전송한다. 상기 복조기(402)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이다.
이때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은 전송 방식이 다르며, 상기 복조기(402)는 서로 다른 복조 방식의 신호에 대해서도 다른 복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 신호는 8VSB(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방식으로 복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케이블 방송 신호는 64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 256QAM 방식, 16VSB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상기 역다중화기(403)는 상기 복조기(402)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demultiplexing)할 수 있다. 즉, 상기 역다중화기(403)는 복조기(402)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데이터(data)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으며, 필터링된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는 A/V 디코더(404)로 출력하고,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는 캐로셀 디코더(41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역다중화기(403)는 SI 디코더(408) 및/또는 캐로셀 디코더(410)의 제어를 받아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403)는 채널 매니저(407)의 제어를 받아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역다중화기(403)는 해당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의 A/V PID(Packet IDentifier)가 설정(set)되면, 상기 A/V의 PID에 해당하는 elementary stream만을 A/V 디코더(404)로 각각 전송한다.
상기 A/V 디코더(404)는 상기 역다중화기(403)로부터 A/V의 elementary stream을 수신하여 해당 디코딩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한다. 그리고 A/V 디코더(404)에서 디코딩된 A/V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405)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05)는 상기 A/V 디코더(404)로부터 디코딩되어 입력되는 A/V 데이터가 비디오인 경우에는 스크린(screen)을 통하여, 오디오인 경우에는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5)는 스크린을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때 OSD(On Screen Display) 그래픽 데이터(graphic data)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403)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방송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들(tables)을 역다중화하여 SI(system information) 디코더(408)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다중화기(403)는 수신되는 각 테이블(table)에 공통되는 헤더(header) 부분을 검사함으로써 역다중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들은 A/V 방송 서비스를 위한 PSI/PSIP 테이블일 수도 있고,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일 수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 내 채널 매니저(407)는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채널 맵(channel map) 데이터베이스(407-1)를 관리하고, 상기 튜너(401)와 SI 디코더(408)를 제어하여 시청자의 채널 요구에 응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는 어플리케이션 상태(Application Status)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관리하고 데이터 방송과 관련된 OSD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는 채널 매니저(407)를 제어하여 채널 관련 운영(채널 맵 관리 및 SI 디코더 운영)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기 전체의 GUI 제어, 사용자 요구 및 방송 수신기 상태를 저장부(412)에 저장 및 복원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는 도 1의 실행 엔진에 해당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11)는 도 1의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102)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107)을 저장한다.
상기 채널 매니저(407)는 상기 SI 디코더(408)에 채널 관련 테이블의 파싱을 요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채널 맵(channel map)을 갱신하고, 채널 관련 테이블로부터 파싱하여 얻은 A/V PID를 상기 역다중화기(403)에 설정하여 역다중화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SI 디코더(408)는 상기 역다중화기(403)에서 출력되는 PSI/PSIP 관련 테이블 섹션을 파싱하는 SI 제어 모듈(Control Module)로서, 채널 매니저(407)의 제어를 받아 슬레이브 동작(Slave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SI 디코더(408)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PSI/PSIP 관련 테이블 섹션 을 파싱하기 위해 상기 역다중화기(403)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I 디코더(408)는 파싱된 정보를 SI 데이터베이스(409)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I 디코더(408)는 상기 역다중화기(403)에서 필터링하지 않거나, 필터링되지 못한 나머지 실제 섹션 데이터(actual section data) 부분을 파싱 즉, 모두 읽어서 상기 SI 데이터베이스(409)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I 디코더(408)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을 파싱하기 위해 상기 역다중화기(403)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I 디코더(408)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의 파싱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SI 디코더(408)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의 파싱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11) 또는 상기 저장부(412)에 저장할 수 있고, 업데이트(update)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SI 디코더(408)는 업데이트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부분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된 정보를 항상 최신의 것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로셀 디코더(410)는 상기 역다중화기(40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방송 관련 스트림 예를 들어, OCAP 어플리케이션을 디코딩하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캐로셀 디코더(410)는 상기 채널 매니저(407)의 제어에 따라 상기 SI 디코더(408)와 같이 슬레이브 동작(Slave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로셀 디코더(410)는 데이터 디코더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가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데이 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이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는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제공받고, 채널 맵 데이터베이스(407-1)에서 소스 식별자를 제공받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들 중 해당 OcapLocator 생성자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가 소스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이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는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제공받고, 채널 맵 데이터베이스(407-1)에서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를 제공받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6)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소스 식별자 기반의 OcapLocator 생성자들 중 해당 OcapLocator 생성자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즉, 국내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들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기반의 Locators를 사용할 수 있고, 북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들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기반의 Locators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데이터방송 미들웨어 간에 호환성을 갖게 되므로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구현시,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 송 미들웨어, 소스 식별자(Source ID)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및 서비스 이름 기반의 OcapLocator를 사용하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를 각각 구분해서 개발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방송 수신기는 외부에 연결된 보안모듈(414)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복조에 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조된 방송 신호에 스크램블이 걸려있으면, 상기 보안모듈(414)은 스크램블된 방송 신호에 대해 디스크램블을 수행하여 역다중화기(403)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안 모듈(414)은 제한 수신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 CA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기가 케이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면, 상기 보안모듈(414)은 케이블카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면 상기 보안모듈(414)은 스마트카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보안모듈(414)은 방송 수신기에 착.탈이 가능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안모듈(414)에 CAS를 구비하고, 상기 보안모듈(414)은 방송 수신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신호는 보안모듈(414)의 CAS를 통해 디스크램블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안 모듈(414)을 구비하는 대신, 방송국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CAS를 방송 수신기에 다운로드시켜, 기존의 CAS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방송국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CAS를 방송 수신기 내 소정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의 차이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변경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플랫폼 기반의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기반의 위치 클래스를 생성하는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위치 클래스에 대응하는 OCAP URL 형식(form)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 내 하드웨어 자원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 튜너 402 : 복조기
403 : 역다중화기 404 : A/V 디코더
405 : 디스플레이부 406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407 : 채널 매니저 408 : SI 디코더
409 : SI 데이터베이스 410 : 캐로셀 디코더
411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412 : 저장부
413 : 제어부 414 : 보안 모듈

Claims (6)

  1.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관련 플랫폼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생성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탐색시에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위치 생성자를 참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주파수, 프로그램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에서 주파수와 프로그램 기반의 위치 생성자를 입력받고,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스 식별자를 입력받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기반의 위치 생성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들의 포함 여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 생성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소스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에서 소스 식별자 기반의 위치 생성자를 입력받고,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주파수와 프로그램 번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기반의 위치 생성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프로그램 번호, 및 소스 식별자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들의 포함 여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 생성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오픈 케이블 방식의 데이터 방송을 위한 플랫폼(OCAP)이고, 상기 위치 생성자는 OcapLocator 생성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20080004784A 2008-01-16 2008-01-16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20090078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784A KR20090078924A (ko) 2008-01-16 2008-01-16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784A KR20090078924A (ko) 2008-01-16 2008-01-16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924A true KR20090078924A (ko) 2009-07-21

Family

ID=4133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784A KR20090078924A (ko) 2008-01-16 2008-01-16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9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67B1 (ko)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케이블 방송의 소프트웨어수신 방법
EP1365587B1 (en) System and Method to reference resources in a Television-Based Entertainment System
EP28651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ractive service
US20100122284A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US20080141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executing function of application appropriate to broadcast-receiving device
KR20080060818A (ko) 데이터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데이터 방송 신호를처리하는 방법
KR101964645B1 (ko) 수신 장치 및 그의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KR101741552B1 (ko) 확장된 서비스/프로그램 가이드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77146B1 (ko) 디지털방송수신장치
KR101046867B1 (ko) 수신된 서비스들과 관련하여 조건화된 실행 판정을수행하고 상기 서비스들과 관련된 정보 메시지들을생성하는 장치들과 방법들, 및 관련 제품들
EP1860878A2 (en) Broadcast receiver, data structure and method for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KR100736095B1 (ko) 실시간 동영상 스트림의 화면 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KR100719021B1 (ko) 케이블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맵 구성방법
JP5852217B2 (ja) デジタルテレビ用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システム、デジタルテレビ用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および該システムの実装方法
JP4845257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において展開する要約を伝送し処理する方法、並びに、かかるシステムの受信器及び送信器
EP1687981A1 (en)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of a target device using an extended identifier in digital broadcasting
KR20090078924A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1285663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방법
US20080008177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broadcast signal and method of processing the same
KR101259112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방법
US20070277207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channel information in broadcasting system
KR20100085311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처리 방법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080005692A (ko) 데이터 방송 신호, 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하는 장치
KR100840583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업그레이드 방법
KR20080073620A (ko) 데이터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