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599A -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599A
KR20090078599A KR1020080004509A KR20080004509A KR20090078599A KR 20090078599 A KR20090078599 A KR 20090078599A KR 1020080004509 A KR1020080004509 A KR 1020080004509A KR 20080004509 A KR20080004509 A KR 20080004509A KR 20090078599 A KR20090078599 A KR 20090078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put
shared
application program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701B1 (ko
Inventor
지홍근
허재형
이준우
김지혁
천희진
황병석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7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5Network adapters, e.g. SCI, Myr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은, 공유 실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 및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을 혼합한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공유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좀 더 자유롭게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자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간에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응용프로그램 실행 공유, 입력 출력 공유

Description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sharing program executing}
본 발명은 통신망 상의 단말끼리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사용 단말 간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 실행 및 출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각 단말의 입출력을 공유하여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징을 하거나, UCC를 공유하거나 P2P(peer to peer) 프로그램을 통하여 파일을 공유하는 서비스는 이미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프로그램 실행 자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상에서 단순한 인스턴트 메시지만을 교환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들의 요청에 부응할 수 없다.
단순한 파일교환을 넘어서는 사진공유 감상, 음악 공유 감상을 같이 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등은 현재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진 공유 감상 또는 음악 공유 감상 서비스 등은 사업자 측에서 정형화된 서비스 만이 가능할 뿐이 다. 즉, 사용자가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 자체를 공유하여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다.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들의 단말간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 실행의 입력 출력자체를 공유할 수 없어서 응용프로그램 등을 실시간 공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방의 단말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 및 입력을 쌍방의 단말이 공유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자체를 공유하여 보다 자유롭게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유 실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 및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을 혼합한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공유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은 공유 실 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 및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을 혼합한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공유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공유영역 내부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인 제1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고,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인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한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영역에서 출력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은 키보드 입력 또는 마우스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은 화면출력 또는 소리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입력은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공유영역 내부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공유 입력 생성하고,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공유제어부;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는 공유제어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 한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영역에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은 공유 실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공유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 및 공유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공유서버를 포함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출력하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공유서버가 상기 각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공유입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 내부에서 상 기 응용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고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상기 공유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상기 공유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서 출력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인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공유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공유입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은 키보드 입력 또는 마우스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출력은 화면출력 또는 소리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서버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제2 단말 측 입력 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은 실행 공유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방법에 있어서, [b]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단말에 공유영역 설정을 요청하여 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 제1 단말이 상기 공유영역에서 실행 공유할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제2 단말의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인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1 단말에서 입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인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공유입력을 기초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출력을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a] 상기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을 상기 단말에서 수행하게 할 수 있는 공유 프로그램이 상기 각 단말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프로그램이 상기 각 단말에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은 키보드 입력 또는 마우스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은 화면출력 또는 소리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은 실행 공유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방법에 있어서, [b]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공유를 관리하는 공유서버로 공유실행 요청을 하면,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제2 단말에 공유영역 설정을 요청하여 상기 제2 단말이 제2 단말 출력화면에 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 제1 단말이 상기 공유영역에서 실행 공유할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출력을 제2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제2 단말의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인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공유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공유서버가 제1 단말에서 입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인 제1 단말 측 입 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공유입력을 기초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출력을 제1 단말의 공유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공유입력을 기초로 실행된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여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a] 상기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을 상기 단말에서 수행하게 할 수 있는 공유 프로그램이 상기 각 단말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공유서버가 상기 공유 프로그램을 상기 각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는, 상기 공유서버가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목적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서버는, 제2 단말과 공유 실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2 단말 측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공유입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입력은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서버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을 위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간 통신채널을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에 의해 설정하고 유지하며,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공유관리부;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공유입력 생성부; 및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 채널로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기 간에 있어서,어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소정의 응용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공유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자체를 상대방 단말기와 함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각 공유 단말은 어느 일방에서만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함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렇게 조작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각자의 단말이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실시간 프로그램 공유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제1 단말(100)은 입력부(110), 공유제어부(120), 통신부(140) 및 출력부(130) 를 포함한다. 공유제어부(120)는 상기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공유영역 내부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시작하며, 공유 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입력부(110)는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고, 출력부(130)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하고, 통신부(140)는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제2 단말(200)은 입력부(210), 공유제어부(220), 출력부(230) 및 통신부(240)로 이뤄져 있다.
상기 공유제어부는 제2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 공유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230)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영역에서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210)는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는다.
상기 통신부(240)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다.
즉, 모든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은, 공유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한다. 즉, 상기 공유영역 안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에 한하여 단말 사용자들간 공유가 이뤄지게 되고 나머지 영역에 있는 프로그램 또는 화면의 출력은 공유되지 않게 된다. 공유영역 내부로 응용프로그램을 위치시키는 방법으로는 간단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이 쓰이게 될 수 있다. 즉, 프로그램을 끌어서 상기 공유영역에 위치시켜 공유영역 내부에 포함되는 경우 실행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제1 단말은 공유에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말로서 상기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한다. 즉,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출력을 수신하여 공유하며, 제2 단말로 입력되는 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보내 상기 프로그램을 제2 단말 사용자도 조작을 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단말에 입력되는 입력 중에서 공유영역내부에서 일어나는 입력 이벤트만을 수집하여 제1 단말의 공유영역 내부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입력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에서 직접 입력되는 입력신호도 상기 제2 단말의 입력과 함께 혼합되어 입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혼합입력을 공유입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공유입력은 소정의 기준으로 제1 단말 측 입력 및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입력시간 순서로 제1 단말 측 입력 및 제2 단말 측 입력을 순차 배열하여 제1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 로그램의 입력으로 입력할 수 있다. 만약 동시에 동일한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만 입력으로 채택되며, 동시에 다른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우선권을 갖는 단말의 입력이 먼저 입력되고 나머지 단말의 입력이 그 후에 입력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행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공하고 있는 제1 단말이 우선권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유 입력이 입력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공유 입력을 기초로 실행한다. 상기 출력은 제1 단말의 공유영역 내부에도 출력되지만, 제2 단말의 공유영역 내부에도 출력이 된다.
즉, 본 발명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실행 공유시스템은 단말의 입출력을 공유하는 특징이 있다.
이 때, 출력 공유는 제1 단말의 출력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2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실시간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므로, 스트리밍 방식의 출력공유가 바람직하다.
출력은 소리 출력 또는 화면 디스플레이 출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입력은 마우스 입력 또는 키보드 입력이 포함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이 공유서버를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즉, 공유서버(300)을 통하여 각 단말(100,200)들이 각 단말의 입출력을 공유하고 있다. 이처럼 공유서버를 별도로 둠으로써, 사업자 측면에서는 서비스의 관리, 단말기의 인증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통신채널의 신호지연으로 인한 공유품질의 저하의 문제점을 공유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일정부분 양 단말간의 입출력의 표준시점을 싱크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공유서버로 제1 단말 측 입력 및 제2 단말 측 입력이 수신되면 공유서버는 상기 입력을 바탕으로 상기의 공유입력을 생성한다. 제1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출력결과를 수신하여 제2 단말로 전송하여 준다.
공유서버는 제1 단말로부터 공유요청을 받고서, 공유를 위한 제1 단말 및 제2 단말과의 통신채널을 설정하고 관리하며, 상기 단말들이 서비스 가입된 단말인지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단말의 입력을 모두 서버에서 수집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여 제1 단말로 송신하고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입력간의 시간 선후가 통신채널의 지연 때문에 뒤바뀌게 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제2 단말의 입력신호정보에 입력된 시각 정보를 포함시켜 보내는 경우에는 각 단말간의 입력시간 선후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공유입력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최초에 공유단말간에 공유요청이 들어오면 각 공유단말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을 컴퓨터 상에서 실시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각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지 검사한 후,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을 설치한다(S110). 이러한, 프로그램 설치는 각 단말에 미리 해당 파일을 설치해 놓고 상기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공유서버를 별도로 구비하여 공유서버에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공유를 수행하는 공유영역을 각 단말의 화면에 소정의 영역으로 설정한다. 상기 공유영역 내부에서 제1 단말은 공유실행할 대상인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출력은 공유 이용단말에 제공된다. 제2 단말은 상기 출력을 제공받아서 자신의 공유영역에 출력한다. 제2 단말 측 사용자가 상기 출력을 기초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대하여 원하는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을 상기 제2 단말에 입력한다. 상기 제2 단말에 입력된 제2 단말 측 입력은 상기 제1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제1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에 입력으로 입력된다. 물론, 제1 단말에서 직접 입력되는 제1 단말 측 입력도 상기 제2 단말 측의 입력과 시간 순서로 순차 배열되어 공유입력으로 변환되고, 상기 공유입력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입력으로 입력된다.
최종적으로는 상기 공유입력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고 계속하여 그 출력을 상기 제2 단말 및 제1 단말이 공유하여 각 단말 공유영역 내부에서 출력을 공유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서버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4의 공유서버(300)은 통신부(310), 공유관리부(320) 및 공유입력 생성부(3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공유서버는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과 연결되고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공유관리부의 제어를 통하여 제1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공유관리부(320)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을 위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간 통신채널을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에 의해 설정하고 유지하며,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각 단말의 입출력의 송수신을 제어 관리한다.
상기 공유입력 생성부(330)는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한다. 각 단말의 입력의 입력시각은 각 입력신호의 도착시각에서 해당 통신채널 지연시간 평균을 감산하거나, 상기 입력신호 자체에 입력시각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송신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5는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공유 서버(3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공유서버는 각 단말의 입력을 수신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고, 제1단말 출력을 상대 단말에 전달하여 프로그램의 공유를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4의 공유영역은 제1 단말 및 제2 단말 모두에 동일하게 설정된다. 공유영역 내부에 브라우저 또는 공유하고 싶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러한 응용프로 그램을 실행시키는 단말이 본 발명의 제1 단말이 된다. 이렇게 제1 단말에서 공유영역 내부에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놓으면 그 출력결과는 공유서버를 통하여 제2 단말에 전송되고 이러한, 출력결과는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도 동일하게 출력된다. 상기에서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서 출력되는 공유 화면을 통하여 제2 단말(사용자 B)은 자신이 원하는 입력을 제2 단말에 입력한다. 이러한 제2 단말 측 입력은 공유서버를 통하여 제1 단말(사용자 A)에 제공된다.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단말 측 입력과 시간순서로 순차 배열되어 공유입력으로 변환되고, 공유영역 내부에서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에 응용프로그램의 입력으로 입력된다.
도6도 도5와 같이 사용자 A 및 사용자 B의 공유영역이 설정된 상태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공유실행하고 있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방의 단말기에서 타방의 단말기로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공유실행하는 구성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쌍방의 공유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구성을 대칭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쌍방간의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여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구성을 동시에 구비하고 제2 단말은 제1 단말의 구성을 동시에 구비하게 되면 쌍방 공유가 가능해진다.
즉, 사용자A가 제공하는 사진 재생 프로그램과 사용자B가 제공하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A,B가 동시에 공유영역 내부에서 각자 실행하여 상대 단말과 입출력을 공유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쌍방에서 공유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유 실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 및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을 혼합한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공유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 등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기 간에 어느 단말에서 실행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 등을 상대방 단말기와 함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각 공유 단말은 대상 프로그램을 함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렇게 조작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각자의 단말이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실시간 응용프로그램 공유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응용프로그램 실행을 사용자 단말간에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엔터테인먼트 산업분야 등에 유용한 발명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2은 본 발명의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중에서 공유서버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제1 단말 110: 입력부
120: 공유제어부 130: 출력부
140: 통신부 200: 제2 단말
210: 입력부 220: 공유제어부
230: 출력부 240: 통신부
300: 공유서버 310: 통신부
320: 공유관리부 330: 공유 입력 생성부

Claims (24)

  1. 공유 실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 및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을 혼합한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공유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공유영역 내부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인 제1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고,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인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한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영역에서 출력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키보드 입력 또는 마우스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화면출력 또는 소리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입력은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공유영역 내부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공유 입력 생성하고,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공유제어부;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는 공유제어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영역에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8. 공유 실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공유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 및 공유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공유서버를 포함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출력하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공유서버가 상기 각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공유입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 내부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상기 제1 단말의 공유영역으로 출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입력 받고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상기 공유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상기 공유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 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서 출력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입력인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공유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공유입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키보드 입력 또는 마우스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출력은 화면출력 또는 소리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서버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13. 실행 공유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방법에 있어서,
    [b]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단말에 공유영역 설정을 요청하여 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 제1 단말이 상기 공유영역에서 실행 공유할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제2 단말의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인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1 단말에서 입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인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공유입력을 기초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출력을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a] 상기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을 상기 단말에서 수행하게 할 수 있는 공유 프로그램이 상기 각 단말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프로그램이 상기 각 단말에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키보드 입력 또는 마우스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화면출력 또는 소리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19. 실행 공유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유 실행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제2 단말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 방법에 있어서,
    [b]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단말 출력화면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공유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인 공유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공유를 관리하는 공유서버로 공유실행 요청을 하면,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제2 단말에 공유영역 설정을 요청하여 상기 제2 단말이 제2 단말 출력화면에 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 제1 단말이 상기 공유영역에서 실행 공유할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공유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출력을 제2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제2 단말의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인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공유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공유서버가 제1 단말에서 입력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인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공유입력을 기초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출력을 제1 단말의 공유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공유입 력을 기초로 실행된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여 제2 단말의 공유영역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a] 상기의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을 상기 단말에서 수행하게 할 수 있는 공유 프로그램이 상기 각 단말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공유서버가 상기 공유 프로그램을 상기 각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공유서버가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방법.
  22. 제2 단말과 공유 실행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2 단말 측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혼합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공유입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입력은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서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서버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공유 실행을 위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간 통신채널을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에 의해 설정하고 유지하며,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공유관리부;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 및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입력된 시간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공유입력을 생성하는 공유입력 생성부; 및
    상기 제1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측 입력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공유입력을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서버.
KR1020080004509A 2008-01-15 2008-01-15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0957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509A KR100957701B1 (ko) 2008-01-15 2008-01-15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509A KR100957701B1 (ko) 2008-01-15 2008-01-15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599A true KR20090078599A (ko) 2009-07-20
KR100957701B1 KR100957701B1 (ko) 2010-05-12

Family

ID=4133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509A KR100957701B1 (ko) 2008-01-15 2008-01-15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7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616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클라이언트 간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130067464A (ko) * 2011-12-14 2013-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통해 조작이 가능한 차량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49168B1 (ko) * 2011-11-29 2014-01-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시뮬레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93729B1 (ko) * 2014-10-27 2015-02-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5178574A1 (en) * 2014-05-22 2015-11-26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EP3016360A1 (en) * 2014-11-03 2016-05-0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uxiliary terminal and vehicle
KR20200129932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티맥스에이앤씨 공동 편집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 및 서버
KR20210007936A (ko) * 2020-12-31 2021-01-20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426B1 (ko) * 1996-07-11 1999-08-16 진교문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을 상호참여형 응용프로그램으로 전환시키는응용프로그램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616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클라이언트 간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349168B1 (ko) * 2011-11-29 2014-01-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시뮬레이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7464A (ko) * 2011-12-14 2013-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통해 조작이 가능한 차량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78574A1 (en) * 2014-05-22 2015-11-26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50134663A (ko) * 2014-05-22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17895B2 (en) 2014-05-22 2018-03-13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93729B1 (ko) * 2014-10-27 2015-02-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EP3016360A1 (en) * 2014-11-03 2016-05-0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uxiliary terminal and vehicle
US9544414B2 (en) 2014-11-03 2017-01-10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uxiliary terminal and vehicle
KR20200129932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티맥스에이앤씨 공동 편집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 및 서버
KR20210007936A (ko) * 2020-12-31 2021-01-20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회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701B1 (ko)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701B1 (ko) 단말간 응용프로그램 공유실행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115463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real time communication features in applications
US8271649B2 (en) Access rights used for resource discovery in peer-to-peer networks
EP15366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s using a peer-to-peer protocol
KR101518992B1 (ko) 모바일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83636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GB2469468A (en) Identifying recipient nodes in P2P communications
KR101933466B1 (ko) 개인망을 이용한 컴포넌트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3026844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electing relay device in conferencing system, and carrier medium
Liang et al. Ndnizing existing applications: Research issues and experiences
US11483681B2 (en) Special effect synchroniz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080133723A1 (en) Extended hom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nded home service on p2p networks
KR101587500B1 (ko)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 협업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Ådahl Shared resource for collaborative editing over a wireless network
EP2819347B1 (en) Network administration termina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243616B2 (ja) オンラインサービスシンジケーション
CN103546717A (zh) 音视频会议连接的建立方法及装置
KR20120050367A (ko) 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1506200A (ja) プロトコル互換性が向上したptt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ptt通信方法
JP200905395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8107671A1 (zh) 一种共享认证方法及系统、智能设备及控制方法
US20170104763A1 (en) Presentation device and presentation device coordination
WO2012110804A1 (en) Telecommunication with associated data communication
EP3029882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stination for state information and carrier means
EP2677688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ata transmission,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