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189A - 목재 방화도어 - Google Patents

목재 방화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189A
KR20090078189A KR1020080004009A KR20080004009A KR20090078189A KR 20090078189 A KR20090078189 A KR 20090078189A KR 1020080004009 A KR1020080004009 A KR 1020080004009A KR 20080004009 A KR20080004009 A KR 20080004009A KR 20090078189 A KR20090078189 A KR 20090078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ood
fire
support frame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00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189A/ko
Publication of KR20090078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4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wooden panels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actuated in response to heat, e.g. with fusible element, bimetal, memory shape or swell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방화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다각형의 목재 프레임; 상기 목재 프레임의 각 내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프레임; 에지부가 상기 보강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방화유리; 및 상기 보강프레임과 방화유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화유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는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며, 화재 발생시 방화유리의 깨짐 및 이탈을 방지한다.
방화도어, 방화유리, 지지프레임, 불연성 테이프, 탄성체

Description

목재 방화도어{Wood type fireproof door}
본 발명은 목재 방화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고, 화재 발생시 방화유리의 깨짐 및 이탈을 방지하며, 방화구조가 개선된 목재 방화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이라 함은 불에 견디는 성능을 지닌 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에 불이 났을 때 사람들이 대피하는 시간을 벌어주며, 불이 옮겨 붙는 것을 차단하거나, 옮겨 붙는 시간을 늘리거나, 불에 일정 시간이상 견디도록 만들어진 문을 말한다.
한편, 최근 아파트 등의 공동 주거 건물의 발코니 확장이 합법화되면서 별도의 대피공간 설치가 의무화 되었고, 대피공간 및 실내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방화성능이 1시간 이상의 비차열 성능을 갖도록 하는 갑종 방화문의 성능 기준이 법제화 되었다.
종래의 실내도어는 목재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하였는데, 이러한 목재나 합성수지 소재의 실내도어는 화재발생시 단시간에 소실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화염 및 연기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보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방화유리를 적용하여 1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을 갖는 방화문은 주로 철재 프레임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철재 방화문을 실내도어에 적용하면 화염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나, 목재로 이루어진 실내와의 이질감으로 인해 인테리어성 부여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철재 방화문은 실내도어에 적용하기에 시공이 어렵고, 철재 고유의 차가운 느낌으로 인해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에 착안하여 유럽에서는 유리를 적용한 목재 방화문이 일부 상용화되고 있으나, 1 시간이상의 내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적 변형이 없는 차열 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는 1 시간 이내의 성능만을 확보하는 방화문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차열 유리는 고가여서 원가부담이 크고, 수급에도 한계가 있어 널리 상용화하기에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방화유리의 깨짐 및 이탈을 방지하여 내화성능이 우수하고, 실내 인테리어와 접목이 가능한 목재 방화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는 다각형의 목재 프레임; 상기 목재 프레임의 각 내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프레임; 에지부가 상기 보강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방화유리; 및 상기 보강프레임과 방화유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화유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는 화재 발생시 방화유리의 깨짐 및 이탈을 방지하여 내화성능이 우수하고,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룬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C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에 장착된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는 다각형의 목재 프레임(110)과 상기 목재 프레임 내측에 배치, 고정된 방화유리(10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는 상기 목재 프레임(110)의 각 내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는 상기 보강프레임(140)과 방화유리(101)사이에 배치되어, 방화유리(10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각형의 목재 프레임(110)은, 틀 형상의 심재(111) 및 상기 심재(111)의 전후면에 부착되는 표면재(112)를 포함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재(111)는 틀 형상으로 제작되고, 내고온성 및 내단열성이 우수하며 고강도의 경량인 고밀도 규산 칼슘 무기질 내화 각재 또는 마그네슘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재(112)는 중밀도 섬유판 또는 고밀도 섬유판인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재(114)는 목재 방화도어(100)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외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으로 양각 또는 음각 가공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는 목재 프레임(110)의 심재(111) 외곽 둘레면 내측에 팽창성 방화재(113)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팽창성 방화재(113)는 그라파이트계 발포시트 또는 발포성 난연 시트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그라파이트계 발포시트로 형성된다.
상기 팽창성 방화재(113)는 상온에서 약 1.5 mm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소정의 온도에서 발포가 시작되어 최대 10배 이상으로 팽창함으로써, 목재 방화도어(100)와 문틀(도시하지 않음)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연기 또는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를 구성하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목재 프레임(110)의 각 내면에 체결수단으로 고정된 제 1 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제 2 지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목재 프레임(110)의 각 내면에 고정되는 제 1 부분(121), 상기 제 1 부분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부분(122) 및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방화유리(101)를 향하여 절곡된 제 3 부분(1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프레임(130)은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프레임(120)의 제 1 부분(121)에 고정된 제 1 부분(131) 및 상기 제 1 부분(131)에서 연장되어 방화유리를 향하여 절곡된 제 2 부분(13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140)은 상기 탄성체(150)를 밀착 수용하는 제 1 부분(141) 및 상기 제 1 부분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을 향하여 각각 절곡된 제 2 부분(14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프레임(140)은 제 2 부분(142)이 상기 제 1 지지프레임(120)의 제 3 부분(143) 및 제 2 지지프레임(130)의 제 2 부분(132) 상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20, 130)은 목재 프레임(110)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보강프레임(140)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는 상기 보강프레임 (140)내부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50)는 다수의 단위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방화유리(101)의 에지부에 접촉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50)는 방화유리(101)의 에지부에 대응되는 제 1 부분(151), 제 1 부분(15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방화유리(101)의 양 측면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부분(152) 및 제 2 부분(152)의 종단에서 방화유리(101)를 향하여 절곡되어 방화유리(101)의 표면과 접촉하는 제 3 부 분(153)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50)의 제 1 부분(151) 및 제 2 부분(152)이 전술한 보강 프레임(140)의 제 1 부분(141)에 밀착 수용되며, 탄성체의 제 3 부분(153)은 방화유리(101)의 에지부를 접촉 지지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온도가 높아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방화유리(101)의 에지부를 탄성 지지하여 방화유리(101)의 깨짐 등을 방지한다.
또한 방화유리(101)가 화재 시 유동을 하며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에, 방화유리가 깨지지 않도록 방화유리의 종단에 대응하는 제 1 부분(151) 및 방화유리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제 2 부분(152)은 방화유리(201)와 충분한 유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체(150)는 제 3 부분(153)에 다수의 홈(15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150)의 절곡된 제 3 부분(153)에 다수의 홈(154)을 형성하는 것은, 탄성체(150)가 방화유리(101)의 유동으로 인해 절곡된 제 3부분의 일부가 파손되어 방화유리(101)를 지지하지 못하더라도 나머지 절곡된 부분들은 방화유리(10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150)는 탄성을 가진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금속판은 스프링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지지 프레임(120, 130) 및 보강 프레임(140)은 탄성을 가진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특히 상기 금속판은 아연 도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는 상기 각 지지프레임(120, 130)과 목재 프레임(110)의 경계부에 고정된 난연목재층(102)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계부를 난연목재(102)를 사용하여 마감함으로써, 각 지지프레임(120, 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효과가 높아진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7 은 도 6 의 D 부분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8 은 도 6 의 선 E-E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 는 도 7 의 F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200) 역시 다각형의 목재 프레임(210)과 상기 목재 프레임 내측에 배치 고정된 방화유리(20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200)는 상기 목재 프레임(210)의 각 내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프레임(2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200)는 상기 보강프레임(240)과 방화유리(201) 사이에 배치되어 방화유리(20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250)를 포함한다.
상기 다각형의 목재 프레임(210)은, 틀 형상의 심재(211) 및 상기 심 재(211)의 전후면에 부착되는 표면재(212)를 포함하며, 외곽 둘레면 내측에는 팽창성 방화재(213)가 삽입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200)를 구성하는, 심재(211), 표면재(222), 팽창성 방화재(213), 탄성체(250)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도 1 내지 도 5 를 통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의 구성 부재의 세부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와 비교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200)의 가장 큰 특징은 지지프레임 및 보강프레임의 세부 구성 및 연결관계를 달리 한 것이다.
도 7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은 목재 프레임(210)의 각 내면에 고정수단을 통하여 고정된 연결 프레임(220)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 측부에 고정되며, 방화유리(201)를 향하여 연장된 2 개의 연장편(2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200)를 구성하는 보강프레임(240)은 지지프레임의 연장편(230) 내면에 고정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200)는 상기 보강프레임(240)과 각 연장편(230) 사이에 배치된 불연성 테이프(2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불연성 테이프(260)는 불에 잘 타지 않으며,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 및 각 연장편(220, 230)은 화재 발생시 열전도가 많이 일어나는 금속 재질이며. 상기 불연성 테이프(260)는 연장편(230)과 보강프레임(240) 사이에 배치되어, 연장편(230)으로부터 보강프레임 (240)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고, 그 결과 목재 방화도어(200)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특히, 상기 불연성 테이프(260)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연장편(230)과 보강프레임(240) 사이에 배치된 두께만큼의 탄성력을 갖게 되며, 상기 방화유리(201)가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 소정의 유격을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200)를 구성하는 연장편(230)은 자유단부가 방화유리(201)를 향하여 절곡되어, 화재 시 고온의 방화유리(201)를 지지하는 탄성체(250) 및 보강프레임(240)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목재 방화도어(100, 200)는 화재 발생시 방화유리(101, 201)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방화유리(101, 201)의 에지부를 탄성 지지하여, 방화유리(101, 201)의 깨짐 또는 탄성체(150, 250)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100, 200)는 목재 프레임(110, 210)이 전술한 규산 칼슘 무기질 내화각재로 제작되어 우수한 내화성능을 발휘한다.
아울러, 다양한 인테리어 디자인의 접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디자인을 갖는 목재 방화도어(100, 200)를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의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C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에 장착된 탄성체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도어의 정면도.
도 7 은 도 6 의 D 부분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8 은 도 6 의 선 E-E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9 는 도 7 의 F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

Claims (11)

  1. 다각형의 목재 프레임;
    상기 목재 프레임의 각 내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보강프레임;
    에지부가 상기 보강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방화유리; 및
    상기 보강프레임과 방화유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화유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목재 방화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제 1 지지프레임 및 제 2 지지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은 상기 목재 프레임의 각 내면에 고정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에서 연장되어 방화유리를 향하여 절곡된 제 3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제 1 부분에 고정된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에서 연장되어 방화유리를 향하여 절곡된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은 상기 탄성체를 밀착 수용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을 향하여 각각 절곡된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의 제 2 부분이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제 3 부분 및 제 2 지지프레임의 제 2 부분 상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목재 프레임의 각 내면에 고정된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양 측부에 고정되며, 방화유리를 향하여 연장된 2 개의 연장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장편은 자유단부가 방화유리를 향하여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6. 제 4 항에 있어서,
    보강프레임과 각 연장편 사이에 배치된 불연성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다수의 단위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방화유리의 에지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방화유리의 에지부에 대응되는 제 1 부분, 제 1 부분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방화유리의 양 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 2 부분 및 제 2 부분의 종단에서 방화유리를 향하여 절곡되어 방화유리의 표면과 접촉하는 제 3 부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3 부분에 다수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목재 프레임의 경계부에 고정된 난연목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프레임의 외곽부 내측에는 팽창성 방화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프레임은 틀 형상의 심재 및 상기 심재의 전후면에 대응되는 표면재를 포함하여,
    상기 심재는 고밀도 규산칼슘 무기질 내화각재 또는 마그네슘재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재는 중밀도 섬유판 또는 고밀도 섬유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도어.
KR1020080004009A 2008-01-14 2008-01-14 목재 방화도어 KR20090078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09A KR20090078189A (ko) 2008-01-14 2008-01-14 목재 방화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09A KR20090078189A (ko) 2008-01-14 2008-01-14 목재 방화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189A true KR20090078189A (ko) 2009-07-17

Family

ID=4133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009A KR20090078189A (ko) 2008-01-14 2008-01-14 목재 방화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1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0984A (zh) * 2021-11-03 2022-03-08 赵欣豪 一种钢质防火门
CN114396222A (zh) * 2022-01-18 2022-04-26 浙江天元门业有限公司 一种用于管廊的防火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0984A (zh) * 2021-11-03 2022-03-08 赵欣豪 一种钢质防火门
CN114396222A (zh) * 2022-01-18 2022-04-26 浙江天元门业有限公司 一种用于管廊的防火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731685T3 (pl) Izolowana termicznie elewacja budynku z wentylacją pustki powietrznej
US20100175322A1 (en) Fireproof door
JP5746961B2 (ja) 建具
KR101832383B1 (ko) 목재 난연도어
KR101870772B1 (ko) 내화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방화문 구조체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0922200B1 (ko) 방화문
KR101398423B1 (ko) 뒤틀림 방지 불연성 패널을 적용한 방화문
KR200446082Y1 (ko) 목재 방화문 시스템
KR100777422B1 (ko) 목질계 방화도어
KR101281411B1 (ko) 목재 방화도어
KR20090078189A (ko) 목재 방화도어
KR101281365B1 (ko) 목재 방화도어
JP2015190298A (ja) サッシ窓
KR100726627B1 (ko) 방화난간의 구조
KR100604411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KR102255679B1 (ko) 패널 어셈블리
KR101560768B1 (ko) 목재 방화도어
KR200331768Y1 (ko) 실내도어의 방화구조
KR101281366B1 (ko) 목재 방화도어
JP7304751B2 (ja) 断熱パネルで構成された壁の耐火被覆構造
KR102175746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외벽용 단열패널
CN101781964A (zh) 防火门
KR200183493Y1 (ko) 방화기능을 갖는 실내도어
KR102546819B1 (ko) 친환경성을 갖춘 준불연 방화문
CN212046257U (zh) 一种阻燃墙布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