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146A -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146A
KR20090077146A KR1020080002931A KR20080002931A KR20090077146A KR 20090077146 A KR20090077146 A KR 20090077146A KR 1020080002931 A KR1020080002931 A KR 1020080002931A KR 20080002931 A KR20080002931 A KR 20080002931A KR 20090077146 A KR20090077146 A KR 20090077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cording
authority
server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열
이대종
강만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7146A/ko
Publication of KR2009007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컨텐츠 기록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방법은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받는 제2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복호화 키를 수신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복호화 키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정당 사용자만이 컨텐츠 기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02931
컨텐츠, 복호화 키, 기록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recording or providing content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정당 사용자만이 컨텐츠에 대한 복호화 키를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이를 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티브이, DVD 플레이어, 컴퓨터 등 각종 미디어 신호 기록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신호 기록 장치는 각종 컨텐츠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텍스트 신호 등의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방송 수신기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신호 기록 장치는 수신된 컨텐츠를 미디어 신호 기록 장치 내부에 기록하거나 기록 장치에 삽입된 기록 매체 등에 기록한 후 이를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BD(Blue-ray Disc) 등이 있다. 컨텐츠 이용료가 유료인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소정의 사용료 등을 지불한 후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이를 이용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고 가벼워 이동성이 높다. 따라서, 유료로만 사용할 수 있는 컨텐츠가 기록 매체에 불법으로 복제될 경우, 컨텐츠 제공자에게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은 제3 자에게 컨텐츠가 배포될 수 있어 컨텐츠의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방안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호화 키를 정당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당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컨텐츠 기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정해진 횟수까지만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컨텐츠 기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결합한 기록 장치에서 수행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받는 제2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복호화 키를 수신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복호화 키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에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부여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 기록이 허여된 총 횟수를 나타내는 총 기록 허여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이전 기록 횟수가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상기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스크 키로 생성된 복호화 키를 활성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 이후, 상기 복호화 키를 상기 기록 장치 내부의 상기 활성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하여 기록 장치와 결합한 서버에서 수행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호화 키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결합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저장하고,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를 추출하고,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복호화 키를 상기 컨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컨텐츠 기록 처리부 및 상기 기록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디스크 키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상기 서버에 전송토록 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호화 키를 상기 컨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하여 기록 장치와 결합한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기록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는 복호화 키 생성부 및 상기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디스크 키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권한이 있는지 확인토록 하고, 상기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복호화 키를 생성토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결합한 기록 장치에서 수행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받는 제2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복호화 키를 수신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복호화 키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하여 기록 장치와 결합한 서버에서 수행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호화 키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호화 키를 정당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당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컨텐츠 기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정해진 횟수까지만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컨텐츠 기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시스템은 기록 장치(100), 서버(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기록 장치(1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서버(200)와 결합되어 있다. 통신망(3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기록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장치로 디지털 티브이, 컴퓨터,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기록 장치(100)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록 장치(100)는 재생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기록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방송국이나 일반 컨텐츠 생성 업체 등의 컨텐츠 제공자가 운영하는 것으로, 서버(200)에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또는 이들에 대한 메타데이터 신호 등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추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에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서버(200)가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서버(2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기록 매체에 컨텐츠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발급받고, 이후, 서버(200)로부터 발급받은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서버(200)에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기록 권한이 있음을 확인받는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 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가 소정 횟수만큼 소정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를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는 것은 단순히 암호화된 컨텐츠만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암호화된 컨텐츠 외에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기록 매체에 함께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컨텐츠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은 후에 재생 장치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함이므로, 컨텐츠 재생을 위한 복호화 키가 컨텐츠와 함께 기록되는 경우에만 컨텐츠 기록이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서버(200)에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부여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서버(200)가 요청하는 인적 정보, 기록하려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를 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는 기간이나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다. 서버(200)는 저장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동일한 내용의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기록 장치(100)에 전송한다. 서버(200)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저장하는 것은, 후에 사용자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제시할 경우, 사용자가 제시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가 서버(200)가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했던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동일한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컨텐츠 기록이 허여된 총 횟수를 나타내는 총 기록 허여 횟수를 포함한다. 컨텐츠 사용이 유료인 경우, 사용자는 서버(200)에 결제 정보 등을 전송하여 결제가 완료된 후, 서버(200) 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결제 정보는 사용자의 주민등록 번호, 거래 은행에 대한 정보, 신용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핸드폰을 이용하여 결제하려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 등이 될 수도 있다.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되어 있는 총 기록 허여 횟수는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는 최대 횟수가 몇 회 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사용자는 소정의 컨텐츠를 총 기록 허여 횟수만큼만 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다. 총 기록 허여 횟수는 서버(200)에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생성을 요청할 때 사용자가 요청한 기록 횟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상응하여 서버(200)로부터 부여되는 횟수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발급받은 이후, 컨텐츠를 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서버(200)에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기록 권한이 있음을 확인해 줄 것을 요청해야한다.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컨텐츠 기록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및 그 권한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기록 장치(100)를 이용하여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함께 또는 별도로, 컨텐츠를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기록 장치(100)가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했던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서버(200)에 전송해야 한다. 디스크 키는 디스크별로 부여된 디스크 고유의 값으로, 암호화된 타이틀 키를 해독하기 위한 정보이다. 타이틀 키는 타이틀마다 부여된 고 유의 값으로, 하나의 타이틀 전체 혹은 하나의 타이틀의 일부에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값이다. 타이틀 키는 타이틀의 헤더 섹션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디스크 키로 암호화한 값을 복호화 키라고 부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타이틀은 컨텐츠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및 이들에 대한 메타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에서 타이틀 또한 비디오 신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오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및 이들에 대한 메타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기록 장치(100)는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누적하여 기록한다. 이는 사용자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총 기록 허여 횟수를 초과하여 컨텐츠 기록을 수행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동일한 컨텐츠를 새로운 디스크에 기록하려고 할 경우, 기록 장치(100)는 이전 기록 횟수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지를 계산하고,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 경우에만 서버(200)에 디스크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의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컨텐츠를 식별하고 이를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서버(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호화 키를 생성하는 경우, 그 횟수를 누적하여 기록한다. 즉, 서버(200)는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가진 정당 사용자가 서버(200)에 디스크 키를 전송하여 복호화 키 생성을 요청하면 사용자가 전송한 디스크 키로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이를 기록 장치(100)에 전 송함과 동시에, 복호화 키 생성 횟수를 누적하여 기록한다. 서버(200)는 기 저장된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총 기록 허여 횟수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전 기록 횟수보다 많은 경우에만 복호화 키를 생성한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전 기록 횟수가, 서버(200)가 복호화 키를 생성할 때마다 누적하여 기록한 복호화 키 생성 횟수와 동일한 경우에만 새로운 복호화 키 생성 요청에 상응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한다. 서버(200)는 생성된 복호화 키를 기록 장치(100)에 전송한다.
기록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키를 활성 메모리(미도시)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기록 장치(100)는 컨텐츠를 복호화 키와 함께 소정의 디스크에 기록한 후, 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복호화 키를 삭제한다. 기록 장치(100)는 디스크에 컨텐츠를 기록한 이후, 디스크를 기록한 횟수를 1회 더 누적하여 기록한다. 기록 장치(100)는 디스크 기록 횟수가 총 기록 허여 횟수와 동일해지면 기록 횟수를 셋팅하고 더 이상 그 컨텐츠에 대해서는 기록이 수행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10), 제어부(120), 데이터 저장부(130), 통신부(140),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 및 기록 매체(180)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기록 장치(100)는 삽입된 기록 매체(18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부(160) 및 기록 매체(18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17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기록 장치(1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서버(200)에 결합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곳으로,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제어부(120)에 명령을 전달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물리적 변환기(Physical trasducer)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 문자, 숫자 또는 음성 정보 등을 입력받고 이를 제어부(120)에 알린다.
제어부(120)는 기록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록 방법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기록 장치(100)에 로딩된 기록 매체(180)에 컨텐츠 및 복호화 키를 기록할 것을 명령하면 제어부(120)는 통신부(140)를 소정의 서버(200)에 접속시켜 사용자가 명령한 복호화 키를 다운로드 받도록 하고,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를 제어하여 다운로드 받은 복호화 키와 암호화된 컨텐츠가 기록 매체(180)에 기록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200)에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케 하고, 서버(200)로부터 이에 상응하여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발급받아 이를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에 저장케 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록 매체(180)에 컨텐츠 및 복호화 키를 기록할 것을 명령하면 제어부(120)는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를 제어하여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에 포함된 컨텐츠 기 록 권한서 및 이전에 기록 장치가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추출하여 이를 서버(200)에 전송토록 하고, 기록 매체(180)로부터 현재 로딩된 디스크의 디스크 키를 추출하여 이를 서버(200)에 전송토록 한다. 제어부(120)는 이전 기록 횟수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 경우에만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 디스크 키 및 이전 기록 횟수를 서버에 전송토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복호화 키를 컨텐츠와 함께 디스크에 기록하면, 복호화 키가 장치 내부에서 삭제되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통신부(140)가 서버(200)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등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300)을 이용하여 서버(200) 또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및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복호화 키를 요청하고, 이에 상응하여 서버(200) 등으로부터 컨텐츠 및 복호화 키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가 무선 통신 기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4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미도시), 기저대역 처리부(미도시)및 링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처리부 및 링크 제어부는 HCI(Host Control Interface)에 의해 제어부(120)에 연결되어 HCI 패킷(packet)을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제어 명령과 송수신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무선 통신 방법으로는 무선 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브로(WiBro) 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을 위한 복호화 키를 기록 매체(180)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저장하고, 기록 장치가 컨텐츠를 디스크에 기록할 때마다 기록 횟수를 누적하여 기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컨텐츠 식별자, 컨텐츠를 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는 횟수 및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는 사용자가 컨텐츠 기록을 수행하려고 하면,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추출하고, 현재 기록 장치(100)에 로딩된 기록 매체(180)로부터 디스크 키를 추출하고, 컨텐츠가 기록된 횟수를 추출하여 이를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00)로 보낸다.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는 서버(200)로부터 디스크 키를 이용하여 생성된 복호화 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호화 키를 기 수신하여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컨텐츠와 함께 기록 매체(180)에 기록한다.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키를 컨텐츠 기록 처리부(150)에 포함된 활성 메모리(미도시)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컨텐츠 및 복호화 키를 디스크에 기록한 이후에 복호화 키를 삭제한다.
독출부(160)는 기록 장치(100)에 기록 매체(180)가 로딩되고,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기록 매체(180)에 기록된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면 기록 매체(18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부(170)로 보낸다. 재생부(170)는 독출부(160)가 독출한, 기록 매체(180)에 기록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형하고, 변형된 신호를 재생한다. 또한 재생부(170)는 수신 장치(100)의 전반 적인 상태나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한 정보 등을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재생부(170)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기록 장치(100)에 삽입된 기록 매체(180)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서버(200) 등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출력한다. 재생부(170)는 사용자 제어 목록 등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OSD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기록 장치(100)와의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송수신 처리 모듈(341),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받고 이에 상응하여 컨텐츠 기록 권한을 부여서를 생성하고, 이후 사용자가 제시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가 유효한 것인지를 인증하는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 모듈(343) 및 사용자가 전송한 디스크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는 복호화 키 생성 모듈(345)을 포함한다.
이러한 응용 모듈을 통하여 서버(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버(200)는 다양한 OS(Operating System)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301)에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3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버(200)는 API(301)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대응하는 각 응용 모듈(340)을 식별하고, 하이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곳으로 제공하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10)를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320)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10)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3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10)는 API(310)를 통하여 제공된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는 응용 모듈(340)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대응되는 응용 모듈(340)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하는 응용 모듈(34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매핑부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따라서, 응용 모듈 제어부(320)는 송수신 처리 모듈(341)과,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 모듈(343) 및 복호화 키 생성 모듈(345)에 대한 매핑부(321, 325, 329)와 인터페이스부(323, 327, 331)를 각각 포함한다.
송수신 처리 모듈 매핑부(32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10)로부터 기록 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 레벨의 명령어를 제공받아, 송수신 처리 모듈(341)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로 매핑하고, 송수신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323)를 통하여 송수신 처리 모듈(341)로 제공한다.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 모듈 매핑부(325) 및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327)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 요청을 받아 기록 장치(100)에 부여할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고, 후에 사용자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제시할 경우, 사용자가 제시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가 유효한지를 확인한다. 또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함께 전송된 이전 기록 횟수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지, 서버(200)가 복호화 키를 생성한 횟수가 이전 기록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 모듈 매핑부(325)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10)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 모듈(343) 을 이용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이를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327)를 통하여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 모듈(343)로 제공한다.
복호화 키 생성 모듈(345)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디스크 키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의 타이틀 키를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한다. 복호화 키 생성 모듈 매핑부(329)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10)를 통하여 인가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복호화 키 생성 모듈(345)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한다.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는 복호화 키 생성 모듈 인터페이스부(331)를 통하여 복호화 키 생성 모듈(345)로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한다(단계 401).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 번호, 이용하려는 컨텐츠의 식별자 및 디스크에 컨텐츠를 기록할 횟수에 대한 정보 등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컨텐츠 기록이 허여된 총 횟수를 나타내는 총 기록 허여 횟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발급받고 이를 저장한다(단계 403). 본 발명에서 기록 장치(100)는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하고 그 횟수를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동일 컨텐츠에 대해 기록을 수행하려고 하면 기록 장치(100)는 이전에 동일 컨텐츠를 기록한 횟수, 즉, 이전 기록 횟수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지를 판단한다(단계 405). 예컨대, 사용자가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발급받으면서 총 5번까지 동일 컨텐츠를 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받았다고 하면, 총 기록 허여 횟수는 5번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이전에 디스크를 총 기록 허여 횟수 5번 보다 적게 기록한 경우에만 기록 장치(100)는 디스크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 장치(100)가 이전에 컨텐츠를 4번 기록한 경우, 이전 기록 횟수가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으므로 기록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부여받은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디스크가 이전에 컨텐츠를 기록한 횟수(즉, 4회)와 함께 서버에 전송한다(단계 407). 서버(200)는 기록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디스크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이를 기록 장치(100)에 전송한다. 기록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복호화 키를 수신하고(단계 409), 수신된 복호화 키를 컨텐츠와 함께 디스크에 기록한다(단계 411). 기록 장치(100)는 복호화 키를 디스크에 기록한 이후, 복호화 키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받는다(단계 501).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 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컨텐츠의 식별자, 사용자가 디스크에 해당 컨텐츠를 기록하려는 횟수 등을 입력받아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전송한다(단계 503). 서버(505)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 기록 횟수를 전송받으면(단계 505),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 기록 권한서가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507).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 기록 권한서가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일치하는 경우, 서버(200)는 기록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이전 기록 횟수가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지를 판단한다(단계 509). 서버(200)는 기록 장치(100)가 이전에 컨텐츠를 기록한 횟수가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 경우, 이전 기록 횟수가 서버의 복호화 키 생성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511). 서버(200)는 이전 기록 횟수가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고, 서버의 복호화 키 생성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기록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디스크에 대한 디스크 키로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단계 513, 515). 서버(200)는 복호화 키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 이후, 복호화 키 생성 횟수를 1만큼 더 누적하여 기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 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 재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록 장치 200: 서버
300: 통신망 150: 컨텐츠 기록 처리부

Claims (30)

  1.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결합한 기록 장치에서 수행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받는 제2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복호화 키를 수신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복호화 키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에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부여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 기록이 허여된 총 횟수를 나타내는 총 기록 허여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이전 기록 횟수가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상기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스크 키로 생성된 복호화 키를 활성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 상기 복호화 키를 상기 기록 장치 내부의 상기 활성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
  8. 통신망을 통하여 기록 장치와 결합한 서버에서 수행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호화 키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동일한 내용의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 기록이 허여된 총 횟수를 나타내는 총 기록 허여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이전 기록 횟수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상기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가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일치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서버가 이전에 상기 다른 디스크의 디스크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한 복호화 키 생성 횟수가 상기 이전 기록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복호화 키 생성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
  15.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결합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저장하고,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를 추출하고,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복호화 키를 상기 컨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컨텐츠 기록 처리부; 및
    상기 기록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디스크 키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상기 서버에 전송토록 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호화 키를 상기 컨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처리부는 상기 서버에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부여받아 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 기록이 허여된 총 횟수를 나타내는 총 기록 허여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기록 횟수가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상기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디스크 키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상기 서버에 전송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처리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호화 키를 상기 컨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크에 기록한 후,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호화 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기록 처리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호화 키를 상기 컨텐츠와 함께 상기 디스크에 기록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호화 키를 삭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장치.
  22. 통신망을 통하여 기록 장치와 결합한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기록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는 복호화 키 생성부; 및
    상기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디스크 키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권한이 있는지 확인토록 하고, 상기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복호화 키를 생성토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는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부여를 요청받고, 상기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가 저장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동일한 내용의 컨텐츠 기록 권한서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서버.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는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텐츠 기록이 허여된 총 횟수를 나타내는 총 기록 허여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는
    상기 이전 기록 횟수가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에 포함된 상기 총 기록 허여 횟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6.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와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 처리부는
    상기 복호화 키 생성부가 이전에 상기 다른 디스크의 디스크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한 횟수가 상기 이전 기록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키 생성부는 복호화 키 생성 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누적된 복호화 키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9.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결합한 기록 장치에서 수행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받는 제2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복호화 키를 수신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복호화 키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 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0. 통신망을 통하여 기록 장치와 결합한 서버에서 수행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입증하기 위한 컨텐츠 기록 권한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현재 기록하려는 디스크의 디스크 키 및 이전에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다른 디스크에 기록한 횟수를 나타내는 이전 기록 횟수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기록 권한서 및 상기 이전 기록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키를 상기 디스크 키로 암호화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호화 키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록 허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02931A 2008-01-10 2008-01-10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090077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931A KR20090077146A (ko) 2008-01-10 2008-01-10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931A KR20090077146A (ko) 2008-01-10 2008-01-10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146A true KR20090077146A (ko) 2009-07-15

Family

ID=4133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931A KR20090077146A (ko) 2008-01-10 2008-01-10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7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3862A1 (ja) * 2022-04-21 2023-10-26 徳久 小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3862A1 (ja) * 2022-04-21 2023-10-26 徳久 小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03861A1 (ja) * 2022-04-21 2023-10-26 徳久 小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0392B2 (ja) コンテンツライセンスのポータブル記憶装置へのバインド
JP61197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憶装置、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570762B2 (en) Content deliver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content delivery service terminal unit
US8280818B2 (en) License source component, license destination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US10097347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 reproducing device,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RU25040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и правами
US20060059105A1 (en) Move component, program, and move method
US20090151006A1 (en) Group registration device, group registration release device, group registration method, license acquisition device, license acquisition method, time setting device, and time setting method
US20090132811A1 (en) Access to authorized domains
JP4889637B2 (ja) ライセンス管理装置及び方法
US20060069652A1 (en) Copy component, program and method thereof
CN101189675A (zh) 记录介质、再现数据的装置及其方法、存储数据的装置及其方法
CN101099211A (zh) 用于保护共享数据的方法和装置以及使用本地存储从记录介质中再现数据的方法和装置
KR20080101999A (ko) 컨텐츠 사용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설치 방법 및 장치
JP2000156676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ト用の安全配布システム
US20060059101A1 (en) Reproduction component, program and method thereof
US20060059103A1 (en) Return component, program, and return component method
US20060059104A1 (en) Rent component, program, and rent component method
WO2011072607A1 (zh) 一种文件分段保护的方法、装置及系统
JP593588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113607A (ja) 記録媒体装置、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装置の制御方法
JP2008209960A (ja) コンテンツの利用端末を制限する方法、記憶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090077146A (ko) 컨텐츠 제공 또는 기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249343B1 (ko) 디지털 권한 파일의 보호를 위한 방법
US8279729B2 (en) Content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