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449A - 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 Google Patents

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449A
KR20090076449A KR1020080002408A KR20080002408A KR20090076449A KR 20090076449 A KR20090076449 A KR 20090076449A KR 1020080002408 A KR1020080002408 A KR 1020080002408A KR 20080002408 A KR20080002408 A KR 20080002408A KR 20090076449 A KR20090076449 A KR 2009007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heck
column
day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채윤
Original Assignee
임채윤
임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윤, 임병구 filed Critical 임채윤
Priority to KR102008000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449A/en
Publication of KR2009007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4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n arranging notebook for a vocabulary memorizing and a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are provided to allow a teacher to check a study result. An arrangement notebook for the word memorization comprises a front side among a compilation part of a notebook, and a monthly account stroke table.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comprised of the compilation part(100) of the notebook in order to perform the repetitive education about the dark phase word. Moreover,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comprised so that confirmation and checked out of by a teacher.

Description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및 그 편집 방법{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본 발명은 외국어 단어를 암기할 때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반복 학습을 정기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기억력 및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단어 암기 정리 노트 및 그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생은 자신이 암기해 나가는 단어를 규칙적이고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확인해 나가며 정리할 수 있고, 교사는 그 진행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여 학생의 학습 진행 상태를 확인하여 지도함으로써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및 그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d memorization arrangement note and a method of editing the same, which are designed to enhance memory and learning by periodically and efficiently performing repetitive learning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problem that is forgotten over time when memorizing a foreign language word. Students can check and organize the words they memorize regularly and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and the teacher can memorize words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by checking the progress of the student at a glance and guiding the student's learning progress. It is about a summary note and the editing method.

사람의 기억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단 학습한 내용이 점차 망각되어지는 현상이 있다.Human memory has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are gradually forgotten as time passes.

독일의 심리학자 에빙하우스의 실험에 따르면 사람은 한번 기억한 것을 1시간이 지나면 50%를 망각하게 되고, 하루가 지나면 70%를 망각하고, 한달이 지나면 80%를 망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러한 망각을 방지하고 한번 학습 한 내용을 오래 기억하기 위해서는 반복 학습을 해야 하는데, 특히 한 번에 몰아서 암기하는 것보다는 그 횟수를 여러 번으로 나누어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해서 암기하면 훨씬 더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주장한 바 있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s of German psychologist Ebbinghouse, one person forgets 50% of an hour, 70% of a day and 80% of a month. In order to prevent such forgetting and to remember the contents of one study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learning.In particular, it is much longer to memorize if the memory is divided into several times and memorized repeatedly at a time interval rather than driving at once. I have claimed.

우리 주변의 대부분의 학습자도 자신이 암기한 내용을 얼마 지나지 않아 곧 잊어버리는 경험을 해 보았을 것이다.Most of the learners around us would soon forget about their memoriz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말하면 기억력을 끌어 올리기 위해서는 여러번 반복해서 학습하는 것이 그 해결책인데, 특히 중요한 점은 반복하는 방법에도 그 효율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at is to say, to increase memory, learning repeatedly is the solution. Particularly important is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of repetition.

반복 학습이라 하더라도 비효율적인 경우는 이러하다. 즉, 이미 완전히 알고 있는 내용을 다시 보게 되므로 시간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고, 완전히 잊어버리기 전에 다시 반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반복 학습시기를 놓치게 되므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학습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에 따르면 기억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시점이 암기 후 8시간에서 48시간 사이라는 점을 볼 때 반복하는 시점도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는 것이다.Even repeated learning is inefficient. In other words, you will see what you already know completely, which can reduce time efficiency, and you will miss the proper repetition learning time, even though you will have to repeat it before you forget it. will be. According to Ebbing House's oblivion curve, the point of remarkable drop in memory is between 8 and 48 hours after memoriz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잘 기억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반복 학습을 해야 하고 또한 학생이 이러한 반복 학습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교사가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create an environment to remember well,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learning in a systematic and efficient manner, and the teacher can effectively confirm that the student is doing the repetitive learning properly.

본 발명은 이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으로 만들어진 단어 암기 정리용 노트 및 그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d memorization theorem made of a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this task, and a method of editing the same.

사람의 기억력은 시간이 지나면 한번 외운 것을 잊어버리는 약점이 있고, 수많은 단어를 암기해야 하는 학습자 입장에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억력을 끌어올려서 학습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반복적으로 단어 암기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교사가 체계적이고 편리하게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다면 학습자의 단어 암기 학습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Human memory has the weakness of forgetting memorization once over time, and learners who need to memorize a large number of words should use the time efficiently to increase memory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learning. In addition, if the teacher can systematically and conveniently check and check whether the learner is repeatedly memorizing word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the learner's learning of the word memorization will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은 학생은 자신이 암기해 나가는 단어를 규칙적이고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확인해나가며 학습할 수 있고, 교사는 그 진행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여 학생의 학습진행 상태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하는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및 그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udent to learn the words memorized regularly,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to check, and the teacher can identify the progress at a glance to organize the word memorization to guide the student's learning progress A note and a method of editing the same.

또한 반복하는 시점도 미리 날짜를 예정하여 놓음으로써 매일의 학습진행시 비정기적이거나 불규칙적인 학습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inefficiency caused by irregular or irregular learning during the daily learning process by setting a date in advance for repetition.

본 발명은 이렇게 사람의 기억력이 지니고 있는 필연적인 망각작용을 최대한 극복하기 위하여, 한번 학습한 내용을 일정한 주기를 두고 정기적으로 반복 학습을 하게 함으로써 장기 기억 속에 남게 함으로써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overcome the inevitable oblivion of the human memor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by leaving the contents of learning once in a long period of memory by regularly repeating the learning at regular interval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word memorization theorem for increasing the word memorization effect through the iterative lear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학생이 암기해야 하는 단어를 학습 당일마다 정리한 후에 이를 미리 계획되어진 날짜에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정확한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교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꾸며진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저부 중 앞면(도 1a 및 도 1b)과;It is a function that organizes words that students need to memorize every day of the study and then repeats them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on a pre-planned date, and it is designed for memorizing words that teachers can systematically check and check. A front surface (FIGS. 1A and 1B) of the knitting portion of the organizer notebook;

도 1a 및 도 1b에 이어서 학습한 내용의 계속 이어지는 반복 학습 내용을 기재할 수 있고, 교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꾸며진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저부 중 2면(도 2a 및 도 2b)과;1a and 1b can be followed by repeating the learning content of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teacher of the two side of the compilation of the memorized notes for memorizing the memorandum designed to systematically check this (FIGS. 2A and 2B) and;

학생은 매일 매일 학습해야 하는 페이지를 한눈에 알수 있고, 정기적인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교사가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의 월계획표(도 3a 및 도 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udents can see at a glance which pages they need to learn every day, and a monthly schedule of notes (Figs. 3a and 3b) that allows teachers to systematically check and check whether regular repetitive learning is being don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집 방법에 의하면,Further, according to the editing method of the word memorization theorem note for enhancing the word memorization effect through the repetitive lear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학생이 암기해야 하는 단어를 학습 당일마다 정리한 후에 이를 미리 계획되어진 날짜에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정확한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교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저부 중 앞면(도 1a 및 도 1b)을 마련하고,The ability to organize the words that students need to memorize every day of the study, and then to repeat them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on a pre-planned date, and to organize and memorize words so that teachers can check and check them systematically. Prepare the front side (FIGS. 1A and 1B) of the knitting portion of the notebook,

도 1a 및 도 1b에 이어서 학습한 내용의 계속 이어지는 반복 학습 내용을 기재할 수 있고, 교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저부 중 2면(도 2a 및 도 2b)을 마련하고,1A and 1B can be followed by repeating the learning content of the learning, and the teacher can check the two sides of the compilation of the memorization of the note memorizing notes (Fig. 2a and 2b) to systematically check this Arrange,

학생은 매일 매일 학습해야 하는 페이지를 한눈에 알수 있고, 정기적인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교사가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의 월계획표(도 3a 및 도 3b)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Students can see at a glance which pages they need to learn every day, and a monthly schedule of notes (Figs. 3a and 3b) that allows teachers to systematically check and check whether regular repetitive learning is being done.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ovis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람의 기억력이 지니고 있는 필연적인 망각작용을 최대한 극복하기 위하여, 한번 학습한 내용을 일정한 주기를 두고 정기적으로 반복 학습을 하게 함으로써 장기 기억 속에 남게 함으로써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지대한 효과가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inevitable forgetfulness of the human memor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by leaving the contents of learning once in a long-term memory by periodically repeating learning at regular intervals. There is a great effect.

즉, 본 발명은 학생은 자신이 암기해 나가는 단어를 규칙적이고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확인해나가며 학습할 수 있고, 교사는 그 진행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여 학생의 학습진행 상태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하는 지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정리 노트 및 그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tudents to learn the words memorized regularly,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while learning, and the teacher can grasp the progress at a glance to guide the student's learning progress. It is related to word arrangement notes and editing methods for enhancing the word memorization effect through repetitive learning to obtain.

또한 반복하는 시점도 미리 날짜를 예정하여 놓음으로써 매일의 학습진행시 비정기적이거나 불규칙적인 학습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inefficiency caused by irregular or irregular learning during the daily learning process by setting a date in advance for repet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영어단어를 암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명하지만, 단어 암기뿐만 아니라 숙어나 간단한 단문의 암기에도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외국 어의 암기 학습과 한자의 글자나 단어 암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memorizing English words, it can be used not only for memorizing words but also for idioms or simple memorization of simple sentences, and can also be used for memorizing learning of other foreign languages and memorizing letters or words of Chinese characters. .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의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편집에 따른 노트 편저부 중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 note editing unit according to editing of a word memorization summary note for improving memory effect through efficient repetitive learning of English word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의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편집에 따른 노트 편저부 중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a and 2b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note editor according to editing the note memorizing notes for memorizing to increase the memory effect through efficient repetitive learning of the English word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의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편집에 따른 노트의 월계획표를 나타낸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onthly plan table of a note according to editing of a note memorizing note for memorizing words to increase a memory effect through efficient repetitive learning of English word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에는 학생이 당일의 날짜 기입난(110)에 날짜를 기입한 다음, 당일 암기해야할 단어를 적는 칸(111)과 그 옆에 횡으로 각 단어의 한글 뜻을 적는 칸(112)으로 구분하여 놓았다.1A and 1B, a student writes a date in the date entry column 110 of the day, and then writes a word 111 to memorize a word on the day, and writes a Hangul meaning of each word horizontally next to it. Separated by

도 1a 및 도 1b의 1차 확인란에는 최초 학습한 날의 익일의 날짜를 기입하는 난(120)과 전날 학습한 내용의 영어 부분(111)을 별도의 가리개로 가리고 어제 학습한 한글 뜻(112)을 보고 영어의미를 적는 난(121)이 마련되고, 다 적어 본 후에 정오 여부(○,× 로 표기)를 표기하는 난(122)이 마련된다.In the first check box of FIGS. 1A and 1B, a column 120 for writing the next day of the first study day and an English portion 111 of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day are covered by a separate shader, and the Hangul meaning 112 was learned yesterday. Seeing the column of English (121) is provided to write the meaning, after writing down the column 122 to indicate whether noon (marked with ○, ×) is provided.

도 1a 및 도 1b의 2차 확인란에는 1차 확인한 날의 익일의 날짜를 기입하는 난(130)과 이전까지 학습한 내용의 한글 뜻 부분(112)을 별도의 가리개로 가리고 영어(121)를 보고 한글 뜻을 적는 난(131)이 마련되고, 다 적어 본 후에 정오 여부 (○,× 로 표기)를 표기하는 난(132)이 마련된다.In the secondary check boxes of FIGS. 1A and 1B, the column 130 for filling out the next day of the first confirmed day and the Hangul meaning portion 112 of the previously learned contents are covered with a separate shader, and the English language 121 is reported. A column 131 for writing a Korean meaning is provided, and a column 132 for writing whether or not noon (marked with ○, ×) is provided after writing it down.

도 1a 및 도 1b의 3차 확인란에는 2차 확인한 날의 익일의 날짜를 기입하는 난(140)과 이전까지 학습한 내용의 영어 부분(111),(121)을 별도의 가리개로 가리고 한글 뜻(131)을 보고 영어의미를 적는 난(141)이 마련되고, 다 적어 본 후에 정오 여부(○,× 로 표기)를 표기하는 난(142)이 마련된다.In the tertiary checkboxes of FIGS. 1A and 1B, a column 140 for writing a date of the next day of the second confirmed day and an English portion 111 and 121 of the previously learned contents are covered with a separate shader and the Korean meaning ( 131 is a column 141 for writing the English meaning is provided, and after writing down the column 142 for indicating whether noon (marked with ○, ×) is provided.

도 2a 및 도 2b의 4차 확인란에는 3차 확인한 날의 2일 후의 날짜를 기입하는 난(150)과 이전까지 학습한 내용의 한글 뜻 부분(112),(131)을 가리고 영어를(141) 보고 한글 뜻을 적는 난(151)이 마련되고, 다 적어 본 후에 정오 여부(○,× 로 표기)를 표기하는 난(152)이 마련된다.In the fourth check box of FIGS. 2A and 2B, a column 150 for writing a date two days after the third confirmation day and a Hangul meaning part 112 and 131 of the previously learned content are covered and the English language is checked (141). A column (151) for writing a Korean meaning is provided, and after writing it down, a column (152)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noon (marked with ○, ×) is provided.

도 2a 및 도 2b의 5차 확인란에는 4차 확인한 날의 3일 후의 날짜를 기입하는 난(160)과 한글 뜻(151)을 보고 영어를 적는 난(161)이 마련되고, 다 적어 본 후에 정오 여부(○,× 로 표기)를 표기하는 난(162)이 마련된다.In the fifth check box of FIGS. 2A and 2B, a column 160 for writing a date three days after the fourth confirmation day and a column 161 for writing an English word 161 are written, and after noon is written at noon. A column 162 indicating whether or not (marked with ○, ×) is provided.

도 2a 및 도 2b의 6차 확인란에는 5차 확인한 날의 5일 후의 날짜를 기입하는 난(170)과 이전까지 학습한 내용의 한글 뜻 부분(151)을 별도의 가리개로 가리고 영어(161)를 보고 한글 뜻을 적는 난(171)이 마련되고, 다 적어 본 후에 정오 여부(○,× 로 표기)를 표기하는 난(172)이 마련된다.In the sixth check box of FIGS. 2A and 2B, a column 170 for writing a date five days after the fifth confirmation day and a Korean meaning portion 151 of the previously learned contents are covered with a separate shader, and English 161 is displayed. A column for writing Korean meanings is provided (171), and after writing it down, a column (172)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noon (marked with ○, ×) is prepared.

도 2a 및 도 2b의 7차 확인란에는 6차 확인한 날의 7일 후의 날짜를 기입하는 난(180)과 이전까지 학습한 내용의 영어 부분(161)을 별도의 가리개로 가리고 한글 뜻(171)을 보고 영어를 적는 난(181)이 마련되고, 다 적어 본 후에 정오 여부(○,× 로 표기)를 표기하는 난(182)이 마련된다.In the 7th check box of FIGS. 2A and 2B, a column 180 for writing a date 7 days after the 6th confirmation day and an English portion 161 of the previously learned content are covered with a separate shader, and a Korean meaning 171 is indicated. An egg 181 for reporting English is prepared, and after writing it down, an egg 182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noon (marked with ○, ×) is prepared.

도 2a 및 도 2b의 8차 확인란에는 7차 확인한 날의 10일 후의 날짜를 기입하는 난(190)과 이전까지 학습한 내용의 한글 뜻 부분(151),(171)을 별도의 가리개로 가리고 영어(181)를 보고 한글 뜻을 적는 난(191)이 마련되고, 다 적어 본 후에 정오 여부(○,× 로 표기)를 표기하는 난(192)이 마련된다.In the 8th check box of FIGS. 2A and 2B, the screen for writing the date 10 days after the 7th confirmation day and the Korean meaning parts 151 and 171 of the previously learned contents are covered with a separate shader. A column (191) for writing the meaning of Hangul (181) is provided and the column (192)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noon (marked with ○, ×) is prepared after writing.

도 1a 및 도 1b에는 각 장의 페이지(100)가 기재되어 있고 도 2a 및 도 2b에는 페이지를 기재하는 부분이 없다.Each page 100 is described in FIGS. 1A and 1B, and there is no part describing the page in FIGS. 2A and 2B.

이는 한 페이지의 양면이((도 1a 및 도 1b)과 (도 2a 및 도 2b)) 모두 하나의 학습 단위 하에서의 반복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한 장((도 1a 및 도 1b)과 (도 2a 및 도 2b))에 하나의 페이지 숫자만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도 3의 월계획표를 사용하여 매일의 확인 학습페이지를 찾아갈 때 편리하게 하기 위한 마련이기도 하다.This is because both sides of a page ((FIG. 1A and FIG. 1B) and (FIG. 2A and FIG. 2B)) have to be repeated under one learning unit. 2b)) gives only one page number. This is also provided for convenience when you go to the daily confirmation learning page using the monthly planner of FIG.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의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편집에 따른 노트의 월계획표를 나타낸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onthly plan table of a note according to editing of a note memorizing note for memorizing words to increase a memory effect through efficient repetitive learning of English word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노트의 당일 학습할 페이지를 의미하는 숫자가 일련 번호(311)로 적혀있는 난(310)이 있고, 일련 번호(311) 옆에는 학습하는 날짜를 기재하는 난(312)이 마련되어 있다. 페이지 번호(311)와 날짜를 적는 난(312) 아래의 난(320)에는 해당 되는 날짜에 확인 학습(1차 ∼ 8차)을 해야 하는 노트의 각 페이지 숫자가 기재되어 있다.There is a column 310 in which a number indicating a page to be studied on the day of the note is written as a serial number 311, and a column 312 for describing a study date is provided next to the serial number 311. In the column 320 below the page number 311 and the column for writing the date, the number of each page of the notebook that needs to be confirmed (first to eighth) on the corresponding date is described.

예를 들어, 3월 1일 첫번째 학습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노트는 1개월분으로서 총 30장으로 편집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2개월분으로 편집하는 경우에는 장수는 60장으로 편집되고, 도 3a 및 도 3b의 편집은 90일분으로 편집되어 진다.For example, suppose you start your first study on March 1.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note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dited into a total of 30 sheets for one month. In the case of editing for 2 months, the number of sheets is edited into 60 sheets, and the edits of FIGS. 3A and 3B are edited for 90 days.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는 도 1b와 도 2b, 도 3b에 예시하여 놓았다.Exemplary diagrams according to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FIGS. 1B, 2B, and 3B.

학습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3b의 예시에 따르면, 학생은 우선 도 3b의 (310 ')난의 일련번호(311' ) 1의 숫자 옆의 날짜 난(312 ')에 '3월 1일' 이라고 날짜를 기입한다.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3B, which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learning, the student first starts on March 1st in the date column 312 ′ next to the number in serial number 311 ′ 1 of column 310 ′ of FIG. 3B. Date.

그리고 (311 ')의 2번 옆의 날짜 난(312' )에는 '3월 2일' 이라고 기입한다.In the date column 312 next to (311 '), enter' March 2 '.

계속해서 3번 난에는 '3월 3일' , 4번 난에는 '3월 4일' 이런 방법으로 계속 기재해서 30번 난까지 ( '3월 30일' 기재) 기재한다.Continue to column 3 on March 3, 4 on March 4, and so on until column 30 (March 30).

다음의 (330 ')난의 일련번호(311' ) 1의 숫자 옆의 날짜 난(332' )에는 '3월 31일' 을 기재하고, 2번 페이지 난에는 '4월 1일' 이라고 기재하며, 같은 방법으로 (330 ')난의 30번 페이지 난까지( '4월 29일' ) 날짜를 모두 기재한다.In the next column (330 '), the serial number (311'), next to the number 1, writes' March 31 'in the date column (332') and 'April 1' in the page 2 column. In the same manner, list all dates by page 30 of column (330 ') (' April 29 ').

도 1b의 1페이지의 오늘 공부할 단어의 날짜 기입부에(110' )에 당일의 날짜를 '3월 1일' 로 기입한다.In the date writing unit 110 'of the word to be studied today on page 1 of FIG. 1B, the date of the day is written as' March 1'.

다음에 1차 확인란의 날짜 기입부(120 ')에 1일 후인 '3월 2일' 을 기입해 놓는다.Next, one day later, 'March 2' is written in the date register 120 'of the primary check box.

다음에 2차 확인란의 날짜 기입부(130 ')에 1차 확인 한 날의 1일 후인 '3월 3일' 을 기입해 놓는다.Next, the 'March 3', which is one day after the first confirmation date, is entered in the date register 130 ′ of the secondary check box.

다음에 3차 확인란의 날짜 기입부(140 ')에 2차 확인 한 날의 1일 후인 '3월 4일' 을 기입해 놓는다.Next, in the date entry section 140 'of the third check box,' March 4 ', which is one day after the second confirmation date, is entered.

다음에 도 2의 4차 확인란의 날짜 기입부(150 ')에 3차 확인한 날의 2일 후인 '3월 6일' 을 기입해 놓는다.Next, 'March 6', which is two days after the third confirmation date, is written in the date entry unit 150 'of the fourth check box in FIG.

다음에 5차 확인란의 날짜 기입부(160 ')에 4차 확인 날의 3일 후인 '3월 9일' 을 기입해 놓는다.Next, enter 'March 9', which is three days after the fourth confirmation date, in the date entry section 160 'of the fifth check box.

다음에 6차 확인란의 날짜 기입부(170 ')에는 5차 확인 한 날의 5일 후인 '3월 14일' 을 기입해 놓는다.Next, in the date entry section 170 ′ of the sixth check box, 'March 14', which is five days after the fifth confirmation date, is entered.

다음에 7차 확인란의 날짜 기입부(180 ')에는 6차 확인 한 날의 7일 후인 '3월 21일' 을 기입해 놓는다Next, in the date entry section (180 ') of the 7th check box, write' March 21 ', which is 7 days after the 6th confirmation day.

다음에 8차 확인란의 날짜 기입부(190 ')에는 7차 확인 한 날의 10일 후인 '3월 31일' 을 기입해 놓는다.Next, in the date entry section 190 ′ of the eighth check box, 'March 31', which is 10 days after the seventh confirmation date, is entered.

1페이지의 양면에 1차부터 8차 까지 확인 학습 할 날짜를 상기와 같이 모두 기입하고 난 예가 도 1b과 도 2b인데 이것을 도 3b와 비교해 보자.1B and 2B are examples of writing the dates for the first to eighth check learning on both sides of the first page as shown in FIG. 1B and FIG. 3B.

날짜 난(312 ')에 기재한 날과With the date listed in the Date column (312 ')

도 1b과 도 2b에 적힌 각각의 확인차수에 해당하는 날짜와 동일한 날짜가 적혀있는 도 3b에 있는 날짜 난(312' )으로 가보면 그 난 아래에 있는 난(320 ')에 적혀 있는 숫자 중에 모두 "1" 이라는 숫자가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예: 도 3b에 1을 원으로 표기하여 놓았음.)If you go to the date column 312 'in Figure 3b where the date is the same as the date corresponding to each verification order in Figures 1B and 2B, all of the numbers in the column 320' You can see that it contains the number 1 ". (Example: 1 is circled in FIG. 3B.)

이는 해당되는 날짜에 당일의 새로운 학습을 함과 아울러 도 3b를 참조하여 당일의 날짜 난 아래에 있는 난의 숫자가 가리키는 페이지를 찾아가서 확인 학습을 해야 함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the new study of the day should be performed on the corresponding date, and the student should go to the page indicated by the number of the column under the date column of the day and confirm the learning.

예를 들어, 3월 3일에는 1페이지의 2차 확인(①이 3월 2일에 이어 두 번째 등장하였으므로 1페이지의 2차 확인에 해당됨)과, 2페이지의 1차 확인, 그리고 3페이지에 당일의 학습을 하게 된다.For example, on March 3, the second confirmation on page 1 (① corresponds to the second confirmation on page 1 since ① appeared second after March 2), the first confirmation on page 2, and page 3 You will learn the day.

3월 6일에는 1페이지의 4차 확인(①이 네 번째 등장하였으므로 1페이지의 4차 확인에 해당됨)과 3페이지의 3차 확인( "3" 이 4일과 5일에 이어 3번째 등장하였으므로), 4페이지의 2차 확인, 5페이지의 1차 확인을 모두 함과 아울러 6페이지에 당일의 학습을 해야 하는 것이다.On March 6, the 4th confirmation on page 1 (① was the fourth appearance, which corresponds to the 4th confirmation on page 1) and the 3rd confirmation on page 3 (since "3" appeared 3rd after 4 and 5) , Page 4 second check, page 5 first check, and page 6 to do the same day.

이러한 방법으로 매일의 학습을 진행했을 때, 한번 이루어진 학습 내용은 날짜의 진행에 따라 총 8회까지 반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3월1일 처음 학습한 1페이지의 반복은 3월 2일, 3월 3일, 3월 4일, 3월 6일, 3월 9일, 3월 14일, 3월 21일, 3월 31일까지 8회 반복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daily lessons are progressed, the contents of one lesson are repeated up to eight times as the date progresses. (For example, a repetition of the first page you learned on March 1st is March 2, March 3, March 4, March 6, March 9, March 14, March 21). Will be repeated eight times by March 31.)

이러한 반복확인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교사가 확인해야 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만약에 학생 스스로에게 학습 확인을 자율적으로 맡기기만 하고 교사가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다면 학습효과는 매우 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teacher confirm that this repetitive learning works properly. If students are left to self-check their learning and lack the ability for teachers to check efficiently, learning will be very ineffective.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단어 암기 정리용 노트 편집의 기능 중에는 교사의 효율적인 확인 기능이 들어있는 것이다.To compensate for this, among the functions of note editing for memorizing words, the teacher's efficient confirmation function is included.

교사는 도 3a 및 도 3b의 날짜(312) 아래에 있는 숫자(320난의 숫자)가 의미 하는 바대로 당일에 새로운 학습을 하는 페이지만이 아니라, 확인 학습을 해야 하는 페이지가 어디인지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그 페이지를 찾아가서 확인을 할 수 있다.The teacher knows exactly where the page should be for the new study, not just the page for the new study on the day, as the number under the date 312 in FIGS. 3A and 3B (the number in column 320) means. You can go to the page and check it.

이렇게 당일의 학습과 함께 각 확인 차수별로 미리 정해진 날짜대로 확인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In this way, it wa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learning was conducted correct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ate for each confirmation order with the learning of the day.

특히 학원에서 교사는 매일의 학습 진행 여부를 확인하여 도 1a 및 도 1b과 도 2a 및 도 2b의 교사 확인란에 서명하고, 원장은 주간 단위로 학습 진행 여부를 확인하여 도 3a 및 도 3b의 원장 확인란에 확인 서명을 함으로써 보다 철저한 확인을 가능케 함으로써, 학습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하였다.In particular, the teacher checks the daily progress of the teacher to sign the teacher check box of Figs. 1a and 1b and 2a and 2b, the ledger checks the progress of the weekly week to check the ledger check of Fig. 3a and 3b By signing the certificate on, it enables a more thorough verification, which further increases the learning efficiency.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하나의 단어를 암기하기 위해서는 6회 이상 반복해서 보아야만 사람의 기억 속에 자리 잡는다고 하였는데, 대부분의 학자들은 보통 7∼8회 정도 반복하여 학습하게 되면 장기간 기억 속에 남는다고 주장한다. 본 단어 암기정리용 노트편집 방법은 학습자가 당일 학습한 단어를 8번 반복 학습 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했고 , 이를 효과적이고도 실제적으로 가능케 함으로써 반복에 대한 실천이 가능하게 하였다.Linguists say that to memorize a word requires six or more repetitions to be placed in a person's memory. Most scholars insist that seven to eight repetitions of learning remain in memory for a long time. The note editing method for memorizing the words gives the learner the ability to repeatedly learn the words he learned on the day, and makes it possible to practice effectively.

특히 망각율이 가장 높은 시기인 학습 후 1일에서 2일 이내에 집중적인 반복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억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고, 이후 적절한 주기를 두고 반복 학습을 하게 함으로써 감소해가는 기억력을 재차 회복시켜 다시 학습초기의 기억상태로 환원시킴으로써 가능한 최대한 영구기억으로 저장되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intensive repetition is performed within 1 to 2 days after learning, which is the period when forgetting is highest, to increase memory, and then by repetitive learning at appropriate intervals, regaining the decreasing memory again. By reverting to the initial memory state, it is stored as permanent memory as possibl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의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및 그 편집에 따른 노트 편저부 중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 word memorizing theorem note for improving memory effect through efficient repetitive learning of English word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ote editor according to the editing.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의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및 그 편집에 따른 노트 편저부 중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back side of a word memorizing thesis note for editing and enhancing the memory effect through efficient repetitive learning of English word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ote editor according to the editing.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의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 및 그 편집에 따른 노트의 월 계획표를 나타낸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word memorizing arrangement note for improving the memory effect through efficient repetitive learning of English words and a monthly planner of the note according to editing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학생이 암기해야 하는 단어를 학습 당일마다 정리한 후에 이를 미리 계획되어진 날짜에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정확한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교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꾸며진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저부 중 앞면(도 1a 및 도 1b)과;It is a function that organizes words that students need to memorize every day of the study and then repeats them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on a pre-planned date, and it is designed for memorizing words that teachers can systematically check and check. A front surface (FIGS. 1A and 1B) of the knitting portion of the organizer notebook; 도 1a 및 도 1b에 이어서 학습한 내용의 계속 이어지는 반복 학습 내용을 기재할 수 있고, 교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꾸며진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저부 중 2면(도 2a 및 도 2b)과;1a and 1b can be followed by repeating the learning content of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teacher of the two side of the compilation of the memorized notes for memorizing the memorandum designed to systematically check this (FIGS. 2A and 2B) and; 학생은 매일 매일 학습해야 하는 페이지를 한눈에 알수 있고, 정기적인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교사가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의 월계획표(도 3a 및 도 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Students can see at a glance which pages they need to learn every day, and a monthly schedule of notes (Figs. 3a and 3b) that allows teachers to systematically check and check whether regular repetitive learning is being done. Completion notes for memorizing words for increasing the memorization effect of words through repetitive learning,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편저부 중 앞면(도 1a 및 도 1b)은The front surface (FIGS. 1A and 1B) of the knitting portion is 페이지를 기재하는 난(100),Column (100) that lists the page, 당일의 학습날짜를 기입하는 난(110)과 당일에 암기해야 하는 영어단어를 적는 난(111)과 한글 뜻을 기재하는 난(112),A column for writing the study date of the day (110) and a column for writing the English words that should be memorized on the day (111) and a column for writing Korean meanings (112), 1차 확인 학습하는 날짜를(최초 학습한 날의 1일 후의 날짜) 적는 난(120)과 영어 뜻을 적는 난(121)및 오답 여부를 확인하여 표시(○,× 로 표기)하는 난(122),1st check day (1 day after the first day of study) egg (120) to write down English (121) to write down the English meaning and check the incorrect answer (○, × notation) column (122) ), 계속해서 2차, 3차 확인 학습을 하는 날짜를 적는 난과 영어 뜻 또는 한글 뜻을 적고, 오답 여부를 확인하여 표기하는 난들과,The second and third continu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learning learning to write a column and the English meaning or Hangul meaning, and to check whether or not to mark the incorrect answers, 학생의 학습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확인하는 난(101)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란들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Completion notes for memorizing words to increase the memorization effect of the word through repeated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plurality of blanks divided into a column (101) to check the student's learning progre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편저부 중 뒷면(도 2a 및 도 2b)은 도 1a 및 도 1b에 이어서,The back side (FIGS. 2A and 2B) of the knitting portion is followed by FIGS. 1A and 1B. 4차 확인 학습하는 날짜를(3차 학습한 날의 2일 후의 날짜) 적는 난(150)과 한글 뜻을 적는 난(151)및 오답 여부를 확인하여 표시(○,× 로 표기)하는 난(152),4th Confirmation Date (2 days after the 3rd day of study) Nan (150) to write down the Hangul (151) writing the meaning of the Hangul (난, ×) to check and mark the incorrect answer (denoted by ○, ×) 152), 계속해서 5차, 6차, 7차, 8차 확인 학습을 하는 날짜를 적는 난과 영어 뜻 또는 한글 뜻을 적고, 오답 여부를 확인하여 표기하는 난들과,Continue with the 5th, 6th, 7th, and 8th order to write the date and the English meaning or Hangul meaning, and the column to check and mark the incorrect answer, 학생의 학습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확인하는 난(101)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란들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Completion notes for memorizing words to increase the memorization effect of the word through repeated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plurality of blanks divided into a column (101) to check the student's learning progre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월계획표(도 3a 및 도 3b)는,The month plan table (Fig. 3a and 3b), 학생이 매일 매일 학습해야 하는 페이지를 한눈에 알 수 있고, 정기적인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교사가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It is for students to know at a glance which pages they need to learn every day, and to allow teachers to systematically check and check whether regular repetitive learning is being performed. 노트의 당일 학습할 페이지를 의미하는 숫자가 일련 번호(311)로 적혀있는 난(310)과,A column 310 indicating a page to be learned on the day of the note as a serial number 311, and 학습하는 날짜를 기재하는 난(312),Column 312 containing the date of study, 해당되는 날짜에 확인 학습을 해야 하는 페이지의 숫자가 기재되어 있는 난(320),Column 320, which contains the number of pages on which the study should be confirmed on the corresponding date, 학습의 진행 상황을 주간단위로 원장이 파악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난(301)으로 구획된 학습 계획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월 단위로 볼 수 있게 편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Word memorization effect through repeated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edited to be viewed on a monthly basis to grasp the learning plan divided into columns (301) that allows the ledger to identify and check the progress of the learning on a weekly basis Organizing notes for memorizing words to increase the. 학생이 암기해야 하는 단어를 학습 당일마다 정리한 후에 이를 미리 계획되어진 날짜에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정확한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교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저부 중 앞면(도 1a 및 도 1b)을 마련하고,The ability to organize the words that students need to memorize every day of the study, and then to repeat them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on a pre-planned date, and to organize and memorize words so that teachers can check and check them systematically. Prepare the front side (FIGS. 1A and 1B) of the knitting portion of the notebook, 도 1a 및 도 1b에 이어서 학습한 내용의 계속 이어지는 반복 학습 내용을 기재할 수 있고, 교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저부 중 2면(도 2a 및 도 2b)을 마련하고,1A and 1B can be followed by repeating the learning content of the learning, and the teacher can check the two sides of the compilation of the memorization of the note memorizing notes (Fig. 2a and 2b) to systematically check this Arrange, 학생은 매일 매일 학습해야 하는 페이지를 한눈에 알수 있고, 정기적인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교사가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의 월계획표(도 3a 및 도 3b)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집 방법.Students can see at a glance which pages they need to learn every day, and a monthly schedule of notes (Figs. 3a and 3b) that allows teachers to systematically check and check whether regular repetitive learning is being done. Editing of the word memorization theorem notes for enhancing the word memorization effect through repetitive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편저부 중 앞면(도 1a 및 도 1b)은The front surface (FIGS. 1A and 1B) of the knitting portion is 페이지를 기재하는 난(110)을 마련하고,Prepare column 110 for describing the page, 당일의 학습날짜를 기입하는 난(110)과 당일에 암기해야 하는 영어단어를 적는 난(111)과 한글 뜻을 기재하는 난(112)을 마련하고,Prepare a column for writing the study date of the day (110), a column for writing the English words to be memorized on the day (111) and a column for the Hangul meaning (112), 1차 확인 학습하는 날짜를(최초 학습한 날의 1일 후의 날짜) 적는 난(120)과 영어 뜻을 적는 난(121)및 오답 여부를 확인하여 표시(○,× 로 표기)하는 난(122)을 마련하고,1st check day (1 day after the first day of study) egg (120) to write down English (121) to write down the English meaning and check the incorrect answer (○, × notation) column (122) ), 계속해서 2차, 3차 확인 학습을 하는 날짜를 적는 난과 영어 뜻 또는 한글 뜻을 적고, 오답 여부를 확인하여 표기하는 난들을 마련하고,Continue to write a column for the second and third confirmation learning and write the English meaning or Hangul meaning, check the incorrect answers and write the columns, 학생의 학습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확인하는 난(101)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란들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집 방법.Compilation method of the word memorization cleanup notes for improving the memorization effect of words through repetitive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lanks are divided into columns (101) to determine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student to check thi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편저부 중 뒷면(도 2a 및 도 2b)은 도 1a 및 도 1b에 이어서,The back side (FIGS. 2A and 2B) of the knitting portion is followed by FIGS. 1A and 1B. 4차 확인 학습하는 날짜를(3차 학습한 날의 2일 후의 날짜) 적는 난(150)과 한글 뜻을 적는 난(151)및 오답 여부를 확인하여 표시(○,× 로 표기)하는 난(152)을 마련하고,4th Confirmation Date (2 days after the 3rd day of study) Nan (150) to write down the Hangul (151) writing the meaning of the Hangul (난, ×) to check and mark the incorrect answer (denoted by ○, ×) 152) 계속해서 5차, 6차, 7차, 8차 확인 학습을 하는 날짜를 적는 난과 영어 뜻 또는 한글 뜻을 적고, 오답 여부를 확인하여 표기하는 난들을 마련하고,Continue to write a column for the 5th, 6th, 7th, and 8th learning and write English or Korean meanings, and check the incorrect answers to write the eggs. 학생의 학습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확인하는 난(101)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란들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집 방법.Compilation method of the word memorization cleanup notes for improving the memorization effect of words through repetitive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plurality of blanks divided into columns (101) to identify the learning progress status of the studen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월 계획표(도 3a 및 도 3b)는, 학생이 매일 매일 학습해야 하는 페이지를 한눈에 알 수 있고, 정기적인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교사가 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The monthly planner (FIGS. 3A and 3B) can be seen at a glance the page that the student should learn every day, so that the teacher can systematically check and check whether or not the regular repetitive learning is being performed In order to 노트의 당일 학습할 페이지를 의미하는 숫자가 일련 번호(311)로 적혀있는 난(310)을 마련하고,Prepare a column (310) in which the numbers representing the pages to be learned on the day of the note are written as serial numbers (311), 학습하는 날짜를 기재하는 난(312)을 마련하고,Prepare a column 312 that lists the date of study, 해당되는 날짜에 확인 학습을 해야 하는 페이지의 숫자가 기재되어 있는 난 (320)을 마련하고,Prepare a column (320) that lists the number of pages on which you need to learn on that date. 학습의 진행 상황을 주간단위로 원장이 파악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난(301)으로 구획된 학습 계획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월 단위로 볼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 암기용 정리 노트의 편집 방법.Word memorization effect through repetitive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see at a glance the learning plan divided into columns (301) that allows the ledger to identify and confirm the progress of learning on a weekly basis Of editing notes for memorizing words to increase the number of words.
KR1020080002408A 2008-01-09 2008-01-09 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KR200900764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08A KR20090076449A (en) 2008-01-09 2008-01-09 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08A KR20090076449A (en) 2008-01-09 2008-01-09 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449A true KR20090076449A (en) 2009-07-13

Family

ID=4133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408A KR20090076449A (en) 2008-01-09 2008-01-09 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44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42B1 (en) * 2011-09-08 2012-06-14 (주)안다미로 Teaching material for monitoring status of study achevement
KR101672367B1 (en) * 2016-03-21 2016-11-03 최경식 Method for memorizing based on repeating s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42B1 (en) * 2011-09-08 2012-06-14 (주)안다미로 Teaching material for monitoring status of study achevement
KR101672367B1 (en) * 2016-03-21 2016-11-03 최경식 Method for memorizing based on repeating s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kova Strategies for effective lesson planning
Susantini The development of biology material resources by metacognitive strategy
KR20090076449A (en) Arranging notebook for vocabulary memorizing and editing method for increasing memorization efficiency through repetition
KR20130111117A (en) Online publishing system and portal sites that provide math learning system
KR100886266B1 (en) The studying and teaching material composed of repeatition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reof
Macdonald Writing assignments challenge students in a physical-geology course
Archer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information
Biddle When opportunity knocks: Integrating language arts and the daily calendar
KR100658087B1 (en) Method of notebook editorial for mathematics improving intelligence development
Whitaker Why Not Individualize Arithmetic?
KR20230067899A (en) Note Editing Method to Improve Learning Ability in Math Area
Grade Course Information
Sasanti et al. Developing Student Worksheet to Support Kanji Teaching
Unal et al. Enhanc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rough AI Tools: A Comparative Study in Classroom Management & Course Satisfaction
KR101156042B1 (en) Teaching material for monitoring status of study achevement
Setyaningrum An Analysis Of English Workbook Used In Second Grade Of State Senior High School In Kediri
Smith Using technology with pre-k and kindergarten students to increase early numeracy skills
AMIN USING WORKSHEET IN TEACHING ENGLISH TO STUDENTS OF ENGLISH VILLAGE OF PARIT BARU
Verbeke Ph D Identifying accommodations for inclusion settings: A strategy for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
Sapitri et al.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of Narrative Writing Based on the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Learning Model for Third Grade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KR20220070890A (en) Active thinking skills improvement essay writing worksheet
Wittrock Best Practice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Kindergarten Handwriting Instruction
Lasher Using a Course in Computer-Aided Engineering to Foster Life-Long Learning
White Should You Test for English Proficiency?
Gleason Study sk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