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013A - 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013A
KR20090076013A KR1020080001728A KR20080001728A KR20090076013A KR 20090076013 A KR20090076013 A KR 20090076013A KR 1020080001728 A KR1020080001728 A KR 1020080001728A KR 20080001728 A KR20080001728 A KR 20080001728A KR 20090076013 A KR20090076013 A KR 2009007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2249B1 (en
Inventor
황보상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249B1/en
Publication of KR2009007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television hav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is provided to select a characteristic of picture quality and set a characteristic value about the characteristic of picture quality, thereby enabling a user to freely select and adjust an operation plan about the characteristic of picture quality. A signal processing unit(31) processes an image signal inputted through at least one external input terminal from at least one external source device. A display unit(32) displays an image signal among output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 memory unit(34) stores menu information. The menu information comprises a picture quality expert menu. The picture quality expert menu controls a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nd a characteristic value about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 controller(35) controls the menu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command of a user.

Description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TV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 {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외부 소스 기기별 특성 및 운용방법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갖는 티브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V, and more particularly, to a TV having a user interface (UI) for setting characteristics and an operation method for each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최근, 티브이 기술이 아날로그 방식에서 위성방송 및 디지털 방식으로 변모함에 따라 티브이 관련 기술이 양적 및 질적으로 급속히 발전해가고 있다.Recently, TV-related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 TV technology is changed from analog to satellite broadcasting and digital.

기존의 아날로그 티브이는 하나의 고주파 채널에 하나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청자는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하나의 영상을 수동적으로 시청할 수밖에 없었다. Since the conventional analog TV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one video signal and audio signal on one high frequency channel, the viewer has to passively watch one video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그러나, 디지털 티브이의 경우 하나의 고주파 채널에 하나 이상의 영상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해서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양적인 면에서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훨씬 많은 채널의 운용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에 의해 티브이에서 방송되는 채널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digital TV, since one or more image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on one high frequency chann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select and watch various image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channels broadcast on TV is expected to increase exponentially due to the digital method, which can operate more channels than the analog method in terms of quantity.

또한, 최근의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제품들은 기존의 아날로그 기기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기능들 이외에도 다양한 특징들을 제공하고 있다. 비디오 재생기기의 경우 녹화 및 재생 기능에 국한된 마그네틱 테이프 재상장치인 VCR에서 선명한 화질과 챕터 선택, 다양한 자막 및 음성 선택과 같은 기능을 지원하는 DVD로 전환되고 있으며, 티브이 역시 DVD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포함하여 더욱 선명한 화질과 음질을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 티브이로 전환되고 있다. In addition, recent digital audio / video products provide various feature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existing analog devices. In the case of video players, the VCR, a magnetic tape playback device limited to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has been converted to a DVD that supports functions such as clear picture quality, chapter selection, various subtitles and voice selection, and TV also includes functions provided by the DVD. As a result, digital TVs are becoming more vivid and clearer.

이와 같이,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제품들과 방송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 출시되는 티브이에는 여러 외부 소스 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입력 단자로서는, 안테나를 통한 공중파 즉, RF(Radio Frequency)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뿐만 아니라, Video1, Video2, 컴포넌트1, 컴포넌트2, RGB 등 다양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입력 단자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티브이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들을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화면표시 및 음성출력을 하게 된다.As such,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gital audio / video products and broadcasting technologies, TVs recently released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f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signals output from various external source devices. As the external input terminal, not only an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irwaves, that is, RF (Radio Frequency) through an antenna, but also for receiving various video signals and audio signals such as Video1, Video2, Component1, Component2, RGB, etc. Input terminals are included. The TV performs screen display and audio output by us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input terminals.

이와 같이 티브이에 다양한 외부 입력 소스 기기들이 연결되고 있으나, 사용자는 티브이 화면에 현재 선택되어진 입력이 어느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것인지를 기억하지 못하면, 자신이 원하는 다른 입력(예를 들어 DVD의 시청을 원할 경우)으로 바로 전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키 또 는 티브이 본체에 형성된 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입력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각각의 입력에 대한 화면을 확인해야만 자신이 원하는 입력을 찾을 수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external input source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TV.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remember which external source device the input currently selected on the TV screen is provided from, the user may not be able to watch another input (for example, watching a DVD). You can't switch directly to it if you want. Therefore, the user can find the desired input only by searching a plurality of inputs sequentially by using a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or a key formed in the TV main body and checking the screen for each input.

즉, 종래의 티브이는 사용자가 직접 티브이의 각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 소스 기기를 확인하지 않는 한, 현재 티브이 화면을 통하여 선택된 입력이 어느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제공되는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the conventional TV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know from which external source device the input selected through the current TV screen is provided unless the user directly checks the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ed to each external input terminal of the TV.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101468호에는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입력에 대한 외부 소스 기기의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입력별 레이블링 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 레이블링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101468 discloses a TV having an input labeling function and a labeling method thereof so that a user can easily grasp information of an external source device for a currently selected input. hav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블링 설정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abeling setting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은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101468호에 개시된 발명에 따른 레이블링 설정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메뉴 화면을 통해 입력 레이블링 메뉴(Aux. Label)를 선택하면 입력별 외부 소스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10)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1 is a labeling setting screen 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101468, when the user selects an input labeling menu (Aux. Label) through a menu screen selection to select an external source device for each input The menu screen including the window 10 is displayed.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레이블링 메뉴에는 외부 소스 기기가 연결되는 외부 입력 단자들, 즉 비디오1, 비디오2, 프론트 비디오, 컴포넌트1, 컴포넌트2, 및 RGB가 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외부 입력 단자 우측에는 각종 외부 소스 기기(VCR, Cable, Game, DVD, Settop Box 등)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10)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input labeling menu displays external input terminals to which an external source device is connected, that is, video 1, video 2, front video, component 1, component 2, and RGB, and the right side of each external input terminal. The selection window 10 for selecting various external source devices (VCR, Cable, Game, DVD, Settop Box, etc.) is display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티브이 본체의 키를 이용하여 각 외부 입력 단자별 레이블링, 즉 각 외부 입력 단자에 대한 외부 소스 기기의 선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perform labeling for each external input terminal, that is, selecting an external source device for each external input terminal by using a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TV main body.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레이블링 설정이 완료된 상태의 레이블링 설정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beling setting menu screen in a state in which labeling sett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각 외부 입력 단자별에 연결된 외부 소스 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고, 이후 화면상에 각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 소스 기기에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입력별 외부 소스 기기명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user directly sets information on an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ed to each external input terminal, and then,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an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ed to each external input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displaying,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name of the external source device for each inpu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티브이 화면에 현재 선택된 입력과 상기 입력을 제공하는 외부 소스 기기의 명칭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지 현재 선택된 입력에 대한 외부 입력 소스 기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것에 불과하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by displaying the name of the currently selected input and the external source device providing the input on the TV screen, the user is merely informed of th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input source device for the currently selected input.

그러나, 티브이가 외부 입력 소스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정확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외부 입력 소스 기기별로 RGB_Full 및 RGB_Limited와 같은 입력 범위값, 칼라 스페이스(color space), 블랙 레벨(black level) 및 해상도 정보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특히, 외부 입력 소스 기기의 입력 범위값 및 블랙 레벨은 화질 및 화질 조정에 관한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 되어야 하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와 같은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for the TV to realize accurate colors by using signals from an external input source device, input range values such as RGB_Full and RGB_Limited, color space, black level and Resolution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input range value and the black level of the external input source device should be the basic prerequisites for the image quality and the image quality adjustment, bu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accurately know such information.

또한, 아날로그 RGB 입력 및 디지털 RGB 입력의 경우, 업계 전반에 걸쳐서 반드시 따라야 하는 규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향/미국향/유럽향과 같이 판매 지역에 따라 외부 소스 기기별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RGB 신호 및 디지털 RGB 신호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 In addition, analog RGB inputs and digital RGB inputs do not have a protocol that must be followed throughout the industry.Therefore, analog RGB signals output by external source devices according to sales regions, such as Korea, USA, and Europ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igital RGB signals.

이와 같이 판매 지역에 따라 외부 소스 기기별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 및 디지털 RGB 신호에 차이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하나의 티브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 및 디지털 RGB 신호를 이용하여 색상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정확한 색 재현을 할 수 없게 되어 색 표현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A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nalog RGB signal and the digital RGB signal output for each external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sales region as described above, color using the analog RGB signal and the digital RGB signal provided from various external source devices using one TV. If you want to implement the accurate color reproduction can not be a problem that the color expression power is reduced.

더구나, 종래 HDML/DVI 1.2 이하의 버젼의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RGB 아날로그 신호는 그에 대한 정확한 상태값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 설정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RGB analog signal outputted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of the HDML / DVI version 1.2 or lower i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an error may occur when setting an input by a user because the exact state value thereof is not know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출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화질 특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티브이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TV that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arious output signals provided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매지역에 관계없이 다양한 외부 소스 기기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 설정 및 화질 특성을 설정할 수 있는 통합 사용자 인 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갖는 티브이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V hav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UI) that can set the input settings an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same manner for a variety of external source devices regardless of the sales reg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 중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형태에 따라 소정의 화질 특성 및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에 대한 특성치를 조절하기 위한 화질 전문가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메뉴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 및 상기 특성치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특성치를 갖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V hav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to output an image signal input from at least one external source device through at least one external input terminal, and the signal processor A menu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during output of a video signal, and an image quality expert menu for adjusting a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nd a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form of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source device.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nd the menu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nd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nd the characteristic valu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menu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image having the characteristic valu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o.

상기 메뉴 정보는, 지역별 특화된 사양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입력 설정 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공통 메뉴와, 지역별 특화된 사양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통 메뉴와, 상기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 및 상기 화질 전문가 메뉴는 화면 상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nu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common menu for setting input setting items commonly required regardless of region-specific specifications, and a setting menu for each region type for setting a function required according to region-specific specifications. The area type setting menu and the image quality expert menu are preferably displayed in different areas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은, 블랭킹 페디스탈(Blanking Pedestal) 및 입력 칼라(Input Col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anking pedestal and an input color.

또한, 상기 블랭킹 페디스탈은 O IRE이 기본값으로 설정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7.5 IRE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nking pedestal is set to the default O IRE, it can be changed to 7.5 IRE by the user's selection.

나아가, 상기 입력 칼라는 내부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지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color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an internal standard or designated by a user's sel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블랭킹 페디스탈(Blanking Pedestal) 및 입력 칼라(Input Color)와 같은 화질 특성을 선택하고, 상기 화질 특성에 대한 특성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화질 특성에 대한 운용 방안을 자유롭게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품별 서로 다른 규약에 따른 신호를 처리할 때 특정 계조 이상의 데이터가 보이지 않게 되는 신호의 포화(saturation)현상과 특정 계조 이하의 데이터가 보이지 않게 되는 신호의 묻힘 현상, 그리고 기기별 서로 다른 설정값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blanking pedestal and input color according to output signals output from various external source devices, and set characteristic values for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user may freely select and adjust an operation method for the quality characteristic. As a result, when processing signals according to different protocols for each product, saturation of a signal in which data above a certain gray level is not visible, buried phenomenon of a signal in which data below a certain gray level is not visible, and a difference between devic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image quality caused by the set valu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별 티브이 사양에 관계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일함으로써, 사용자는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된 동일한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소스 기기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입력 설정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nifying the user interface irrespective of the regional TV specifications, the user can easily set the input settings to the various external source devices in the same way using the same menu screen displayed on the OSD (On Screen Display) There is an advantag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TV hav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갖는 티브이(30)는 신호처리부(31), 디스플레이부(32), 스피커부(33), 메모리부(34) 및 제어부(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V 30 hav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processor 31, a display unit 32, a speaker unit 33, a memory unit 34, and a controller 35. ).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30)는 다양한 외부 소스 기기(20)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미 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외부 소스 기기(20)는 티브이(30)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VCR, DVD, 셋탑 박스(Settop Box), PC, 위성 수신기 및 케이블 박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부 소스 기기(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컴포지트 비디오(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CVBS), 슈퍼 비디오(S-video), 스카트(Scart), 컴포넌트(Component), RGB, HDMI, DIV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을 수 있으며, 상기 영상신호는 티브이(30)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된다. 그리고 티브이(30)에 형성된 외부 입력 단자로서는 Video 1, Video 2, 컴포넌트 1, 컴포넌트 2, RGB 입력단 등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소스 기기(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TV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not shown) to receive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from a variety of external source device 20. Here,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and audio signal to the TV 30, and may include a VCR, a DVD, a settop box, a PC, a satellite receiver, and a cable box. In particular,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may include a 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CVBS), super video (S-video), scart, component, RGB, HDMI, DIV, and the like. The image signal may be input to the TV 3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 In addition, as an external input terminal formed on the TV 30, Video 1, Video 2, Component 1, Component 2, and RGB input terminals may be formed to receive a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신호처리부(31)는 외부 소스 기기(20)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부(32) 및 스피커부(33)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한다.The signal processor 31 receives an analog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20, and outputs the input video and audio signals to the display unit 32 and the speaker, respectively. Processed to be output through the unit 33.

디스플레이부(32)는 상기 신호처리부(31)의 출력 중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32 displays an image signal of the output of the signal processor 31 on the screen.

스피커부(33)는 상기 신호처리부(31)의 출력 중 음성신호를 출력한다.The speaker unit 33 outputs an audio signal among the output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31.

메모리부(34)는 사용자가 각각의 외부 소스 기기(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형태에 따라 소정의 화질 특성 및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에 대한 특성치를 조정하기 위한 화질 전문가 메뉴와, 지역별 특화된 사양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입력 설정 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공통 메뉴와, 지역별 특화된 사양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 및 티브이(30)의 제조 단계에서의 입력 설정 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조정 메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34 includes an image quality expert menu for adjusting a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nd a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form of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each external source device 20, and a region-specific specification. A common menu for setting commonly required input settings irrespective of a location, a regional type setting menu for setting a required function according to a region-specific specification, and input setting items in a manufacturing step of the TV 30 are se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adjustment menu.

제어부(35)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4)에 저장된 메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티브이(30) 본체에 형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외부 소스 기기(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형태에 따라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 및 상기 특성치를 설정하면,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 및 상기 특성치가 상기 메모리부(34)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메모리부(34) 내에 외부 소스 기기(20)의 출력신호 형태에 따른 화질 특성 및 특성치가 저장된 이후,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티브이(30) 본체에 형성된 키를 이용하여 특정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설정된 특성치를 갖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35 allows menu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4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2 in the form of an OSD (On Screen Display)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In addition, the controller 35 selects the menu information using a key formed on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TV 30 main body, so that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And setting the characteristic value so that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nd the characteristic value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34.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nd the characteristic valu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type of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34, the user uses a key formed in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TV 30 to receive a specific external input terminal. When the input provided is selected, the controller 35 controls the display unit 32 to display an image having the set characteristic valu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설정 화면(40)에는 티브이(30)의 다양한 특성 및 기능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또는 설정하기 위한 공통 메뉴(41),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42), 화질 전문가 메뉴(43), 및 조정 메뉴(44)가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표시된다. 특히, 상기 공통 메뉴(41)와,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42)와, 화질 전문가 메뉴(43) 및 조정 메뉴(44)는 화면상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구분되어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4, the menu setting scree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on menu 41 and a region type setting menu 42 for a user to select or set variou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TV 30. , The quality expert menu 43, and the adjustment menu 44 are displayed in an OSD form. In particular, the common menu 41, the region type setting menu 42, the image quality expert menu 43, and the adjustment menu 44 are divided and displayed in different areas on the screen.

공통 메뉴(41)는 지역별 특화된 사양(specification)에 관계없이 외부 소스 기기(20)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입력 설정 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통 메뉴(41)로서는 휘도(brightness) 및 콘트라스트(contrast)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화상 설정 모드(Picture Setting Mode)와, 영상비(Aspect Ratio) 및 자동 클럭 위상(Auto Clock Phase) 등을 설정하기 위한 스크린 메뉴(Screen Menu), 그리고 트레블(treble), 베이스(bass) 및 자동 음량 조절(Auto Volumn Control) 등을 설정하기 위한 사운드 메뉴(Sound Menu)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ommon menu 41 is for setting input settings commonly required for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regardless of region-specific specifications. As the common menu 41, a picture setting mode for setting brightness, contrast, etc., an aspect ratio, an auto clock phase, and the like are set. A screen menu for setting a sound menu and a sound menu for setting treble, bass and auto volume control may be included.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42)는 지역별 서로 다른 사양에 따라 지역별로 특화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42)는 티브이(30)의 판매 지역에 따라 디지털 티브이의 사양 및 아날로그 티브이의 사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지역별 티브이 사양에 따라 특화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향 티브이에 대해서는 상기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42) 로서 자동 채널 검색(Auto Search) 및 수동 채널 검색(Manual Search)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반면에, 유럽향 티브이에 대해서는 상기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42)로서 티브이(30)를 셋업(setup)하거나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upgrade)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스톨레이션 가이드(Installation Guide) 메뉴 및 현재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보여주기 위한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regional type setting menu 42 is for setting a region-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different specifications for each region. That is, the regional type setting menu 42 is for setting a specialized function according to each TV specification because the specifications of the digital TV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analog TV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ales region of the TV 30. For example, the TV set for the Korean type may include a menu for setting an automatic search and a manual search as the regional type setting menu 42. On the other hand, for European TVs, an Installation Guide menu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setting up TV 30 or upgrading software as the regional type setting menu 42 and currently received A menu for showing the signal strength may be included.

화질 전문가 메뉴(43)는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입력에 대해 소정의 화질 특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화질 특성에 대한 운용방안을 결정하는 화질 특성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화질 전문가 메뉴(43)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The image quality expert menu 43 is for selecting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an input currently selected by the user, and setting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value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ethod for the select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quality expert menu 4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조정 메뉴(44)는 티브이(30)가 판매되기 전, 제조 공장에서 엔지니어가 AD 컨버터 캘리브레이션(ADC calibration), 패널 설정 및 내부에 설치된 각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 등을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정메뉴(44)는 제조 공장에 특화된 메뉴로서, 일반 사용자에게는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justment menu 44 is for the engineer to make AD converter calibration, panel setting, and setting for each device installed in the factory before the TV 30 is sold. The adjustment menu 44 is a menu specialized for the manufacturing plant, and is preferably not displayed to the general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질 전문가 메뉴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mage quality expert menu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질 전문가 메뉴(43)는 사용자가 티브이(30)의 외부 입력 단자들과 상기 각각의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 소스 기기(20)를 서로 매칭(matching) 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 소스 기기(20)의 명칭을 라벨링(labeling)하기 위한 입력 레이블(input label) 메뉴(43-1)가 제공되며, 추가적으로 색조정 및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image quality expert menu 4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match external input terminals of the TV 30 and external source devices 20 connected to the respective external input terminals. In addition, an input label menu 43-1 for labeling the names of the external source devices 20 connected to the respective external input terminals is provided. White Balanc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입력 레이블 메뉴(43-1)의 하위 메뉴 항목으로는 각각의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소스 기기(20)를 선택하기 위한 외부 소스 기기 선택 메뉴(43-2)가 링크된다. As a lower menu item of the input label menu 43-1, an external source device selection menu 43-2 for selecting an external source device 20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external input terminal is linked.

상기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소스 기기(20)에는, 예를 들어, VCR, DVD, 셋탑 박스, 위성 수신기, 케이블 박스, 게임기, 및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may include, for example, a VCR, a DVD, a set top box, a satellite receiver, a cable box, a game machine, a PC,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외부 소스 기기 선택 메뉴(43-2)의 하위 메뉴로서는 각각의 외부 소스 기기(20)가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출력 신호 선택 메뉴(43-3)가 링크된다.As the lower menu of the external source device selection menu 43-2, an output signal selection menu 43-3 for selecting an output signal that each external source device 20 can output is linked.

상기 외부 소스 기기(20)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 출력 신호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VCR의 경우 CVBS, S-Video, Scart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DVD, 셋탑 박스, 위성 수신기, 케이블 박스, 및 게임기는 CVBS, S-Video, Scart, Component, RGB, HDMI_DVI, HDMI_HDMI, DVI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PC는 RGB, HDMI_DVI, HDMI_HDMI, DVI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Output signals that may be output from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are as follows. For example, a VCR can output CVBS, S-Video, and Scart signals. DVDs, set-top boxes, satellite receivers, cable boxes, and game machines can output CVBS, S-Video, Scart, Component, RGB, HDMI_DVI, HDMI_HDMI, DVI signals. The PC may output RGB, HDMI_DVI, HDMI_HDMI, and DVI signals.

다음으로, 상기 출력 신호 선택 메뉴(43-3)의 하위 메뉴로서는 상기 외부 소스 기기(20)의 출력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각 출력 신호 별 블랭킹 페디스탈(Blanking Pedestal) 및 입력 칼라(Input Color)와 같은 화질 특성을 설정하기 위한 화질 특성 설정 메뉴(43-4)가 링크된다. 여기서, 블랭킹 페디스탈이란 IRE에 따라 영상신호를 어느 정도 밝게 또는 어둡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특성을 말한다. 그리고, 입력 칼라는 입력 칼라의 규격(standard)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HD용 칼라 또는 SD용 칼라를 구분하거나, RGB의 전체 영역을 보여주는 RGB_Full 또는 RGB의 일부 영역만을 보여주는 RGB_Limited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Next, as a submenu of the output signal selection menu 43-3, a blanking pedestal and an input color for each output signal and an input colo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are used.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setting menu 43-4 for setting the same quality characteristic is linked. Here, the blanking pedestal refers to a characteristic for making an image signal appear bright or dark according to IRE. In addition, the input color indicates a standard characteristic of the input color and is used to distinguish the color for HD or SD, or to distinguish RGB_Full or RGB_Limited, which shows only a partial region of RGB.

상기 화질 특성 설정 메뉴(43-4)의 하위 메뉴로서는 각 출력 신호 별로 블랭킹 페디스탈 및 입력 칼라와 같은 화질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화질 특성에 대한 특성치를 설정하는 특성치 설정 메뉴(43-5)가 링크된다. As a lower menu of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setting menu 43-4, a characteristic value setting menu 43 for setting a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so that at least one of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blanking pedestal and input color can be adjusted for each output signal. -5) is linked.

상기 블랭킹 페디스탈의 특성치를 0 IRE로 설정하게 되면 화면이 밝아지게 되고, 반면에 상기 블랭킹 페디스탈의 특성치를 7.5 IRE와 같이 높은 수치로 설정하면 원래 화면보다 어두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랭킹 페디스탈의 특성치로서 0 IRE를 기본값으로 하고, 사용자가 7.5 IRE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blanking pedestal is set to 0 IRE, the screen becomes bright, while if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blanking pedistal is set to a high value such as 7.5 IRE, it becomes darker than the original scree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0 IRE as a default value as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blanking pedestal, and to allow a user to select 7.5 IRE.

그리고, 입력 칼라는 외부 소스 기기(20)의 출력에 따라서 그 조건이 달라지도록 되어 있으며, 티브이(30)의 판매 국가에서 사용되는 영상의 규격에 따라서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소스 기기(20)의 출력 종류별로 상기 입력 칼라의 특성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입력 칼라의 특성치로서, HD용 칼라 또는 SD용 칼라를 구분하여 설정하거나, RGB의 전체 영역을 보여주는 RGB_Full 또는 RGB의 일부 영역만을 보여주는 RGB_Limited를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color i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and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image used in the country of sale of the TV 30.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select and set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input color for each output type of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 For example, the user may separately set the color for HD or the color for SD as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input color, or separately set RGB_Full for showing the entire area of RGB or RGB_Limited for showing only a partial area of RGB.

반면에, 도 5의 특성치 설정 메뉴(43-5) 중 'AUTO'라고 도시된 바와 같이, 티브이(30)의 내부 기준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입력 칼라의 특성치가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as 'AUTO' in the characteristic value setting menu 43-5 of FIG. 5,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input color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internal reference of the TV 30.

이와 같이, 사용자가 블랭킹 페디스탈 및 입력 칼라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내용은 일반 사용자는 이해하기 어렵고 전문적인 견해를 갖는 전문 사용자 정도의 경험이 있어야만 조정이 용이할 것이다. As such, although the user may set the blanking pedestal and input color directly, this content will be easy to adjust only if the general user has experience of a professional user who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has a professional opinion.

따라서, 전문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특성치 설정 메뉴(43-5)를 이용하여 블랭킹 페디스탈과 입력 칼라에 대한 특성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특성치 설정 메뉴(43-5)에 대한 특성치로서 블랭킹 페디스탈은 '0 IRE', 입력 칼라는 'AUTO'와 같이 기본값을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for the professional user, the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blanking pedestal and the input color can be selected using the characteristic value setting menu 43-5, and for the general user, as the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characteristic value setting menu 43-5. The blanking pedestal can be set to a default value such as '0 IRE' and the input color 'AUTO'.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외부 소스 기기(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블랭킹 페디스탈 및 입력 칼라와 같은 화질 특성을 선택하고, 상기 화질 특성에 대한 특성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화질 특성에 대한 운용 방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외부 소스 기기(20)가 서로 다른 규약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각 외부 소스 기기(20)의 출력에 따른 화질 특성을 자유롭게 선택 및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별 서로 다른 규약에 따른 신호를 처리할 때 특정 계조 이상의 데이터가 보이지 않게 되는 신호의 포화(saturation)현상과, 특정 계조 이하의 데이터가 보이지 않게 되는 신호의 묻힘 현상, 그리고 기기별 서로 다른 설정값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a blanking pedestal and an input color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each external source device 20, and set characteristic values for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operation method for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even when a plurality of external source devices 20 output signals according to different protoc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freely select and adjust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utput of each external source device 20. When processing signals according to different protocols for each product, saturation of the signal becomes invisible, and signal buried in which data below a certain gradation is invisible, and different settings for each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caused by the valu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별 티브이 사양에 관계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일함으로써, 사용자는 OSD로 표시된 동일한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소스 기기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 설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별 티브이 사양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의 구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nifying the user interface irrespective of the regional TV specifications, the user can set input settings to various external source devices in the same manner using the same menu screen displayed by the OSD.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regional TV specification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grated platform that can provide the same user interface to the user.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블링 설정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labeling setting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레이블링 설정이 완료된 상태의 레이블링 설정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beling setting menu screen in a state in which labeling sett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TV hav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질 전문가 메뉴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mage quality expert menu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선택창 20: 외부 소스 기기10: Selection window 20: External source device

30: 티브이 31: 신호 처리부30: TV 31: signal processing unit

32: 디스플레이부 33: 스피커부32: display unit 33: speaker unit

34: 메모리부 35: 제어부34: memory unit 35: control unit

40: 메뉴 설정 화면 41: 공통 메뉴40: Menu Setting Screen 41: Common Menu

42: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 43: 화질 전문가 메뉴42: Setup menu by region type 43: Quality expert menu

43-1: 입력 레이블 메뉴 43-2: 외부 소스 기기 선택 메뉴43-1: Input Label Menu 43-2: External Source Device Selection Menu

43-3: 출력 신호 선택 메뉴 43-4: 화질 특성 설정 메뉴43-3: Output signal selection menu 43-4: Picture quality setting menu

43-5: 특성치 설정 메뉴 44: 조정 메뉴43-5: Characteristic setting menu 44: Adjustment menu

Claims (5)

적어도 하나의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input from at least one external source device through at least one external input terminal;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 중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video signal of an output of the signal processor; 상기 외부 소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형태에 따라 소정의 화질 특성 및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에 대한 특성치를 조절하기 위한 화질 전문가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menu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quality expert menu for adjusting a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nd a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form of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source device;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메뉴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 및 상기 특성치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특성치를 갖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The menu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nd 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and the characteristic valu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menu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image having the characteristic valu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V with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displayed on the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뉴 정보는, 지역별 특화된 사양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입력 설정 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공통 메뉴와, 지역별 특화된 사양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를 더 포함하고, The menu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common menu for setting input settings commonly required regardless of region-specific specifications, and a region-specific setting menu for setting functions required according to region-specific specifications. 상기 공통 메뉴와, 상기 지역 유형별 설정 메뉴 및 상기 화질 전문가 메뉴는 화면 상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And the common menu, the region type setting menu, and the image quality expert menu are displayed in different areas on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정의 화질 특성은, 블랭킹 페디스탈(Blanking Pedestal) 및 입력 칼라(Input Col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The predetermined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of the TV hav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Blanking Pedestal and Input Color.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블랭킹 페디스탈은 O IRE이 기본값으로 설정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7.5 IRE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The blanking pedestal is a TV with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 IRE is set to a default value, can be changed to 7.5 IRE by the user's sel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칼라는 내부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지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티브이. 4. The TV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nput color can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internal criteria or specified by user selection.
KR1020080001728A 2008-01-07 2008-01-07 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 KR101442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728A KR101442249B1 (en) 2008-01-07 2008-01-07 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728A KR101442249B1 (en) 2008-01-07 2008-01-07 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13A true KR20090076013A (en) 2009-07-13
KR101442249B1 KR101442249B1 (en) 2014-09-23

Family

ID=4133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728A KR101442249B1 (en) 2008-01-07 2008-01-07 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249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37B1 (en) * 2003-12-31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with input Labeling and Labeling Method the Same
KR20050117215A (en) * 2004-06-10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vd using dvd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249B1 (en)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087B2 (en) AV device
US791154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labeling AV signal input sources
US20120206493A1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said display device,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on
US1165922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90310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 optimal external input setting capability
US2005028074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combined mode set-up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442249B1 (en) Television having integrated user interface
KR100731533B1 (en) Method for auto setting video and audio mode of digital television
US20060087593A1 (en) Direct channel entry for tuner and satellite or cable receiver both enabled from a menu offering visual feedback
US8280228B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20000028048A (en) Device for adjusting tv screen and method the same
KR20060128260A (en)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e audio only channel
US20050099535A1 (e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ocessing data
KR100598948B1 (en) Method for zooming image of television
KR100708375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of digital television
KR0184967B1 (en) Sound level and tone control apparatus of television
KR100731357B1 (en) Method of controlling picturequality and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KR1007452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the optimum high-definition in display device
KR100218100B1 (en) Program down loading system
KR970011506B1 (en) Image ton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kind of tv program in tv
KR20080001364A (en)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effect of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KR20060072033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ime shift
KR20060074105A (en) Gamma control apparatus for auto controlling screen bright, and gamma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131160A (en) The device and method for multi displaying the input source of external apparatus in tv set
KR19980041416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program chang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