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602A -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602A
KR20090075602A KR1020080047758A KR20080047758A KR20090075602A KR 20090075602 A KR20090075602 A KR 20090075602A KR 1020080047758 A KR1020080047758 A KR 1020080047758A KR 20080047758 A KR20080047758 A KR 20080047758A KR 20090075602 A KR20090075602 A KR 20090075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ediction mode
block
information
imag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807B1 (ko
Inventor
김동형
정세윤
최진수
정원식
문경애
홍진우
강현수
전주일
김재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07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각각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prediction mode)를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 및 상기 각각의 블록에 대하여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예측 모드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구성된 입력 영상의 경계 영상 블록에서 유효하지 않은 영상 예측 모드를 제외하고 유효한 영상 예측 모드들에 대해서만 부호화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을 부호화할 수 있다.
H.264, 영상 예측 모드, 예측 모드, frame, slice, 부호화

Description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APPARATUS FOR CODING BOUNDARY BLOCK OF IMAGE}
본 발명은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5-01, 과제명: AV코덱 고도화를 통한 리치미디어 방송 기술개발].
현재, 그리고 미래의 통신 환경은 유선과 무선의 영역 구분이나, 지역과 국가의 구분을 초월할 만큼 급변하고 있으며, 특히 영상과 음성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구축되는 추세이다. 동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을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 통신망의 구현이 상용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영상 부호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입력 영상(110)은 인터 예측(120)과 인트라 예측(121)이 모두 수행된다. 스위치(140)는 인터 예측(120)과 인트라 예측(121) 방식 중에서 우수한 예측 방식을 선택한다. 인터 예측(120) 또는 인트라 예측(121)으로 얻어진 예측 영상과 입력 영상(110)의 차이 영상은 DCT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130)과 양자화(150)를 거쳐 엔트로피 부호화(160)된다. 또한 이 부호화기에서 역양자화(151), 역DCT변환(Inverse DCT)(131)을 통해 복원된 차이 영상은 인터 예측(120) 또는 인트라 예측(121)으로 얻어진 예측 영상과의 합을 통해 복원된 영상이 얻어지고 이 복원된 영상은 인트라 예측(121)에 활용되며, 복원된 영상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170) 처리된 영상은 인터 예측(120)에 활용된다.
이러한 상용화 과정에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양자화, 가변장부호화 등 특수한 디지털 처리를 한 다음, 이를 디지털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수신되는 단말기에서 이를 디코딩함으로써 빠른 전송 속도와 보다 풍부한 정보량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압축 기술의 발달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동영상 압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Intra Prediction Mode) 방식, 인터 예측 모드(Inter Prediction Mode) 방식 등이 제안되어 실현되고 있다. 특히, 인트라 예측 모드는 시간적 상관성을 이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영상 프레임 내의 자체 정보만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예측을 할수록 코딩하고자 하는 원 블록과의 중복성(redundancy)이 커지며, 실제 전송할 때에는 원 블록에서 중복성을 제거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압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H.264 부호화 표준은 이전과는 다른 여러 부호화 도구들을 사용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새롭게 사용되고 있는 부호화 도구들 중 하나인 인트라 예측 부호화는 인트라 블록을 부호화함에 있어 공간적 상관도를 이용하여 부호화 대상 블록을 예측한 후, 잔차(residual) 신호만을 부호화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인트라 예측에는 4*4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 8*8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 및 16*16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이 있다. 4*4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 및 8*8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에는 9개의 예측 모드가 사용되고, 16*6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에는 4개의 예측 모드가 사용되며, 잔차 신호와 함께 예측에 사용되는 상기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를 영상과 함께 부호화한다.
4*4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9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고려하는 비용 함수에서의 비용값이 최소가 되는 예측 모드를 선정하여 상기 예측 모드에 의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고, 부호화 대상 블록과 예측 블록과의 잔차 신호 및 상시 사용된 예측 모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 8*8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에서도 상기 예측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4*4 인트라 블록 및 8*8 인트라 블록의 부호화 과정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는 부호화 과정에서 주변 블록들의 예측 모드로부터 예측되는데, 만일 주변 블록으로부터 예측한 인트라 모드가 현재 부호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경우, 이를 MPM(Most Probable Mode)라 한다.
상기의 경우, 예측값과 동일하다는 1비트(bit)의 플래그(flag) 비트만을 부호화한다. 그러나, 현재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주변 블록으로부터 예측한 예 측 모드와 다른 경우에는 예측값과 다르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1비트의 플래그와 9개의 예측 모드 중 주변으로부터 예측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8개 중 사용되는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3비트를 부호화한다. 따라서, 엔트로피 부호화 전 하나의 블록에 대해서 예측 모드를 위한 비트는 1비트 또는 4비트를 갖게 된다.
H.264 부호화 표준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할당되는 번호는 입력 영상 또는 부호화 대상 블록에 관계없이 동일한 값을 사용하며, 각 예측 모드 번호는 통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은 확률을 갖는 예측 모드에 낮은 번호를 할당하고, 반대로 통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낮은 예측 모드에 높은 번호를 할당하고 있다.
이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의 부호화 과정에서 대상 블록의 예측 모드를 상측 및 좌측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작은 값으로 예측함으로써, 확률적으로 예측 정확도(MPM)를 늘리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H.264 부호화에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은 입력 영상 또는 입력 블록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영상 또는 모든 블록에 대해서 각 예측 모드가 동일한 확률적 대소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영상에 따라 부호화 효율에 큰 편차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구성된 입력 영상의 경계 영상 블록에서 유효하지 않은 영상 예측 모드를 제외하고 유효한 영상 예측 모드들에 대해서만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을 부호화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각각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prediction mode)를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 및 상기 각각의 블록에 대하여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예측 모드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상 블록에 포함된 제1 블록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하여 복수의 영상 예측 모드 후보들을 선택하는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 상기 선택된 영상 예측 모드 후보들 중에서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예측 모드 후보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예측 모드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기 입력 영상의 소정의 위치의 영상 블록을 식별하는 블록 식별부, 상기 구분된 소정의 위치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의 결정 빈도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예측 모드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구성된 입력 영상의 경계 영상 블록에서 유효하지 않은 영상 예측 모드를 제외하고 유효한 영상 예측 모드들에 대해서만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을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입력 영상은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slice)단위의 입력 영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재생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부호화된다. 각각의 프레임은 특정한 시간에 재생되는 영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는 본 발명은 특정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을 부호화 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좀더 효율적인 영상 부호화를 위하여 영상의 특성에 기반하여 복수의 프레임을 하나의 슬라이스로 구성하고, 특정 슬라이스에 포함된 영상을 서로 연관시켜 부호화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에서, 영상의 각 부분에 따라서 영상의 특성이 다른 경우에는 동일한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을 복수의 슬라이스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슬라이스로 구분된 각각의 영상을 부호화 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의 입력 영상은 정지 영상을 의미하고, 본 발명은 정지 영상을 부호화 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입력 영상 분할부(210), 예측 모드 결정부(220) 및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를 포함한다.
입력 영상 분할부(210)는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영상 분할부(210)는 입력 영상을 복수의 사각 격자로 분할 할 수 있다. 각각의 격자는 복수의 영상 화소를 포함한다.
예측 모드 결정부(220)는 분할된 각각의 영상 블록에 대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하는 복호기는 각각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참조하여 영상을 복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제1 영상 블록에 이웃한 제2 영상 블록의 휘도 값 및 색상 값의 차이 값을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부호화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결정부(220)는 제1 영상 블록에 이웃한 복수의 제2 영상 블록 중에서 어느 영상 블록과의 차이를 부호화하였는지, 또는 이웃한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에서 어느 화소와의 휘도 값 또는 색상 값의 차이를 부호화할지를 결정한다.
이하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각각의 영상 블록에 대하여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를 복수의 영상 블록에 대한 각각의 영상 블록의 상대적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영상에 포함된 영상 블록의 위치에 따라서 예측 모드 결정부(220)가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개수는 달라진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의 상부 경계에 위치한 영상 블록에 대하여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개수는 입력 영상의 가운데에 위치한 영상 블록에 대하여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개수보다 적다.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영상 블록의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 가능한 예측 모드의 개수를 판단하고, 결정 가능한 예측 모드의 개수에 따라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서로 다른 길이로 부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영상 분할부(210)가 분할한 복수의 영상 블록은 서로 인접한 제1 영상 블록과 제2 영상 블록을 포함하고,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부호화할 수 있다.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 경우에, 동일함을 의미하는 비트만을 부호화하고,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의 구체적인 정보는 부호화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의 구체적인 정보는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1 영상 블록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부호화 할 수 있고,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가 감소한다. 복호화 장치는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참조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하여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에 따라서 별개의 길이로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의 고유한 특성 또는 이웃한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별개의 길이로 부호화할 수 있다.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를 별개의 길이로 부호화하면, 고정된 길이로 부호화하는 경우보다 평균적으로 더 적은 비트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결정 가능한 예측 모드 각각의 결정 빈도에 기반하여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 빈도가 높은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해서는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짧은 길이로 부호화하고, 결정 빈도가 낮은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해서는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긴 길이로 부호화할 수 있다.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길이로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하면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고정된 길이로 부호화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호화에 필요한 평균 비트 수가 적다. 더 적은 비트로 동일한 정보를 부호화하므로 좀더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고,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도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상 블록에 이웃한 복수의 제2 영상 블록이 존재할 수 있다.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복수의 제2 영상 블록이 결정한 영상 예측 모드 중에서 어느 한 영상 예측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 예측 모드와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비교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230)는 복수의 제2 영상 블록이 각각 결정한 영상 예측 모드 중에서 예측 모드의 번호가 가장 낮은 예측 모드를 제2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예측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경우에, 각각의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과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기준 화소와의 차이가 부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예측 모드 0를 이용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하여 부호화 하는 경우에, 기준 화소는 제1 영상 블록의 상단에 위치한 제2 영상 블록의 하단 화소들(A, B, C, D)이다. 각각의 기준 화소(A, B, C, D)들로부터 화살표 방향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기준화소와의 차이값만을 부호화할 수 있다.
영상 예측 모드 2를 이용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하여 보호화하는 경우에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화소들의 평균값과 각각의 화소화의 차이값만을 부호화 할 수 있다..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영상 블록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이용 가능한 영상 모드의 개수가 달라진다. 즉,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부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상단 영상 블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단 영상 블록의 정보를 참조하는 영상 예측 모드 0, 3, 4, 5, 6, 7은 이용할 수 없고, 단지 영상 예측 모드 1, 2, 8 만 이용 가능하다.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좌부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좌단 영상 블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좌단 영상 블록의 정보를 참조하는 영상 예측 모드 1, 4, 5, 6, 8은 이용할 수 없고, 단지 영상 예측 모드 0, 2, 3, 7만이 이용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영상 블록과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예측 모드 부호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410)에서는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수신한다.
단계(S420)에서는 단계(S410)에서 수신한 제2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가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S420)에서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와 제2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면, 단계(S450)에서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부호화하지 않고,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플래그 비트를 '1'로 부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는 제1 영상 블록의 플래그 비트를 검출하고, 제2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알아낼 수 있다.
만약 단계(S420)에서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와 제2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 되었다면, 단계(S430)에서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플래그 비트를 '0'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40)에서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영상 블록의 크기가 매우 작다면, 서로 인접한 제1 영상 블록과 제2 영상 블록은 유사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두 영상 블록에 대한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는 동일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각각의 영상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구체적인 영상 예측 모드를 매번 부호화하지 않고, 인접한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만을 부호화한다면, 적은 길이의 비트 만으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영상 블록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500)는 입력 영상 분할부(510), 위치 정보 생성부(520),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530), 예측 모드 결정부(540) 및 예측 모드 부호화부(550)를 포함한다.
입력 영상 분할부(510)는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영상 분할부(510)는 입력 영상을 사각형 형태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520)는 분할된 복수의 영상 블록에 포함된 제1 블록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는 복수의 영상 블록 에 대한 제1 블록의 상태적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체 영상 블록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한다는 정보, 또는 전체 영상 블록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하단 경계 등에 위치한다는 정보일 수 있다.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530)는 위치 정보 생성부(520)가 생성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하여 복수의 영상 예측 모드 후보들을 선택한다.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한 위치의 영상 블록은 특정한 예측 모드들 중에서만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530)는 제1 영상 블록이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들을 영상 예측 모드 후보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530)는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에 위치한 경우에, 전체 영상 예측 모드 중에서 일부만을 영상 예측 모드 후보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블록의 상부 경계에 위치한 경우에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530)는 예측 모드 1, 2, 8을 영상 예측 모드 후보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블록의 좌부 경계에 위치한 경우에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530)는 예측 모드 0, 2, 3, 7을 영상 예측 모드 후보로 선택할 수 있다.
예측 모드 결정부(540)는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530)가 선택한 영상 예측 모드 후보들 중에서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결정부(540)는 동일한 비트 레이트에서 오류가 최 소화되는 영상 예측 모드를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결정부(540)는 동일한 오류정도에서 비트 레이트가 최소화되는 영상 예측 모드를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예측 모드 부호화부(550)는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530)가 선택한 영상 예측 모드 후보의 개수에 기반하여 예측 모드 결정부(540)가 결정한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한다. 예를 들어 영상 예측 모드 후보의 개수가 많으면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긴 길이로 부호화하고, 영상 예측 모드 후보의 개수가 적으면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짧은 길이로 부호화할 수 있다.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에 위치한 경우, 결정 가능한 영상 블록의 개수는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에 위치한 영상 블록의 경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짧은 길이로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550)는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각각의 결정 빈도에 기반하여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예측 모드 부호화부(550)는 빈번하게 결정되는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해서는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짧은 길이로 부호화하고, 빈번하게 결정되지 않는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해서는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긴 길이로 부호화 할 수 있다.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동일한 길이로 부호화하는 실시예보다는 영상 예측 모드를 짧 은 길이로 부호화할 수 있어 부호화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 블록은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500)는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수신하는 예측 모드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550)는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550)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부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550)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 경우에는 플래그 비트를 '1'로 부호화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 비트를 '0'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550)는 예측 모드 결정부(540)가 결정한 영상 예측 모드에 따라서 별개의 길이로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의 결정 빈도 및 영상 블록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별개의 길이로 부호화하면, 고정된 길이로 부호화하는 경우보다 평균적으로 짧은 길이로 부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 효율이 향상되므로,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가 작아지고, 통신망을 통하여 부호화된 영상을 쉽게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영상 블록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예측 모드 부호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이미 수신하였다고 가정하고, 이하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는 동일하지 않다고 가정한다.
단계(S610)에서는 제1 영상 블록이 전체 영상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에 위치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1 영상 블록이 전체 영상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에 위치해 있지 않다면, 모든 영상 예측 모드가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이미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는 동일하지 않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는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제외한 8가지 영상 예측 모드중의 한가지 모드이다. 단계(S62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9가지 영상 예측 모드 중에서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제외한 8개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할 수 있다. 8개의 영상 예측 모드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경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3비트로 부호화할 수 있다.
단계(S630)에서는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부 경계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상 블록이 상부 경계에 위치한 경우에는 9개의 영상 예측 모드 중에서 1, 2, 8의 3가지 모드만 결정 가능하다.
만약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부 경계에 위치해 있지 않은 경우, 즉 좌부 경계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9개의 영상 예측 모드 중에서 0, 2, 3, 7 의 영상 예측 모드만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상 블록이 좌부 경계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단계(S640)에서 영상 예측 모드 0, 2, 3, 7 중에서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제외한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해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가 최대 4가지 이므로, 2비트 만으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상 블록이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부 경계에 위치해 있는 경우, 단계(S650)에서 영상 예측 모드 1, 2, 8 중에서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제외한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해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가 최대 3가지 이므로, 2비트 만으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상 블록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항상 최소 3비트 이상으로 부호화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상 블록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한다면 영상 예측 모드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의 위치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부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700)는 입력 영상 분할부(710), 블록 식별부(720), 예측 모드 결정부(730) 및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를 포함한다.
입력 영상 분할부(710)는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영상 분할부(710)는 입력 영상을 사각형 형태의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복수의 영상 블록은 입력 영상의 외곽에 위치한 영상 블록 및 내부에 위치한 영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식별부(720)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입력 영상의 소정의 위치의 영상 블록을 식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위치는 분할된 복수의 영상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모드 결정부(730)는 블록 식별부(720)가 식별한 소정 위치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결정부(730)가 결정한 영상 예측 모드는 도 3에 도시된 9가지 영상 예측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일 수 있다.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예측 모드 결정부(730)가 결정한 영상 예측 모드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부호화 길이를 결정한다.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결정된 부호화 길이에 따라서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예측 모드 결정부(730)가 결정한 영상 예측 모드의 결정 빈도에 기반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9가지 영상 예측 모드들은 결정 빈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영상 예측 모드 0는 영상 예측 모드 8보다 훨씬 빈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빈번하게 결정되는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의 길이는 짧게, 빈번하게 결정되지 않는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의 길이는 길게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된 길이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경우보다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평균적으로 더 짧게 부호화할 수 있다.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으므로,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예측 모드 결정부(730)가 결정한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부호화된 길이를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결정된 길이에 따라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의 결정 빈도, 인접한 영상 예측 모드와의 동일 여부 등에 기반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면 짧은 길이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된 영상 블록은 제1 영상 블록 및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을 포함하고,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 경우에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플래그 비트를 '1'로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예측 모드 부호화부(740)는 플래그 비트를 '0'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 경우에 단 1비트 만으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으므로, 매우 짧은 길이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호 영상 블록의 위치에 기반하여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800)는 입력 영상 수신부(810), 블록 식별부(820), 예측 모드 식별부(830) 및 영상 예측 모드 정보 수신부(840)를 포함한다.
입력 영상 수신부(810)는 복수의 영상 블록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 블록은 영상 복호화 장치가 복호화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복호 영상 블록과 복호 영상 블록에 인접한 참조 영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식별부(820)는 입력 영상 수신부(810)에 입력된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소정의 위치의 복호 영상 블록을 식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위치는 입력 영상 중에서 상부 경계 도는 좌부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모드 식별부(830)는 블록 식별부(820)가 식별한 입력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에 기반하여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장치는 복호 영상 블록의 위치에 기반하여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 장치는 복호 영상 블록의 위치에 기반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가 부호화한 영상 예측 모드의 길이는 영상 블록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측 모드 식별부(830)는 입력 영상 내의 복호 영상 블록의 위치에 기반하여 부호화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가 가질 수 있는 예측 모드의 가짓수는 복호 영상 블록의 위치에 따 라 다르다. 따라서, 예측 모드 식별부(830)는 복호 영상 블록의 위치에 기반하여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가 가질 수 있는 예측 모드의 가짓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짓수에 기반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는 영상 예측 모드의 발생 빈도에 기반하여 가변길이 부호화될 수 있다. 복호 영상 블록의 특정 영상 예측 모드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는 경우에,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짧은 길이로 부호화될 수 있다. 또는 특정 영상 예측 모드가 빈번하게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긴 길이로 부호화될 수 있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영상 예측 모드는 짧은 길이로 부호화 되므로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는 매우 효율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예측 모드 식별부(830)는 각 영상 예측 모드의 발생 빈도에 기반하여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예측 모드 정보 수신부(840)는 복호 영상 블록에 인접한 참조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예측 모드 식별부(830)는 참조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참조하여 복호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복호화 장치(800)는 예측 모드 식별부(830)가 식별한 영상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복호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복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영상 부호화 장치 또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영상 부호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예측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영상 블록과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영상 블록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영상 블록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의 위치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부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호 영상 블록의 위치에 기반하여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22)

  1.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각각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prediction mode)를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 및
    상기 각각의 영상 블록에 대하여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예측 모드 부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를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에 대한 상기 각각의 영상 블록의 상대적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은 제1 영상 블록 및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 각각의 결정 빈도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의 부호화된 길이를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7.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상 블록에 포함된 제1 블록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하여 복수의 영상 예측 모드 후보들을 선택하는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
    상기 선택된 영상 예측 모드 후보들 중에서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예측 모드 후보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예측 모드 부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에 대한 상기 제1 영상 블록의 상대적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후보 선택부는,
    상기 제1 영상 블록이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에 위치한 경우에, 전체 영상 예측 모드 중에서 일부를 상기 영상 예측 모드 후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은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을 포 함하고,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수신하는 예측 모드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결정 가능한 영상 예측 모드의 각각의 결정 빈도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에 따라서 별개의 길이로 상기 결정된 영상 예 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4.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기 입력 영상의 소정의 위치의 영상 블록을 식별하는 블록 식별부;
    상기 식별된 소정의 위치의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각각의 영상 예측 모드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부호화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호화 길이에 따라서 상기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하는 예측 모드 부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결정된 영상 예측 모드의 결정 빈도에 기반하여 상기 부호화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은 제1 영상 블록 및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은 제1 영상 블록 및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인접한 제2 영상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드 부호화부는,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가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19. 복수의 영상 블록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입력 영상 수신부;
    상기 복수의 영상 블록 중에서 소정의 위치의 복호 영상 블록을 식별하는 블록 식별부; 및
    상기 소정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복호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는 예측 모드 식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입력 영상 중에서 상부 경계 또는 좌부 경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영상 블록에 인접한 참조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예측 모드 정보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드 식별부는,
    상기 참조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영상 예측 모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예측 모드는,
    상기 영상 예측 모드의 발생 빈도에 기반하여 가변길이 부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KR1020080047758A 2008-01-03 2008-05-22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 KR100960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894 2008-01-03
KR20080000894 2008-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602A true KR20090075602A (ko) 2009-07-08
KR100960807B1 KR100960807B1 (ko) 2010-06-01

Family

ID=4133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758A KR100960807B1 (ko) 2008-01-03 2008-05-22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80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844A2 (ko) * 2009-08-21 2011-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변 길이 부호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모드 부호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기록 매체
WO2012044124A2 (ko) * 2010-09-30 2012-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KR101336578B1 (ko) * 2012-06-11 2013-12-0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화면 내 예측모드 예측기 및 그 예측 방법
US8842922B2 (en) 2009-10-30 201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oding unit of picture boundary
KR20180126424A (ko) * 2010-09-30 2018-11-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KR20210036328A (ko) * 2010-09-30 2021-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120A (ko) * 2002-03-08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동영상 인트라 예측모드 구현방법
KR20050026318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트라 스킵 모드를 포함하는 비디오 인코딩_디코딩 장치및 방법
KR100982514B1 (ko) * 2003-11-14 201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703200B1 (ko) * 2005-06-29 2007-04-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인트라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845209B1 (ko) * 2006-09-15 2008-07-10 엠텍비젼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844A3 (ko) * 2009-08-21 2011-07-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변 길이 부호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모드 부호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기록 매체
WO2011021844A2 (ko) * 2009-08-21 2011-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변 길이 부호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모드 부호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기록 매체
US8837845B2 (en) 2009-08-21 2014-09-16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intra-prediction mode using variable length codes,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US8842922B2 (en) 2009-10-30 201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oding unit of picture boundary
US8842926B2 (en) 2009-10-30 201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oding unit of picture boundary
US8842925B2 (en) 2009-10-30 201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oding unit of picture boundary
KR20200008009A (ko) * 2010-09-30 2020-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WO2012044124A3 (ko) * 2010-09-30 2012-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US9202289B2 (en) 2010-09-30 2015-12-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target block partition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about neighboring blocks
US9510010B2 (en) 2010-09-30 2016-1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Method for decoding images based upon parti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s and apparatus for decoding using same
KR20180126424A (ko) * 2010-09-30 2018-11-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WO2012044124A2 (ko) * 2010-09-30 2012-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KR20200133707A (ko) * 2010-09-30 2020-1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KR20210036328A (ko) * 2010-09-30 2021-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KR20210148984A (ko) * 2010-09-30 2021-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 방법과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
KR101336578B1 (ko) * 2012-06-11 2013-12-0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화면 내 예측모드 예측기 및 그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807B1 (ko) 201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22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vector determination in video encoding or decoding
JP6646019B2 (ja) 映像の符号化方法及び装置
US2018033813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tra mode coding
TWI601418B (zh) 視訊解碼方法
US93510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s using a motion vector of a previous block as a motion vector for the current block
US20110292999A1 (en) Super macro block based intra 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73290B1 (ko)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KR20110112167A (ko)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인루프 필터링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EP2719179A1 (en) Border pixel padding for intra prediction in video coding
KR20170026536A (ko) 디지털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코딩 방법, 디바이스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들
KR100960807B1 (ko)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
KR20110068793A (ko)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1071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based on intra prediction
KR20090117863A (ko) 계층적 영상 부호화를 위한 참조 프레임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630985B2 (en) Method for scanning coding blocks inside a video frame by video codecs
KR101366088B1 (ko)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