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959A -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959A
KR20090074959A KR1020080000692A KR20080000692A KR20090074959A KR 20090074959 A KR20090074959 A KR 20090074959A KR 1020080000692 A KR1020080000692 A KR 1020080000692A KR 20080000692 A KR20080000692 A KR 20080000692A KR 20090074959 A KR20090074959 A KR 2009007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power supply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애
장미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4959A/en
Publication of KR2009007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9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78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 G03G2215/00983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using batteries

Abstract

A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comprising the same for improving the lifetime of a battery are provided to improve power efficiency by adding a separated terminal at a remote place closed to a power unit of a printed circuit board. A chamber(137) is formed inside a case in order to accommodate a battery.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unit of the case while battery is inserted. A first connection unit(131) comprises the opening for the first connection formed in the upper of case, a battery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A second connection unit comprises the opening for the second connector, the battery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 terminals. A first terminal is arrang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 second terminal is arranged in one side of the battery.

Description

배터리 수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an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수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존의 단자부 이외에 인쇄회로기판의 전원부와 근접한 곳에 별도의 단자부를 추가하여 전원효율을 증대시키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nd an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nd an image capturing device having the same to increase power efficiency by adding a separate terminal unit adjacent to a power supply unit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erminal unit. Relates to a device.

최근 널리 이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PC, 휴대 전화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들은 그 휴대가 간편하여야 하므로,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장착된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고성능화 되어감에 따라 전력 소모가 많아지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원 효율이 증대되어야 한다. Recently, a widely used digital camer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otebook PC, a mobile phone such as a mobile phone is equipped with a battery for power supply. Since su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ust be easy to carry, the battery must not only stably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ut als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sinc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ecome high performance, the power efficiency of the battery should be increased.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aging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촬상 장치(1)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10)는 배터 리(20)와 케이스(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10 of the conventional imaging device 1 includes a battery 20 and a case 30.

배터리(20)의 상측면에는 단자부(21)가 배치되고, 케이스(30)에서 상기 단자부(21)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 단자(31)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10)에서 단자부(21)와 접속 단자(31)는 촬상 장치(1)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A terminal portion 21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battery 20, and a connection terminal 31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portion 21 is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case 30 that contacts the terminal portion 21. Thus, in the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10, the terminal part 2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1 were generally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imaging device 1.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배터리(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전원부가 구비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power supply, and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한편, 촬상 장치가 슬림화됨에 따라 촬상 장치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크기 역시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작아짐으로 인하여,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전원부, 촬상 소자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됨으로써, 그 배치가 자유롭지 못하게 되었다. 즉, 영상이 결상되는 촬상 소자가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부와 근접하게 배치될 경우, 전원부에 의하여 촬상 소자에 결상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부와 촬상 소자는 최대한 멀리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원부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imaging device becomes thinner, the siz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d in the imaging device also tends to decrease. 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reduced in this way, the area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the image pickup device, and the lik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disposed is limited, thereby making the arrangement free. That is, when the image pickup device in which the image is imaged is disposed close to the power source to which power is applied, the power source and the image pickup device should be disposed as far as possible because noise may occur in the image formed in the image pickup device by the power source. Therefore, the power supply unit is generally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10)에서 단자부(21)와 접속 단자(31)는 촬상 장치(1)의 상측에 배치되고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배터리 접촉부 역시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전원부는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10, the terminal portion 2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1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maging device 1, so that the battery contact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lso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general, the power supply unit is generally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그런데 이와 같이, 배터리 수납 구조체(10)의 단자부(21)와 접속 단자(31) 및 인쇄회로기판의 배터리 접촉부가, 인쇄회로기판의 전원부와 멀리 이격되어 배치될 경우, 인쇄회로기판 내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로에 있는 다수 개의 커패시터 및 저항 성분으로 인하여 전원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portion 21, the connection terminal 31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10, and the battery contact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power loss occurs due to the number of capacitors and resistor components in the applied path.

본 발명은 기존의 단자부 이외에 인쇄회로기판의 전원부와 근접한 곳에 별도의 단자부를 추가하여 전원효율을 증대시키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nd an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erminal portion to increase the power efficiency by adding a separate terminal portion in close proximity to the power supply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 단자부와 접속하는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 단자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omprising a first terminal portion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a case accommodating the battery therei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제 1 항의 구조를 가진 배터리 수납 구조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of claim 1; And a power supply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equal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unit. An imaging device is formed so as to be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power supply uni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직선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be disposed at a point where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is minimum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촬상 소자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직선 거리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직선 거리보다 먼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직선 거리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직선 거리보다 가까운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further includes an image pickup device, where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have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farther than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image pickup element.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be disposed at a point where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power supply unit is closer than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imaging device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전원 손실이 최소화되어 전원 효율이 증가하며, 배터리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loss is minimized, power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life of the battery can be increased.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디지털 카메라,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PC, 휴대 전화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배터리 수납 구조체(110)는 배터리(120)와, 배터리(120)를 수용하는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is a part moun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otebook PC, a mobile phone, and the like to supply power.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110 includes a battery 120 and a case 130 accommodating the battery 120.

케이스(130)는 내부에는 배터리(120)를 수용하는 챔버(137)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배터리(120)가 삽입되는 개구부(1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30)의 상측에는 제1 접속부(131)가 형성된다. 제1 접속부(131)는 케이스(13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접속용 개구부(133)와, 배터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132)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130)의 일 측에는 제2 접속부(134)가 형성된다. 제2 접속부(134)는 케이스(13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2 접속용 개구부(136)와, 배터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135)들을 포함한다.The case 130 has a chamber 137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120 therein, and an opening 138 for inserting the battery 120 therein. 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part 131 is formed above the case 130. The first connector 131 includes a first connection opening 133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30,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3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20. In addition, a second connection part 13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130. The second connector 134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opening 136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3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35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20.

배터리(120)의 상측 면에는 제1 단자부(121)가 배치된다. 그리고, 배터리(120)의 일 측면에는 제2 단자부(122)가 배치된다. 배터리(120)가 케이스(130)의 개구부(138)를 통해 삽입되어 케이스(130)의 챔버(137)에 수용되면, 케이스(130)의 제1 접속 단자(132)가 배터리(120)의 제1 단자부(121)에 접속되고, 케이스(130)의 제2 접속 단자(135)가 배터리(120)의 제2 단자부(122)에 접속됨으로써, 배터리(120)의 전원이 휴대용 전자 기기, 즉 촬상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part 121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120. The second terminal part 12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120. When the battery 12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38 of the case 130 and accommodated in the chamber 137 of the case 13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2 of the case 130 is formed of the battery 120. It is connected to the one terminal portion 121,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5 of the case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22 of the battery 120, so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120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imaging Can be supplied to the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의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of FIG. 3.

셔터-릴리즈 버튼(101)은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101 is opened and closed to expose the image pickup device or the film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ords an image on the image pickup device by properly exposing the subject in conjunction with an aperture (not shown).

셔터-릴리즈 버튼(10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촬상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녹색 불이 켜 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The shutter release button 101 generates the first and second image capturing signals by a photographer input. When the first shutter-release signal as the half-shutter signal is input, the imaging device focuses and adjusts the amount of light, and when the focus is achieved, the green light is turned on in the display unit. When the focus is achieved by the input of the first shutter release signal and the amount of light is adjusted, the second shutter release signal as a full shutter signal is input to capture an image.

전원 버튼(103)은 촬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The power button 103 is input to operate by supplying power to the imaging device.

플래시(10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The flash 105 brightens the bright light instantly when shooting in a dark place. The flash mode includes auto flash, forced flash, flash off, red-eye reduction, and slow synchro.

보조광(10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촬상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The auxiliary light 107 supplies light to the subject so that the image capturing device can focus quickly and accurately when the amount of light is insufficient or at night.

렌즈부(10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The lens unit 109 receives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processes an image.

도 4를 참조하면, 촬상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제어를 총괄하는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이 부착된 인쇄회로기판(140)의 하측에는 전원을 인가하여 촬상 장치(100)가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부(141)가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140)의 상측에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상 소자(14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촬상 소자(142)의 상측에는 제1 배터리 접촉부(143)가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141)의 일 측에는 제2 배터리 접촉부(144)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a power supply unit 141 for applying an electric power to a lower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140 to which a C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etc., which controls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an imaging device, is applied, enables the imaging device 100 to operate. ) Is disposed, and an imaging device 142 for acquiring image data is dispos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140. The first battery contact unit 143 is disposed above the imaging device 142, and the second battery contact unit 14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wer supply unit 141.

상세히, 촬상 장치가 슬림화됨에 따라 촬상 장치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크기 역시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작아짐으로 인하여,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전원부, 촬상 소자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됨으로써, 그 배치가 자유롭지 못하게 되었다. 즉, 영상이 결 상되는 촬상 소자가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부와 근접하게 배치될 경우, 전원부에 의하여 촬상 소자에 결상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부와 촬상 소자는 최대한 멀리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원부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서 단자부와 접속 단자는 촬상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전원부는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In detail, as the imaging device becomes slim, the siz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d in the imaging device also tends to decrease. 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reduced in this way, the area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the image pickup device, and the lik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disposed is limited, thereby making the arrangement free. That is, when the image pickup device in which the image is formed is disposed close to the power source to which power is applied, the power source and the image pickup device should be disposed as far as possible because noise may occur in the image formed in the image pickup device by the power source. Therefore, the power supply unit is generally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generally disposed above the imaging device, and the power supply portion is generally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그런데 이와 같이,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단자부와 접속 단자 및 인쇄회로기판의 배터리 접촉부가, 인쇄회로기판의 전원부와 멀리 이격되어 배치될 경우, 인쇄회로기판 내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로에 있는 다수 개의 커패시터 및 저항 성분으로 인하여 전원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nd the battery contact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capacitors in a path to which power is appli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power loss occurs due to the resistance componen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서는, 전원부와 가까운 곳에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단자부와 접속 단자를 추가하여, 전원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nd the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ing terminal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re added to the power supply portion to increase the power efficiency. It features.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납 구조체(110)의 케이스(130)의 일 측에는 제2 접속 단자(135)가 형성되고, 배터리(120)의 일 측면에는 제2 단자부(122)가 배치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40)에는 제2 배터리 접촉부(144)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단자(135), 제2 단자부(122) 및 제2 배터리 접촉부(144)는, 상기 제1 접속 단자(132), 제1 단자부(121) 및 제1 배터리 접촉부(143)보다, 전원부(141)로부터 가까운 곳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2 접속 단자(135), 제2 단자부(122) 및 제2 배터리 접촉부(144)는, 상기 전원부(141)로부터의 직선 거리가 최소가 되는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30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11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2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120. The second battery contact part 144 i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40. Her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5,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22, and the second battery contact portion 144 may includ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2, the first terminal portion 121, and the first battery contact portion 143. Furthermore, it is arrange | positioned closer to the power supply part 141. Preferably,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5,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22, and the second battery contact portion 144 may be disposed at a point where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1 is minimized.

즉, 인쇄회로기판 내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로에 커패시터 및 저항 성분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한의 커패시터 및 저항 성분만이 존재하는 지점에 제2 접속 단자(135), 제2 단자부(122) 및 제2 배터리 접촉부(144)를 배치하여, 전원 손실이 최소화되어 전원 효율이 증가하며, 배터리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접촉 면적 자체가 확대됨에 따라, 전원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터리와 케이스 및 배터리 수납 구조체와 인쇄회로기판이 두 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낙하 및 충격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배터리에 충격이 가하여 질 경우, 전원 개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홀트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5,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22,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5 are located at a point where no capacitor and resistance component are present or only a minimum capacitor and resistance component exists in a path to which power is appli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arranging the two battery contacts 144, power loss is minimized to increase power efficiency and increase battery life. In addition, as the battery contact area itself is enlarged, power efficiency may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the case,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at two points, a system that may be caused by the power supply when a shock is applied to the battery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dropping or impacting momentarily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holt can be obtain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aging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의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imaging device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촬상 장치 110: 배터리 수납 구조체100: imaging device 110: battery housing structure

120: 배터리 130: 케이스120: battery 130: case

140: 인쇄회로기판140: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5)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및A battery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portion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And 상기 제1 단자부와 접속하는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 단자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And a case accommodating the battery therein,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connecting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connecting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제 1 항의 구조를 가진 배터리 수납 구조체; 및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of claim 1; And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power supply unit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상기 제2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unit.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직선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re disposed at a point where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is minimum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촬상 소자가 더 구비되고, The printed circuit board further includes an imaging device,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직선 거리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직선 거리보다 먼 지점에 배치되고,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re disposed at a point where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is farther from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imaging element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상기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직선 거리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직선 거리보다 가까운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re disposed at a point where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is closer to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imaging element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KR1020080000692A 2008-01-03 2008-01-03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900749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92A KR20090074959A (en) 2008-01-03 2008-01-03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92A KR20090074959A (en) 2008-01-03 2008-01-03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959A true KR20090074959A (en) 2009-07-08

Family

ID=4133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692A KR20090074959A (en) 2008-01-03 2008-01-03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49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0449B2 (en) Composit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018527B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digital camera module employing the same
US7817913B2 (en) Flash lamp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00106804A (en) Structure for battery cove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EP1487035B1 (en) A contact structure, an apparatus having the contact structure and image input apparatus having the contact structure
KR20090058419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101036379B1 (en) Jig for measuring of camera module
KR20120118894A (en) Camera module device
JP2010141629A (en) Cellular phone with camera
JP6800601B2 (en) Card-type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KR20090074959A (en) Battery holding structur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7379667B2 (en) Image-taking apparatus
US20210176380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090060667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9211895A (en) Electronic equipment
JP2017199988A (en) Shield case fixing method
JP4981533B2 (en) Digital still camera
WO2019061408A1 (en) Card holder structure and mobile phone
JP2016017972A (en) Electronic device
KR100772586B1 (en) Camera module
JP4667156B2 (en)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component on circuit board, and electric apparatus using the structure
JP2016109706A (en) Imaging device
JP2010074666A (en) Imaging apparatus
JP6021528B2 (en) Imaging device
JP5274512B2 (en)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