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617A - 이종 기능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기능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617A
KR20090074617A KR1020080000459A KR20080000459A KR20090074617A KR 20090074617 A KR20090074617 A KR 20090074617A KR 1020080000459 A KR1020080000459 A KR 1020080000459A KR 20080000459 A KR20080000459 A KR 20080000459A KR 20090074617 A KR20090074617 A KR 2009007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wakeup
digital television
controll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0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4617A/ko
Publication of KR2009007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이용 가능한 차일드락 기능과, 웨이크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차일드락 기능과 웨이크업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에 적용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을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웨이크업 타임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상기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경고문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타임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대기모드에서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일드락 기능, 웨이크업 기능, 디지털 텔레비전

Description

이종 기능 수행 방법{METHOD OF PERFORMING A DIFFERENT KIND FUNCTION}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이용 가능한 차일드락 기능과, 웨이크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아동이 있는 가정에서 텔레비전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예측 불허된 유아/아동의 행동으로 인해 텔레비전이 불필요하게 조작되거나 오동작되는 경우가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유아/아동에 의한 조작으로부터 텔레비전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 차일드 락(Child Lock) 기능이며, 이러한 차일드락 기능은 이미 다양한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 즉, 무선 리모컨과 텔레비전의 프론트 패널을 통한 제어신호 입력에 의해 동작하는 텔레비전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텔레비전의 동작 중에는 프론트 패널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대하여는 텔레비전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프론트 패널 잠금 기능(차일드락 기능)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일드락 기능이 적용되는 텔레비전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 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차일드락 기능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리모컨과 같은 원격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신호 수신부(110), 텔레비전 외관에 형성된 버튼들로 구성된 프론트 패널(130) 및 상기 원격 신호 수신부와 프론트 패널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텔레비전의 각종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종래의 텔레비전이, 사용자에 의해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기 모드에서 원격 제어수단을 이용해서만 텔레비전의 파워가 온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특정 키의 입력에 의해 차일드락 모드로 설정되면 원격 신호 수신부를 통해 원격 파워 공급 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이전까지 프론트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파워 공급 제어신호는 무시되며, 원격 신호 수신부를 통해 원격 파워 공급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가 텔레비전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차일드락 기능을 해제하여 원격 제어수단 및 프론트 패널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차일드락 기능이 해제된다.
한편, 21세기 무한 경쟁 시대로 접어들면서 시간에 대한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침 시간의 중요성은 굳이 말할 필요없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아침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시계나 핸드폰 등의 웨이크업 기능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TV에서도 이러한 웨이크업 기능(알람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두 개의 기능은 서로 병존하여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수단에 의해서만 텔레비전에 전원이 공급되어 대기 모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므로, 차일드락 기능과 함께 웨이크업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웨이크업 기능이 수행되어서는 않된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이미 웨이크업 기능을 설정해 놓은 것을 잊고, 아이들이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일드락 기능을 설정해 놓은 후 외출을 한 경우, 웨이크업 기능에 의해 텔레비전이 동작 된다면 보호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웨이크업 기능이 동작 되어서는 않된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차일드락 기능을 설정해 놓은 것을 잊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위해 웨이크업 기능을 설정해 놓은 후 잠을 잔 경우, 차일드락 기능에 의해 웨이크업 기능이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일어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개의 기능이 모두 지원되는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두 개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이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일드락 기능을 우선순위로 설정해 놓은 경우, 웨이크업 기능이 설정되더라도 텔레비전은 차일드락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며, 사용자가 웨이크업 기능을 우선순위로 설정해 놓은 경우,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더라도 텔레비전은 웨이크업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텔레비전에서 제공하는 차일드락 기능 및 웨이크업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으며,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설정 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차일드락 기능과 웨이크업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에 적용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을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웨이크업 타임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상기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경고문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타임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대기모드에서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웨이크업 기능을 웨이크업 기능 수행 기간 동안에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차일드락 기능과 웨이크업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과 디지털화된 방송 프로그램 제작 환경의 도래 등으로 인하여 기존 TV의 기능뿐만 아니라, 각종 부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이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튜닝부(410), 신호처리부(420), 디스플레이부(430), 스피커(440), 데이터 저장부(450), 인터페이스(460), 사용자 선택부(470) 및 제어부(490)를 포함한다.
채널튜닝부(4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튜너와, 튜닝된 신호를 복조과정 및 오류 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튜닝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게 된다.
신호처리부(420)는 채널 튜닝부를 통해 튜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신호처리부는 채널 튜닝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 Electrical Program Guide)(이하, 간단히 'EPG'라 함)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EPG는 방송국이나 제2 방송 서비스업체로부터 개별적으로 수신받은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디스플레이부(430)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 중 신호처리부에서 디코딩 처리된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ena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스피커(440)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 중 신호처리부에서 디코딩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저장부(450)는 하드 디스크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채널 튜닝부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 및 EPG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종 정보들, 즉,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정보, 차일드락 기능 설정 정보, 웨이크업 기능 설정 정보, 웨이크업 타임 정 보, 웨이크업 기능 오류 표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460)는 네트워크 및 컴퓨터(PC)와 접속하여 각종 방송신호 및 정보들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선택부(470)는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버튼들에는 웨이크업 기능 및 차일드락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이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490)는 CPU 또는 마이컴 등으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채널 튜닝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방송신호 중 방송 프로그램을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송신호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는 웨이크업 기능 및 차일드락 기능을 모두 수행하기 위한 각종 판단 및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이, 차일드락 기능과 웨이크업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이종 기능 수행 방법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은, 웨이크업 기능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간을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웨이크업 기능과 차일드락 기 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위해 우선 사용자는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을 설정한다(202). 즉, 사용자가 웨이크업 기능을 이용하는 시간대는 주로 아침 출근시간 전으로서 새벽 시간이 될 것이며, 아이들의 무분별한 텔레비전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차일드락 기능을 이용하는 시간대는 24시간 모두 가능하나 특별한 이유가 아니라면 새벽 시간은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주로 웨이크업 기능을 이용하는 시간대를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으로 설정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부를 통해 입력된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이 반드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지털 텔레비전이 제작될 때, 상기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은 기본적인 기상 시간대에 맞추어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설정과 상관없이 차일드락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204), 상기 과정에 의해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부의 원격 신호 수신부로부터 전원인가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한해 텔레비전을 구동시키게 된다(206). 즉, 차일드락 기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아이들 또는 제3자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전이 무분별하게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제어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외관에 장착되어 있는 입력 패드부로부터 전원인가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디지털 텔레비전을 구동시키지 않으며, 무선 리모콘으로부터 원격 신호 수신부를 통해 전원인가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한해 디지털 텔레비전을 구동시키게 된다.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차일드락 기능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선택부를 통해 웨이크업 기능을 선택한 후, 원하는 웨이크업 타임을 입력할 수 있다(208).
제어부는 입력된 웨이크업 타임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210).
상기 판단 결과,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경고 문구 및 웨이크업 재설정을 요청하는 문구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한다(212).
상기 판단 결과,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내에 포함되면, 제어부는 입력된 웨이크업 타임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웨이크업 타임을 모니터링한다(214).
이후, 제어부는 대기 모드 상태(216)에서도 지속적으로 웨이크업 타임을 모니터링하여 현재의 시간이 웨이크업 타임인지를 판단한다(218). 디지털 텔레비전의 대기모드란, 사용자 선택부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만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제어부를 제외한 채널 튜닝부, 신호처리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대기 상태를 말한다.
상기 판단결과, 웨이크업 타임이 아닌 경우, 제어부는 대기 모드를 지속하게 되며, 웨이크업 타임인 경우, 제어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웨이크업 타임 기능을 실행하여 디지털 텔레비전이 구동되도록 한다(220). 상기와 같은 구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가 턴온되면서, 현재 채 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며, 이러한 영상 및 음향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기상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은, 웨이크업 기능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간을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웨이크업 기능과 차일드락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과 유사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502), 차일드락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504) 및 차일드락 기능을 동작하는 과정(506)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서의 과정들(202 내지 206)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상기 과정들 외에도,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서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대하여는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서는 웨이크업 타임이 입력된 경우에(208), 입력된 웨이크업 타임이 기 저장되어 있는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였으나(210),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서는, 제어부는 입력된 웨이크업 타임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웨이크업 타임을 모니터링한다(508).
이후, 제어부는 대기 모드 상태(510)에서도 지속적으로 웨이크업 타임을 모니터링하여 현재의 시간이 웨이크업 타임인지를 판단한다(512).
상기 판단결과 현재의 시간이 웨이크업 타임이 아닌 경우에는 대기 모드를 지속하며, 웨이크업 타임인 경우에는, 제에부는 웨이크업 타임이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514).
상기 판단결과 웨이크업 타임이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이 구동되도록 한다(516).
상기 판단결과 웨이크업 타임이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웨이크업 기능 오류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518). 즉, 사용자가 입력한 웨이크업 타임이 사용자에 의해 기 저장되어 있는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며, 다만, 웨이크업 기능이 실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데티어 저장부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웨이크업 기능의 제공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기상을 한 후 차일드락 기능 해제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며(520), 이때, 제어부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웨이크업 기능 오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해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된 웨이크업 타임이 기 설정되어 있는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에 포함되지 않음을 통지하게 된다(522).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통지를 확인한 후 기 설정되어 있는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을 재조정함으로써, 이후에는 웨이크업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서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대하여는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사용자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제공하는 웨이크업 기능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웨이크업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602). 이때, 차일드락 기능은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설정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는 대기모드 상태에서(604) 지속적으로 웨이크업 타임을 모니터링하여 현재의 시간이 웨이크업 타임인지를 판단한다(606).
상기 판단결과 현재의 시간이 웨이크업 타임이 아닌 경우에는 대기 모드를 지속하며, 웨이크업 타임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608).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차일드락 기능은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설정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판단결과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이 지속적으로 구동되도록 한다(610).
상기 판단결과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디지털 텔레 비전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한편, 카운트를 시작한다(612).
즉, 제어부는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일단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며, 카운트를 시작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웨이크업 지속 기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614). 이때, 웨이크업 지속 기간은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작시에 미리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한 시간 또는 30분)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제품을 구입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는 웨이크업 지속 기간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웨이크업 지속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바, 자신의 기상 스타일, 즉 알람이 울린 후 얼마 정도가 지나야 기상을 하는가에 대한 판단을 한 후 적절한 시간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웨이크업 지속 기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제어부는 디지털 텔레비전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판단결과 웨이크업 지속 기간이 경과된 경우 제어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한편(616) 차일드락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618).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은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웨이크업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기간 만큼만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웨이크업 타임을 알려주는 한편, 기 설정되어 있는 기간이 경과되면 디지털 텔레비전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킨 후 차일드락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 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일드락 기능이 적용되는 텔레비전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차일드락 기능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능 수행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410 : 채널튜닝부 420 : 신호처리부
430 : 디스플레이부 440 : 스피커
450 : 데이터 저장부 460 : 인터페이스
470 : 사용자 선택부 490 : 제어부

Claims (6)

  1. 디지털 텔레비전에 적용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을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웨이크업 타임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상기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경고문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타임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대기모드에서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
  2. 디지털 텔레비전에 적용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및 웨이크업 타임을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대기모드에서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상기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오류정보를 저장하는 단 계; 및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웨이크업 기능 오류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차일드락 기능 해제에 의한 전원 온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기능 오류 정보를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외의 기간에는 차일드락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
  5. 디지털 텔레비전에 적용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웨이크업 기능 우선 동작 기간 및 웨이크업 타임을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대기모드에서 상기 웨이크업 타임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되어 있는 시간동안에만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시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전원을 인가시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웨이크업 지속기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속기간 판단결과, 지속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지속기간 판단결과, 지속기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상기 차일드락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기능 수행 방법.
KR1020080000459A 2008-01-02 2008-01-02 이종 기능 수행 방법 KR20090074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59A KR20090074617A (ko) 2008-01-02 2008-01-02 이종 기능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59A KR20090074617A (ko) 2008-01-02 2008-01-02 이종 기능 수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617A true KR20090074617A (ko) 2009-07-07

Family

ID=4133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459A KR20090074617A (ko) 2008-01-02 2008-01-02 이종 기능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46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0861A (zh) * 2011-05-12 2012-11-14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实现电视机待机闹铃功能的方法及其电视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0861A (zh) * 2011-05-12 2012-11-14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实现电视机待机闹铃功能的方法及其电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0058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dio indicator via a remote control
JP2008054085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WO200915187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ging an operational mode of a remote control
KR20050119308A (ko) 전자기기의 시간 설정방법
CN101163216A (zh) 视频播放装置以及在视频播放装置中控制音量的方法
KR20090074617A (ko) 이종 기능 수행 방법
KR101709861B1 (ko) 셋탑 박스, 그를 이용한 IoT 기기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00027718A (ko) 무드조명용 텔레비전
US88729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KR101264155B1 (ko) 다중 대기모드를 갖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JP200423592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表示制限方法
KR20100029599A (ko) 텔레비전의 파워 제어 방법
JP200809895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9060206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電源オフ方法
US907180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74619A (ko) 일정 관리 방법
KR20090074621A (k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JP201121711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70070526A (ko) 디지털 기기에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 및 상기 알림 메시지 표시 제어 장치
KR20100025693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장치
JP2006295279A (ja) 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
KR20090098578A (k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20090052211A (ko)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76182A (ja) 時刻表示装置及び時刻表示方法
WO2006035404A1 (en) Detection of new software image for download for digital/hybird tv during play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