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126A - Food receptacle - Google Patents

Food recepta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126A
KR20090074126A KR1020090049671A KR20090049671A KR20090074126A KR 20090074126 A KR20090074126 A KR 20090074126A KR 1020090049671 A KR1020090049671 A KR 1020090049671A KR 20090049671 A KR20090049671 A KR 20090049671A KR 20090074126 A KR20090074126 A KR 20090074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hollow
food
present
rou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윤
Original Assignee
김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윤 filed Critical 김영윤
Priority to KR102009004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4126A/en
Publication of KR2009007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1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 A23G9/50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 A23G9/503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e.g. a 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2Gripping mean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 cavities,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A food container is provided, which prevents the clothes or the body from being stained by the spice or the food and achieves more clean and hygienic food container. A food container comprises: a first main body(10) having the first top end portion, the first bottom part, and lateral part; a first hollow part(18) opened in the first top end portion(12) of the first main body; a first support part(22)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in body from the lateral part of the first main body; a second body(30) having the second top end portion(32) and the second bottom part; a second hollow(38) which is formed within the second body and is opened in the second bottom part(34) of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support part(24) position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upporting board.

Description

음식물 용기 {FOOD RECEPTACLE}Food Container {FOOD RECEPTACLE}

본 발명은 음식물용의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cone) 형태의 빙과류나 스틱(stick)에 꽂힌 형태의 빙과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빙과류, 그리고 어묵류와 같은 음식물을 꼬치에 꽂은 각종 꼬치음식 등의 음식물을 받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ontainer for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various types of ice cream such as cone ice cream or stick stick iced food, and food such as fish pas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supporting food such as various kinds of skewered food.

콘 형태나 스틱 형태의 아이스크림과 같은 빙과류를 먹는 경우에는, 특히 여름철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녹기 시작하여 손이나 옷 등으로 흐름으로써 외관상 불결할 뿐만 아니라 위생상으로도 문제가 있어 왔다. 특히 유아 등의 경우에는 먹는 속도가 매우 느려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흐르는 양이 많아져 옷이나 신발을 비롯하여 마루, 방바닥, 침대 등등에 흘릴 뿐만 아니라, 손이나 얼굴과 같은 신체에도 흘릴 수 있어 외관상, 특히 위생상 문제점이 있어 왔다.In the case of eating ice creams such as cone-shaped or stick-shaped ice creams, especially during summer, they start to melt after a certain time and flow to the hands or clothes, which is not only unclean in appearance but also has problems in hygiene. In the case of infants, in particular, the eating speed is very slow, and as the amount of flow increases over time, it flows not only on clothes and shoes, but also on floors, floors, beds, etc., and also on the body such as hands and face.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hygiene problems.

또한,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묵과 같은 꼬치음식을 손으로 잡고 먹는 경우에도 겉에 묻힌 양념 등이 흐르게 될 경우에 역시 옷이나 신체에 묻을 수 있어서 외관상으로나 위생상으로 문제가 되었으며, 음식물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화상의 위험까지도 존재하여 왔던 것이 사실이다.In addition, even when holding and eating skewered foods such as fish cakes, which are commonly found on the street, by hand, even when seasonings are spilled on them, they can also get on the clothes or body, causing problems in terms of appearance and hygiene. In the case of high, it is true that even the risk of burns has been presen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이나 스틱 형태의 빙과류나 꼬치구이류 등을 먹을 때, 음식물 자체가 녹아 흐르거나 음식에 묻은 양념 등이 흘러 옷이나 신체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urpose of which is to eat ice or skewered skewers, such as cones or sticks, the food itself melts or the seasonings on the food flow to the clothes or body, etc. It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to prevent and to eat more clean, hygienic and saf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파지하는 부분이 콘 형태, 납작한 바 형태, 원형 꼬치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음식물을 받칠 수 있는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ntainer capable of supporting various types of food, such as a cone shape, a flat bar shape, a circular skewer shape, and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콘 형태에 적합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suitable for the shape of cone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파지하는 부분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적합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ntainer suitable for various sizes and shapes of food gripping por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that is por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이 용이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that is easy to clea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유아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제공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in particular, provided with a handle so as to be easily gripped by an infant.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식물 용기로서, 제1 상단부, 제1 하단부 및 측면부를 가지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 내에서 상기 제1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중공부로서, 상기 제1 몸체의 제1 상단부에서 개방되는 제1 중공부;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몸체로서, 제2 상단부 및 제2 하단부를 가지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 내에서 상기 제2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중공부로서, 상기 제2 몸체의 제2 하단부에서 개방되는 제2 중공부; 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음식물 용기에 의해, 음식물을 파지하는 부분이 콘 형상인 것과 스틱 형상인 음식물을 하나의 용기로서 받칠 수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od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body having a first upper end, a first lower end, and a side part; A first hollow par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first body, the first hollow part being opened at the first upper end of the first body; A second body formed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having a second upper end and a second lower end; A second hollow par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in the second body, the second hollow part being opened at the second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It provides a food container comprising a. By such a food container, the food-holding part can support the food of the cone shape and the stick shape as one container.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 용기로서, 제1 상단부, 제1 하단부 및 측면부를 가지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 내에 형성되는 제1 중공부로서, 상기 제 1 몸체의 제1 상단부에서 개방되는 제1 중공부;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외부로 연장하는 제1 받침부;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몸체로서, 제2 상단부 및 제2 하단부를 가지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 내에 형성되는 제2 중공부로서, 상기 제2 몸체의 제2 하단부에서 개방되는 제2 중공부;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외부로 연장하는 제2 받침대로서, 상기 제1 받침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받침부; 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음식물을 파지하는 부분이 콘 형상인 것과 스틱 형상인 음식물을 하나의 용기로서 받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음식물이 손이나 옷 등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body having a first upper end, a first lower end, and a side part; A first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first body, the first hollow portion being opened at the first upper end of the first body; A first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A second body formed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having a second upper end and a second lower end; A second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body, the second hollow portion being opened at the second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body; A second pedestal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first body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pedestal being positioned below the first pedestal; It provides a food container comprising a.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food holding portions of the cone-shaped and stick-shaped foods as one container and to prevent the food from flowing down to the hands or clothes.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중공부의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원형,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의 형상이 중첩된 형태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스틱이나 꼬치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two sha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ctangular, square, rhombus, circle, and oval are overlapped. This configuration can accommodate various shapes of sticks or skewers.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중공부가 상기 제1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하단부를 향해 가늘어지는 원뿔대 형태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low portion is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ical taper toward the first lower end from the first upper end.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와 제1 하단부의 연결 부분이 라운딩처리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ide portion and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is rounded.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연결 부분이 라운딩처리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ody are rounded.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handles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가 2개이며, 상기 2개의 손잡이부가 상기 측면부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각각 위치한다.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wo handle portions, and the two handle portions are respectively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portion.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받침부의 반경 방향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의 제1 상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휘어진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al edge of the first base portion is bent outwardly from the first side portion such that it faces the first upper end of the first body.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받침대의 반경 방향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휘어진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al edge of the second pedestal is bent outwardly from the first side portion such that it faces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 사이에 위치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이상의 구성과 같은 본원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에 의해서, 음식물 자체가 녹아 흐르거나 음식에 묻은 양념 등이 흘러 옷이나 신체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아이스크림과 같은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된다.By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od itself melts or the seasonings on the food are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clothes or the body, so that the infant or child can eat food such as ice cream cleanly and sanitarily. It becomes possible.

또한, 하나의 용기로 콘 형태의 빙과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꼬치음식을 꽂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kewered food of various forms, including ice cream in the form of a cone in one container.

또한, 각각의 연결부분이 라운딩 처리되어 있어 음식물이 모서리 등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상으로도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ach connection portion is rounded to prevent food from being caught in the corners, so that cleaning is easy and hygiene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그 외 본원발명의 따른 여러 장점들은 본 명세서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Other advantag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원발명의 발명 사상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examples are only for easily explaining the inventio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먼저,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용기(100)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100)는 제1 몸체(10), 제2 몸체(30)를 구비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받침대(22), 제2 받침대(24), 및 손잡이부(26)를 구비한다.First, Figure 1 show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food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30. It also optionally includes a first pedestal 22, a second pedestal 24, and a handle 26.

제1 몸체(10)는 그 내부에서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중공부(18)를 가진다. 제1 중공부(18)는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각뿔대나 타원뿔대와 같은 적절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몸체(10) 역시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각뿔대나 타원뿔대와 같은 적절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중공부(18)가 원뿔대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각도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콘 형태의 빙과류의 형성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중공부(18)는 아이스크림콘과 밀착하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body 10 has a first hollow portion 18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The first hollow portion 18 is preferably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as a wh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shape such as a square truncated pyramid or an elliptical truncated pyramid. The first body 10 is also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as a who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suitable shape such as a square trellis or an elliptical truncated cone. In the case where the first hollow portion 18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the angle is preferably an angl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ngle of formation of the cone-shaped ice cubes in the market. As a result, the first hollow portion 18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ce cream cone and thus more firmly fixed.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중공부(18)는 제1 몸체(10)의 상단부(12)에서 개방된다. 제1 중공부(18)의 제1 몸체(10)의 하단부(14)에서 실질적으로 폐쇄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긴 컵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폐쇄된다고 하 는 것은, 제1 몸체(10)의 하단부(14)에는 제2 몸체(30)가 관통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제1 몸체(10)의 하단부(14)에는 제2 몸체(30)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first hollow portion 18 is open at the upper end 12 of the first body 10. It is substantially closed at the lower end 14 of the first body 10 of the first hollow part 18 to form an overall long cup shape. The term "substantially" closed here is because the second body 30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end 14 of the first body 10. That is, as shown, the second body 30 is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14 of the closed first body 10.

도 2에는 이러한 제2 몸체(3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30)는 외관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각 기둥이나 기타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0)와 마찬가지로, 제2 몸체(30)의 내부에는 그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중공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 중공부(38)는 적어도 제2 몸체(30)의 제2 하단부(34)에서 개방된다. 2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is second body 30. As shown, the second body 30 is generally cylindrical in appearanc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square pillar or other suitable shape. In addition, like the first body 10, a second hollow portion 38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second body 30, and the second hollow portion 38 is at least a second portion. Open at the second lower end 34 of the body 30.

제2 중공부(38)는 제2 몸체(30)의 제2 상단부(32)에서 폐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개구(35)를 형성한다. 이러한 개구(35)에 의해 제2 중공부(38)는 제1 중공부(18)와 소통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음식물 용기(100)를 사용한 수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The second hollow portion 38 may be closed at the second upper end 32 of the second body 30, but is preferably partially open to form the opening 35. This opening 35 allows the second hollow portion 38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ollow portion 18. This facilitates water washing using the food container 100.

제2 몸체(30)의 제2 상단부(32)에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지지벽(33)이 형성되어 아이스크림의 스틱과 같은 손잡이가 제2 중공부(38)에 삽입될 때 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벽(33)은 그 내부에 개구(35)를 형성하도록 반경방향의 일부를 따라서만 연장할 수 있다. 제2 중공부(38)의 제2 상단부(32)에 지지벽(33)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스틱 등에 꼽힌 음식물이 제2 하단부(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을 것이나, 외관 및 위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지지벽(33)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upper end portion 32 of the second body 30 is formed with a supporting wall 33 extending horizontally so as to support a handle such as a stick of ice cream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portion 38. do.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wall 33 may extend only along a portion of the radial direction to form an opening 35 therein. Even if the support wall 33 is not present in the second upper end 32 of the second hollow part 38, food stuck to a stick or the like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lower end 34. In view, it is preferred that the support wall 33 is provided.

한편, 도 5A 내지 5C에는 제2 중공부(38)의 횡단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에서 제2 중공부(38)는 그 횡단면에서 볼 때, 양 단부가 라운딩처리된 긴 직사각형 형태와 원형 형태가 중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길고 납작한 직사각형 형태인 스틱과 단면이 원형 형태인 스틱을 모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대안으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라운딩처리된 긴 사각형 형태와 짧은 정사각형 형태가 중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중공부(38)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실질적으로 길고 납작한 직사각형 형태인 스틱만을 전용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양 단부가 라운딩처리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만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형, 정사각형 등의 형태 중 하나 만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중공부(38)는 스틱 유형의 빙과류나 꼬치구이류 또는 어묵류 등과 같은 음식물의 파지 부분을 장착할 수 있는 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그 기본적인 목적이므로, 본 명세서에 나열된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스틱이나 꼬치에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hollow part 38 are shown in FIGS. 5A-5C. First, in FIG. 5A, the second hollow portion 38 has a shape in which a long rectangular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rounded and a circular shape overlap each other are overlapped. In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sert both a stick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flat stick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another alternative, as shown in FIG. 5B, the rounded long rectangular shape and the short square shape may be overlapped at both ends. Alternatively, the second hollow part 38 may have only a long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rounded ends at both ends so as to exclusively insert only a stick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a flat shape as shown in FIG. 5C. Can be. Although not show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it can have only one of the form of a circle, square, and the like. The second hollow portion 38 is intended to provide a groove into which a gripping portion of a food such as stick-shaped ice cream, skewered fish cake or fish cake may be mounted. Therefore, the second hollow portion 38 may have a stick having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shapes listed herein. Of course, it can be formed suitably for the skewers.

제1 받침부(22)는 제1 몸체(10)의 제1 상단부(12)측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받침부(22)의 반경 방향 가장자리가 제1 상단부(12)를 향하여 위로 굽어져 있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받침부(22)의 반경방향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상단부(12)와 동일한 높이에서 종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first support part 22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around the first upper end part 12 side of the first body 10. Preferably, the radial edge of the first base 22 is bent upwards towards the first upper end 12. In this case, the radial edg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2 is preferably termin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upper end portion 12,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t is apparent tha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

제2 받침부(24)는 제1 몸체(10)의 제1 하단부(14)측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받침부(22)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받침부(24)도 그 반경 방향 가장자리가 제1 하단부(14)를 향하여 아래로 굽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하단부(14)와 동일한 높이에서 종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second support part 24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lower end portion 14 side of the first body 10. As with the first support 22, the second support 24 is also preferably formed such that its radial edge bends down towards the first lower end 14.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terminate at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lower end portion 14,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is obvious tha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몸체(10)의 측면부에 손잡이부(26)가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26)는 제1 받침부(22) 및 제2 받침부(24)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의 측면부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26)는 본원발명에 따른 음식물용 받침대(100)를 유아가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손잡이부(26)는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26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The handle portion 2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2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 and preferably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as shown in Figs. It is good to form one each on the opposite side. Such a handle portion 26 is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infant uses the food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26 may be removed as needed.

한편,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받침대(22)와 측면부(20)의 연결부분 및 제2 받침대(24)와 측면부(20)의 연결부가 각각 라운딩처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흘러내린 음식물이 연결부의 각진 틈새에 끼어 세척 후에도 잔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측면부(20)와 제1 하단부(14)의 연결부 내측 부분, 그리고 제1 하단부(14)와 제2 몸체(30)의 연결부분도 라운딩 처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pedestal 22 and the side portion 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pedestal 24 and the side portion 20 are rounded, respectively. In this way, the spilled food is prevented from remaining even after washing by being caught in the angular gap of the connecting portion. Similarly,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ide portion 20 and the first lower portion 14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lower portion 14 and the second body 30 can also be rounded.

사용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 형태의 파지부를 구비한 빙과류는 제2 몸체(30)의 제2 하단부(34)로부터 제2 상단부(32)를 향하여 제2 중공부(38) 내에 스틱을 삽입함으로써 본원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In use, as shown in FIG. 6, an ice cream with a gripping portion in the form of a stick has a second hollow portion 38 from the second lower end 34 of the second body 30 toward the second upper end 32. By inserting the stick into the can be fixed by the food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 형태의 빙과류의 경우에는, 제1 몸체(10)의 제1 상단부(12)로부터 제1 하단부(14)를 향하여 제1 중공부(18) 내부로 콘을 삽입함으로써 본원발명에 따른 음식물 용기(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e-shaped ice cake as shown in Figure 7, the cone from the first upper end portion 12 of the first body 10 toward the first lower end portion 14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18 By inserting it may be fixed by the food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단면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제2 몸체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body of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FIG. 1.

도 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C는 본원발명의 원리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제2 몸체 및 제2 중공부의 여러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5A-5C illustrat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hollow portion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용기에 스틱형 아이스크림을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of the stick-shaped ice cream i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용기에 콘형 아이스크림을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of the cone-shaped ice cream i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음식물 용기로서,As a food container, 제1 상단부, 제1 하단부 및 측면부를 가지는 제1 몸체;A first body having a first upper end, a first lower end and a side part; 상기 제1 몸체 내에서 상기 제1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중공부로서, 상기 제1 몸체의 제1 상단부에서 개방되는 제1 중공부;A first hollow par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first body, the first hollow part being opened at the first upper end of the first body;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몸체로서, 제2 상단부 및 제2 하단부를 가지는 제2 몸체;A second body formed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having a second upper end and a second lower end; 상기 제2 몸체 내에서 상기 제2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중공부로서, 상기 제2 몸체의 제2 하단부에서 개방되는 제2 중공부; 를 포함하는,A second hollow par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in the second body, the second hollow part being opened at the second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Including,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중공부의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원형,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의 형상이 중첩된 형태인,Cross-section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is a rectangular, square, rhombus, circle, oval shape of the two shapes selected from the group overlapping,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중공부가 상기 제1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하단부를 향해 가늘어지는 원뿔대 형태인,The first hollow portion is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ical taper toward the first lower end from the first upper end,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와 제1 하단부의 연결 부분이 라운딩처리되는,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ide portion and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is rounded,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연결 부분이 라운딩처리되는,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ody is rounded,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handle portion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손잡이부가 2개이며,The handle portion is two, 상기 2개의 손잡이부가 상기 측면부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The two handle portions are respectively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portion,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음식물 용기로서,As a food container, 제1 상단부, 제1 하단부 및 측면부를 가지는 제1 몸체;A first body having a first upper end, a first lower end and a side part; 상기 제1 몸체 내에 형성되는 제1 중공부로서, 상기 제1 몸체의 제1 상단부에서 개방되는 제1 중공부;A first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first body, the first hollow portion being opened at the first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body;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외부로 연장하는 제1 받침부;A first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몸체로서, 제2 상단부 및 제2 하단부를 가지는 제2 몸체;A second body formed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having a second upper end and a second lower end; 상기 제2 몸체 내에 형성되는 제2 중공부로서, 상기 제2 몸체의 제2 하단부에서 개방되는 제2 중공부; 및A second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body, the second hollow portion being opened at the second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외부로 연장하는 제2 받침대로서, 상기 제1 받침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받침부; 를 포함하는,A second pedestal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first body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pedestal being positioned below the first pedestal; Including,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2 중공부의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원형,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의 형상이 중첩된 형태인,Cross-section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is a rectangular, square, rhombus, circle, oval shape of the two shapes selected from the group overlapping,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제1 중공부가 상기 제1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하단부를 향해 가늘어지는 원뿔대 형태인,The first hollow portion is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ical taper toward the first lower end from the first upper end,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제1 받침부의 반경 방향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의 제1 상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휘어진,Bent outwardly from the first side portion such that the radial edg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faces the first upper end of the first body,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제2 받침대의 반경 방향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휘어진,Bent outwardly from the first side portion such that the radial edge of the second pedestal faces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2 받침부의 연결 부분 각각이 라운딩처리되는,Each of the side portions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s rounded,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와 제1 하단부의 연결 부분이 라운딩처리되는,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ide portion and 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is rounded,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제1 몸체의 제1 하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연결 부분이 라운딩처리되는,The first low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ody is rounded,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제1 몸체의 측면부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handle portion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 사이에 위치하는,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손잡이부가 2개이며,The handle portion is two, 상기 2개의 손잡이부가 상기 측면부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The two handle portions are respectively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portion, 음식물 용기.Food container.
KR1020090049671A 2009-06-04 2009-06-04 Food receptacle KR200900741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671A KR20090074126A (en) 2009-06-04 2009-06-04 Food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671A KR20090074126A (en) 2009-06-04 2009-06-04 Food recepta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126A true KR20090074126A (en) 2009-07-06

Family

ID=4133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671A KR20090074126A (en) 2009-06-04 2009-06-04 Food recepta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412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797B2 (en) Dual-purpose dispensing container and utensil
CA3037920C (en) Multi-function container lid
US20140346182A1 (en) Frozen food item holder
US6571979B2 (en) Ice cream holder
KR20090074126A (en) Food receptacle
KR20090006959U (en) Food receptacle
GB2328366A (en) Confectionery holder with drip catcher
EP1442690B1 (en) Culinary utensil
JP3070111U (en) Food containers
CN215424001U (en) Anti-falling spoon
US20170231252A1 (en) Frozen confection maker
US11685578B2 (en) Container lid
CA3027907C (en) Fondue pot adapter ring
US20130022725A1 (en) Detachable frozen pop molds
WO2007108637A1 (en) Dish with small bowl
CN208610705U (en) A kind of folding draining chopping board
US20140342063A1 (en) Eggshell Extraction Tool
KR20130109271A (en) Liquid spill-resistant, easy multi-functional food control unit holder
CN206423911U (en) A kind of ship type tableware
KR20110001007U (en) A dipper
KR101591607B1 (en) For ice cream that you can build
KR200267370Y1 (en) Drink cup have support vessel
IT202000006242U1 (en) ANTI-DRIP RING FOR ICE CREAM CUP
FR3099355A1 (en) Bowl food compartment
CN113180437A (en) Tableware and dish distribu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