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495A - Break out monitoring system and its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 Google Patents

Break out monitoring system and its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495A
KR20090073495A KR1020070141457A KR20070141457A KR20090073495A KR 20090073495 A KR20090073495 A KR 20090073495A KR 1020070141457 A KR1020070141457 A KR 1020070141457A KR 20070141457 A KR20070141457 A KR 20070141457A KR 20090073495 A KR20090073495 A KR 2009007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temperature
slit
casting process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91810B1 (en
Inventor
김성연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4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10B1/en
Publication of KR2009007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4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A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break 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are provided to estimate the defect location and extent of a solidified shell quantitatively based on the inflow and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A system for monitoring break 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comprises a mold body(10) including a plurality of cooling water slits(20) arranged along the long width, and a temperature sensor(100)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let of the cooling water sli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ejected through the cooling water slit.

Description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 및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Break out monitoring system and its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Break out monitoring system and its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본 발명은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의 연속 주조 공정시 주형 내의 용강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 변화값을 정상 조업시 변화값과 비교하여 응고쉘에 발생되는 결함을 예측하기 위한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change value of an inlet temperature and an outlet temperature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cool molten steel in a mold during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of ste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for predicting a defect occurring in a solidification shell by comparing with a chan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강의 연속주조 공정은 연속 주조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즉, 턴디쉬(Turndish)의 용강이 침지노즐을 통해 주형으로 유입되면 주형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초기 응고쉘(Solidifide Shell)이 형성되면서 응고가 시작된다.In general,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of steel is performed by a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that is, when the molten steel of the Turdish flows into the mold through the immersion nozzle, the solidification shell is formed by the initial solidification shell formed by the cooling water flowing inside the mold. Begins.

슬래브(Slab) 연주용 주형은 네 면으로 구성되며 두면은 길고, 두면은 짧도록 구비되고, 내부 공간은 상부 및 하부가 열려 있는 직육면체 모양을 갖는다. 주형의 재료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동으로 되어 있으며, 주형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주 형 내부에는 냉각수가 공급된다. The slab playing mold consists of four sides, two sides are long and two sides are short, and the inner space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The material of the mold is copper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cooling water is supplied inside the mold to cool the mold.

주형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1000mm 내외이며, 주형과 접촉되는 부위에서 용강은 주형 쪽으로 냉각되면서 응고쉘이 생성된다. 응고쉘은 주형 하부에 있는 가이드 롤(guide roll)과 핀치 롤(pinch roll)에 의해 연속적으로 인발된다.The length of the mold is typically around 1000 mm, and the molten steel cools toward the mold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mold to form a solidified shell. The coagulation shell is drawn continuously by guide rolls and pinch rolls under the mold.

인발된 응고쉘 내부에는 아직 용강이 존재하며, 주형 하부에서 살포되는 냉각수에 의해 잔존 용강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점차 응고된 후 응고가 완료되어 슬래브로 제조된다.The molten steel still exists inside the drawn solidification shell, and the remaining molten steel is gradually solidified while moving downward by the cooling water sprayed from the bottom of the mold, and then solidification is completed to produce slabs.

상기 주형 내에서는 응고쉘이 네 면에서 정상적인 두께로 형성된 후 주형 하부로 인발되어야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주조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간혹 응고쉘이 주형 벽면에 부착되어 하부 응고쉘과 분리됨으로써 주형 하부로 용강이 쏟아져 나가는 소위 스티킹(stiching)성 브레이크 아웃(break out)이 발생된다. 또한 응고쉘이 특히 모서리 부위에서 주형과 접촉하지 못하여 성장하지 못하고 얇은 채로 주형을 벗어날 때는 철정압을 이기지 못하는, 소위 응고지연성 브레이크 아웃이 발생한다. In the mold, the solidification shell is formed to a normal thickness on four sides and then drawn to the bottom of the mold to continuously produce a normal casting. However, sometimes the solidification shell is attached to the mold wall and separated from the lower solidification shell, so that a so-called stiching breakout occurs in which molten steel flows out to the bottom of the mold. In addition, a so-called coagulation delay breakout occurs, in which the solidification shell does not grow in contact with the mold, especially at the corners, and cannot overcome the iron static pressure when it leaves the mold thin.

도 1은 응고쉘에 발생되는 결함을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고쉘(2)이 주형(10) 안에서 성장 중에 냉각되면서 변형되어 주형(10)에 접촉하지 못하고 마치 외부에서 누른 듯한 형태로 주형(10)에서 들뜨게 되는 이른바 디프레션(depression)(4)이 발생하면 이 지점 역시 응고쉘(2)이 성장하지 못하거나 크랙이 발생하며, 주형(10)을 벗어날 때 얇은 응고쉘(2)이 철정압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응고지연성 브레이크 아웃이 발생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fects occurring in the solidification shell, as shown in FIG. 1, the solidification shell 2 is deformed as it cools during growth in the mold 10 and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ld 10. When the so-called depression (4), which is lifted up from the mold (10) in a pressed form, also occurs, the solidification shell (2) does not grow or cracks, and when the mold (10) leaves the thin solidification shell As (2) cannot withstand iron static pressure, coagulation delay breakout occurs.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은 주형 내부의 용강이고, 3은 몰드 플럭스 필름이며, 20은 주형 내의 냉각수 슬릿(slit)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 denotes molten steel in the mold, 3 denotes a mold flux film, and 20 denotes a cooling water slit in the mold.

또한 주형과 응고쉘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목적으로 주형 상부에 투입되는 플럭스(flux)가 특정 부위에서 불균일하게 다량으로 유입되면 이것 역시 도 1에 도시된 응고쉘과 동일한 양상으로 응고쉘의 성장이 지연됨으로써 응고지연성 브레이크 아웃이 발생된다.In addition, if a large amount of flux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mold is introduced in an uneven amount at a specific site for the purpose of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mold and the solidification shell, the growth of the solidification shell is delay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olidification shell shown in FIG. 1. As a result, coagulation delay breakout occurs.

이러한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주형 본체에 열전대를 설치하고, 검출되는 온도 분포를 분석하여 주형 내에서 일어나는 스티킹, 모서리부 응고쉘과 주형과의 접촉불량, 디프레션 등을 검출하였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현상이 검출되어 브레이크 아웃이 예상되면 응고쉘을 인발하는 속도, 즉 주조 속도를 줄여서 주형 내부에 응고쉘이 추가적으로 성장하게 한 후 다시 주조 속도를 상승시켜 조업함에 따라 브레이크 아웃의 발생을 예방하였다. In order to predict such breakout, a thermocouple is installed in a mold main body, and the detected temperature distribution is analyzed to detect sticking occurring in the mold, poor contact between the edge solidification shell and the mold, and depression. Therefore, if such a phenomenon is detected and breakout is expected, breakout occurs as the coagulation shell is drawn out, that is, the casting speed is reduced to allow the coagulation shell to grow further inside the mold, and then the casting speed is increased again to operate. Prevented.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아웃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요인 중, 스티킹이 일어나면 그 영역이 넓은 면적에 걸쳐 있으므로 열전대에 의해서 용이하게 검출된다. 하지만 모서리 부위에서 응고쉘과 주형과의 접촉불량 및 디프레션은 스티킹에서와 같이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하지 않고 좁은 띠 형태로 주형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주형의 장폭 방향으로 온도를 측정해야 하며, 또한 길이 방향으로도 여러 곳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디프레션이 발생하였을 때 넓이가 20mm이고 열전대 사이의 간격이 150mm라면 디프레션의 띠가 열전대에 가까이 있을 경우 주형의 온도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열전대에서 멀리 있을 경우 주형의 온도 변화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고 디프레션의 정확한 발생 위치 및 크기를 추정하기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정량적 판단이 어려워질 경우 브레이크 아웃 예측에 오류가 많아지면서, 주조 속도의 작고 불필요한 변동이 불가피해져 조업이 불안정해지고 주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cause breakout as described above, when sticking occurs, the area is easily detected by the thermocouple since the area covers a large area. However, defects in contact between the coagulation shell and the mold and depression at the edges are not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as in sticking, but are long in the shape of the mold. The temperature must be measured,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of several places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if the width is 20mm when the depression occurs and the gap between the thermocouples is 150mm, it is easy to see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old when the band of depression is close to the thermocouple. Is not easy and it is not possible to estimate the exact location and size of the depression. When such quantitative determination becomes difficult, errors in breakout prediction increase, and small and unnecessary fluctuations of the casting speed are inevitable, resulting in unstable operation and deterioration of cast qua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열전대의 설치 간격을 좁게 하여야 하나, 주형의 구조적인 특성 및 안정적인 설비의 운영 때문에 열전대의 개수를 늘리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thermocouple should be narrowed, but it was difficult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rmocouple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old and the operation of the stable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형의 구조 특성을 이용하여 주형의 온도 변화를 조밀하게 측정하여 그 변화값을 검출할 수 있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used to predict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in which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old is densely measured us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old to detect the change valu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또한, 조밀하게 주형의 온도 변화값을 검출하여 응고쉘과 주형의 접촉불량이 발생하거나, 응고쉘이 성장하면서 수축할 때 변형이 생겨 디프레션이 나타나는 현상을 정량적으로 예측하여 조업 중 브레이크 아웃 예측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densely detect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old, the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agulation shell and the mold occurs or the deformation occurs when the coagulation shell grows and contract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reakout prediction method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at can minimize th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는 다수의 냉각수 슬릿이 장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주형 본체와; 상기 냉각수 슬릿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냉각수 슬릿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pparatus for predicting the breakout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mold body having a plurality of coolant slits spaced apart in the long width direction; And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n outlet side of the coolant slit to measure a temperature of the coolant discharged from the coolant slit.

상기 주형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에는 주형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장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장슬롯에는 상기 냉각수 슬릿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요홈에는 상기 냉각수 슬릿의 출구와 연통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설치공에는 상기 온도 센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ng slots are formed 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ld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long slot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olant slits. An install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of the cooling water slit is formed,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tallation holes.

상기 요홈에는 상기 온도 센서를 고정시키는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와 요홈 사이에는 오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ove is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for fixing the temperature sensor, O-r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acking member and the groove.

상기 장슬롯에는 그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가 더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온도 센서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ng slo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therein.

상기 주형 본체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커넥터를 내삽시키고, 상기 케이블을 커넥터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old body, and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상기 온도 센서의 단부가 상기 냉각수 슬릿의 출구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exposed to the outlet of the coolant slit.

상기 냉각수 슬릿은 주형 본체의 장폭 방향으로 10 ~ 150mm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ling water sl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intervals of 10 ~ 150mm in the long width direction of the mold bod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은 연속주조 공정시 발생되는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조시 주형 본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각각의 냉각수 슬릿으로 유입되는 냉각수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냉각수 슬릿 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냉각수 슬릿으로 공급된 냉각수 각각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 변화값을 계산하여 응고쉘의 이상 유무 및 그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edicting breakout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edicting breakouts generated during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wherein the casting body flows into each cooling water slit provided with a plurality at equal intervals in the mold bod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each coolant;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each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cooling water slit outlets, and calculating a change value of inflow and discharge temperature of each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each cooling water slit, and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position.

또한 연속주조 공정의 정상 조업시 상기 냉각수 각각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 정상 변화값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연속주조 공정시 상기 냉각수 각 각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 변화값을 계산하여 상기 정상 변화값과 차이가 발생되는 냉각수 슬릿이 위치하는 지점에 응고쉘의 이상이 발생된 지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fining normal change values of inflow and discharge temperatures of the cooling water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and calculating change values of inflow and discharge temperature of each of the cooling water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of the solidification shell occurs at the point where the coolant slit where the change value and the difference occurs.

이때 상기 응고쉘의 이상 수준은 하기의 수학식(1)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bnormality level of the solidification shell is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본 발명에 따르면, 주형 본체의 장폭 방향으로 조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는 냉각수 슬릿에 냉각수의 배출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구비함에 따라 냉각수의 유입온도와 배출온도의 변화값을 바탕으로 주형 내에서 발생되는 응고쉘 결함의 위치 및 그 심각도 수준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provided in the cooling water slit which is densely spaced in the long width direction of the mold body, and based on the change value of the cooling water inlet temperature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quantitatively predict the location and level of severity of solidification shell defects occurring in.

이렇게 응고쉘 결함의 위치 및 심각도를 실시간에 알 수 있음에 따라 주조 조건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어 브레이크 아웃과 같은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the location and severity of solidification shell defects can be known in real time, casting conditions can be adjusted in real time, thereby preventing equipment accidents such as breakou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먼저, 본 발명자는 응고쉘에서 디프레션(depression) 현상이 일어날 때 주형 본체의 온도가 감소함은 물론, 디프레션 부위를 지나는 냉각수 슬릿(slit)의 냉각수 온도 증가량도 감소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Firs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the fact that when the depression occurs in the solidification shell, the temperature of the mold body decreases, as well as the amount of increase in the coola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slit passing through the depression portion decreases. Completed.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는 연속 주조 장치에 사용되는 주형 본체(10), 예를 들어 장폭을 갖고, 그 내부에 다수의 냉각수 슬릿(20)이 장폭 방향으로 촘촘히 이격되어 구비되는 주형 본체(10)와; 상기 냉각수 슬릿(2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냉각수 슬릿(20)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ld body 10 used in a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example, has a long width, and has a plurality of coolant slits ( 20 and the mold main body 10 which are closely spaced in the long width direction; It is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oolant slit 2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0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discharged from the coolant slit 20.

상기 주형 본체(10)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냉각수 슬릿(20)은 주형의 배면에 50mm 이내, 작게는 10mm의 피치로 주형 본체(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10 ~ 150mm 간격으로 구비되어 주형 본체(10)의 온도 변화를 조밀한 간격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oling water slits 20 provided at equal intervals on the mold main body 10 are provid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mold main body 10 at a pitch of less than 50 mm and a small size of 10 mm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ld. Preferably it is provided at intervals of 10 ~ 150mm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old main body 10 at a tight interval.

상기 주형 본체(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냉각수 슬릿(20)의 출구가 위치되는 면에는 주형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장슬롯(200)이 형성되고, 상기 장슬롯(200)에는 상기 냉각수 슬릿(20)이 위치되는 지점에 다수의 요홈(201)이 형성된다. A long slot 200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main body 10 on a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ld main body 10 where the outlet of the cooling water slit 20 is located, and the cooling water is formed in the long slot 200. A plurality of grooves 201 are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slit 20 is located.

그리고 각각의 요홈(201)에는 상기 냉각수 슬릿(20)의 출구와 연통되는 설치 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설치공(210)에는 상기 온도 센서(10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온도 센서(100)의 단부가 상기 냉각수 슬릿(20)의 출구로 노출되어 냉각수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recess 201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21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of the coolant slit 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100 is inserted into each installation hole 2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100 is exposed to the outlet of the cooling water slit 20 to be in contact with the cooling water.

상기 요홈(201)에는 상기 온도 센서(100)를 고정시키는 패킹부재(220)가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220)와 요홈(201) 사이에는 오링(230)이 더 구비되어 냉각수가 요홈(201)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groove 201 is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220 for fixing the temperature sensor 100, and an O-ring 23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acking member 220 and the groove 201 so that the coolant has a groove 201. Is discharged through).

상기 온도 센서(100)는 통상의 주형 온도 계측용인 열전대 대신하여, 보다 검출률이 좋은 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RTD가 냉각수 슬릿(20)의 출구로 돌출되는 거리는 10mm 이하로 하여 냉각수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temperature sensor 100, a 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 having a higher detection rate is used instead of a thermocouple for measuring a normal mold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distance that the RTD protrudes to the outlet of the cooling water slit 20 is preferably 10 mm or les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cooling water.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100)에서 연결되는 케이블(300)은 장기 장슬롯(200)을 따라 배설된다. In addition, the cable 300 connec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00 is disposed along the long-term long slot 200.

상기 주형 본체(10)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커넥터(400)를 내삽시키고, 상기 케이블(300)을 커넥터(400)와 연결시킨다. 그래서, 연속 주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상기 온도 센서(100)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or 40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mold body 10, and the cable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400. Thus,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0 can be transmit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the continuous casting device.

그리고, 상기 장슬롯(200)에는 그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2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슬롯(200)에 배설되는 케이블(300) 및 온도 센서(100)를 보호한다.The long slot 200 further includes a cover 240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protects the cable 300 and the temperature sensor 100 disposed in the long slot 200.

이때 상기 냉각수 슬릿(20)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냉각수 슬릿(20)에 유입되기 전에 냉각수의 유입 온도를 측정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때 다수의 냉각 수 슬릿(2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입 온도는 모두 동일하다. 그래서 냉각수의 유입온도는 냉각수 슬릿(20)의 입구,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공급 라인 어디에서라도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coolant supplied to the coolant slit 20 measures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coolant before flowing into the coolant slit 20. At this time,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cooling water slits 20 is the same. Thus,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coolant may be measured anywhere in the inlet of the coolant slit 20, th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coolant, and the supply lin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breakout prediction method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연속주조 공정의 정상 조업시 주형 본체(10)에 구비되는 각각의 냉각수 슬릿(2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 각각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를 측정하여 두 온도 사이의 변화값을 계산하여 정상 변화값(ΔT1)을 정의한다.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e inlet temperature and the outlet temperature of each cooling water supplied to each cooling water slit 20 provided in the mold main body 10 are measured to calculate a change value between the two temperatures, and thus the normal change value (ΔT1). ).

그런 다음, 주조시 주형 본체(10)의 냉각수 슬릿(20)으로 유입되는 냉각수 각각의 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냉각수 슬릿(20) 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 각각의 온도를 측정한다. 그래서, 상기 각각의 냉각수 슬릿(20)으로 공급된 냉각수 각각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 변화값(ΔT2, 이하 "계산된 변화값"이라 함)을 계산하여 상기 정상 변화값과 비교를 하여 응고쉘의 이상 유무 및 그 위치를 판단한다.Then,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cooling water slit 20 of the mold body 10 during casting is measured. Then,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each cooling water slit 20 is measured. Thus, the change in inlet temperature and discharge temperature (ΔT2,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lculated change value") of each coolant supplied to each coolant slit 20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normal change value of the solidified shell. Judgment of the abnormality and its position.

그래서 상기 정상 변화값과 계산된 변화값과의 차이가 발생되는 냉각수 슬릿(20)이 위치하는 지점에 응고쉘의 이상이 발생된 지점으로 판단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olidification shell is abnormal at the point where the coolant slit 20 is located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change value and the calculated change value is located.

그리고, 이상이 발생된 응고쉘의 이상 수준은 하기의 수학식 (1)로 정의한다.And the abnormality level of the solidification shell in which abnormality generate | occur | produced is defined by following formula (1).

Figure 112007095005853-PAT00001
Figure 112007095005853-PAT00001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principle of the breakout prediction method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breakout prediction method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4는 응고쉘에 발생되는 결함을 예측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predicting a defect occurring in a solidification shell.

주형 본체(10)에 조밀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냉각수 슬릿(20)의 출구에서 상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수의 배출온도를 측정하게 되면, 주형 본체(10)의 냉각수 유입구 근처 또는 연속 주조 장치에서 운용되는 냉각수 유입온도를 이용하여 각 냉각수 슬릿(20)에서의 온도 변화량(ΔT)이 얻어진다. 만일 모든 위치에서의 응고쉘(2)이 동일한 두께로 성장한다면 모든 냉각수 슬릿(20)에서의 온도 변화량(ΔT)은 동일한 값을 갖게 될 것이다.When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coolant is measured at the outlet of the coolant slit 20 provided at close intervals in the mold body 10 by using the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near the inlet of the coolant of the mold body 10 or in a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The amount of temperature change ΔT in each cooling water slit 20 is obtained using the operating cooling water inlet temperature. If the solidification shell 2 in all positions grows to the same thickness,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ΔT in all the coolant slits 20 will have the same value.

하지만, 특정 부위의 응고쉘(2)에서 디프레션(4)이 발생하면, 응고쉘(2)과 주형 본체(10) 사이에 에어갭(air gap)이 발생하여 응고쉘(2)이 성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형 본체(10)로의 열전달이 크게 줄어들어 주형 본체(10)의 온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냉각수로의 열전달량도 감소한다. 그 결과 냉각수 슬릿(20)의 출구에서 측정되는 온도 또한 다른 부위의 냉각수 슬릿(20) 출구에서 측정되는 온도보다 감소한다. 온도의 감소량은 디프레션(4)의 한 가운데에서 가장 크며, 정상 적인 응고쉘(2)이 위치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그 감소량은 점차 줄어든다.However, if depression 4 occurs in the solidification shell 2 of a specific site, an air gap occurs between the solidification shell 2 and the mold main body 10 so that the solidification shell 2 does not grow.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to the mold main body 10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old main body 10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transfer to the cooling water. As a result, the temperature measured at the outlet of the coolant slit 20 is also lower than the temperature measured at the outlet of the coolant slit 20 at other sites. The decrease in temperature is greatest in the middle of the depression (4), and the decrease decreases gradually toward the point where the normal solidification shell (2) is located.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온도 센서(100)가 모든 냉각수 슬릿(A 내지 I)에 설치되어 있다면, 디프레션(4)이 통과하는 동안에 온도 센서(100)에서 얻어지는 온도와 정상 변화량과의 차이는 냉각수 슬릿(E)에서 최대가 되며, 좌우측으로 갈수록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냉각수 슬릿(E)가 정상 온도 변화량과 최대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디프레션(4)의 중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상 상태의 온도 변화량(ΔT)이 16℃였는데 디프레션(4)이 통과할 때의 최저 온도 변화량(ΔT)이 8℃ 였다면, 디프레션(4)의 수준은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16-8)/16)×100 = 50% 라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sensor 100 is installed in all the coolant slits A through I as shown in FIG. 4,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normal change amount obtain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0 during the passage of the depression 4 is Maximum in the coolant slit (E), both tend to decrease toward the left and right. It can be seen that the cooling water slit E is the center of the depression 4 because it shows a maximum difference from the normal temperature change amount. Further, if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ΔT in the steady state was 16 ° C. but the minimum temperature change amount ΔT when the depression 4 passed was 8 ° C., the level of the depression 4 was expressed by Equation (1). -8) / 16) × 100 = 50%.

다음으로, 종래의 열전대를 사용한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다.Nex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breakout prediction method using a conventional thermocouple and the breakout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열전대에 의한 주형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 측정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5 is a view showing the temperature and the coolant temperatur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mold by the thermocoupl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슬래브 연주기용 주형의 장변 가운데 위치에 주조 방향을 따라 7개의 열전대를 설치하여 주형의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좌변의 길이방향 좌표값은 주형 상부로부터 175mm, 305mm, 435mm 등등의 위치이다. 그리고, 냉각수 슬릿(20)에는 20mm 간격으로 중앙부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9개씩의 온도 센서(100)를 설치하였다. 본 주형 본체(10)에서는 냉각수가 냉각수 슬릿(20)의 상부에서 유입되어 하부로 유출되므로 냉각수 슬릿(20)의 하부 출구 측에 온도 센서(100)를 설치하였다. As illustrated in FIG. 5, seven thermocouples were installed along the casting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long side of the mold for the thin slab play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mold was measured. The longitudinal coordinates of the left side were 175 mm, 305 mm, 435mm etc. The cooling water slits 20 were provided with nine temperature sensors 100 each at the center an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t 20 mm intervals. In the mold main body 10, since the coolant flow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water slit 20 and flows out to the lower portion, the temperature sensor 100 is installed at the lower outlet side of the cooling water slit 20.

이렇게 열전대 및 냉각수 슬릿의 출구 측에 온도 센서를 설치한 상태에서 두 번의 주조를 실시하였으며, 그 온도 측정 결과를 도 6a 내지 7b에 나타내었다. 이때 주조속도는 5.0 m/min 이었다.In this way, two castings wer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was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thermocouple and the cooling water slit, and the results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re shown in FIGS. 6A to 7B. At this time, the casting speed was 5.0 m / min.

도 6a 및 7a는 열전대에서 측정된 주형의 온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a 및 7b는 냉각수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Figures 6a and 7a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d measured in the thermocouple, Figures 6a and 7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oolant temperature.

먼저, 도 6a와 도 6b를 비교한다.First, FIG. 6A is compared with FIG. 6B.

도 6a의 그래프 값에 의하면, 7230초 쯤에 주형 상부로부터 565mm 위치에서 처음으로 디프레션이 발생하여, 7250초에 그 심각도가 최대로 되었으며, 435mm 지점의 피크점이 응고쉘 이동속도에 맞추어 아래쪽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이때도 6b의 그래프 값에 의해서도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동일한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도 변화값의 강하폭이 최대인 곳은 N1 지점으로서, 폭방향 위치가 주형 온도 측정 위치와 거의 유사한 지점이었다. 그리고, N2, N3 쪽으로 갈수록 온도 변화값의 강하폭은 점차 감소하였고, 반대 방향인 S1, S2 쪽으로 가면서도 강하폭이 감소하였다. 이것은 N1 지점에 디프레션의 중심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는 주형의 열전대가 배치된 위치에 바로 디프레션의 중심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열전대에 의한 온도 측정만으로도 디프레션의 위치와 심각도를 바로 판정이 가능하였다.According to the graph value of FIG. 6A, the first depression occurred at a position of 565 mm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ld at about 7230 seconds, the maximum severity was reached at 7250 seconds, and the peak point of 435 mm move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solidification shell movement speed. It can be seen.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same tendency appears in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ooling water also by the graph value of 6b. The maximum drop width of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was the N1 point, and the width direction position was almost the same as the mold temperature measurement position. Then, the width of the temperature change gradually decreased toward N2 and N3, and the width of the drop decreased while going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s S1 and S2. This means that there is a center of depression at the N1 point. In this case, since the center of the depression is located directly at the position where the thermocouple of the mold is arranged, the position and severity of the depression can be directly determined only by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a conventional thermocouple.

그러나, 도 7a와 도 7b를 비교하면 도 7a에서는 주형이 온도 감소현상이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도 7b에 의하면 3820초에 S5 지점에서 온도 변화값의 강하 폭이 주변에 비하여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S4와 S6에서도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S5 지점을 중심으로 디프레션이 발생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변화값의 강하폭이 도 6b에 비하여 절반 정도이기 때문에 디프레션 심각도도 절반 정도라 판단할 수 있었다. 도 7a 및 도 7b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열전대가 설치된 주형의 중심부를 제외한 지점에서는 종래의 열전대에 의한 디프레션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상당히 조밀하게 구비되는 냉각수 슬릿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 변화량을 검출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디프레션의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in comparison with FIGS. 7A and 7B, the temperature reduction phenomenon of the mold was not detected in FIG. 7A. However, according to FIG. 7B, the drop width of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at the point S5 at 3820 seconds showed the largest valu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and also decreased in S4 and S6. Therefore, it can be detected that the depression occurred around the S5 point. In addition, since the drop width of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is about half of that of FIG. 6B, the degree of depression severity was determined to be about half.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FIG. 7A and FIG. 7B, the detection of depression by the thermocouple is not performed at the point except the center of the mold in which the thermocouple is installed, but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coolant slit which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compact den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cting the amount of temperature ch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ection of depression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열전대에 의한 주형의 온도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보다 디프레션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프레션의 심각도가 어느 수준인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can be accurately known, but also the severity of the depression can be quantitatively determin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old by the thermocouple. It was confirmed.

도 1은 응고쉘에 발생되는 결함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fect occurring in the solidification shel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응고쉘에 발생되는 결함을 예측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predicting a defect occurring in a solidification shell;

도 5는 열전대에 의한 주형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 측정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5 is a view showing the temperature and the coolant temperatur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mold by the thermocouple,

도 6a, 6b, 7a 및 7b는 주형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6A, 6B, 7A, and 7B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mold temperature and the coolant temperatur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주형 본체 20: 냉각수 슬릿10: mold body 20: coolant slit

100: 온도 센서 200: 장슬롯100: temperature sensor 200: long slot

201: 요홈 210: 설치공201: groove 210: installer

220: 패킹부재 230: 오링220: packing member 230: O-ring

240: 커버 300: 케이블240: cover 300: cable

400: 커넥터400: connector

Claims (10)

다수의 냉각수 슬릿이 장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주형 본체와;A mold bod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oling water slits spaced apart in a long width direction; 상기 냉각수 슬릿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냉각수 슬릿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And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n outlet side of the coolant slit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coolant discharged from the coolant sl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형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에는 주형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장슬롯이 형성되고,Long slots are formed 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ld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main body, 상기 장슬롯에는 상기 냉각수 슬릿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며,The long slo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oling water slit, 상기 각각의 요홈에는 상기 냉각수 슬릿의 출구와 연통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Each of the grooves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of the cooling water slit, 상기 각각의 설치공에는 상기 온도 센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tallation hole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요홈에는 상기 온도 센서를 고정시키는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와 요홈 사이에는 오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 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The groove is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for fixing the temperature sensor, the device for predicting the breakout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acking member and the groov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장슬롯에는 그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가 더 구비되고,The long slo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그 내부에는 상기 온도 센서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wherein a cabl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therei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주형 본체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커넥터를 내삽시키고, 상기 케이블을 커넥터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one of the upper, lower or side surfaces of the mold body and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온도 센서의 단부가 상기 냉각수 슬릿의 출구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And an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exposed to an outlet of the coolant sl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수 슬릿은 주형 본체의 장폭 방향으로 10 ~ 150mm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The coolant slit is an apparatus for predicting breakout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long width direction of the mold body 10 to 150mm intervals. 연속주조 공정시 발생되는 브레이크 아웃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edicting the breakout occurring during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주조시 주형 본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각각의 냉각수 슬릿으로 유입되는 냉각수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Measuring the temperature of each coolant flowing into each coolant slit provided with a plurality at equal intervals in the mold body at the time of casting; 상기 각각의 냉각수 슬릿 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Measuring a temperature of each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cooling water slit outlets, 상기 각각의 냉각수 슬릿으로 공급된 냉각수 각각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 변화값을 계산하여 응고쉘의 이상 유무 및 그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The breakout prediction method of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solidification shell and determine the position by calculating the change in the inlet temperature and discharge temperature of each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slit.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연속주조 공정의 정상 조업시 상기 냉각수 각각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 정상 변화값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Defining a normal change in inlet and outlet temperature of each of said cooling water during normal operation of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연속주조 공정시 상기 냉각수 각각의 유입온도 및 배출온도 변화값을 계산하여 상기 정상 변화값과 차이가 발생되는 냉각수 슬릿이 위치하는 지점에 응고쉘의 이상이 발생된 지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e inlet temperature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value of each of the cooling water is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point where the abnormality of the solidification shell occurred at the point where the coolant slit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change value is located Breakout Prediction Method in Casting Proces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응고쉘의 이상 수준은 하기의 수학식(1)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아웃 예측방법.The abnormality level of the solidification shell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breakout prediction method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수학식 1)(Equation 1) 응고쉘의 이상 수준(%)=((정상 변화값(ΔT1)-계산된 변화값(ΔT2))/정상 변화값(ΔT1))
Figure 112007095005853-PAT00002
100
Abnormal level (%) of solidification shell = ((normal change value (ΔT1) -calculated change value (ΔT2)) / normal change value (ΔT1))
Figure 112007095005853-PAT00002
100
KR1020070141457A 2007-12-31 2007-12-31 Break out monitoring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KR100991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457A KR100991810B1 (en) 2007-12-31 2007-12-31 Break out monitoring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457A KR100991810B1 (en) 2007-12-31 2007-12-31 Break out monitoring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495A true KR20090073495A (en) 2009-07-03
KR100991810B1 KR100991810B1 (en) 2010-11-04

Family

ID=4133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457A KR100991810B1 (en) 2007-12-31 2007-12-31 Break out monitoring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0152B2 (en) 2014-11-19 2020-07-14 Posco Meniscus flow control device and meniscus flow control method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367A (en) * 2016-07-29 2018-02-08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predicting abnormality of continuous cast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2783B2 (en) 2000-07-31 2008-07-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Breakout detection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KR100663916B1 (en) 2006-03-22 2007-01-02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KR100783082B1 (en) 2006-12-29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0152B2 (en) 2014-11-19 2020-07-14 Posco Meniscus flow control device and meniscus flow control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810B1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2113B2 (en) Method for estimating solidification completion state of slab in continuous casting,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KR100991810B1 (en) Break out monitoring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JP5092631B2 (en) Breakou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continuous casting, steel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breakout prevention apparatus using the apparatus
KR100663916B1 (en)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US11648607B2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of cast slab
KR20120110586A (en) Method for predicting quality of slab using defect index of impurities comeing off submerged entry nozzle
KR101257254B1 (en) Crack diagnosis device of solidified shell in mold and method thereof
KR20180014367A (en) Apparatus for predicting abnormality of continuous casting
JP2004034090A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teel
JPS58148063A (en) Method for predicting cracking of ingot in continuous casting
KR101224960B1 (en) Crack diagnosis device of solidified shell in mold and method thereof
KR20120032921A (en) Crack diagnosis device of solidified shell in mold and method thereof
KR101224961B1 (en) Crack diagnosis device of solidified shell in mold and method thereof
JP2019072749A (en) Method of predicting breakout
JP5707844B2 (en) Breakou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continuous casting
JPH01262050A (en) Detection of leaning flow of molten steel in mold at continuous casting of steel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steel
KR101755402B1 (en) Visualization apparatus surface level of molten steel
JP45018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molten metal temperature in continuous casting mold
KR10176667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low of Molten Steel
JPS5916865B2 (en) Breakout prediction device
JP5412872B2 (en) Breakou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continuous casting, steel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breakout prevention apparatus using the apparatus
JP5915463B2 (en) Breakout prediction method
Krasilnikov et al. Local heat transfer through mold flux film and optimal narrow face taper adjustment
JP2005205462A (en) Method for preventing longitudinal crack on continuously cast piece
JP2010194548A (en) Method for estimating solidification shell thickness in continuous casting and apparatus therefor, and method for detecting breakout in continuous casting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