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769A -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769A
KR20090072769A KR1020070140981A KR20070140981A KR20090072769A KR 20090072769 A KR20090072769 A KR 20090072769A KR 1020070140981 A KR1020070140981 A KR 1020070140981A KR 20070140981 A KR20070140981 A KR 20070140981A KR 20090072769 A KR20090072769 A KR 20090072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base station
gain
processing module
r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40963B1 (en
Inventor
김건성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963B1/en
Publication of KR2009007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fficiently operate a relay by sharing the radio signal receiving capability of the relay combined in the base station. An ADC(Analog/Digital Converter)(32) converts an analog signal inputted through an antenna(31) into a digital signal. An AGC(Automatic Gain Controller)(33) compensates the output of ADC to the proper signal level. A digital gain multiplication unit(21) multiplies the output of AGC by the digital gain. A digital signal adder(25) altogether sums the output of the digital gain multiplication unit.

Description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device and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using the same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디지털 결합(Combine)되는 중계기(Repeater)의 무선신호(RF 신호) 수신용량을 동적으로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dio signal (RF signal) receiving capacity of a repeater coupled to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지하 공간이나 건물 내부와 같은 음영 지역을 해소한다거나, 기지국 셀의 확장 등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중계기에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그대로 결합하는 '아날로그 중계기'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에 결합하는 '디지털 중계기'가 존재한다.In general, the repeater is used to solve the shadow area such as underground space or inside the building, or to expand the base station cell. Such a repeater includes an analog repeater that combines analog signals received from an antenna as it is, and a digital repeater that converts analog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and then combines the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중계기가 운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모 셀(Mother Cell)이 할당되는 RF 처리 모듈과 중계기 셀(Repeater Cell)이 할당되는 RF 처리 모듈의 명확한 구분을 위해, 모 셀이 할당되는 RF 모듈을 '모 기지국 RF 처리부'로, 중계기 셀이 할당되는 RF 처리 모듈을 '중계기 RF 처리부'로 명명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a digital repeater is opera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ereinafter,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an RF processing module to which a mother cell is assigned and an RF processing module to which a repeater cell is assigned, the RF module to which a mother cell is assigned is referred to as a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unit'. The RF processing module to which a cell is assigned is called a 'relay RF processing un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은, 모 기지국 RF 처리부(Mother RF Module)(30) 및 다수의 중계기 RF 처리부(Repeater RF Module)(40), 디지털 신호 결합부(Digital Combining Module)(20), 디지털 이득 제어부(Digital Gain Control Module)(또는 결합 가중치 제어부(Combining Weight Control Module))(10)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하나의 모 기지국과 3개의 디지털 중계기가 운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mother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a plurality of repeater RF modules 40, and a digital signal combiner ( Digital Combining Module 20, Digital Gain Control Module (or Combining Weight Control Module) 10, and the like. Hereinafter, a case where one parent base station and three digital repeaters are opera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모 기지국 RF 처리부(30) 및 중계기 RF 처리부(40)는, 안테나(31,41,51,61)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32,42,52,62)와, ADC(32,42,52,62)의 출력을 적정한 신호 레벨로 보정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AGC : Automatic Gain Controller)(33,43,53,63)를 구비한다. 다만, 안테나(31)는 모 셀(Mother Cell)이 할당되는 모 기지국 RF 처리부(30)의 안테나이고, 안테나(41,51,61)는 중계기 셀(Repeater Cell)이 할당되는 중계기 RF 처리부(40,50,60)의 안테나이다. The base station RF processing unit 30 and the repeater RF processing unit 40 are analog-to-digital converters (ADCs) for converting analog signals input through the antennas 31, 41, 51, and 61 into digital signals. Automatic Gain Controller (AGC) 33, 43, 53, 63 for correcting the (32, 42, 52, 62) and the outputs of the ADCs (32, 42, 52, 62) to an appropriate signal level. Equipped. However, the antenna 31 is an antenna of a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to which a mother cell is assigned, and the antennas 41, 51, and 61 are repeater RF processors 40 to which a repeater cell is assigned. , 50, 60 antennas.

또한, 디지털 신호 결합부(20)는, AGC(33,43,53,63)의 출력에 대해 디지털 이득(Digital Gain)(또는 결합 가중치(Combine Weight), 예로서 모 기지국에 대한 결합 가중치(M), 중계기1,2,3에 대한 결합 가중치(R1, R2, R3))을 곱하는 디지털 이득 승산부(Digital Gain Multiplexer)(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Combining Weight Multiplexer))(21~24)와,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 )(21~24)의 출력을 모두 합하는 디지털 신호 가산부(Digital Signal Summation)(25)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combiner 20 may provide a digital gain (or a combined weight) for the output of the AGCs 33, 43, 53, and 63, for example, a combined weight M for a base station. ), A digital gain multiplexer (or combining weight multiplexer) 21 to 24 multiplied by the combined weights R1, R2, and R3 for the repeaters 1, 2, and 3, And a digital signal summation unit 25 that sums all of the outputs of the digital gain multiplier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 21 to 24.

또한, 디지털 이득 제어부(또는 결합 가중치 제어부)(10)는,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21~24)에서 곱해지는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의 초기값 예로서, 모 기지국에 대한 결합 가중치(M), 중계기1,2,3에 대한 결합 가중치(R1, R2, R3))을 설정하는 디지털 이득 초기값 설정부(Digital Gain Initiator)(또는 결합 가중치 초기값 설정부(Combine Weight Initiator))(11)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gain control unit (or combined weight control unit) 10 is an initial value of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multiplied by the digital gain multiplier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 21 to 24 as an example. Digital Gain Initiator (or Combined Weight Initial Valu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combined weight (M) for the combined weights (R1, R2, R3) for the repeaters 1, 2, and 3 Weight Initiator) (11).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모 기지국 RF 처리부(30)의 안테나(31) 및 각각의 중계기 RF 처리부(40,50,60)의 안테나(41,51,61)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각각의 ADC(32,42,52,62)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AGC(33,43,53,63)를 통해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21~24)로 전달된다. 이때,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21~24)에서 곱해지는 각각의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 예로서 모 기지국에 대한 결합 가중치(M), 중계기1,2,3에 대한 결합 가중치(R1, R2, R3))에 따라 모 기지국 및 중계기들 사이에 수신용량이 결정된다. The analog signals received from the antennas 31 of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and the antennas 41, 51, 61 of each of the repeater RF processors 40, 50, and 60 are converted into respective ADCs 32, 42, 52, After conversion to a digital signal through 62, it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gain multiplier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 21 to 24 through the AGC (33, 43, 53, 63). In this case, each of the digital gains (or combined weights) multiplied by the digital gain multipliers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s) 21 to 24, for example, the combined weights M for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s 1, 2, and 3 Receiving capacity is determined between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s according to the coupling weights (R 1 , R 2 , R 3 ).

즉, 디지털 이득 제어부(또는 결합 가중치 제어부)(10)는 디지털 이득 승산부(21~24)에서 곱해지는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을 결정하며, 초기에 한번 수행한다. 이때, 정해지는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은 중계기 개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하기의 표 1은 중계기 개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 값을 보여준다.That is, the digital gain controller (or combined weight controller) 10 determines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to be multiplied by the digital gain multipliers 21 to 24 and performs the initial one. In this case,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is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aters. Table 1 below shows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values that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aters.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계기가 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 기지국 RF 처리부(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100%의 수신용량이 할당되며, 중계기가 함께 운용되는 경우 각각의 중계기는 모 기지국 대비 1/4(≒-6dB)로 수신용량이 설정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when the repeater is not operated, 100% reception capacity is allocated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unit 30, and when the repeater is operated together, each repeater is 1 / compared with the parent base st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ception capacity is set to 4 (≒ -6dB).

구성Configuration 디지털 이득 비율(또는 결합 가중치 비율)Digital gain ratio (or combined weight ratio) 모 기지국Parent base station 100%100% 모 기지국 + 중계기1Base Station + Repeater1 80% + 20%80% + 20% 모 기지국 + 중계기 + 중계기2Parent base station + repeater + repeater 2 66.6% + 16.7% + 16.7%66.6% + 16.7% + 16.7% 모 기지국 + 중계기1 + 중계기2 + 중계기3Base Station + Repeater 1 + Repeater 2 + Repeater 3 55.7% + 14.8% + 14.8% + 14.8%55.7% + 14.8% + 14.8% + 14.8%

즉, 표 1에서와 같이, 중계기 없이 모 기지국만으로 기지국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 모 기지국에 무선신호의 수신용량(M)이 100% 할당된다(M=100). 또한, 모 기지국과 하나의 중계기로 기지국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 무선신호의 수신용량(M, R1)은 각각 80% 및 20%가 할당된다(M+R1=100, R1=1M/4). 또한, 모 기지국과 2개의 중계기로 기지국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 무선신호의 수신용량(M, R1, R2)은 각각 66.6%, 16.7%, 16.7%가 할당된다(M+R1+R2=100, R1=R2=1M/4). 또한, 모 기지국과 3개의 중계기로 기지국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 무선신호의 수신용량(M, R1, R2, R3)은 각각 55.7%, 14.8%, 14.8%, 14.8%가 할당된다(M+R1+R2+R3=100, R1=R2=R3=1M/4).That is,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base station system is operated by only the base station without a repeater, the reception capacity (M) of the radio signal is allocated to the base station 100% (M = 100). In addition, when the base station system is operated by the base station and one repeater, the reception capacity (M, R 1 ) of the radio signal is allocated 80% and 20%, respectively (M + R 1 = 100, R 1 = 1M /). 4). In addition, when the base station system is operated with a base station and two repeaters, 66.6%, 16.7%, and 16.7% of radio signal reception capacity (M, R 1 , R 2 ) are allocated (M + R 1 + R), respectively. 2 = 100, R 1 = R 2 = 1 M / 4). In addition, when the base station system is operated by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ree repeaters, radio signal reception capacities (M, R 1 , R 2 , and R 3 ) are respectively allocated 55.7%, 14.8%, 14.8%, and 14.8% ( M + R 1 + R 2 + R 3 = 100, R 1 = R 2 = R 3 = 1 M / 4).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se prior art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특정 셀(예로서, 중계기 셀1)에서 미리 할당된 수신용량을 넘어서는 트래픽이 인가되면, 다른 셀(예로서, 중계기 셀2)에 여유분의 수신용량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정된 수신용량 할당으로 인해(예로서, 모 기지국과 2개의 중계기로 기지국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 모 기지국의 수신용량은 66.6%, 중계기1 및 중계기2의 수신용량은 각각 16.7%로 고정 할당됨) 해당 구간의 비트 오율(BER : Bit Error Rate)이 증가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호 단절(Call Drop)로 이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First, when traffic exceeding a pre-allocated reception capacity is applied in a specific cell (eg, relay cell 1), the fixed reception capacity is maintained even though there is an extra reception capacity remaining in another cell (eg, relay cell 2). Due to allocation (for example, when the base station system is operated with the base station and two repeaters, the receiving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is fixed at 66.6%, and the receiving capacity of repeater 1 and repeater 2 are fixedly allocated at 16.7%, respectively). Bit error rate (BER) increases, and in severe cases, it leads to call drop.

둘째, 구성 파일에 구성된 안테나의 숫자에 따라 무선신호의 수신용량이 고정되어 할당되기 때문에, 실제 특정 안테나가 비정상 상태로 천이되거나, 실제 구성되지 않은 경우로 인해 용량 낭비를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reception capacity of the radio signal is fixedly alloc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configured in the configuration fi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pacity may be wasted due to a case where a specific antenna actually transitions to an abnormal state or is not actually configu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결합되는 중계기의 무선신호(RF 신호) 수신용량을 동적으로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중계기를 운용할 수 있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ynamically share a radio signal (RF signal) receiving capacity of a repeater coupled to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by efficiently operating a repeater, and a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모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가 운용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수신용량 공유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RoT(Rise over Thermal) 값들을 수집한다. 이후, 수집된 RoT 값들을 이용하여, 모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의 무선신호 수신용량을 고려한 이득을 재계산하여, 재계산된 이득을 각각 모 기지국 및 각 중계기의 이득에 동적으로 할당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eater receiving capacity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in which a parent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repeater is operated, the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nd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received from Collect Rise over Thermal (RoT) values. Then, by using the collected RoT values, the gains considering the radio signal reception capacity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repeater are recalculated, and the recalculated gains are dynamically allocated to the gains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respectively.

그리고,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은 이와 같이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재계산된 모 기지국 및 각 중계기의 이득을 재인가하여, 기지국 및 각 중계기의 용량을 트래픽에 따라 동적으로 재분배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re-applies the gains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recalculated by the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ynamically redistributes the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according to traffic.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특정 셀에 트래픽이 집중되어 RoT 값이 피크(Peak)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동적으로 용량을 재분배하여 호 단절(Call Drop) 없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service without call drop by dynamically redistributing capacity even when the RoT value approaches a peak due to traffic concentration in a specific cell. .

또한,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수집된 RoT를 통하여 디지털 이득(결합 가중치)를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어, 구성이 않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상태가 천이된 구간에 대해서는 용량 할당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용량 재분배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ynamically allocating digital gain (combination weight) through periodically collected RoTs, so that capacity allocation can be excluded for an unconfigured or abnormally transitioned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o redistribu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중계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날로그 중계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digital repeater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alog repeater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은, 모 기지국 RF 처리부(30) 및 다수의 중계기 RF 처리부(40), 디지털 신호 결합부(20), 디지털 이득 제어부(또는 결합 가중치 제어부)(10) 등으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 1에서의 가정과 동일하게,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하나의 모 기지국과 3개의 디지털 중계기가 운용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to which the reception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a plurality of repeater RF processors 40, and a digital signal combiner 20. And a digital gain control unit (or combined weight control unit) 10 or the lik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in the assumption of FIG. 1, a case where one parent base station and three digital repeaters are opera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모 기지국 RF 처리부(30) 및 중계기 RF 처리부(40)는, 안테나(31,41,51,61)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32,42,52,62)와, ADC(32,42,52,62)의 출력을 적정한 신호 레벨로 보정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AGC)(33,43,53,63)를 구비한다. 이때, 안테나(31)는 모 셀이 할당되는 모 기지국 RF 처리부(30)의 안테나이고, 안테나(41,51,61)는 중계기 셀이 할당되는 중계기 RF 처리부(40,50,60)의 안테나이다.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and the repeater RF processor 40 are analog-to-digital converters (ADCs) 32, 42 for converting analog signals input through the antennas 31, 41, 51, and 61 into digital signals. 52, 62, and automatic gain control unit (AGC) 33, 43, 53, 63 for correcting the output of the ADCs 32, 42, 52, 62 to an appropriate signal level. At this time, the antenna 31 is an antenna of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unit 30 to which the mother cell is assigned, and the antennas 41, 51, and 61 are antennas of the repeater RF processing unit 40, 50, 60 to which the repeater cell is assigned. .

또한, 디지털 신호 결합부(20)는, AGC(33,43,53,63)의 출력에 대해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 예로서 모 기지국에 대한 결합 가중치(M), 중계기1,2,3에 대한 결합 가중치(R1, R2, R3))을 곱하는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 산부)(21~24)와,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21~24)의 출력을 모두 합하는 디지털 신호 가산부(25)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combiner 20 may provide a digital gain (or a combined weight, for example, a combined weight M for the parent base station, repeaters 1, 2, 3) with respect to the outputs of the AGCs 33, 43, 53, 63. Digital gain multiplier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 21 to 24 multiplied by the combined weight (R 1 , R 2 , R 3 ) for the digital gain multiplier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 (21 to 24). And a digital signal adder 25 that sums all of the outputs.

특히, 디지털 이득 제어부(또는 결합 가중치 제어부)(10)는,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21~24)에서 곱해지는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의 초기값(예로서, 모 기지국에 대한 결합 가중치(M), 중계기1,2,3에 대한 결합 가중치(R1, R2, R3))을 설정하는 디지털 이득 초기값 설정부(또는 결합 가중치 초기값 설정부)(11)를 통해 초기 구동시 우선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고정 용량을 할당한다. In particular, the digital gain control unit (or combined weight control unit) 10 is an initial value of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multiplied by the digital gain multiplier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 21 to 24 (for example, Digital gain initial value setting unit (or combined weight initial value setting unit) 11 for setting the combined weight (M) for the base station and the combined weights (R 1 , R 2 , R 3 ) for the repeaters 1 , 2 , 3 . In the initial driving through), a fixed capacity is allocated as shown in Table 1 above.

이후에, 디지털 이득 제어부(또는 결합 가중치 제어부)(10)는, 각 RF 처리 모듈(30,40,50,60)로부터 수집되는 RoT(Rise over Therma) 값을 바탕으로 모 기지국의 이득 및 각 중계기의 이득을 재계산하여 동적으로 재분배(재인가)한다. 즉, 디지털 이득 제어부(또는 결합 가중치 제어부)(10)의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는 디지털 결합(Combining) 기술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중계기 간 무선 수신용량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중계기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 기지국 및 RF 처리부(30,40,50,6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RoT 값들(w0, w1, w2, w3)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득(R1, R2, R3)을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디지털 이득을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21~24)에 재인가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ubsequently, the digital gain control unit (or combined weight control unit) 10 obtains the gain of each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based on the rise over therma (RoT) values collected from the respective RF processing modules 30, 40, 50, and 60. Redistribute (re-apply) dynamically by recalculating gain. That is, the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device of the digital gain control unit (or combined weight control unit) 10 operates the repeater more efficiently by sharing the radio receiving capacity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digital combining technique. In order to be able to do this, the digital gain R 1 , R using the RoT values (w 0 , w 1 , w 2 , w 3 )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e RF processor 30, 40, 50, 60. 2 , R 3 ) are recalculated, and the recalculated digital gain is re-applied to the digital gain multiplier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 21 to 24.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device having such a func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예로서, 3개의 디지털 중계기를 가정함)가 운용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는, 디지털 이득 제어부(또는 결합 가중치 제어부)(10)에서 동작되며, 모 기지국 RF 처리부(30) 및 3개의 중계기 RF 처리부(40,50,60)로부터 수신된 RoT(온도 잡음(Thermal Noise)에 대한 무선 수신신호 파워의 비율로서, 모 기지국 RF 처리부(30) 및 3개의 중계기 RF 처리부(40,50,60)로부터 주기적(예로서, 10분 단위 등)으로 보고됨) 값들을 저장하고 있는 이득 테이블(또는 가중치 테이블)(12)과, 이득 테이블(또는 가중치 테이블)(12)에 저장된 RoT 값들을 이용하여, 모 기지국 및 3개의 중계기의 무선신호 수신용량을 고려한 디지털 이득(예로서, 모 기지국에 대한 가변 디지털 이득(M), 중계기1,2,3에 대한 가변 디지털 이득(R1, R2, R3))을 재계산하기 위한 디지털 이득 계산부(13)와, 재계산된 디지털 이득(M, R1, R2, R3)을 각각 모 기지국 및 각 중계기의 이득에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디지털 이득 갱신부(1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2, in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in which a parent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repeater (eg, assume three digital repeaters) are operated, the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gain controller. (Or combined weight control unit) 10, and wireless reception signal power for the thermal noise (RoT) receiv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unit 30 and three repeater RF processing units (40, 50, 60) A gain table (or weight table) that stores periodic (eg, 10-minute, etc.) values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and the three repeater RF processors 40, 50, and 60 as a ratio of. (12) and the RoT values stored in the gain table (or weight table) 12, the digital gain (e.g., variable digital gain for the parent base station considering the radio signal reception capacity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ree repeaters) (M), Variable digital gain for the instrument 1,2,3 (R 1, R 2, R 3)), the material and the digital gain computation unit 13 for calculating, re-calculates the digital gain (M, R 1, R 2, R 3 ) ha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digital gain updater 14 for dynamically allocating the gains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respectively.

여기서, 디지털 이득 계산부(13)는, 모 기지국 RF 처리부(30) 및 3개의 중계기 RF 처리부(40,50,60)로부터 수집된 RoT 값(w0, w1, w2, w3)과 감쇄 정보(α=-6dB)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Normalize Scale Factor)를 구하고 (하기의 수학식 1 참조), 해당 중계기 RF 처리부(예로서, 40)부터 수집된 RoT 값(w1)과, 감쇄 정보(α), 이득 최대값(=256),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를 승산하여 해당 중계기1의 이득을 구하는 방식으로 각 중계기1,2,3의 이득(R1, R2, R3)을 구하며 (하기의 수학식 2 참조), 이득 최대값(=256)의 제곱 값에서 각 중계기1,2,3의 이득(R1, R2, R3)의 제곱 값을 감산한 후 루트화하여 모 기지국의 이득(M)을 구한다 (하기의 수학식 3 참조). Here, the digital gain calculator 13 may include RoT values (w 0 , w 1 , w 2 , w 3 ) collected from the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and the three repeater RF processors 40, 50, and 60. The normalized scale factor is obtained using the attenuation information (α = -6 dB) (see Equation 1 below), and the RoT value (w 1 ) collected from the corresponding RF processor (for example, 40). Gain of each repeater 1 , 2 , 3 by multiplying the attenuation information α, the gain maximum value (= 256), and the normalized scale factor to obtain the gain of the repeater 1; ) And subtract the square of the gain (R 1 , R 2 , R 3 ) of each repeater 1,2,3 from the square of the maximum gain (= 256). To obtain the gain M of the base station (see Equation 3 below).

상기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는, 모 기지국 RF 처리부(30)로부터 수집된 RoT 값(w0)의 제곱 값과, 감쇄 정보(α=-6dB)의 제곱 값과 3개의 중계기 RF 처리부(40,50,60)로부터 수집된 RoT 값(w1, w2, w3)의 제곱 값을 각각 승산한 값을 가산한 후 루트화하여 역수를 취한 값이다.The normalized scale factor includes a square value of RoT values (w 0 ) collect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a square value of attenuation information (α = -6 dB), and three repeater RF processors 40, 50, 60 is a reciprocal of the sum of the RoT values (w 1 , w 2 , w 3 ) collected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각각의 RF 처리부(30,40,50,60)로부터 주기적(예로서, 10분 단위)으로 보고되는 RoT 값들(w0, w1, w2, w3)은 이득 테이블(또는 가중치 테이블)(12)에 저장되며, 디지털 이득 계산부(13)에서 이득 테이블(또는 가중치 테이블)(12)에 저장된 RoT 값들(w0, w1, w2, w3)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M, R1, R2, R3)을 하기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통해 재계산한다. 이후, 재계산된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을 디지털 이득 승산부(또는 결합 가중치 승산부)(21~24)에 재인가한다. RoT values (w 0 , w 1 , w 2 , w 3 ) reported periodically (eg, every 10 minutes) from each RF processor 30, 40, 50, 60 are obtained from a gain table (or weight table) ( 12) and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using the RoT values w 0 , w 1 , w 2 , and w 3 stored in the gain table (or weight table) 12 in the digital gain calculator 13. ) (M, R 1 , R 2 , R 3 ) is recalculated using Equation 2 and Equation 3 below. Thereafter, the recalculated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is re-applied to the digital gain multiplier (or combined weight multiplier) 21 to 24.

여기서, 모 기지국 및 중계기의 각 디지털 이득(M, R1, R2, R3)을 구하기 위 해서는 이득 테이블(12)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Normalize Scale Factor)를 먼저 구한다. Here, in order to obtain the digital gains M, R 1 , R 2 , and R 3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the normalized scale factor is normalized using the gain table 12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Find first.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1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는, 모 기지국 RF 처리부(30)로부터 수집된 RoT 값(w0)의 제곱 값과, 감쇄(Attenation) 정보(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2
)의 제곱 값과 3개의 중계기 RF 처리부(40,50,60)로부터 수집된 RoT 값(w1, w2, w3)의 제곱 값을 각각 승산한 값을 가산한 후 루트화하여 역수를 취한 값임을 알 수 있다. 결국,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는, 모 기지국 및 각 중계기의 수신용량을 모두 반영한 값임을 알 수 있다. As in Equation 1, the normalized scale factor is a square value of the RoT value w 0 collect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or 30 and the attenuation information (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2
) Is multiplied by the squared value of the RoT values (w 1 , w 2 , w 3 ) collected from the three repeater RF processing units 40, 50, and 60, and then reciprocated.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normalized scale factor is a value reflecting both the reception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이후, 각각의 중계기 RF 처리부(40,50,60)로부터 수집된 RoT 값(w1, w2, w3)에 -6dB만큼의 감쇄(Attenation) 정보(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3
)를 곱하고, 여기에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의 최대값(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4
)을 곱한 다음 상기 수학식 1로 구한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를 곱하면 각각의 중계기1,2,3에 대한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 R1, R2, R3을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Subsequently, attenuation information of -6 dB is applied to the RoT values w 1 , w 2 , and w 3 collected from each of the repeater RF processors 40, 50, and 60.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3
) And multiply it by the maximum value of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4
) And then multiply the normalized scale factor obtained by Equation 1 to obtain the digital gains (or combined weights) R 1 , R 2 , and R 3 for each repeater 1 , 2 , 3 ,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You can get it.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5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5

또한, 모 기지국에 대한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은 하기의 수학식 3에서와 같이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의 최대값(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6
)의 제곱으로부터 각각의 중계기1,2,3에 대한 디지털 이득(또는 결합 가중치) R1, R2, R3의 제곱을 뺀 값의 루트값이 된다.In addition,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for the parent base station is the maximum value of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6
Square root of the digital gain (or combined weight) R 1 , R 2 , and R 3 for each repeater 1,2,3.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7
Figure 112007094781729-PAT00007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살펴보면, 특정 셀에 트래픽이 집중되어 RoT 값이 피크(Peak)에 접근하는 경우나, 구성이 않되거나 비정상적인 상태로 천이된 구간에 대해서도, 동적으로 용량을 재분배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1 to Equation 3, capacity is dynamically redistributed even when traffic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cell and RoT values approach peaks, or even in an unconfigured or abnormal transition period. Can be.

예로서, 모 기지국과 2개의 중계기로 기지국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 최초 무선신호의 수신용량(M, R1, R2)을 각각 모 기지국에 대해 66.6%로 할당하고, 중계기1,2에 대해 각각 16.7%, 16.7%로 할당하였으나, 중계기1로부터는 할당된 용량을 넘어서는 트래픽이 인가되고, 중계기2로부터는 할당된 용량을 훨씬 못미치는 트래픽이 인가되면, 중계기 RF 처리부(40)로부터 수집된 RoT 값(w1)이 커져 중계기1에 대한 디지털 이득(R1)은 커지게 되고, 중계기 RF 처리부(50)로부터 수집된 RoT 값(w2)이 작아져 중계기2에 대한 디지털 이득(R2)은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모 기지국의 디지털 이득(M)은 중계기1,2에 대한 디지털 이득을 고려해서 다시 계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트래픽에 따라 디지털 이득을 재분배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base station system is operated with a base station and two repeaters, the reception capacity (M, R 1 , R 2 ) of the initial radio signal is allocated to 66.6% for the base station, respectively, and for the repeaters 1, 2 Although 16.7% and 16.7% were allocated, respectively, the traffic exceeding the allocated capacity is applied from the repeater 1, and the traffic much less than the allocated capacity is applied from the repeater 2, and the RoT collected from the repeater RF processor 40 is applied. As the value w 1 increases, the digital gain R 1 for the repeater 1 becomes large, and the RoT value w 2 collected from the repeater RF processing unit 50 decreases, resulting in a digital gain R 2 for the repeater 2. Becomes small. Then, the digital gain M of the base station is re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gital gains for the repeaters 1,2.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distribute the digital gain according to the traffic.

마찬가지로, 만약 중계기2가 동작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중계기 RF 처리부(50)로부터 수집된 RoT 값(w2)이 없기 때문에 중계기2에 대한 디지털 이득(R2)은 제로가 된다. 이 경우에는 모 기지국 및 중계기1에 대해서 디지털 이득을 재계산함으로써, 중계기2에 할당된 용량을 나눠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계기2에 할당되는 용량 낭비를 해결할 수 있다. Similarly, if repeater 2 does not operate or is abnormal, the digital gain R 2 for repeater 2 is zero since there is no RoT value w 2 collected from repeater RF processor 50. In this case, by recalculating the digital gains for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1, the capacity allocated to the repeater 2 can be divid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olve the waste of capacity allocated to the repeater 2.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w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Also,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디지털 이득 제어부10: digital gain control unit

11 : 디지털 이득 초기값 설정부11: digital gain initial value setting unit

12 : 이득 테이블12: gain table

13 : 디지털 이득 계산부13: digital gain calculator

14 : 디지털 이득 갱신부14 digital gain update unit

20 : 디지털 신호 결합부20: digital signal combiner

30 : 모 중계기 RF 처리부30: RF repeater part processing

40,50,60 : 자 중계기 RF 처리부40,50,60: Magnetic Repeater RF Processing Unit

Claims (10)

모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가 운용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수신용량 공유 장치에 있어서, A repeater receiving capacity sharing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in which a parent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repeater are operated,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RoT(Rise over Thermal) 값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Storage means for storing rise over thermal (RoT) values received from a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nd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RoT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모 기지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의 무선신호 수신용량을 고려한 이득을 재계산하기 위한 이득계산수단; 및Gain calculation means for recalculating a gain in consideration of radio signal reception capacities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e at least one repeater using RoT value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상기 재계산된 이득을 각각 상기 모 기지국 및 각 중계기의 이득에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이득갱신수단Gain updating means for dynamically allocating the recalculated gains to the gains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respectively 을 포함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Repeater receiving dynamic shar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RoT는, The RoT is, 온도 잡음(Thermal Noise)에 대한 무선 수신신호 파워의 비율로서, 상기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주기적으로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10. A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as a ratio of wireless received signal power to thermal noise, reported periodically from said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nd said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계기는, The repeater, 디지털 중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repeat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이득계산수단은, The gain calculating means, 상기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두 개의 RoT 값과 감쇄 정보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를 구하고, Obtaining a normalized scale factor using at least two RoT values and attenu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nd the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해당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집된 RoT 값과, 상기 감쇄 정보, 이득 최대값, 상기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를 승산하여 해당 중계기의 이득을 구하는 방식으로 상기 각 중계기의 이득을 구하며,The gain of each repeater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oT value collected from th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the attenuation information, the gain maximum value, and the normalized scale factor, and obtaining the gain of the repeater. 상기 이득 최대값의 제곱 값에서 각 중계기의 이득의 제곱 값을 감산한 후 루트화하여 상기 모 기지국의 이득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Repeater subtracts the square of the gain of each repeater from the square of the maximum gain to obtain a gain of the parent base station.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득 최대값은, 256이고, The maximum gain is 256, 상기 감쇄 정보는, -6dB이며,The attenuation information is -6dB, 상기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는, 상기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집된 RoT 값의 제곱 값과, 상기 감쇄 정보의 제곱 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집된 RoT 값의 제곱 값을 각각 승산한 값을 가산한 후 루트화하여 역수를 취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 The normalized scale factor is obtained by multiplying a square value of RoT values collect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 square value of the attenuation information, and a square value of RoT values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respectively. The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is obtained by adding the value and rooting i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장치에 의해 재계산된 모 기지국 및 각 중계기의 이득을 재인가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for re-applying the gains of a parent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recalculated by the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모 기지국 및 상기 각 중계기의 이득을 재인가하여, 상기 기지국 및 상기 각 중계기의 용량을 트래픽에 따라 동적으로 재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 And re-applying gains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to dynamically redistribute the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according to traffic. 모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가 운용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수신용량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sharing repeater receiving capac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in which a parent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repeater are operated,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RoT(Rise over Thermal) 값들을 수집하는 단계; Collecting rise over thermal (RoT) values received from a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nd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상기 수집된 RoT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모 기지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의 무선신호 수신용량을 고려한 이득을 재계산하는 단계; 및Recalculating a gain in consideration of radio signal reception capacity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the at least one repeater using the collected RoT values; And 상기 재계산된 이득을 각각 상기 모 기지국 및 각 중계기의 이득에 동적으로 할당하는 단계Dynamically allocating the recalculated gains to the gains of the parent base station and each repeater, respectively. 를 포함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방법. Repeater receiving dynamic sharing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RoT는, 온도 잡음(Thermal Noise)에 대한 무선 수신신호 파워의 비율로서, 상기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집되며, The RoT is a ratio of wireless received signal power to thermal noise, which is periodically collect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nd the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상기 중계기는, 디지털 중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방법. The repeater is a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repeater.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이득을 재계산하는 과정은, Recalculating the gain, 상기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두 개의 RoT 값과 감쇄 정보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를 구하는 단계; Obtaining a normalized scale factor using at least two RoT values and attenu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nd the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해당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집된 RoT 값과, 상기 감쇄 정보, 이득 최대값, 상기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를 승산하여 해당 중계기의 이득을 구하는 방식으로 상기 각 중계기의 이득을 구하는 단계; 및 Obtaining a gain of each repeater in such a manner that a gain of the repeater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oT value collected from th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the attenuation information, the gain maximum value, and the normalized scale factor; And 상기 이득 최대값의 제곱 값에서 각 중계기의 이득의 제곱 값을 감산한 후 루트화하여 상기 모 기지국의 이득을 구하는 단계Subtracting the square of the gain of each repeater from the square of the maximum gain to obtain the gain of the parent base station 를 포함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방법. Repeater receiving dynamic sharing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득 최대값은, 256이고, The maximum gain is 256, 상기 감쇄 정보는, -6dB이며,The attenuation information is -6dB, 상기 정규화된 스케일 인자는, 상기 모 기지국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집된 RoT 값의 제곱 값과, 상기 감쇄 정보의 제곱 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RF 처리 모듈로부터 수집된 RoT 값의 제곱 값을 각각 승산한 값을 가산한 후 루트화하여 역수를 취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수신용량 동적 공유 방법.The normalized scale factor is obtained by multiplying a square value of RoT values collected from the parent base station RF processing module, a square value of the attenuation information, and a square value of RoT values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repeater RF processing module, respectively. The repeater receiving capacity dynamic sha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is obtained by adding the value and rooting.
KR1020070140981A 2007-12-28 2007-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 KR100940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81A KR100940963B1 (en) 2007-12-28 2007-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81A KR100940963B1 (en) 2007-12-28 2007-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69A true KR20090072769A (en) 2009-07-02
KR100940963B1 KR100940963B1 (en) 2010-02-05

Family

ID=4132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981A KR100940963B1 (en) 2007-12-28 2007-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96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4639A (en) * 2019-10-24 2020-04-10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Simulation constant volume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power plant energy storage auxiliary frequency modulation
KR102213194B1 (en) * 2020-05-06 2021-02-04 박동호 Smart circuit devic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or wireless repea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516A (en) * 2000-11-28 2002-06-03 배준진 Automatic gain-establishment method of repeater and radio frequency system
KR100800914B1 (en) 2006-10-19 2008-02-04 엘지노텔 주식회사 Digital repeater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4639A (en) * 2019-10-24 2020-04-10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Simulation constant volume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power plant energy storage auxiliary frequency modulation
CN110994639B (en) * 2019-10-24 2021-05-14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Simulation constant volume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power plant energy storage auxiliary frequency modulation
KR102213194B1 (en) * 2020-05-06 2021-02-04 박동호 Smart circuit devic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or wireless rep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963B1 (en) 201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6110B (en) A multi-channel transceiver with an adaptive antenna array, and associated method
JP5474942B2 (en) Baseband signal compression in base transceiver systems.
US69444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226831C (en) Multi-protocol receiver
CN1119858C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transmitted power controlling method
AU20023159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335734A (en) Gain control amplified circuit and terminal equipment with the same gain control amplified circuit
EP3531565A1 (en) Tower top device and passive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method
KR1009409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sharing receive capacity of repeater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station using the same
RU2174286C1 (en) Transmitter with switched time diversity for transmission to limit transmission power of antenna and process of control over it at base station of communication system with mobile objects
CN1160879C (en) Radio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s power transmitting
CN109474358B (en) Power detection apparatus,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mobile communication
CN1223113C (en) Global position system
CN111953730B (en) NOMA-based server cooperation edge computing method
KR10200998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ressing data by using floating point technique
Bhat et al. Distortion minimization in energy harvesting sensor nodes with compression power constraints
JP488253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band server, and signal relay method used therefor
KR100938488B1 (en) Remote optical unit
CN112511176B (en) Cold standby redundancy system and method based on frequency agile converter
US906630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uput power and method thereof
US6728299B2 (en) Transmitter gain control for CDMA signals
US20220321184A1 (en)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CN1367580A (en) Linear power amplification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KR1006287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mbine multi carrier transmit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424782A2 (en) Single stage implementation of min*, max*, min and/or max to perform state metric calculation in SISO dec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