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653A - 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653A
KR20090072653A KR1020070140825A KR20070140825A KR20090072653A KR 20090072653 A KR20090072653 A KR 20090072653A KR 1020070140825 A KR1020070140825 A KR 1020070140825A KR 20070140825 A KR20070140825 A KR 20070140825A KR 20090072653 A KR20090072653 A KR 20090072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setup message
user
authentication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용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14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653A/en
Publication of KR2009007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6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st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directly control the function of a receiving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by using a setup message. A mobile terminal control application is driven(210), and a transmitting terminal receives a control list from a user to control a receiving terminal(220). The transmitting terminal generates a setup message including the control list(230), and transmits the setup message to the receiving terminal(240).

Description

분실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분실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신 단말의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s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lle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setup message of a calling terminal.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음성 메시지,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 단말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단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이동 단말은 현대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people can use mobile terminals to take advantage of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short messages, voice messages,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dissemination of mobile terminals, a considerable amount of communication occurring in human relations is performed through mobile terminals, and mobile terminals are now becoming an essential communication means indispensable in modern life.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은 무선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또는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또는 이미지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s can freely move and talk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d anywhere by using the wireless telephone service, and through the data servic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life, such as news, weather, sports, Securities, exchange rates, or traffic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text, voice, or images.

최근 출시되고 있는 이동 단말은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용량의 개인 정보가 이동 단말에 저장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 정보는 전화 번호 목록, 사진, 동영상, 통화 내역, 단문 메시지 송수신 내용 등을 포함한다.Recently released mobi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 large memory, a large amount of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Such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a list of telephone numbers, pictures, videos, call history, contents of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like.

따라서, 대용량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동 단말을 분실하는 경우 사용자의 불편함과 피해는 매우 클 수 밖에 없다.Therefore, in case of los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large amount of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convenience and damage of the user is inevitably very larg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 단말의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proposes a method for directly controlling a calle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setup message of a calling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단말에서 수행되는 원격지에 위치한 제2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목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어 목록을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호 시도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셋업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어 목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secon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performed by a first terminal includes: receiving a control list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from a user; Generating a setup message including the control list; And transmitting the setup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in response to a call attempt command of the user, wherein the second terminal may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상기 셋업 메시지는 3GPP 규격상의 메시지일 수 있다.The setup message may be a message in 3GPP standard.

상기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목록을 상기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tup message may include setting the control list in a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상기 User-User 필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단에서 가공되지 않을 수 있다.The User-User field may not be processed at the network terminal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사용자로부터 인증 식별자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셋업 메시지는 상기 인증 식별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인증 식별자가 상기 제2 단말에 미리 설정된 인증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목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ceiving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from a user, wherein the setup message further includes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and wherein the second terminal controls the control when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matches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preset in the second terminal. You can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the list.

상기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식별자를 상기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tup message may include setting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in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상기 제어 목록은 폰복 접근 제어, 비접속식 카드 제어, 카메라 사용 제어, 앨범 접근 제어, SMS Viewer 접근 제어, 발신 제어 및 착신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lis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phone call access control, a connectionless card control, a camera use control, an album access control, an SMS viewer access control, an origination control, and an incoming call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과 연결된 제2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어 목록 및 인증 식별자를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식별자와 상기 제2 단말에 미리 설정된 인증 식별자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식별자와 상기 제2 단말에 미리 설정된 인증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목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셋업 메시지는 3GPP 규격상의 메시지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receiving a setup message including a control list and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from the first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matches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preset in the second terminal; And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when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and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preset in the second terminal match, but the setup message may be a message in 3GPP standard.

상기 제어 목록 및 상기 인증 식별자는 상기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 list and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may be set in a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상기 제어 목록을 USIM 또는 SIM의 EF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ording the control list in the EF of the USIM or the SIM.

상기 제어 목록은 폰복 접근 제어, 비접속식 카드 제어, 카메라 사용 제어, 앨범 접근 제어, SMS Viewer 접근 제어, 발신 제어 및 착신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lis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phone call access control, a connectionless card control, a camera use control, an album access control, an SMS viewer access control, an origination control, and an incoming call control.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terminal control method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제어 방법은 발신 단말의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의 기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irectly controlling a function of a calle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setup message of a calling termina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mean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controlling a calle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발신 단말(110), 착신 단말(120) 및 통신망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ntire system for controlling a calle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ing terminal 110, a called terminal 12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단말(110)은 착신 단말(120)을 제어하기 위한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착신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착신 단말(120)은 수신된 셋업 메시지에 따라 착신 단말(120)의 기능 중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셋업 메시지는 착신 단말(120)의 기능 제한을 위한 제어 목록을 포함하며, 제어 목록은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된다. 이때, User-User 필드에 설정된 제어 목록은 통신망단(예를 들어, 교환기 등)에서 가공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발신 단말(110)에 설정된 착신 단말(120)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120)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ing terminal 110 may generate a setup message for controlling the called terminal 120 and transmit it to the called terminal 120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limiting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called terminal 120 according to the received setup message. Here, the setup message includes a control list for limiting the function of the called terminal 120, and the control list is set in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At this time, the control list set in the User-User field is not processed at the communication network end (for example, the exchange). That is, the user may directly control the terminating terminal 120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y driving the terminating terminal 120 control application set in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은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은 음성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휴대 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 폰, 차세대 이동 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일 수 있다.The calling terminal 110 and the called terminal 120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terminal can provide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the calling terminal 110 and the called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with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capable of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 A wireless LAN terminal, or the like.

이하, 도 2 및 도 3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12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ting terminal 120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원격지에 위치 한 착신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e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performed by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screen of a terminal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발신 단말(110)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120)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즉, 사용자는 발신 단말(110)에 미리 설정된 키 버튼 입력이나 발신 단말(110)에 구현된 메뉴 입력을 통해 발단 단말(110) 상에서 단말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210, a terminal control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terminating terminal 120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is driven according to a command of a user of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That is, the user may allow the terminal control application to be driven on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through a key button input preset in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or a menu input implemented in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발신 단말(110)은 참조번호 31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물론, 참조번호 3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참조번호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제어 메뉴는 착신 번호 입력 메뉴, 제어 목록 입력 메뉴, 비밀번호 입력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착신 번호는 기능을 제한 받을 착신 단말(120)의 번호를 입력 받기 위한 메뉴이다. 또한, 비밀번호는 착신 단말(120)에서 인증 식별자로 사용될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메뉴이다. 또한, 제어 목록은 착신 단말(120)의 기능 중 제한 하기 위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 목록 입력 메뉴를 선택하면 발신 단말(110)은 참조번호 320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참조번호 320에 도신된 제어 목록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착신 단말(120)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terminal control application is driven, the calling terminal 110 displays a screen of reference numeral 310.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reference numeral 310 is only an embodiment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at 310, the terminal control menu may include a called number input menu, a control list input menu, and a password input menu. In this case, the called number is a menu for receiving th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120 whose function is to be restricted. In addition, the password is a menu for receiving information to be used as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in the destination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control list is a menu for selecting a function for limiting among the functions of the called terminal 120.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control list input menu, the calling terminal 110 may output a screen 320. In this case, the user may limit the function of the called terminal 120 by selecting one or more of the control list shown at 320.

단계 220에서 상술한 예와 같이 발신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착신 단말(1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목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목록은 폰 복 접근 제어, 비접속식 카드 제어, 카메라 사용 제어, 앨범 접근 제어, SMS Viewer 접근 제어, 발신 제어, 착신 제어 등일 수 있다.As in the example described above in step 220, the calling terminal 110 may receive a control list for controlling the called terminal 120 from the user. Here, the control list may be a phone call access control, a connectionless card control, camera use control, album access control, SMS Viewer access control, outgoing control, incoming call control.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신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인증 식별자(예를 들어, 일정한 자리수를 가지는 숫자의 조합이나 문자의 조합 등)를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인증 식별자를 비밀 번호 형태로 입력 받을 수 있다(도 3참조).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calling terminal 110 may further receive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numbers or characters having a certain digit) from a user. For example, the calling terminal 110 may receive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in the form of a password from the user (see FIG. 3).

단계 230에서 발신 단말은 제어 목록을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셋업 메시지는 인증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셋업 메시지는 3GPP 규격상의 메시지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더 상세하게는, 세업 메시지의 생성은 제어 목록을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10)이 인증 식별자를 더 입력 받는 경우, 입력된 인증 식별자 역시 User-User 필드에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User-User 필드는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20)간의 신호가 경유하는 네트워크단에서 가공되지 않음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User-User 필드에 설정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장치들(예를 들어, 교환기 등)에서 가공되지 않음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따라 발신 단말(110)이 착신 단말(120)을 직접 제어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3GPP 규격상의 셋업 메시지 컨텐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step 230, the originating terminal generates a setup message including a control list. Here, the setup message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In addition, the setup message may be a message in the 3GPP standard. More specifically, the generation of the setup message may be setting the control list in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lling terminal 110 further receives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the input authentication identifier may also be set in the User-User field. At this time, the User-User field is preferably not processed in the network terminal via the signa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10 and the called terminal 12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set in the User-User field is not processed in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network (for example, the exchange, etc.), and thus, the calling terminal 110 directly controls the called terminal 120. The effect can be generated. The setup message contents in the 3GPP standard are as follows.

[표 1] 3GPP TS 24.008: SETUP message contentTable 1 3GPP TS 24.008: SETUP message content

IEIIEI Information elementInformation element Type/ReferenceType / Reference PresencePresence FormatFormat LengthLength CallCall controlcontrol protocol discriminatorprotocol discriminator ProtocolProtocol discriminatordiscriminator 10.210.2 M  M V  V 1/2  1/2 TransactionTransaction identifieridentifier TransactionTransaction identifieridentifier 10.3.210.3.2 M  M V  V 1/2  1/2 SetupSetup message typemessage type Message typeMessage type 10.410.4 M  M V  V 1 One D-D- BCBC repeatrepeat indicatorindicator RepeatRepeat indicatorindicator 10.5.4.2210.5.4.22 C  C TV TV 1 One 0404 BearerBearer capabilitycapability 1 One BearerBearer capabilitycapability 10.5.4.510.5.4.5 M  M TLV  TLV 3-16 3-16 0404 BearerBearer capabilitycapability 2 2 BearerBearer capabilitycapability 10.5.4.510.5.4.5 O  O TLV  TLV 3-16 3-16 1C1C Facility(Facility ( simplesimple recallrecall alignmentalignment )) FacilityFacility 10.5.4.1510.5.4.15 O  O TLV  TLV 2-  2- 5D5D CallingCalling partyparty subsub -- addressaddress CallingCalling partyparty subaddrsubaddr .. 10.5.4.1010.5.4.10 O  O TLV  TLV 2-23 2-23 5E5E CalledCalled partyparty BCDBCD numbernumber CalledCalled partyparty BCDBCD numnum .. 10.5.4.710.5.4.7 M  M TLV  TLV 3-43 3-43 6D6D CalledCalled partyparty subsub -- addressaddress CalledCalled partyparty subaddrsubaddr .. 10.5.4.810.5.4.8 O  O TLV  TLV 2-23 2-23 D-D- LLCLLC repeatrepeat indicatorindicator RepeatRepeat indicatorindicator 10.5.4.2210.5.4.22 O  O TV TV 1 One 7C7C Low layerLow layer compatibilitycompatibility I I LowLow layerlayer compcomp .. 10.5.4.1810.5.4.18 O  O TLV  TLV 2-18 2-18 7C7C LowLow layerlayer compatibility IIcompatibility II LowLow layerlayer compcomp .. 10.5.4.1810.5.4.18 O  O TLV  TLV 2-18 2-18 D-D- HLCHLC repeatrepeat indicatorindicator RepeatRepeat indicatorindicator 10.5.4.2210.5.4.22 O  O TV TV 1 One 7D7D HighHigh layerlayer compatibility icompatibility i HighHigh layerlayer compcomp .. 10.5.4.1610.5.4.16 O  O TLV  TLV 2-5 2-5 7D7D HighHigh layerlayer compatibility iicompatibility ii HighHigh layerlayer compcomp .. 10.5.4.1610.5.4.16 O  O TLV  TLV 2-5  2-5 7E7E UserUser -- useruser UserUser -- useruser 10.5.4.2510.5.4.25 O  O TLV  TLV 3-35 3-35 7F7F SSSS versionversion SSSS versionversion indicatorindicator 10.5.4.2410.5.4.24 O  O TLV  TLV 2-3 2-3 A1A1 CLIRCLIR suppressionsuppression CLIRCLIR suppressionsuppression 10.5.4.11a10.5.4.11a C  C T  T 1 One A2A2 CLIRCLIR invocationinvocation CLIRCLIR invocationinvocation 10.5.4.11b10.5.4.11b C  C T  T 1 One 1515 CCCC capabilitiescapabilities CallCall ControlControl CapabilitiesCapabilities 10.5.4.5a10.5.4.5a O  O TLV  TLV 4 4 1D1D Facility $(CCBS)$Facility $ (CCBS) $ FacilityFacility O O TLV TLV 2-?2-? (( advancedadvanced recallrecall alignmentalignment )) 10.5.4.1510.5.4.15 1B1B Facility (recall alignmentFacility (recall alignment FacilityFacility O O TLV TLV 2-? 2-? NotNot essentialessential ) $() $ ( CCBSCCBS )$) $ 10.5.4.1510.5.4.15 2D2D StreamStream IdentifierIdentifier StreamStream IdentifierIdentifier 10.5.4.2810.5.4.28 O O TLV TLV 3 3 4040 SupportedSupported CodecsCodecs SupportedSupported CodecCodec ListList 10.5.4.3210.5.4.32 O O TLV TLV 5-n 5-n

단계 240에서, 발신 단말(110)은 생성된 셋업 메시지를 착신 단말(120)로 전송한다. 이때, 발신 단말(110)은 사용자의 호 시도 명령에 상응하여 셋업 메시지를 착신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셋업 메시지는 음성 통화 시도 채널을 통해 통신망을 경유하여 착신 단말(120)로 전송될 수 있다.In step 240, the calling terminal 110 transmits the generated setup message to the called terminal 120. In this case, the calling terminal 110 may transmit a setup message to the called terminal 120 in response to the call attempt command of the user. That is, the setup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alled terminal 12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voice call attempt channel.

이후,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120)은 제어 목록에 따른 기능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110)이 사용자로부터 인증 식별자를 더 입력 받은 경우, 셋업 메시지는 인증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착신 단말(120)은 인증 식별자가 착신 단말(120)에 미리 설정된 인증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제어 목록에 따른 기능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은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Subsequently,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receiving terminal 120 receiving the setup message may perform a function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In this case, when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further receives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from the user, the setup message further includes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and the called terminal 120 matches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preset in the called terminal 120. Function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can be per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n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착신 단말(120)은 발신 단말(110)로부터 제어 목록을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셋업 메시지는 3GPP 규격상의 메시지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셋업 메시지는 인증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목록 및 인증 식별자는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10, the called terminal 120 receives a setup message including a control list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As described above, the setup message may be a message according to the 3GPP standard. Here, the setup message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list and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may be set in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단계 420에서 착신 단말(120)은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120)은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임의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User-User 필드가 설정된 경우 착신 단말(120)은 단계 430을 진행한다. 만약, User-User 필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착신 단말(120)은 착신 단말(120) 기능 제어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In operation 420, the called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is set. That is, the called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an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User-User field is set, the called terminal 120 proceeds to step 430. If the User-User field is not set, the called terminal 120 does not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alled terminal 120.

단계 430에서 착신 단말(120)은 단말 제어를 위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착신 단말(120)은 셋업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식별자와 착신 단말(120)에 미리 설정된 인증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인증 식별자들이 일치하는 경우 착신 단말(120)은 단계 440을 수행한다.In operation 430, the called terminal 120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That is, for example, the called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included in the setup message and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preset in the called terminal 120 match.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s match, the called terminal 120 performs step 440.

단계 440에서 착신 단말(120)은 셋업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목록을 추출하여 제어 목록에 포함된 착신 단말(120)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목록이 발신 제어를 포함하는 경우 착신 단말(120)은 착신 단말(120)의 발신 기능을 제한한다.In operation 440, the called terminal 120 may extract the control list included in the setup message to limit the function of the called terminal 120 included in the control list.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list includes outgoing control, the called terminal 120 limits the calling function of the called terminal 120.

단계 450에서 착신 단말(120)은 추출한 제어 목록을 USIM 또는 SIM의 EF(Element-File)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120)은 추출한 제어 목록을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기록되거나 저장 된 제어목록은 제3자가 착신 단말(120)을 사용하려 하는 경우에 착신 단말(120)을 제어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단말(120)은 착신 단말(120) 셋업 시(예를 들어, 단말의 파워-온) 기록되거나 저장된 제어목록(예를 들어, 폰북 접근 제어 정보 등)을 착신 단말(120)의 메모리에 로드한 후, 제어 목록에 따라 착신 단말(120)의 기능 중 일부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In step 450, the destination terminal 120 may record the extracted control list in the element-file (EF) of the USIM or SIM. In addition, the called terminal 120 may store the extracted control list in a non-volatile memory. In this case, the recorded or stored control list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called terminal 120 when the third party tries to use the called terminal 120. For example, the terminating terminal 120 receives the recorded or stored control list (for example, phonebook access control information, etc.) when the terminating terminal 120 is set up (for example, power-on of the terminal). After loading in the memory,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called terminal 120 may b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또한, USIM 또는 SIM의 EF(Element-File)에 기록된 제어 목록은 또 다른 단말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목록이 기록된 USIM 또는 SIM이 제3의 단말에 실장된 경우, 제3의 단말은 USIM 초기화 과정(즉, 제3의 단말의 파워가 온 되는 경우 제3의 단말이 USIM에서 데이터를 읽어 오는 과정)을 통해 제어 목록에 따라 제3의 단말의 기능 중 일부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list recorded in the element-file (EF) of the USIM or SIM may be used to control another terminal. For example, if a USIM or SIM on which a control list is recorded is mounted on a thir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may perform a USIM initialization process (that is, when the third terminal is powered on, the thir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USIM). The process of reading data) may limit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third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이하, 일부 기능이 제한된 단말의 기능 제어 해제 방법을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releasing a function control of a terminal in which some functions are limited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기능이 제한된 착신 단말의 기능 제어 해제 방법을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leasing a function control of a called terminal with some limited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착신 단말(120)은 발신 단말(110)로부터 기능 해제 식별자를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셋업 메시지는 3GPP 규격상의 메시지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기능 해제 식별자는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510, the called terminal 120 receives a setup message including a function release identifier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Here, the setup message may be a message according to the 3GPP standard. In addition, the deactivation identifier may be set in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단계 520에서 착신 단말(120)은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120)은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 드에 임의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User-User 필드가 설정된 경우 착신 단말(120)은 단계 530을 진행한다. 만약, User-User 필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착신 단말(120)은 착신 단말(120) 기능 제어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In operation 520, the called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is set. That is, the called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an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User-User field is set, the called terminal 120 proceeds to step 530. If the User-User field is not set, the called terminal 120 does not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alled terminal 120.

단계 530에서 착신 단말(120)은 제한된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착신 단말(120)은 셋업 메시지에 포함된 기능 해제 식별자와 착신 단말(120)에 미리 설정된 기능 해제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기능 해제 식별자들이 일치하는 경우 착신 단말(120)은 단계 540을 수행한다.In operation 530, the called terminal 120 may perform a process for releasing the restricted function. That is, for example, the called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unction release identifier included in the setup message and the preset function release identifier set in the called terminal 120 match. As a result, when the deactivation identifiers match, the called terminal 120 performs step 540.

단계 540에서 착신 단말(120)은 제한된 기능을 활성화 시킨 후, 단계 550을 진행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목록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120)은 USIM 또는 SIM의 EF(Element-File)에 기록에 기록된 제어 목록을 삭제할 수 있다.After activating the restricted function in step 540, the called terminal 120 may proceed to step 550 to delete the control list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In addition, the called terminal 120 may delete the control list recorded in the record in the element-file (EF) of the USIM or SI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제어 해제 방법에 따르면, 착신 단말(120)은 발신 단말(110)이 아닌 사용자로부터 직접 기능 해제 식별자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후의 절차는 단계 530 내지 단계 550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method for releasing a functio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ed terminal 120 may receive a function release identifier directly from a user other than the calling terminal 110, and subsequent steps 530 to 550 are performed. Can be appli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 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controlling a calle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원격지에 위치한 착신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e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performed by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screen of a terminal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n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기능이 제한된 착신 단말의 기능 제어 해제 방법을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leasing a function control of a called terminal with some limited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발신 단말: 110Outgoing terminal: 110

착신 단말: 120Incoming terminal: 120

Claims (12)

제1 단말에서 수행되는 원격지에 위치한 제2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second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performed by the first terminal,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목록을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a control list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from a user; 상기 제어 목록을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setup message including the control list; And 사용자의 호 시도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셋업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어 목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And transmitting the setup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in response to a call attempt command of the user, wherein the second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셋업 메시지는 3GPP 규격상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The setup message is a terminal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sage in 3GPP standard.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Generating the setup message, 상기 제어 목록을 상기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하는 단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And setting the control list in a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User-User 필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단에서 가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The User-User field is a terminal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not processed at the network terminal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사용자로부터 인증 식별자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If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from the user, 상기 셋업 메시지는 상기 인증 식별자를 더 포함하되,The setup message further includes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인증 식별자가 상기 제2 단말에 미리 설정된 인증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목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And the second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when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matches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preset in the second terminal.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Generating the setup message, 상기 인증식별자를 상기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And setting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in a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제어 목록은 폰복 접근 제어, 비접속식 카드 제어, 카메라 사용 제어, 앨범 접근 제어, SMS Viewer 접근 제어, 발신 제어 및 착신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And the control lis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hone call access control, a connectionless card control, a camera use control, an album access control, an SMS viewer access control, an outgoing control, and an incoming call control.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과 연결된 제2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A fun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어 목록 및 인증 식별자를 포함하는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setup message including a control list and an authentication identifier from the first terminal; 상기 인증 식별자와 상기 제2 단말에 미리 설정된 인증 식별자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matches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preset in the second terminal; 상기 인증 식별자와 상기 제2 단말에 미리 설정된 인증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목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셋업 메시지는 3GPP 규격상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And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list when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and a preset authentication identifier match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setup message is a 3GPP standard message.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제어 목록 및 상기 인증 식별자는 상기 셋업 메시지의 User-User 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And the control list and the authentication identifier are set in a User-User field of the setup message.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제어 목록을 USIM 또는 SIM의 EF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And recording the control list in the EF of the USIM or the SIM.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제어 목록은 폰복 접근 제어, 비접속식 카드 제어, 카메라 사용 제어, 앨범 접근 제어, SMS Viewer 접근 제어, 발신 제어 및 착신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The control lis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ne call access control, a connectionless card control, a camera use control, an album access control, an SMS viewer access control, an outgoing control, and an incoming call control. 상기 청구항 1 내지 10에 기재된 단말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terminal control method of claim 1 to 10.
KR1020070140825A 2007-12-28 2007-12-28 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 KR200900726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25A KR20090072653A (en) 2007-12-28 2007-12-28 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25A KR20090072653A (en) 2007-12-28 2007-12-28 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653A true KR20090072653A (en) 2009-07-02

Family

ID=4132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825A KR20090072653A (en) 2007-12-28 2007-12-28 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65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092B1 (en) * 2008-08-19 2010-06-23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supporting remote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crip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156720B1 (en) * 2010-10-01 2012-06-14 김수복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erver for providing recovery service of the missing mobile apparatus
KR20160053630A (en) * 2014-11-05 2016-05-13 이근진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092B1 (en) * 2008-08-19 2010-06-23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supporting remote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crip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156720B1 (en) * 2010-10-01 2012-06-14 김수복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erver for providing recovery service of the missing mobile apparatus
KR20160053630A (en) * 2014-11-05 2016-05-13 이근진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3969B2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CN101651760B (en) Information sharing in communication process
US200600944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ultimedia items using an MMS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KR20050039708A (en) Transfer of personalisation items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700154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jecting call rece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1219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talker during PTT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098629A1 (en) Data transmitter,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receiver, and data reception processing method
US200601067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eting/retransmitting media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07265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lost mobile terminal
US94910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437277A (en) Business contro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100762642B1 (en) Method for displaying sms message background picture in terminal including sms function and terminal thereof
US8670790B2 (en) Method for sending a data message during a telephone call
JP2007082219A (en) Video telephon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69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waiting service in video telephone calls
KR20060024236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confirming receiver when message editing using image searching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191993A1 (en) Method for assigning a priority mechanism to at least one group of tlv-objects
RU2310998C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irecting information from a wireless device
KR100811700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for enabling image blog service while talking over th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70075697A (en) Method for drawing group message in mobile communiaction terminal
KR100831986B1 (e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with various shor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762639B1 (en) Method for grouping received messages in mobile terminal
KR20070005774A (en) Wireless telecomuunu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of caller identity information output service
KR101075998B1 (en) Method for saving in a specific message receiving box receiv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