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343A - 3 패스 드럼 건조기 - Google Patents

3 패스 드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343A
KR20090072343A KR1020070140431A KR20070140431A KR20090072343A KR 20090072343 A KR20090072343 A KR 20090072343A KR 1020070140431 A KR1020070140431 A KR 1020070140431A KR 20070140431 A KR20070140431 A KR 20070140431A KR 20090072343 A KR20090072343 A KR 2009007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tage
pass
slud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543B1 (ko
Inventor
김현배
윤희철
최재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7014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5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 패스 드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 이 가이드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슬러지가 유동되는 3개의 패스가 형성된 드럼부; 이 드럼부의 전방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이 드럼부의 후방에 연통설치되어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열원을 직접 접촉시키는 3개의 드럼을 사용하여 유기성 슬러기의 함수율을 10%이하 까지 건조시켜 발전소 연료, 시멘트 소성로 보조 연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드럼부의 내부에 안내편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하여, 슬러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건조기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슬러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70140431
드럼, 건조기, 열풍, 슬러지

Description

3 패스 드럼 건조기{3 pass drum dryer}
본 발명은 3 패스 드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하수의 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를 재활용하기 위해 유기성 슬러지를 건조시켜 팰릿화하는 드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슬러지는 상수, 공업용수, 산업용폐수, 하수 및 분뇨의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의 잔재물로서 주성분으로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최근들어 폐기 처분대상에서 재활용 가능한 물질로 바뀌고 있다.
통상의 슬러지는 함수율이 75∼85%인 탈수 케익 형태로 발생되며, 수분을 제외한 슬러지의 고형물 중 유기물질은 보통 40∼80%로 다양한 범위 내에 함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발열량은 보통 2,500kcal/kg에서 최고 3,500kcal/kg에 달하고 있다.
2005년 기준으로 국내에서는 690만톤/년씩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을 해양투기나 소각처리하고 있으며, 환경문제나 사회적인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어, 정부에서는 2011년까지 유기성 슬러지의 해양투기 금지법을 만들어 유기성 슬러지의 육상에서의 재활용 비율을 70%정도까지 높이고자 하고 있다.
현재 슬러지 어떻게 재활용 할것인가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슬러지는 유기성을 함유하고 있어서 열량으로 활용 가치가 있고, 또한 식물 성장에 좋은 효과가 있다. 현재의 슬러지 처리는 건조 및 고화처리하여 매립 또는 복토제 등에 적용하고 있으며 건조 슬러지 함수율은 35∼45%로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슬러지를 매립한다면 슬러지가 가지고 있는 3,500kcal/kg의 열량이 버려진다.
종래의 회전식 드럼 건조기는 직접 회전식, 간접 회전식, 직접 및 간접 회전건조기, 직접 가열식 회전건조기 등이 있으나, 이 건조기들은 주로 하나의 드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조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해서 경사진 건조기도 있으며, 열용량계수가 작아 열효율이 낮고, 건조 슬러지의 유동성이 떨어져 건조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열원을 직접 접촉시키는 3개의 드럼을 사용하여 유기성 슬러기의 함수율을 10%이하 까지 건조시켜 발전소 연료, 시멘트 소성로 보조 연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드럼부의 내부에 안내편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하여, 슬러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건조기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슬러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3 패스 드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슬러지가 유동되는 3개의 패스가 형성된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전방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부의 후방에 연통설치되어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열풍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노즐부는, 상기 드럼부의 외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 1 노즐부와, 상기 드럼부의 내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 2 노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드럼부는, 중심부에 설치된 1단 드럼과, 상기 1단 드럼의 전단부와 연통설치되며 1단 드럼의 외곽을 둘러싸는 2단 드럼과, 상기 2단 드럼의 후단부와 연통설치되며 2단 드럼의 외곽을 둘러싸는 3단 드럼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드럼부는 상기 각 드럼의 내주면에 복수의 안내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2단 드럼은 전면의 중앙부에 슬러지의 배출유동을 유도하도록 돌출형성된 안내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3단 드럼은 전방 내부에 복수의 스크레이퍼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원을 직접 접촉시키는 3개의 드럼을 사용하여 유기성 슬러기의 함수율을 10%이하 까지 건조시켜 발전소 연료, 시멘트 소성로 보조 연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드럼부의 내부에 안내편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하여, 슬러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건조기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슬러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3 패스 드럼 건조기는 프레임(10), 가이드부(20), 드럼부(30), 구동부(40), 열풍구(50), 투입부(60) 및 노 즐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기성 슬러지와 건조 슬러지를 혼합한 혼합슬러지를 건조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프레임(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프레임(10)은 수평 프레임(11), 수직 프레임(12), 가이드부 지지대(13) 및 구동부 지지대(14)로 이루어져 있다.
수평 프레임(11)은,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아 등의 지지부재로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12)은, 수평프레임(11)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바아 등의 지지부재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11)과 함께 격자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가이드부 지지대(13)는 프레임(10)의 전방 및 후방에 입설되어 가이드부(20)가 설치되어 고정지지된다. 구동부 지지대(14)는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형성되어 구동부(40)가 설치되어 고정지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전방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후방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20)는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전방 가이드부와 후방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며, 전방 가이드부는 전방롤러(21), 회전축(23), 베어링이 내설된 하우징(24), 지지블럭(25) 및 체결고정부(26)를 구비하고, 후방 가이드부는 후방롤러(22), 회전축(23), 베어링이 내설된 하우징(24), 지지블럭(25) 및 체결고정부(26)를 구비한다.
전방롤러(21)는 원통형상의 롤러로서 드럼부(30)의 전방부와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양단부에 돌출부(21a)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후방롤러(22)는 원통형상의 롤러로서 드럼부(30)의 후방부와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축(23)은, 환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롤러(21) 및 후방롤러(22)에 끼워맞춤되어 이들을 회전가능하게 한다. 베어링이 내설된 하우징(24)은 회전축(23)이 회전가능하도록 롤러베어링을 개재해서 회전축(23)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블럭(25)은 입방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4)을 지지하게 된다.
체결고정부(26)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고정수단으로서, 지지블럭(25)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프레임(10)의 가이드부 지지대(13)에 체결고정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드럼부(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세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의 전단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B-B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드럼부(30)는 1단 드 럼(31), 2단 드럼(32), 3단 드럼(33), 유입부(34), 회동축(35), 동력전달부(36) 및 배출부(37)를 구비한다.
1단 드럼(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드럼으로서, 드럼부(30)의 최내측 중심부에 설치되며 혼합슬러지와 열풍이 유입된다. 1단 드럼(31)의 내주면에는 드럼부(3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안내편(31b)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드럼지지대(31d)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31b)은 직경을 기준해서 드럼부(30)의 회전방향으로 15°의 경사각(α1)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임의의 직경을 기준으로 22.5°의 이격각(α2)씩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1단 드럼(31)의 내주면에 16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2단 드럼(32)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드럼으로서, 1단 드럼(31)의 전단부와 연통설치되며 1단 드럼(31)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2단 드럼(32)은 전면의 중앙부에 슬러지의 배출유동을 유도하도록 돌출형성된 안내가이드(32a)가 형성되어 있다.
2단 드럼(32)의 내주면에는 드럼부(3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 안내편(32b)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32b)은 일단부가 직경을 기준해서 드럼부(30)의 회전방향으로 75°의 절곡각(β1)으로 절곡형성되고, 임의의 직경을 기준으로 18°의 이격각(β2)씩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2단 드럼(32)의 내주면에 20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2단 드럼(32)의 내주면과 1단 드럼(31)의 외주면 사이에는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드럼지지대(32d)가 설치되어 있다.
3단 드럼(3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드럼으로서, 2단 드럼(32)의 후단부와 연통설치되며 2단 드럼(32)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3단 드럼(33)은 전방 및 후방의 외주면에 링베어링(33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3단 드럼(33)의 내주면에는 드럼부(3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 안내편(33b)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33b)은 일단부가 직경을 기준해서 드럼부(30)의 회전방향으로 75°의 절곡각(γ1)으로 절곡형성되고, 임의의 직경을 기준으로 18°의 이격각(γ2)씩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3단 드럼(33)의 내주면에 20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3단 드럼(33)의 내주면과 2단 드럼(32)의 외주면 사이에는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드럼지지대(33d)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단 드럼(33)은 전방 내부에 복수의 스크레이퍼(scraper; 33c)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레이퍼(33c)는 일단부가 드럼부(3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안내편(33b)은 일단부가 직경을 기준해서 드럼부(30)의 회전방향으로 30°의 절곡각(θ1)으로 1차 절곡형성되고, 45°의 절곡각(θ2)으로 2차 절곡형성되고, 임의의 직경을 기준으로 90°씩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3단 드럼(33)의 내주면에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유입부(34)는 1단 드럼(31)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열풍구(50)가 끼워맞춤되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축(35)은, 3단 드 럼(33)의 전단부 중앙부에 설치된다. 동력전달부(36)는 스프라켓, 풀리 등과 같은 동력전달요소로서, 회동축(35)의 외주부에 키이를 개재해서 고정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36)의 외주부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치차부(36a)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지지플레이트(36b)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부(37)는 3단 드럼(33)의 전단에 설치된 관형상의 부재로서, 건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부(30)는 1단 드럼(31), 2단 드럼(32) 및 3단 드럼(33)에 의해 내부에 슬러지가 유동되는 3개의 패스가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구동부(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와 구동부의 동력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구동부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부(40)는 드럼부(30)의 전방 일측부에 설치되어, 모터(41), 동력변환부(42), 동력전달부(43), 구동축(44) 및 전달수단(45)을 구비한다.
모터(41)는 동력원인 구동모터로서, 서보모터 등과 같이 속도제어가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변환부(42)는 감속기나 변속기 등의 변환수단으로 이루어져 모터(41)의 구동력을 증감시키게 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43)는 스프라켓, 풀리 등과 같은 동력전달요소로서, 외주면에 치차부(43a)가 형성되고, 구동축(44)의 외주부에 키 이(44a)를 개재해서 고정결합되는 키이홈(43b)이 내주부의 일방에 형성된다. 구동축(44)은 모터(41)의 구동력을 동력변환부(42)를 개재해서 전달받아 회동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수단(45)은 벨트, 체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으로서, 구동부(40)의 동력전달부(36)와 구동부(40)의 동력전달부(43)를 연결하여 모터(41)의 구동력에 의해 드럼부(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전달수단(45)의 외측에는 프레임(10)에 지지대(47)를 개재해서 설치되어 전달수단을 보호하는 커버부가 설치되고 이 커버부는 상부 커버(46a)와 하부 커버(46b)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열풍구(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풍구(50)는 원통형상의 배관부재로 이루어져 드럼부(30)의 후방에 연통설치되어 히터, 버너 등의 가열수단(도시안함)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드럼부(3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특히 이러한 열풍구(50)는 드럼부(30)의 유입부(34)에 끼워맞춤되어 드럼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투입부(60)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입부(60)는 사각통 형상의 배관부재로서, 열풍구(50)의 상부에 연통설치되며, 유기성 슬러지와 건조 슬러지가 혼합된 혼합슬러지가 열풍구(50)로 투입되어 열풍과 함께 드럼부(30)의 내부로 유입된다.
특히 이러한 투입부(60)는 혼합슬러지가 드럼부(30)의 내부로 유입이 용이하도록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노즐부(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노즐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즐부(70)는 열풍구(5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1 노즐부(70a)와 제 2 노즐부(70b)로 이루어지며, 제 1 노즐부(70a)는 플랜지(71a), 배관(72a), 니플(73a), 소켓(74a) 및 분사노즐(75a)를 구비한다.
플랜지(71a)는 급수관(도시안함)에 결합되는 관이음부재이다. 배관(72a)은 플랜지(71a)와 결합되며 열풍구(50)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파이프 형대의 급수관이다. 니플(73a)은 배관(72a)의 단부에 결합되며 급수의 방향을 변경하는 관이음부재로서, 드럼부(30)의 외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소켓(74a)은 니플(73a)의 단부에 형성되며 노즐을 결합하기 위한 보조재이다. 분사노즐(75a)은 소켓(74a)에 결합되어 급수관에서 공급된 물을 노즐을 개재해서 분사시킨다.
제 2 노즐부(70b)는 제 1 노즐부(70a)와 마찬가지로 플랜지(71b), 배관(72b), 니플(73b), 소켓(74b) 및 분사노즐(75b)를 구비한다. 다만, 니플(73a)은 배관(72b)의 단부에 결합되며 급수의 방향을 변경하는 관이음부재로서, 드럼부(30)의 내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제 1 노즐부(70a)는 드럼부(30)의 외향으로 물을 분사하며, 제 2 노즐부(70b)는 드럼부(30)의 내향으로 물을 분사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슬러지 유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슬러 지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또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3 패스 드럼 건조기는 3개의 드럼으로 구성되며, 1단 드럼(31), 2단 드럼(32), 3단 드럼(33)으로 구성된 3개의 패스가 형성되어 있다.
우선, 약 75∼85% 함수율의 유기성 슬러지와 약 10% 함수율의 건조 슬러지를 혼합하여 25∼35% 함수율의 혼합슬러지을 약 450℃의 열원을 가진 열풍을 1단 드럼(31)으로 투입하여 열원을 직접 접촉시켜 1차적으로 건조 슬러지 표면 및 유동성을 높여주며, 2단 드럼(32)에서 건조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며, 3단 드럼(33)에서 약 10% 함수율의 슬러지로 건조하여 팰릿(pellet)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3 패스 드럼 건조기는 출구측에 약 93∼97℃의 습공기가 발생 하며, 대략 20분 정도의 건조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대부분의 건조슬러지 입자가 2∼8mm 이하의 입자상태로 드럼부의 내부에 대류 공기을 통하여 건조되어 진다.
또한, 3개의 드럼(31, 32, 33)에는 회전하면서 슬러지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안내편(31b, 32b, 33b)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편은 경사지게 설지되어 슬러지의 유동성을 높이고 기존 드럼 건조기에 비해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3 패스 드럼 건조기는 열용량계수가 하나의 드럼에 비해서 3배가 커서 건조효율이 향상되며, 3개의 드럼(31, 32, 33)이 수평으로 설치되므로 제작성 및 유지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투입되는 혼합 슬러지의 투입량과 배출되는 건조 슬러지의 함수율 및 출구온도를 확인하여 드럼부(30)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이들을 적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드럼부(30)의 작동시 운전온도를 입구측에서 400∼450℃로 하며 출구측에서 93∼97℃로 관리를 하며, 운전온도가 입구측에서 450℃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 1 노즐부(70a)를 가동하여 공정수를 투입하며 냉각시키고, 출구측 온도가 97℃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 2 노즐부(70b)를 가동하여 공정수를 투입하여 냉각하므로, 적정한 운전온도를 조절하여 유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전방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후방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세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의 전단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B-B에 의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와 구동부의 동력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드럼부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구동부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노즐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 패스 드럼 건조기의 슬러지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20: 가이드부
30: 드럼부 40: 구동부
50: 열풍구 60: 투입부
70: 노즐부 80: 열원부

Claims (7)

  1.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슬러지가 유동되는 3개의 패스가 형성된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전방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부의 후방에 연통설치되어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패스 드럼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패스 드럼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드럼부의 외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 1 노즐부와, 상기 드럼부의 내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 2 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패스 드럼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중심부에 설치된 1단 드럼과, 상기 1단 드럼의 전단부와 연통설치되며 1단 드럼의 외곽을 둘러싸는 2단 드럼과, 상기 2단 드럼의 후단부와 연통설치되며 2단 드럼의 외곽을 둘러싸는 3단 드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패스 드럼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상기 각 드럼의 내주면에 복수의 안내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패스 드럼 건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드럼은 전면의 중앙부에 슬러지의 배출유동을 유도하도록 돌출형성된 안내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패스 드럼 건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단 드럼은 전방 내부에 복수의 스크레이퍼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패스 드럼 건조기.
KR1020070140431A 2007-12-28 2007-12-28 3 패스 드럼 건조기 KR10092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431A KR100928543B1 (ko) 2007-12-28 2007-12-28 3 패스 드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431A KR100928543B1 (ko) 2007-12-28 2007-12-28 3 패스 드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343A true KR20090072343A (ko) 2009-07-02
KR100928543B1 KR100928543B1 (ko) 2009-11-26

Family

ID=4132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431A KR100928543B1 (ko) 2007-12-28 2007-12-28 3 패스 드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5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47B1 (ko) * 2009-08-13 2010-01-0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
KR102291543B1 (ko) * 2021-05-18 2021-08-20 (주)대성앤텍 양방향 슬러지 건조장치
KR102397247B1 (ko) * 2022-03-02 2022-05-12 박연주 요소수 대체용 탄산암모늄 파우더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002A (ko) 2016-11-28 2018-06-07 태인공업(주) 탈수 효율이 높은 슬러지 탈수장치
KR102013032B1 (ko) 2017-11-01 2019-08-21 임대택 하폐수 처리설비용 슬러지 저감장치
KR101854877B1 (ko) * 2017-12-04 2018-05-04 (주)에이알케이 원심 탈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97B1 (ko) * 2000-03-30 2003-02-19 전광수 건조장치
JP4331647B2 (ja) * 2004-05-26 2009-09-1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ごみ乾燥機及びごみ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47B1 (ko) * 2009-08-13 2010-01-0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
KR102291543B1 (ko) * 2021-05-18 2021-08-20 (주)대성앤텍 양방향 슬러지 건조장치
KR102397247B1 (ko) * 2022-03-02 2022-05-12 박연주 요소수 대체용 탄산암모늄 파우더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543B1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543B1 (ko) 3 패스 드럼 건조기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CN204079889U (zh) 一种有机固体废物处理的热解设备
KR100852024B1 (ko)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KR101916958B1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CN201762279U (zh) 一种高效外热多段连续绞龙式污泥炭化炉
JP5877669B2 (ja) 汚泥などの乾燥装置
KR101046492B1 (ko) 오니 건조 장치
KR100787948B1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를 위한 외열식 로타리 탄화로 장치
KR101181938B1 (ko) 스파징패들 건조기 및 리본패들 건조기를 이용한 슬러지의 2단 건조 및 순환방법
KR200380974Y1 (ko)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KR20120051357A (ko)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733234B1 (ko) 건조효율이 개선된 폐열을 활용한 음식물 건조장치
KR101722218B1 (ko) 고형 폐기물 처리용 이동식 열분해 장치
KR200280671Y1 (ko)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장치
KR100520347B1 (ko)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KR200226144Y1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100500388B1 (ko)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20150134712A (ko) 직접 가열식 드럼형 슬러지 건조장치
KR20000054505A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100407226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를 위한 건조로
KR100542489B1 (ko) 슬러지의 다단 밀폐식 탄화방법
KR200324158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0360960Y1 (ko)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0498123B1 (ko) 나선 축류식 열풍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