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301A -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301A
KR20090071301A KR1020080012162A KR20080012162A KR20090071301A KR 20090071301 A KR20090071301 A KR 20090071301A KR 1020080012162 A KR1020080012162 A KR 1020080012162A KR 20080012162 A KR20080012162 A KR 20080012162A KR 20090071301 A KR20090071301 A KR 2009007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operative
feedback information
serving base
mi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532B1 (ko
Inventor
임동국
임빈철
김수남
김재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8/0077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82179A2/en
Priority to US12/739,351 priority patent/US8457008B2/en
Publication of KR2009007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셀 환경에서 단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말과 기지국이 협력적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정보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말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위한 피드백 채널을 할당받고, 협력적 MIMO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 각각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서빙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를 백본망을 통해 협력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지원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피드백 정보를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각 기지국들에 직접 전달하거나, 서빙 기지국서 직접 협력 기지국으로 전달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지연을 줄일 수 있다.
협력적 MIMO, 피드백 채널, 피드백 정보, 백본망

Description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llaborative MIMO}
본 발명은 다중 셀 환경에서 단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말과 기지국이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정보의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일반적인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 및 협력적 다중 입출력(MIMO) 시스템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최근 광대역 무선이동통신 기술로서 MIMO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MIMO 시스템은 기존의 단일 입출력(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 방식의 통신기술에서 실현이 어려웠던 스펙트럼 효율을 안테나 수에 비례하여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MIMO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고속의 통신을 이루려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말한다. MIMO 기술은 동일 데이터 전송 여부에 따라 공간 다중화 기법과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기법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여러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방법이다. 즉, 송신측에서는 각 전송 안테나를 통 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적절한 간섭제거 및 신호처리를 통하여 송신 데이터를 구분함으로써, 전송률을 송신 안테나 수만큼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기법은 같은 데이터를 다중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여 송신 다이버시티를 얻는 방법이다. 즉,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은 공간-시간 채널 코딩(Space Time Channel Coding) 기법의 일종이다.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은 다중의 송신 안테나에서 같은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송신 다이버시티 이득(성능이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만,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은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아니며 다이버시티 이득에 의한 전송의 신뢰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또한, MIMO 기술은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의 채널 정보의 귀환 여부에 따라 개루프 방식(예를 들어, BLAST, STTC 방식 등) 및 폐루프 방식(예를 들어, TxAA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협력적 MIMO는 다중 셀 환경에서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협력적 MIMO 시스템을 이용하면, 단말은 다중 기지국(Multi-cell base-station)으로부터 공동으로 데이터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지국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주파수 자원(Same Radio Frequency Resource)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MS1, MS2, …, MSK)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에 대한 상태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간 분할 다중접속(SDM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협력적 MIMO에서 서빙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들은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통해 스케줄러(Scheduler)에 연결된다. 스케줄러는 백본망을 통하여 각 기지국(BS1, BS2, …, BSM)이 측정한 각각의 단말(MS1, MS2, …, MSK) 및 협력 기지국 간의 채널 상태에 관한 채널 정보를 피드백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는 서빙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협력적 MIMO 동작을 위한 정보를 스케줄링한다. 즉, 스케줄러에서 각 기지국으로 협력적 MIMO 동작에 대한 지시를 직접 하게 된다.
일반적인 기술에서, 협력적 MIMO를 이용하는 각 단말은 협력적 MIMO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의 서빙 기지국에만 보고하며 협력 기지국에는 보고하지 않는다. 서빙 기지국은 백본망을 통해 피드백 정보를 모두 스케줄러에 전송하고, 스케줄러는 백본망을 통해 협력적 MIMO를 위한 정보를 협력적 기지국들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협력적 MIMO 동작으로 인해, 협력 기지국이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까지 시간 지연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송지연으로 인해, 협력 기지국에 전달된 피드백 정보가 협력적 MIMO 동작에 반영되기 어려운 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격한 채널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셀 환경에서 단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셀 환경에서 각 기지국 및 단말이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중 셀 환경에서 단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말과 기지국이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정보의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위한 피드백 채널을 할당받는 단계와 협력적 MIMO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 각각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의 백본망을 통해 직접 수신한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지원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단말에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 각각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정보는 채널상태지시자,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 및 채널품질 지시자를 포함하고, 사용자 식별자, 기지국 식별자, 셀 식별자 및 협력적 MIMO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정보는 신호 전력 지시자 및 간섭 상태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기준값으로 정하고, 기준값과 다른 피드백 정보들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오프셋값 및 기준값을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위한 피드백 채널을 각각 할당받는 단계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고,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지원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협력적 MIMO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협력적 MIMO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 각각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피드백 채널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공통된 채널일 수 있다. 이때, 피드백 정보는 공통된 채널 상에서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마다 다른 코드셋 또는 도약 패턴을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채널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다른 채널로서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단말에 협력적 MIMO를 위한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협력적 MIMO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백본망을 통해 협력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 협력 기지국과 함께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백본망을 통해 협력 기지국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서 단말에 협력적 MIMO를 위한 전용 피드백 채널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협력적 MIMO의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빙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서빙 기지국 전용의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협력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협력 기지국 전용의 피드백 채널을 통해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단말에 협력적 MIMO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협력적 MIMO 동작시 단말이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서빙 기지국에서 피드백 정보를 직접 협력 기지국으로 전달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지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협력적 MIMO 동작에서 전송 지연으로 인해 주기적으로 보고되는 피드백 정보의 오차 및 오류를 줄임으로써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단말에서 전송한 피드백 정보는 컨트롤러나 스케줄러를 거치지 않고 바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전달된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서 피드백 정보를 바로 이용함으로써, 협력적 MIMO 동작 중 통신 채널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널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중 셀 환경에서 단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말과 기지국이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정보의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 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S(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협력적 MIMO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를 피드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MS1은 BS1의 셀 영역에 속한 단말을 나타내고, MS2는 BS2의 셀 영역에 포함된 단말을 나타내며, MS3은 BS3의 셀 영역에 속한 단말을 나타낸다. 서빙 기지국은 각 셀 영역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 기지국을 나타내며, 협력 기지국은 각 셀 영역의 인근 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나타낸다. 또한, 특정 단말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은 다른 단말에 대해서는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 기지국일 수 있다.
각 단말들은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협력적 MIMO 동작을 하기 위해 필요한 피드백 정보들을 각 서빙 기지국에 보고한다. 이렇게 각각의 서빙 기지국에 보고된 피드백 정보들은 백본망을 통하여 스케줄러에 보고된다. 스케줄러는 수신한 피드백 정보들을 기반으로 협력적 MIMO 동작 수행을 각 서빙 기지국에 대한 협력 기지국에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협력 기지국들이 백본망을 통해 스케줄러에 연결되어 있다. 스케줄러는 백본망을 통해 서빙 기지국들이 측정한 각각의 단말(MS1, MS2 및 MS3)에 대한 정보 및 각 기지국 간의 채널정보를 피드백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러는 협력적 MIMO를 위한 피드백 정보를 각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각 단말들(MS2 및 MS3)은 협력적 MIMO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협력적 MIMO의 피드백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말들(MS1, MS2, ..., MSN)은 각각의 서빙 기지국(BS1, BS2, ..., BSN)으로 피드백 정보 등을 전송한다. 또한, 각각의 서빙 기지국들은 백본망을 통해 스케줄러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피드백 정보들은 다음과 같다. 피드백 정보들은 채널 상태 지시자(CSI: Channel State Indicator),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Precoding Metrix Indicator) 및 수신 신호 강도 지시자(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이 있다. 이때, CSI, CQI 및 PMI는 기본적인 정보로서 반드시 전송되어야 한다. 다만, RSSI는 수신단에서 측정한 전파 신호의 세기로서, 채널 환경에 따라 전송할 수 있는 피드백 정보이다.
스케줄러는 백본망을 통해 수신한 피드백 정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들과 각 단말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스케줄러는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BS1, BS2,..., BSN)에 백본망을 통하여 스케줄링 결정(scheduling decision)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백본망을 통하여 각 기지국에 전달된 스케줄링 결정 메시지에 의해서 각각의 협력 기지국(BSi)은 서비스하고 있는 단말들의 채널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즉, 각 기지국은 피드백된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프리코딩 매트릭스(Wi)를 추정해냄으로써, 공간 분할 다중접속(SDMA)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이동단말(MS: Mobile Station)은 서빙 기지국(S_BS: Serving Base Station)으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때, 인근 기지국은 데이터의 전송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MS에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근 기지국을 협력 기지국(C_BS: Collaborative Base Station)이라고 부른다. 협력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의 인근에 위치한 기지국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 따라서, 협력 기지국들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MS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 동작을 위한 피드백 채널을 할당받을 수 있다(S301).
MS는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과 협력적 MIMO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MS는 협력적 MIMO의 개시를 알리는 협력적 MIMO 지시자(Co_MIMO_Indicator)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2).
S302 단계에서 협력적 MIMO 지시자는 협력적 MIMO 동작의 시작, 변경 또는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협력적 MIMO 지시자는 협력적 MIMO 동작의 개시 또는 변경시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협력적 MIMO 동작은 대체로 셀의 가장자리에서 수행되므로, 협력적 MIMO 동작 중에 MS가 다른 기지국의 영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MS는 협력적 MIMO 지시자에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MS로부터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은 협력 기지국으로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전달하여, 협력 기지국이 MS에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S303).
MS는 서빙 기지국과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 동작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S304, S305).
MS는 서빙 기지국과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현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MS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의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S306).
S306 단계에서, 협력적 MIMO를 위해 전달되는 피드백 정보로는 기본적으로 채널품질정보(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채널상태 지시자(CSI) 등이 있다. 채널품질정보는 현재 MS와 기지국 간에 연결된 통신 채널에 대한 품질 정보를 나타낸다.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는 각 통신 스트림에서 최대 CQI 값을 나타내고, 채널상태 지시자는 MS와 기지국 간에 채널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협력적 MIMO 지시자(Co_MIMO_Indicator)는 협력적 MIMO 동작의 시작, 종료 및 협력적 MIMO 서비스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단말이 서빙 기지국으로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전송함으로써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바람직하게 단말은 피드백 정보에 사용자 식별자(User_ID), 기지국 식별자(BS_ID) 및 셀 영역 식별자(Cell_ID)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선택적으로 채널 상황에 따라 신호 전력 지시자(SPI: Signal Power Indicator) 및 간섭상태 지시자(ISI: Interference State Indicator)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전력 지시자(SPI)는 협력적 MIMO 동작시 각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간섭 상태 지시자(ISI)는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협력 기지국을 선정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의 간섭 상태를 나타낸다.
서빙 기지국은 MS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정보를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통해 협력 기지국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S307).
협력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은 MS로 데이터를 전송하고(S308), 협력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적 MIMO 동작 을 수행할 수 있다(S309).
협력적 MIMO 동작 중에 MS가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협력적 MIMO를 지원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MS는 협력적 MIMO가 종료됨을 알리기 위해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310).
또한, 서빙 기지국은 협력적 MIMO 동작이 종료됨을 협력 기지국에 알리기 위해 협력적 MIMO 지시자를 협력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S311).
S310 단계 및 S311 단계는 선택적인 단계로서 MS 및 서빙 기지국이 수행하지 않더라도 협력적 MIMO 동작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단말이 협력적 MIMO가 종료됨을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신속히 통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이동단말(MS)는 서빙 기지국(S_BS)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또한, 인근 기지국은 데이터의 전송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MS에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근 기지국을 협력 기지국(C_BS)이라고 부른다.
도 4을 참조하면, MS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S_BS) 및 인근 기지국(C_BS)으로부터 협력적 MIMO 동작을 위한 피드백 채널을 각각 할당받을 수 있다(S401, S40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협력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의 인근에 위치한 기 지국들로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이 각각의 피드백 채널을 단말에 할당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예들 들어, 모든 기지국들은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에서 공통된 피드백 채널을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각 기지국들은 시공간 또는 주파수 상에서 서로 다른 피드백 채널을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MS는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과 협력적 MIMO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MS는 협력적 MIMO의 개시를 알리는 협력적 MIMO 지시자(Co_MIMO_Indicator)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협력적 MIMO 동작의 시작을 직접 지시할 수 있다(S403, S404).
S403 및 S404 단계에서 협력적 MIMO 지시자는 협력적 MIMO 동작의 시작 또는 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협력적 MIMO 동작은 대체로 셀의 가장자리에서 수행되므로, 협력적 MIMO 동작 중에 MS가 다른 기지국의 영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MS는 협력적 MIMO 지시자에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MS는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적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05, S406).
S405 및 S406 단계에서 MS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각각 할당된 채널에 대한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S는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에 서빙 기지국에 대한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S_F)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MS는 획득한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S_F)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407).
또한, MS는 협력 기지국과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협력 기지국에 대한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C_F). 따라서, MS는 획득한 협력 기지국의 채널상태에 관한 정보 및 피드백 정보(C_F)를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408).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MS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MS에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S409, S410).
협력적 MIMO 동작 중에 MS가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협력적 MIMO를 지원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MS는 협력적 MIMO가 종료됨을 알리기 위해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S411, S412).
S411 단계 및 S412 단계는 선택적인 단계로서 MS 및 서빙 기지국이 수행하지 않더라도 협력적 MIMO 동작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단말이 협력적 MIMO가 종료됨을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신속히 통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단말이 협력적 MIMO를 위하여 서빙 기지국과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MS는 서빙 기지국(S_BS)의 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MS 는 협력적 MIMO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임을 가정한다. 또한, MS는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근 기지국을 협력 기지국이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MS는 현재 서빙 기지국(S_BS) 및 협력 기지국(C_BS)으로부터 협력적 MIMO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받고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위한 피드백 채널을 MS에 할당할 수 있다.
MS는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협력적 MIMO의 시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적 MIMO 지시자(CO_MIMO_Indicator)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MS로부터 전달받은 협력적 MIMO 지시자를 백본망을 통해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MS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서빙 기지국의 채널에 대한 정보 및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위한 피드백 정보(S_F: Serving Feedback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MS는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MS는 협력 기지국의 채널에 대한 정보 및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위한 피드백 정보(C_F: Collravorative Feedback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MS는 획득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의 피드백 정보(S_F 및 C_F) 중 하나 이상을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MS로부터 수신한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들을 백본망을 통해 협력 기지국으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으로 부터 백본망을 통해 직접 전송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MS에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S는 협력적 MIMO 동작의 시작, 변경 또는 종료를 알리기 위해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MS로부터 수신한 협력적 MIMO 지시자를 백본망을 통해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은 협력적 MIMO 지시자를 통해 협력적 MIMO 통신의 시작, 변경 또는 종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서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각각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단말(MS)은 서빙 기지국(S_BS)의 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단말은 협력적 MIMO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임을 가정한다. 또한, 단말은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근 기지국을 협력 기지국이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MS)은 현재 서빙 기지국(S_BS) 및 협력 기지국(C_BS)으로부터 협력적 MIMO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받고 있다. 이때, 서빙 기지국은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위한 전용 피드백 채널을 MS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협력 기지국은 협력 기지국에서 제공하는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위한 전용 피드백 채널을 MS에 할당할 수 있다.
MS에 할당되는 피드백 채널은 모든 기지국에 대하여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에서 공통된 피드백 채널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기지국은 동일한 채널을 통해 각 단말과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기지국은 자신에 특정한 피드백 채널은 MS에 할당할 수 있다. 즉, 각 기지국별로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에서 구분된 피드백 채널을 할당할 수도 있다.
MS는 협력적 MIMO의 개시를 알리기 위해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 각각에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MS로부터 전달된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수신하면 각각 협력적 MIMO를 수행할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MS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서빙 기지국의 채널에 대한 정보 및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위한 피드백 정보(S_F)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MS는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MS는 협력 기지국의 채널에 대한 정보 및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위한 피드백 정보(C_F)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협력적 MIMO 동작시에 측정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의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S_F, C_F)를 직접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 각각에 피드백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S_F)를 직접 전송할 수 있고, 협력 기지국에서 할당된 피드백 채널을 통해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C_S)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직접 보고하므로, 스케줄러가 피드백 정보에 대한 스케줄링을 하지 않아도 된다. 즉, 피드백 정보의 전달지연으로 발생하는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세로축은 시간의 영역(t: time)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주파수의 영역(f: frequency)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는 모든 기지국들이 시간상에서 공통된 피드백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7(b)는 모든 기지국들이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공통된 피드백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c)는 모든 기지국들이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상에서 공통된 피드백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공통 피드백 채널들이 공간상에서 구분되는 경우를 나타내지는 아니하였으나, 공간적 요소를 이용하여 공통 피드백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기지국들이 공통된 피드백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기지국들에 대한 피드백 정보들을 구분할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은 각각의 피드백 정보를 각 기지국 별로 다른 코드셋(예를 들어, 직교 코드) 또는 도약 패턴 등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마다 특정된 코드셋 도는 도약 패턴 등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단말이 공통 피드백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더라도 채널에 의한 동기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단말은 피드백 정보를 협력 기지국에 보고하기 위해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에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협력 기지국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직교 코드와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직교 코드와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자신에 향하는 피드백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각 기지국들은 자신의 피드백 정보를 특정 코드셋(직교코드)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통 피드백 채널 내에서도 시공간 분할을 하여 기지국마다 할당된 피드백 채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세로축은 시간의 영역(t: time)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주파수의 영역(f: frequency)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a)는 각 기지국에서 할당하는 피드백 채널이 시간영역에서 동일하나 주파수 영역에서 구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b)는 각 기지국이 할당하는 피드백 채널이 주파수 영역으로는 동일하지만 시간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c)는 도 8(b)의 변형으로, 각 기지국이 할당하는 피드백 채널이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구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8(d)는 도 8(a)의 변형으로서, 각 기지국이 할당하는 피드백 채널이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구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8(e) 내지 도 8(i)는 각 기지국이 각 단말에 할당하는 피드백 채널이 특정 시간 및 특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할당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나타낸다.
도 8의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도 7의 방법처럼 피 드백 채널 및 피드백 정보가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피드백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추가적인 코드셋 또는 도약 패턴이 필요하지 않다.
도 8에서 각 기지국 별로 각 단말에 특정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도 8에서 예시한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이용하여 특정 피드백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의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모두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단말(MS)은 서빙 기지국(S_BS)의 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단말은 협력적 MIMO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MIMO MS)임을 가정한다. 또한, 단말은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근 기지국을 협력 기지국(C_BS)이라 한다. 협력적 MIM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컨트롤러(Controller)와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협력적 MIMO 동작시 단말에 제공되는 데이터(Data)를 각 기지국들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협력적 MIMO 동작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빙 기지국과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협력적 MIMO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달해야 한다.
협력적 MIMO를 위해 전달되는 피드백 정보로는 기본적으로 채널품질정보(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채널상태 지시자(CSI) 등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단말은 피드백 정보에 사용자 식별자(User_ID), 기지국 식별자(BS_ID), 셀 영역 식별자(Cell_ID), 신호 전력 지시자(SPI), 간섭상태 지시자(ISI) 및 협력 MIMO 지시자(Co_MIMO_Indicator)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메시지가 필요하다. 이때, 핸드오버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 간의 전송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power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다중 안테나를 가진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각각의 기지국과 단말 간에 형성된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MIMO 동작을 하기 위해 필요한 피드백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수집한 피드백 정보들을 서빙 기지국의 피드백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피드백 정보는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단말과 서빙 기지국 및 단말과 협력 기지국 간의 피드백 정보 모두를 서빙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피드백 정보를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협력적 MIMO 동작을 위해 필요한 피드백 정보는 그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 중 하나인 CQI의 경우 협력적 MIMO 동작을 위해서는 단말과 주 기지국 사이의 채널과 단말과 협력 기지국 사이의 채널에 대한 CQI가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단말이 CQI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의 채널에 대한 CQI를 모두 전송하는 방법과 오프셋(offset)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오프셋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협력적 MIMO 동작을 하는 단말이 측정한 CQI 중에서 하나의 CQI를 기준으로 하거나, 임의의 CQI 값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기준값으로 정한 CQI에 대해서 다른 CQI의 비율(ratio)이나 차이값(difference)을 오프셋으로 하여 하나의 CQI 값(또는, 기준값)과 오프셋 값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MS는 오프셋을 이용함으로써 전송되는 CQI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으며, 전송 오류에 대한 성능 열화를 줄일 수 있다.
프리코드(Precode)를 사용한 MIMO의 경우 단말이 기지국에 보고한 PMI 중에서 협력 기지국에 대한 PMI는 바로 주 기지국에서 협력 기지국으로 전달되어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협력 기지국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이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서 각각 할당된 피드백 채널을 이용하여 직접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도 9와 같다. 다만, 도 10에서는 협력 기지국에서도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피드백 채널을 단말에 할당한다. 이때, 각 기지국이 단말에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은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 해당 협력적 MIMO 동작의 개시를 알리기 위해,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협력적 MIMO 지시자는 협력적 MIMO 동작의 개시 시점뿐 아니라, 협력적 MIMO 동작이 변경되거나 종료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협력적 MIMO 동작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협력적 MIMO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서빙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피드백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피드백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은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피드백 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시에도 도 9 및 도 10의 피드백 방법을 통하여 핸드오버에 대한 메시지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 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협력적 MIMO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를 피드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협력적 MIMO의 피드백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단말이 협력적 MIMO를 위하여 서빙 기지국과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서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 각각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의 채널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모두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이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서 각각 할당된 피드백 채널을 이용하여 직접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6)

  1.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Multi Input Multi Output)를 위한 피드백 채널을 할당받는 단계;
    상기 협력적 MIMO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 각각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피드백 채널을 통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의 백본망을 통해 직접 수신한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지원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협력 기지국 각각에 대한 상기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채널상태지시자,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 및 채널품질 지시자를 포함하고,
    사용자 식별자, 기지국 식별자, 셀 식별자 및 협력적 MIMO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신호 전력 지시자 및 간섭 상태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기준값으로 정하고, 상기 기준값과 다른 피드백 정보들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오프셋값 및 상기 기준값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6.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위한 피드백 채널을 각각 할당받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상기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협력적 MIMO를 지원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적 MIMO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적 MIMO 지시자를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협력 기지국 각각에 대한 상기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채널은,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공통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공통된 채널 상에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협력기지국마다 다른 코드셋 또는 도약 패턴을 이용하여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채널은,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시간, 공간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다른 채널로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채널상태지시자,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 및 채널품질 지시자를 포함하고,
    사용자 식별자, 기지국 식별자, 셀 식별자 및 협력적 MIMO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신호 전력 지시자 및 간섭 상태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기준값으로 정하고, 상기 기준값과 다른 피드백 정보 들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오프셋값 및 상기 기준값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15. 단말에 협력적 MIMO를 위한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협력적 MIMO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백본망을 통해 협력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상기 협력 기지국과 함께 협력적 MIMO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피드백 채널을 통해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백본망을 통해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16.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에서 단말에 협력적 MIMO를 위한 전용 피드백 채널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협력적 MIMO의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 전용의 피드백 채널을 통해 상기 서빙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협력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협력 기지국 전용의 피드백 채널을 통해 상기 협력 기지국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협력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협력적 MIMO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KR1020080012162A 2007-12-26 2008-02-11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KR10138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7704 WO2009082179A2 (en) 2007-12-26 2008-12-26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llaborative mimo
US12/739,351 US8457008B2 (en) 2007-12-26 2008-12-28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llaborative MI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9907P 2007-12-26 2007-12-26
US61/016,599 200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01A true KR20090071301A (ko) 2009-07-01
KR101387532B1 KR101387532B1 (ko) 2014-04-21

Family

ID=4135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162A KR101387532B1 (ko) 2007-12-26 2008-02-11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57008B2 (ko)
KR (1) KR101387532B1 (ko)
WO (1) WO2009082179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764A1 (en) * 2009-12-18 2011-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multi-cell common operation
WO2013051886A3 (en) * 2011-10-07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042821B2 (en) 2011-01-06 2015-05-26 Thomson Licensing System for Transmission of signals in a domestic environment
KR20150113475A (ko)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셀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45B1 (ko) * 2007-12-31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동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된 신호를송신하는 방법
KR100991793B1 (ko) 2007-12-31 2010-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간 간섭 감소 방법
CN101645729A (zh) * 2008-08-08 2010-02-10 夏普株式会社 下行蜂窝系统的多天线多基站合作方法及基站
EP2346272A4 (en) * 2008-10-28 2013-12-11 Fujitsu Ltd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USING COOPERATIVE HARQ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505689B1 (ko) * 2009-01-08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에 기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US8873505B2 (en) * 2009-03-12 2014-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ponent carrier-specific reconfiguration
EP2413658B1 (en) * 2009-03-25 2015-03-11 Alcatel Lucent Method and equipment for controlling co-channel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319398B2 (ja) * 2009-05-27 2013-10-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568291B1 (ko) * 2009-07-10 2015-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기지국, 및 단말기의 동작방법
CN101989867B (zh) * 2009-07-30 201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协作通信的方法和系统、基站及移动终端装置
KR20110021633A (ko) * 2009-08-25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다중 안테나 전송 모드 수행 방법
IN2012DN02386A (ko) * 2009-09-24 2015-08-21 Research In Motion Ltd
US8396505B2 (en) * 2009-10-02 2013-03-12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side device, small cell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8594688B2 (en) * 2009-12-09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ate prediction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KR101624148B1 (ko) * 2009-12-30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10255483A1 (en) * 2010-04-16 2011-10-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ignaling of Precoding Granularity for LTE and LTE-A
EP2612448B1 (en) * 2010-09-03 2016-08-24 Fujitsu Limited Channel state feedback for multi-cell mimo
US9713126B2 (en) * 2011-01-10 2017-07-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ynamic transmission set indication
KR101901434B1 (ko) 2011-09-23 2018-09-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협력 통신 시스템을 위한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5521B1 (en) 2000-08-17 2003-12-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diversity
US6785513B1 (en) * 2001-04-05 2004-08-31 Cowave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clustered wireless networks
US7305459B2 (en) 2003-04-28 2007-12-04 Firetide, Inc. Wireless service point networks
KR20050121624A (ko) * 2004-06-22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가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셀룰라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 오프 시스템 및 방법
US8116262B2 (en) * 2004-06-22 2012-02-14 Rockstar Bidco Lp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7864659B2 (en) * 2004-08-02 2011-01-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Quality control scheme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US8885744B2 (en) * 2006-11-10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63997A1 (en) * 2007-09-07 2011-03-17 Laurence Gras Interworking between wimax and 3gpp networks
JP5340298B2 (ja) * 2007-11-02 2013-11-13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隣接bs間でmsを介して双方向通信データを送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764A1 (en) * 2009-12-18 2011-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multi-cell common operation
US8504050B2 (en) 2009-12-18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multi-cell common operation
US9042821B2 (en) 2011-01-06 2015-05-26 Thomson Licensing System for Transmission of signals in a domestic environment
WO2013051886A3 (en) * 2011-10-07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390352B2 (en) 2011-10-07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13475A (ko)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셀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57008B2 (en) 2013-06-04
KR101387532B1 (ko) 2014-04-21
WO2009082179A2 (en) 2009-07-02
WO2009082179A3 (en) 2009-08-13
US20100309996A1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532B1 (ko)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JP7359808B2 (ja) セルラ時分割複信(tdd)ミリ波システムのための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srs)設計
CN110521135B (zh) 用于通信波束恢复的系统和方法
KR102347361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다중 연결 사용자 장치
US87928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ell for executing comp in multi-cell environment
CN110831198B (zh) 带宽资源切换方法、指示带宽资源切换方法、终端和网络设备
US96212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signal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237562B2 (en) Method for downlink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multi-antenna multi-carrier multi-cell environment
EP2168401B1 (en) Providing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EP2557699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4662813A (zh) 用于分布式天线系统的干扰测量方法和装置
KR20110101033A (ko)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10064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JP2013516799A (ja) ダウンリンクマルチアンテナマルチ基地局干渉協調方法と基地局
KR201000463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공조 빔 형성 장치 및 방법
CN109891922B (zh) 在蜂窝无线系统中利用定向天线进行同步和链路获取的系统和方法
US1023695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radio network
KR20120140667A (ko)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단말의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97667B1 (ko)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
US20120218937A1 (en) User Equipment Feedback In Support of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Operations
US86497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cooperation area
KR20100123587A (ko) CoMP 피드백 정보의 전송 방법
CN108282878B (zh) 一种指示波束标识位宽的方法、设备及系统
Ni et al. Decentralized user-centric scheduling with low rate feedback for mobile small cells
CN113632385B (zh) 下行链路参考信号的波束成形接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