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945A -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한바이오 센서 - Google Patents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한바이오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945A
KR20090066945A KR1020070134690A KR20070134690A KR20090066945A KR 20090066945 A KR20090066945 A KR 20090066945A KR 1020070134690 A KR1020070134690 A KR 1020070134690A KR 20070134690 A KR20070134690 A KR 20070134690A KR 20090066945 A KR20090066945 A KR 20090066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re
gold
zno
zinc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민규
김영도
유은태
전석민
Original Assignee
유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민규 filed Critical 유민규
Priority to KR102007013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945A/ko
Publication of KR2009006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51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inorganic
    • G01N33/553Metal or metal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나노 입자를 코어로 하고 금이나 은을 쉘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나노 입자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으로 코어 물질의 상을 변화시켜 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존의 반도체 나노 입자보다 높은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고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쉘에 의한 생체 친화성으로 인해 바이오 센서로의 응용을 할 수 있다.
반도체 나노입자, 상변태, 코어-쉘 구조, 바이오 센서, 금, 은

Description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 { ZnO-Au core-shell nanocrystals for biosensors }
본 발명은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 반도체 나노 입자 표면에 금이나 은을 이용하여 쉘을 형성하여 제조된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바이오 센서를 제작함으로써 나노 입자 주위의 쉘이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으로 더 많은 전자를 코어에 전달하여 기존의 반도체 나노 입자 보다 높은 발광 효율을 나타내는 나노 입자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나노 입자를 이용한 산화아연-금 나노 구조의 구조 및 합성 방법은 첨부한 도 1에 나타나 있다
상기와 같은 나노 구조를 이용한 센서의 가장 큰 문제 중 첫 번째는 산화아연-금 나노 구조에 관련된 문제이다.
즉, 산화아연-금을 덤벨 구조가 아닌 코어-쉘 구조로 형성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코어-쉘 구조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공정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잇는 나노 기술의 연구에 힘입어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기도 하지만 더 높은 발광 효과와 바이오 센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에는 산화아연과 금을 접합시켜 발광 효과를 상당히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산화아연-금 코어-쉘을 형성시킬 경우 더 높은 발광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바이오 물질에 탁월한 친화력을 가지고 있는 금 쉘로 인해 바이오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산화아연과 금이 덤벨 구조로 접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코어-쉘 구조보다 구조적인 안정성이 더 낮다는 단점이 있다.
세 번째로, 금 쉘을 형성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생체 방면의 활용 측면에서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의 바이오 센서의 경우 쉘의 재료로 쓰이는 귀금속인 금이 FCC 구조이기 때문에 코어의 산화아연의 구조도 FCC 구조로 변환하여 균일한 쉘로 형성하는 것이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아연을 코어로 하고 금을 쉘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나노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덤벨 형태의 나노 구조를 대체하고, 또한 코어-쉘 구조로 더 높은 발광 효율과 생체 활용도를 높이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의 FCC구조로의 변환;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쉘 구조의 나노 입자는 산화아연 나노 입자를 코어로 하고 귀금속 중 금, 은을 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래에 HCP 구조를 띠는 산화아연을 FCC 구조로 변화시켜 같은 FCC 구조를 가지고 있는 금으로 쉘을 싸 코어-쉘 구조로 만든다. 이때 HAuCl4 용액에 산화아연 나노 입자를 분산시켜 NaBH4를 천천히 떨어뜨려 금 나노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이 나노 클러스터들이 형성하면서 쉘 형태로 변하게 된다. 다음으로 금 쉘에 글루코스 효소를 붙여 혈당 센서로 이용한다.
도 1은 기존의 산화아연-금 복합구조의 나노 입자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산화아연-금 코어-쉘 나노 입자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상기의 나노 입자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의 구조도이다.

Claims (3)

  1. 코어 재료의 상변화를 통한 코어-쉘 구조 형성
  2. 제 1항의 방법을 이용해 만든 산화아연-금 코어-쉘 나노 입자 구현
  3. 제 2항에 있어서 산화아연-금 코어-쉘 나노 입자에 생체 물질을 붙여 바이오 센서 구현
KR1020070134690A 2007-12-20 2007-12-20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한바이오 센서 KR20090066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690A KR20090066945A (ko) 2007-12-20 2007-12-20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한바이오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690A KR20090066945A (ko) 2007-12-20 2007-12-20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한바이오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945A true KR20090066945A (ko) 2009-06-24

Family

ID=4099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690A KR20090066945A (ko) 2007-12-20 2007-12-20 산화아연-금 코어-쉘 구조의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한바이오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5752A (zh) * 2012-06-11 2012-10-17 东南大学 基于金纳米簇的肿瘤靶向活体多模态成像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5752A (zh) * 2012-06-11 2012-10-17 东南大学 基于金纳米簇的肿瘤靶向活体多模态成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srollahzadeh et al. Types of nanostructures
Wang et al. Engineering nonspherical hollow structures with complex interiors by template-engaged redox etching
Wang Electrochemical biosensing based on noble metal nanoparticles
US9441301B2 (en) Method for forming a bimetallic core-shell nanostructure
Negahdary et al. Applications of nanoflowers in biomedicine
Li et al. Anisotropic gold nanoparticles: synthesis, properties, applications, and toxicity
Wang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soluble and bifunctional ZnO− Au nanocomposites
Lu et al. Mechanistic studies on the galvanic replacement reaction between multiply twinned particles of Ag and HAuCl4 in an organic medium
Feng et al. An unconventional role of ligand in continuously tuning of metal–metal interfacial strain
Chen et al. Silver nanoplates: size control in two dimensions and formation mechanisms
Gaponik et al. Colloidal nanocrystal-based gels and aerogels: material aspects and application perspectives
Jana et al. Seeding growth for size control of 5− 40 nm diameter gold nanoparticles
Busbee et al. An improved synthesis of high‐aspect‐ratio gold nanorods
Ahmed et al. Overview for multimetallic nanostructures with biomedical,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Yaraki et al. Biomimetic metallic nanostructur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catalysis, and beyond
CN103945966A (zh) 用于在基底上形成金纳米线的方法及由该方法形成的金纳米线
Chupradit et al. Morphological contro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metal nanostructures
Pienpinijtham et al. Micrometer-sized gold nanoplates: starch-mediated photochemical reduction synthesis and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ip-enhanced Raman scattering (TERS)
WO2008045101A3 (en) Ordered nanoenergetic composites and synthesis method
Zhou et al. Site-specific growth of AgPd nanodendrites on highly purified Au bipyramids with remarkable catalytic performance
Sung et al. Enhanced glucose detection using enzyme-immobilized ZnO/ZnS core/sheath nanowires
Gao et al. Designer nanojunctions: orienting shaped nanoparticles within polymer thin-film nanocomposites
CN105543817B (zh) 原位界面转化制备金银合金二维有序纳米薄膜及其方法
Chen et al. Manipulation of interfacial diffusion for controlling nanoscale transformation
Huang et al. Covalently capped seed-mediated growth: a unique approach toward hierarchical growth of gold nanocrys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