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191A -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191A
KR20090066191A KR1020080048811A KR20080048811A KR20090066191A KR 20090066191 A KR20090066191 A KR 20090066191A KR 1020080048811 A KR1020080048811 A KR 1020080048811A KR 20080048811 A KR20080048811 A KR 20080048811A KR 20090066191 A KR20090066191 A KR 20090066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port stream
stereoscopic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283B1 (ko
Inventor
이봉호
이현
허남호
윤국진
김진웅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06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원의 기준영상과 3차원 입체 방송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지상파 DMB 망과 위성 DMB 망으로 분리 전송함으로써, 한정된 대역폭을 갖는 지상파 DMB를 통해서도 고품질의 3차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2차원의 기준영상과 상기 기준영상의 3차원 입체방송에 필요한 부가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스트림 생성 수단; 및 상기 전송스트림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기준영상 전송스트림 및 부가정보 전송스트림을 서로 다른 방송 규격에 따라 분리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DMB, 위성 DMB, 지상파 DMB, 3차원 입체영상, 3차원 방송, 기준영상, 부가정보, 분리 전송

Description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REE DIMENSIONAL BROADCASTING SERVICE USING SEPARATE TRANSMISSION OF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서의 3차원 입체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원의 기준영상과 3차원 입체 방송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지상파 DMB 망과 위성 DMB 망으로 분리 전송함으로써, 한정된 대역폭을 갖는 지상파 DMB를 통해서도 고품질의 3차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4-01, 과제명: 무안경 개인형 3D 방송기술개발].
3차원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2차원의 기준영상(예를 들면, 좌 영상)과 그 기준영상의 3차원 영상에 필요한 부가정보(예를 들면, 우 영상)가 필요하다. 즉, 수신 단말 측에서는 기준영상과 부가정보가 모두 있어야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종래의 3차원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기준영상 및 부가영상을 전송함에 있어서, 다중화, 동기화 및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단일 방송망을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단일망을 통한 동시 전송 방식)은 다중화 및 동기화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다. 특히 두 영상(좌 영상과 우 영상) 간의 동기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 단말에서는 3차원 영상에 필요한 좌/우 영상 간의 동기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 기술은 지상파 DMB 망과 같이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좁은 방송망에 있어서는 화질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좁은 지상파 DMB 망을 통하여 기준영상과 부가정보를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3차원(3D) 방송 서비스의 영상 품질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3차원 입체영상에 필요한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대역폭이 좁은 지상파 DMB 망을 통하여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화질 저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고품질의 3차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차원의 기준영상과 3차원 입체 방송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지상파 DMB 망과 위성 DMB 망으로 분리 전송함으로써, 한정된 대역폭을 갖는 지상파 DMB를 통해서도 고품질의 3차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서로 다른 DMB 방송망을 통하여 분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분리 수신된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합성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2차원의 기준영상과 상기 기준영상의 3차원 입체방송에 필 요한 부가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스트림 생성 수단; 및 상기 전송스트림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기준영상 전송스트림 및 부가정보 전송스트림을 서로 다른 방송 규격에 따라 분리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신호로부터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수신 수단; 및 상기 복원된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3차원 영상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신 방법에 있어서, 2차원의 기준영상과 상기 기준영상의 3차원 입체방송에 필요한 부가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전송스트림 생성 단계; 및 상기 전송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기준영상 전송스트림 및 부가정보 전송스트림을 서로 다른 방송 규격에 따라 분리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신호로부터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복원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복원된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기준영상과 부가정보를 분리하 여 서로 다른 DMB 망(지상파 망, 위성 망)을 통하여 전송하고, 그에 따라 수신 측에서 기준영상과 부가정보를 결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대역폭이 한정적인 방송망을 통해서도 고품질의 3차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3차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3차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영상과 부가정보의 분리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10) 및 위성/지상파 통합 DMB 단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3차원(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기준영상과 부가정보를 위 성 DMB 망과 지상파 DMB 망을 통하여 분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이들을 통합 수신하여 3차원 입체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기준영상이 좌(Left) 영상이면, 부가정보는 우(Right) 영상이 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되어 전송되는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는 일반적으로 3차원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일정한 변위(Disparity)를 가지는 영상이다.
먼저,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10)를 설명하면,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10)는 기준영상과 부가정보를 서로 다른 방송망(11, 12)을 통하여 분리전송한다. 즉,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10)는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 중 어느 하나는 지상파 DMB 규격으로 전송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위성 DMB 규격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기준영상은 위성 DMB망(11)을 통하여 전송하고, 부가정보는 지상파 DMB 망(12)을 통하여 전송한다. 송신 측에서의 분리 전송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위성/지상파 통합 DMB 단말(13)은 서로 다른 방송망(11, 12)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신호로부터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복원하고, 그 복원된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이용해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합성)하여 3차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신 측에서의 수신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영상과 부가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 체방송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이하,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10)에서 수행되는 3차원 입체방송 송신 방법, 즉 기준영상과 부가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신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획득부(20), 위성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1), 위성 DMB 전송부(22), 지상파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3), 및 지상파 DMB 전송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차원 영상 획득부(20)는 3차원 카메라를 통하여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획득한 후, 기준영상은 위성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1)로 보내고 부가정보는 지상파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3)로 보낸다. 이때, 3차원 영상 획득부(20)는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수신 측에서 기준영상과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합성하는데 사용될 동기 정보)를 기준영상 또는 부가정보와 함께 전송스트림(TS) 생성부(21, 23)로 보낸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2와 달리, 기준영상을 지상파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3)로 보내고 부가정보를 위성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1)로 보낼 수도 있다.
그리고 나면, 위성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1)는 3차원 영상 획득부(20)로부터 수신한 기준영상(실시예에 따라서는 부가정보)에 대하여 위성 DMB 규격에 따라 전송스트림(TS)을 생성하고, 지상파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3)는 3차원 영상 획득부(20)로부터 수신한 부가정보(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준영상)에 대하여 지 상파 DMB 규격에 따라 전송스트림(TS)을 생성한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송스트림(TS) 생성부(21, 23)는 3차원 영상 획득부(20)로부터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까지 포함하여 전송스트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후, 위성 DMB 전송부(22)는 위성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1)로부터 수신한 전송스트림을 위성 DMB 전송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위성 DMB 망을 통해 전송한다. 한편, 지상파 DMB 전송부(24)는 지상파 DMB 전송스트림(TS) 생성부(23)로부터 수신한 전송스트림을 지상파 DMB 전송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지상파 DMB 망을 통하여 전송한다. 즉, DMB 전송부(22, 24)는 기준영상 전송스트림과 부가정보 스트림을 서로 다른 방송 전송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분리 전송한다.
요컨대, 본 발명은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위성 DMB 망과 지상파 DMB 망을 통해서 분리 전송한다. 즉, 기준영상은 지상파 DMB 망(또는 위성 DMB 망)을 통해 전송되고, 부가정보는 위성 DMB 망(또는 지상파 DMB 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는 각 지상파 DMB/위성 DMB 시스템(전송스트림 생성부, 전송부)에서 규정한 방식에 따라 처리되어 해당 DMB 망을 통해 분리되어 전송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파 DMB의 경우에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을 기반으로 H.264/AVC(Advanced Video Coding) 비디오 압축기술, MPEG-4 시스템, MPEG-2 시스템 및 관련 기술을 통해 동영상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이때 제공되는 서비스는 2차원 형태의 동영상 서비스이다. 한편, 위성 DMB의 경우에는, ITU-R Rec. BO. 1130-4 ANNEX 6 Digital System E를 기반으로 H.264/AVC 및 MPEG-2 및 관련 기술을 통하여 2차원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영상과 부가정보의 분리 전송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위성 DMB 및 지상파 DMB 수신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위성/지상파 통합 DMB 단말(13) 내에 있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30)에서 수행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방법, 즉 기준영상과 부가정보의 분리 전송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수신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30)는, 서로 다른 DMB 망을 통하여 전송된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3차원 영상(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DMB 수신부(301), 지상파 DMB 수신부(302), 및 3차원 영상 처리부(3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성 DMB 수신부(301)는 위성 DMB 망(11)을 통하여 전송되는 기준영상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하여 복조, 디코딩 등을 수행하여 '기준영상'을 복원한다. 만약, 송신 측에서 기준영상과 함께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를 전송한 경우에는, 위성 DMB 수신부(301)는 기준영상과 함께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도 복원하게 된다.
한편, 지상파 DMB 수신부(302)는 지상파 DMB 망(12)을 통하여 전송되는 부가정보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하여 복조, 디코딩 등을 수행하여 '부가정보(부가영상)'을 복원한다. 만약, 송신 측에서 부가정보와 함께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를 전송한 경우에는, 지상파 DMB 수신부(302)는 부가정보와 함께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도 복원하게 된다.
3차원 영상 처리부(303)는 위성 DMB 수신부(301)에서 복원된 기준영상과 지상파 DMB 수신부(302)에서 복원된 부가정보를 결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준영상(좌 영상)의 홀수 필드(Odd Field)와 부가정보(우 영상)의 짝수 필드(Even Field)를 라인 단위(Line-by-Line)로 결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입체영상 생성에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입체영상 생성 과정에서 시각 피로 현상을 감소시키면서도 생생한 입체감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준영상과 부가정보를 프레임 단위로 정확하게 동기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3차원 영상 처리부(303)는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한다.
한편, 사용자가 2차원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경우(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2차원 디스플레이를 요청받은 경우), 3차원 영상 처리부(303)는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아무런 변환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31)로 단순 출력(즉, 바이패스(bypass))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1)는 3차원 영상 처리부(303)로부터 전달받은 2차원 영상 (기준영상 또는 부가정보) 또는 3차원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영상과 부가정보의 분리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영상과 부가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영상과 부가정보의 분리 전송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 13: 위성/지상파 통합 DMB 단말
20: 3차원 영상 획득부 21: 위성 DMB 전송스트림 생성부
22: 위성 DMB 전송부 23: 지상파 DMB 전송스트림 생성부
24: 지상파 DMB 전송부 30: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
301: 위성 DMB 수신부 302: 지상파 DMB 수신부
303: 3차원 영상 처리부

Claims (16)

  1.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2차원의 기준영상과 상기 기준영상의 3차원 입체방송에 필요한 부가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스트림 생성 수단; 및
    상기 전송스트림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기준영상 전송스트림 및 부가정보 전송스트림을 서로 다른 방송 규격에 따라 분리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스트림 생성 수단은,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부가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경우 해당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까지 포함하여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기준영상 전송스트림 및 상기 부가정보 전송스트림 중 어느 하나는 지 상파 DMB 규격으로 전송하고, 다른 하나는 위성 DMB 규격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은,
    좌 영상 및 우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고;
    상기 부가정보는,
    좌 영상 및 우 영상 중 상기 기준영상으로 선택되지 않은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송신 장치.
  5.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신호로부터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수신 수단; 및
    상기 복원된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3차원 영상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지상파 DMB 방송신호 및 위성 DMB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송신호로부터는 상기 기준영상을 복원하고, 다른 하나의 방송신호로부터는 상기 부가정보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지상파 DMB 방송신호로부터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를 추출하여 복원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위성 DMB 방송신호로부터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를 추출하여 복원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2차원 영상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장치.
  10.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신 방법에 있어서,
    2차원의 기준영상과 상기 기준영상의 3차원 입체방송에 필요한 부가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전송스트림 생성 단계; 및
    상기 전송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기준영상 전송스트림 및 부가정보 전송스트림을 서로 다른 방송 규격에 따라 분리 전송하는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방송 송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스트림 생성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부가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경우 해당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까지 포함하여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송신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 전송스트림 및 상기 부가정보 전송스트림 중 어느 하나는 지상파 DMB 규격으로 전송하고, 다른 하나는 위성 DMB 규격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송신 방법.
  13.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에 따른 3차원 입체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신호로부터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복원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복원된 기준영상 및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부가정보 중 어느 하나는 지상파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고, 다른 하나는 위성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지상파 DMB 방송신호 또는 상기 위성 DMB 방송신호로부터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를 추가 획득하고;
    상기 3차원 영상 처리 단계는,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에 상기 추가 획득된 3차원영상 합성용 동기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2차원 영상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방송 수신 방법.
KR1020080048811A 2007-12-18 2008-05-26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938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3324 2007-12-18
KR1020070133324 200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191A true KR20090066191A (ko) 2009-06-23
KR100938283B1 KR100938283B1 (ko) 2010-01-22

Family

ID=4099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811A KR100938283B1 (ko) 2007-12-18 2008-05-26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28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486B1 (ko) * 2009-08-06 2012-05-25 한국방송공사 입체방송을 위한 계층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2128563A3 (ko) * 2011-03-22 2013-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3019042A1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영상과 별도로 전송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방법,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38792A (ko) * 2011-10-10 2013-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WO2013055032A1 (ko) * 2011-10-10 2013-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WO2013162335A1 (ko) * 2012-04-26 2013-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tv를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KR101426579B1 (ko) * 2010-11-08 2014-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WO2016167632A1 (ko) * 2015-04-17 2016-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시그널링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17138B2 (en) 2015-04-17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ervice signaling for broadcasting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161B1 (ko) * 2005-10-31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동영상을 다중화 방송 서비스로 송수신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747550B1 (ko) * 2005-12-09 200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기반의 3차원 입체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dmb기반의 3차원 입체영상 서비스를 위한 복호화 장치 및 그방법
KR100763753B1 (ko) * 2006-09-21 2007-10-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 기반의 3차원 입체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486B1 (ko) * 2009-08-06 2012-05-25 한국방송공사 입체방송을 위한 계층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426579B1 (ko) * 2010-11-08 2014-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9148648B2 (en) 2010-11-08 2015-09-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WO2012128563A3 (ko) * 2011-03-22 2013-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망 기반 연동형 방송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3019042A1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영상과 별도로 전송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방법,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38792A (ko) * 2011-10-10 2013-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WO2013055032A1 (ko) * 2011-10-10 2013-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9615143B2 (en) 2011-10-10 2017-04-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y accessing content stream in hybrid 3D TV, and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
WO2013162335A1 (ko) * 2012-04-26 2013-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tv를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WO2016167632A1 (ko) * 2015-04-17 2016-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시그널링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17138B2 (en) 2015-04-17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ervice signaling for broadcasting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283B1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283B1 (ko)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747598B1 (ko) 디지털방송 기반의 3차원 입체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05723B1 (ko) 비실시간 기반의 디지털 실감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US20120224025A1 (en) Transport stream structure including image 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EP25431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two-dimensional video content for insertion into three-dimensional video content
JP2014523207A (ja) ワイヤレス3dストリーミングサーバ
KR101148486B1 (ko) 입체방송을 위한 계층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26710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ceiving method therefor
KR20110115087A (ko)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와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80009725A (ko) 360도 가상현실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74226B1 (ko) 다시점 화상 및 3차원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송수신 방법
JP5788402B2 (ja) モバイル放送が結合された放送システムでの3次元放送サービス装置及び方法
KR101005015B1 (ko) 관심 영역 깊이 정보 기반의 3차원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3342171A1 (en) Networked video communication applicable to gigabit ethernet
US20110187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in communication device
US20130208090A1 (en) Hierarchic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3d broadcasting
JP2000308089A (ja) 立体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KR2008005319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3차원 비디오 서비스제공 방법
KR20170130883A (ko) 하이브리드 망 기반의 가상 현실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4266497A (ja) ステレオ映像放送受信用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およびステレオ映像放送方法
US201102347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image system
US20140340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lay in receiving three-dimensional (3d) image
KR20120026013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536747B1 (ko) 자유 시점 영상 전송을 위한 패킷구조형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
KR20140076487A (ko) 멀티화면을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