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017A -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017A
KR20090066017A KR1020070133601A KR20070133601A KR20090066017A KR 20090066017 A KR20090066017 A KR 20090066017A KR 1020070133601 A KR1020070133601 A KR 1020070133601A KR 20070133601 A KR20070133601 A KR 20070133601A KR 20090066017 A KR20090066017 A KR 2009006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router
network
main
sub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017A/ko
Publication of KR2009006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0Route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8Association of ro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68Internet protocol [IP] address sub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메인 네트워크에 구비되는 메인 라우터 및 서브 네트워크에 구비되는 서브 라우터를 이용한다. 메인 라우터 및 서브 라우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로부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다. 메인 라우터와 서브 라우터는 상호 연동하면서 입력된 장치 개수에 따른 서브넷 할당을 수행하고, 서브넷 할당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따라서 서브넷 할당 정보를 라우터에 저장해두고 네트워크의 병합 또는 분리 시에도 별도의 재설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의 병합 및 분리 시에 발생하는 서비스의 끊김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133601
네트워크, 병합, 분리, 서브넷, 에이전트

Description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 방법 {Method for Configurating Network, Method for Merging Network and Method for Adding De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 설정 시에 서브넷 할당 정보를 라우터에 저장하고 네트워크의 병합 또는 분리 시에도 별도의 재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네트워크의 병합(Merge) 및 분리(Unmerge) 관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홈 환경은 로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로컬 네트워크란 특정 영역, 예컨대 가정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장치들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통상 이러한 로컬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스터 장치를 중심으로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들, 예컨대 가전기기, 센서, 무선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소정의 정해진 절차를 통해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장치를 제거할 수 있으며, 장치가 많아질 경우 라우터 등을 이용하여 트리 구조의 계층형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무선 통신 서비스들이 일반화되면서 다양한 무선 장치들, 예컨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 장치들을 이용한 독자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구성도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장치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동시켜 특정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댁내에서 구성되는 홈 네트워크와 차량 내에 구성된 네트워크를 병합 또는 분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댁내로 진입했을 경우 차량의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를 병합해서 사용하고, 차량이 댁내를 벗어났을 경우 차량의 네트워크를 홈 네트워크와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네트워크의 분리 또는 병합 시점에서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장치들의 IP 주소를 재설정한다. 따라서 만약 해당 장치에서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 IP 주소가 바뀔 경우, IP 네트워크의 특성상 수행되던 통신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구성 시 서브넷 할당 정보를 라우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분리 또는 결합에 따른 IP 주소의 재설정이 필요 없으며 보안성이 향상된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장치 추가 방법 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Aspect)에서 네트워크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메인 네트워크에 구비되는 메인 라우터 및 서브 네트워크에 구비되는 서브 라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라우터 및 상기 서브 라우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메인 라우터와 상기 서브 라우터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장치 개수에 따른 서브넷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라우터와 상기 서브 라우터에서 상기 서브넷 할당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상기 메인 라우터와 상기 서브 라우터가 상호 인증용 신임장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라우터와 상기 서브 라우터가 상기 상호 인증용 신임장을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넷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라우터에서 상기 서브 라우 터의 장치 개수에 따라 서브넷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라우터는 상기 할당된 서브넷 내의 IP 주소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에게 각각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메인 라우터 및 상기 서브 라우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상기 메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가 분리되면, 상기 메인 라우터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 할당한 서브넷 레인지를 예약 영역으로 남겨두고, 상기 서브 라우터는 상기 설정된 서브넷 할당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네트워크 병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병합 방법은,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라우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저장된 신임장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 라우터와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에 성공했을 경우 상기 서브 라우터로부터 서브넷 할당 변경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넷 할당 변경 요청이 없을 경우 상기 서브 라우터와 통신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병합 방법은 상기 인증에 실패했을 경우 상기 서브 라우터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병합 방법은 상기 서브넷 할당 변경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장치 개수에 따라 상기 서브 라우터와 연동하여 서브넷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넷 할당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장치 추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추가 방법은 서브 라우터를 이용하여 서브 네트워크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로의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서브 네트워크를 위해 할당된 서브넷 레인지 외의 IP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장치로 할당하는 단계와; 메인 네트워크와의 병합 시 메인 라우터가 인식되면, 상기 메인 라우터와 미리 설정된 인증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의 서브넷 할당 재설정 승인에 따라 상기 메인 라우터와 연동하여 상기 할당된 IP 주소가 상기 서브 네트워크로 할당되도록 서브넷 할당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추가 방법은 사용자에게 상기 서브 넷 할당 재설정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 승인이 거부되면 상기 장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넷 할당 정보를 라우터에 저장해두고 네트워크의 병합 또는 분리 시에도 별도의 재설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의 병합 및 분리 시에 발생하는 서비스의 끊김 현상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신임장을 이용한 인증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의 보안성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내용의 명료성을 위하여 특정한 기술 용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 선택된 특정 용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용어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술 동의어를 포함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장치 추가 방법 등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네트워크(SN)는 메인 네트워크(MN)와 병합될 수도 있고, 메인 네트워크(MN)와 분리되어 독자적인 네트워크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때 메인 네트워크(MN)는 예컨대, 댁내에 구성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메인 네트워크(MN)를 댁내에 구비된 다수의 장치(MD)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러한 메인 네트워크(MN)에는 메인 라우터(MR)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네트워크(SN)는 예컨대, 차량과 같이 이동성을 가진 장소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서브 네트워크(SN)를 차량에 구비된 다수의 장치(SD)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가정하기로 한다. 서브 네트워크(SN)에는 서브 라우터(S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라우터(MR) 및 서브 라우터(SR)에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에이전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에이전트는 메인 라우터(MR)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메인 라우터(MR)와 서브 라우터(SR)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는데, 본 설명에서는 메인 라우터(MR)와 서브 라우터(SR)에 각각 에이전트가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 라우터(MR)에 포함되어 있는 에이전트를 메인 에이전트(MA)라 칭하고, 서브 라우터(SR)에 포함되어 있는 에이전트를 서브 에이전트(SA)로 칭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네트워크의 초기 구성 시의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초기 구성은 차량이 댁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메인 라우터(MR)의 메인 에이전트(MR)가 시작되면(단계:S1), 메인 에이전트(MR)는 서브 네트워크를 검색한 뒤(단계:S2), 검색된 서브 네트워크 목록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단계:S3). 사용자는 새로 등록할 서브 네트워크가 있는지를 확인하고(단계:S4), 등록할 서브 네트워크를 선택한다(단계:S5).
한편 상기 선택되는 서브 네트워크(SN)에서는 서브 에이전트(SA)가 시작된다(단계:S10). 메인 에이전트(MA)와 서브 에이전트(SA)는 상호 연동 시 서로를 인 증하기 위한 신임장(Credential)을 공유한다(단계:S6, S11). 이때 신임장은 암호화 통신을 위한 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된 신임장은 이후 메인 에이전트와 서브 에이전트가 연동할 때 인증 근거가 된다.
인증서 공유 후, 메인 에이전트(MA) 또는 서브 에이전트(SA)는 사용자로부터 서브 네트워크(SN)에 포함될 장치의 개수를 입력받는다(단계:S15). 예를 들어, 차량 내에 연동할 장치가 2개 있을 경우 사용자는 이를 메인 에이전트(MA) 또는 서브 에이전트(SA)로 입력할 수 있다. 도 3의 도시에 있어서, 상기 서브 네트워크(SN)의 장치 개수 설정 단계(단계:S15)는 메인 에이전트(MA)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서브 에이전트에서 수행할 수도 있기에 해당 단계를 메인 라우터(MR)나 서브 라우터(SR) 내에 포함시키지 않고 별도의 블록으로 표시하였다. 해당 에이전트는 사용자에게 장치 개수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 뒤 사용자로부터 장치 개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어서, 메인 에이전트(MA)와 서브 에이전트(SA)는 상호 연동을 통하여 상기 입력된 서브 네트워크(SN)의 장치 개수에 따른 DHCP 서브넷 할당 절차를 수행한다(단계:S7, S12). 예를 들어, 서브 에이전트(SA)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치의 개수에 따라 메인 에이전트(MA)로부터 DHCP 서브넷을 할당받은 후, 할당받은 서브넷 내의 IP 주소를 자신에게 연결된 장치들에게 할당해준다.
DHCP 서브넷 할당이 완료되면, 메인 에이전트(MA)와 서브 에이전트(SA)는 각각 상기 인증용 신임장 및 DHCP 서브넷 할당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S8, S13). 그리고 메인 에이전트(MA)와 서브 에이전트(SA)는 동작을 종료한 다(단계:S9, S14).
이와 같이, 초기 네트워크 구성 시 서브 네트워크(SM)에 장치를 몇 개 정보 사용할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그에 따른 DHCP 서브넷 할당을 수행한 다음, 그 내용을 메인 라우터(MR)와 서브 라우터(SR)에 저장 및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서브넷을 다시 설정하기 전까지는 이 설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 설정을 통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만약, 서브 네트워크(SN)가 형성된 차량이 외부로 이동한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네트워크(SN)는 메인 네트워크(MA)와 분리된다. 이 경우 메인 라우터(MR)는 분리된 서브 네트워크(SN)에 할당해준 DHCP 서브넷 레인지를 재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예약 영역에 남겨둔다. 또한 서브 라우터(SR)는 메인 네트워크(MN)와 분리되더라도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각 장치들의 IP 주소 설정을 그대로 유지한다.
분리된 서브 네트워크(SN)가 다시 메인 네트워크(MN)와 병합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병합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서브 네트워크(SN)가 형성된 차량이 댁내로 진입하면 댁내에 설치된 메인 라우터(MR)의 메인 에이전트(MA)와 차량에 구비된 서브 라우터(SR)의 서브 에이전트(SA)는 서로의 네트워크를 인식하게 된다(단계:S20).
이때, 메인 에이전트(MA)는 인식된 서브 네트워크(SN)가 등록된 네트워크인지를 판단한 뒤(단계:S21), 등록된 네트워크일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신임장을 사용하여 서브 에이전트(SA)와의 인증을 수행한다(단계:S22, S23). 또한 서브 에이전트(SA)는 인식된 메인 네트워크(MN)가 등록된 네트워크인지를 판단한 뒤(단계:S30), 등록된 네트워크일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신임장을 이용하여 메인 에이전트(MA)와의 인증을 수행한다(단계:S31, S32).
한편, 만약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단계:S21, 30)에서 등록된 네트워크가 아닐 경우 인증 단계(단계:S23, S32)에서 신임장을 통한 상호 인증이 실패했을 경우 메인 라우터(MR)와 서브 라우터(SR)간의 통신은 종료된다(단계:S27). 이는 댁내로 이웃집의 차량이 진입하거나 또는 근거리의 차량이 잘못 인식되는 경우, 불법적인 장치의 침입 등을 방지하고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 에이전트(MA)와 서브 에이전트(SA)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서브 에이전트(SA)는 DHCP 서브넷 할당에 대한 설정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단계:S33), 설정 변경이 필요 없을 경우 메인 라우터(MR)와의 통신을 허용한다(단계:S29). 마찬가지로, 메인 에이전트(MA)에서도 서브 에이전트(SA)로부터 DHCP 서브넷 할당에 대한 설정 변경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단계:S24), 설정 변경이 필요 없을 경우 서브 라우터(SR)와의 통신을 허용한다(단계:S29). 따라서 특별히 서브 에이전트(SA)의 DHCP 서브넷 할당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별도의 IP 재설정이 필요 없으므로 모든 장치들에서 네트워크 분리 및 병합에 따른 영향 없이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서브 에이전트(SA)에서 DHCP 서브넷 할당의 설정 변경이 필요할 경우, 메인 에이전트(MA) 또는 서브 에이전트(SA)는 사용자로부터 서브 네트워크(SN)에 포함될 장치의 개수를 입력받고(단계:S28), 입력된 장치 개수를 고려하여 새로운 DHCP 서브넷 할당 절차를 수행한다(단계:S25, 34). 예를 들어, 서브 에이전트(SA)는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장치 개수에 따라 메인 에이전트(MA)로부터 DHCP 서브넷을 할당받은 후, 할당받은 서브넷 내의 IP 주소를 해당 장치들에게 할당해준다.
새로운 DHCP 서브넷 할당이 완료되면, 메인 에이전트(MA)와 서브 에이전트(SA)는 각각 DHCP 서브넷 할당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S26, S35).
한편, 서브 네트워크(SN)가 메인 네트워크(MN)와 분리된 상태에서 서브 네트워크(SN)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해야할 경우, 이하의 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DHCP 서브넷 할당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장치는 서브 네트워크(SN)의 서브 라우터(SR)로 DHCP를 통한 IP 주소를 요청한다(단계:S40). 즉 서브 네트워크(SN)로의 등록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청을 수신한 서브 에이전트(SA)는 설정된 DHCP 서브넷에 IP 주소의 여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41). 이때 만약 여유분의 IP 주소가 있다면 해당 IP 주소를 상기 장치에 할당한 뒤(단계:S43), 동작을 종료한다(단계:S44).
반면, 상기 판단의 결과 만약 여유분의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브 에이전트(SA)는 상기 장치에 할당할 IP 주소가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단계:S42), 그래도 상기 장치를 추가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한 뒤(단계:S45), 사용자가 새로운 장치의 추가를 포기하면 동작을 종료하고(단계:S44),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기 원하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DHCP 서브넷 할당 정보를 보고 서브 네트워크(SN)에 할당된 IP 주소 외의 IP 주소(즉, 서브넷 할당 레인지 외의 IP 주소) 중 하나를 새로운 장치로 할당한다(단계:S46).
이후, 메인 네트워크(MN)와의 병합 시 메인 라우터(MR)가 인식되면(단계:S47), 서브 에이전트(SA)는 메인 에이전트(MA)와의 상호 인증 후(단계:S48), 서브 네트워크(SN)의 DHCP 서브넷 할당에 대한 설정 변경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단계:S49).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단계:S50), 사용자가 DHCP 서브넷 할당의 재설정을 승인하지 않으면, 추가된 장치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을 취소한 뒤(단계:S52), 메인 라우터(MR)와의 통신을 허용한다(단계:S53).
반면 사용자가 DHCP 서브넷 할당을 승인할 경우, 서브 에이전트(SA)는 메인 에이전트(MA)와 연동하여 상기 장치에게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하도록 DHCP 서브넷 할당의 재설정을 수행한 후(단계:S51), 메인 라우터(MR)와의 통신을 허용한다(단계:S53). 그러면 상기 추가된 장치의 IP 주소는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 네트워크 구성 시 서 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그에 따라 DHCP 서브넷 할당을 수행한 다음, 신임장 및 DHCP 서브넷 할당 정보를 메인 라우터 및 서브 라우터에서 저장한다. 따라서 라우터의 전원이 오프(Off)된 후 다시 온(On)되더라도 그에 관계없이 설정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경우 종래에는 차량의 전원이 꺼졌다 켜짐에 따라 네트워크의 설정이 초기화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브 라우터에서 DHCP 서브넷 할당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다시 불러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라우터와 서브 라우터간의 등록 절차를 통해 신임장을 저장하여 공유함으로써, 옆집 차량이나 근거리의 차량에 형성된 네트워크를 서브 네트워크로 오인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가 병합되는 경우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가 분리되는 경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병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MN : 메인 네트워크(Main Network)
SN : 서브 네트워크(Sub Network)
MR : 메인 라우터(Main Router)
SR : 서브 라우터(Sub Router)
MA : 메인 에이전트(Main Agent)
SA : 서브 에이전트(Sub Agent)

Claims (10)

  1. 메인 네트워크에 구비되는 메인 라우터 및 서브 네트워크에 구비되는 서브 라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라우터 및 상기 서브 라우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메인 라우터와 상기 서브 라우터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장치 개수에 따른 서브넷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라우터와 상기 서브 라우터에서 상기 서브넷 할당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라우터와 상기 서브 라우터가 상호 인증용 신임장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라우터와 상기 서브 라우터가 상기 상호 인증용 신임장을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라우터에서 상기 서브 라우터의 장치 개수에 따라 서브넷을 할당 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라우터는 상기 할당된 서브넷 내의 IP 주소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에게 각각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메인 라우터 및 상기 서브 라우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가 분리되면, 상기 메인 라우터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 할당한 서브넷 레인지를 예약 영역으로 남겨두고, 상기 서브 라우터는 상기 설정된 서브넷 할당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법.
  6.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라우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저장된 신임장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 라우터와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에 성공했을 경우 상기 서브 라우터로부터 서브넷 할당 변경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넷 할당 변경 요청이 없을 경우 상기 서브 라우터와 통신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병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에 실패했을 경우 상기 서브 라우터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병합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할당 변경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장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장치 개수에 따라 상기 서브 라우터와 연동하여 서브넷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넷 할당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병합 방법.
  9. 서브 라우터를 이용하여 서브 네트워크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는 방법에 있 어서,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로의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서브 네트워크를 위해 할당된 서브넷 레인지 외의 IP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장치로 할당하는 단계;
    메인 네트워크와의 병합 시 메인 라우터가 인식되면, 상기 메인 라우터와 미리 설정된 인증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의 서브넷 할당 재설정 승인에 따라 상기 메인 라우터와 연동하여 상기 할당된 IP 주소가 상기 서브 네트워크로 할당되도록 서브넷 할당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추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서브 넷 할당 재설정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 승인이 거부되면 상기 장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추가 방법.
KR1020070133601A 2007-12-18 2007-12-18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방법 KR20090066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01A KR20090066017A (ko) 2007-12-18 2007-12-18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01A KR20090066017A (ko) 2007-12-18 2007-12-18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017A true KR20090066017A (ko) 2009-06-23

Family

ID=4099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601A KR20090066017A (ko) 2007-12-18 2007-12-18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0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1162B1 (en) Autonomic locator/identifier separation protocol for secure hybrid cloud extension
KR100667333B1 (ko)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71434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uto-configured network addresses based on connection authentication
US7886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network addresses based on connection authentication
US9112909B2 (en) User and device authentication in broadband networks
US20100122338A1 (en) Network system, dhcp server device, and dhcp client device
US9203694B2 (en) Network assisted UPnP remote access
US20030140142A1 (en) Initiating connections through firewalls and network address translators
EP2624499B1 (en) Method of assigning a user key in a convergence network
CN101478576A (zh) 选择服务网络的方法、装置和系统
KR20090016322A (ko)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모바일 와이맥스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054636A (ja) 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70374692A1 (en) Configuration of access poin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503197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resource impact of migrant wi-fi users
US80857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and routing in coded communications relationships
TWI785111B (zh) 網路系統
EP4252454A1 (en) Service data flow continuity for a ue in a system involving a gateway device
JP2008206102A (ja) メッシュ型無線lanを用いた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Nguyen et al. An SDN-based connectivity control system for Wi-Fi devices
US20240098583A1 (en) PDU session continuity for a UE moving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gateway device
KR20090066017A (ko)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병합 방법 및 장치 추가방법
CN106171041A (zh) 无线接入网关
JP2006121728A (ja)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4169534B2 (ja) モバイル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
JP6571615B2 (ja) 認証サーバ、振分装置、クライアント端末認証システム及びクライアント端末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