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320A -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320A
KR20090065320A KR1020070132813A KR20070132813A KR20090065320A KR 20090065320 A KR20090065320 A KR 20090065320A KR 1020070132813 A KR1020070132813 A KR 1020070132813A KR 20070132813 A KR20070132813 A KR 20070132813A KR 20090065320 A KR20090065320 A KR 2009006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mobile terminal
access point
reception sensitivity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603B1 (ko
Inventor
제동국
신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6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감도를 이요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이 방송형 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패킷서비스를 통해 제공받을 때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이동단말이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뿐만 아니라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고 가장 수신감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로 이동단말을 핸드오버한다. 따라서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동단말, 핸드오버, 패킷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수신감도

Description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Handover for Mobile Terminal Based on Receive Sensitivity}
본 발명은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접 액세스 포인트와 협력을 통해 이동단말이 방송서비스 등 프리미엄 패킷서비스를 사용할 때 끊김 없는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P성장동력 기술개발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3-02, 과제명: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 개발].
현재 이동단말은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한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 관할로 넘어갈 때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한다. 한 기지국에서 측정하는 단말의 수신신호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약해질 때 핸드오버 절차를 시작하고 다른 기지국에서 해당 단말의 수신신호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검출되었을 때 기지국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러한 핸드오버 방법은 신호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져야만 핸드오버 를 위한 절차를 시작하고 적절한 기지국을 찾는 동안 일반적으로 신호 세기를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음성 서비스나 비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신호 세기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는 고품질 서비스를 구현할 때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핸드오버될 가능성이 있는 인접 기지국을 찾아 미리 핸드오버를 준비하여 핸드오버 시간을 최소화하여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접속된 액세스망을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부가 상기 이동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가 일정크기 이상의 수신감도를 요구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액세스망을 구성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이동단말의 수신감도가 측정되도록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수신감도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제어부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측정된 수신감도를 비교하고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지는 엑세스 포인트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신감도를 이용한 다중 인터페이스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다중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통합망 이 동성 제어부가 액세스망을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부에서 상기 이동단말이 일정크기 이상의 수신감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를 요청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이 일정크기 이상의 수신감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상기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가 엑세스망을 제어하는 엑세스 제어부를 통해 각 엑세스망의 엑세스 포인트들로 수신감도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측정된 수신감도를 비교하고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지는 엑세스망의 엑세스 포인트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최상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프리미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항상 최상의 환경을 만족시키며 종래보다 빠른 핸드오버로 핸드오버에 의한 지연과 서비스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이 접속된 엑세스 포인트와 인접한 영역을 관할하는 엑세스 포인트에서 수신감도를 측정하고 미리 이동단말의 정보를 공유하여 최상의 수신감도를 가지는 엑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한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을 비롯한 저용량의 서킷(circuit)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SMS)나 저용량 사용자 요구 영상(VOD)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였다. 하지만 최근 대역폭이 늘어나고 단말의 처리 능력이 향상되어 영상 통화나 실시간 방송 등과 같은 실시간의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요구가 확산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를 원하고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지국과 통신을 위한 송수신 감도에 따라 대역폭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두 동일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받을 수 있었으나 지금은 저렴한 최소한의 서비스만을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비용에 상관없이 끊김 없는 고품질 서비스를 원하는 프리미엄 사용자까지 다양한 수준의 요구가 있다. 따라서 일정 수준까지의 서비스만을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일반적인 핸드오버 기법을 적용하더라도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으나 프리미엄급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엑세스 포인트들간 밀접한 협력을 통하여 빠른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1은 하나의 엑세스망 내부에 존재하는 엑세스 포인트와 각 엑세스 포인트 가 관할하는 셀 영역이다.
엑세스 포인트(101, 102, 103)는 자신이 담당하는 셀 영역을 가지는데 셀 영역은 최고 성능을 보장하는 영역(110)과 안정된 서비스를 보장하는 영역(111), 그리고 최소한의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112)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 서비스는 최소한의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에 사용자가 도달했을 때 핸드오버를 할 수 있지만 프리미엄 서비스 사용자의 경우 최소한의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에 도달하기 이전에 최적의 엑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 해야 한다.
이동단말이 (120)영역에 있으면 엑세스 포인트 101의 서비스를 받고 (121)영역으로 이동하면 엑세스 포인트 102에서 서비스하며, (122)영역로 이동하면 엑세스 포인트 103에서 관할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 이동단말기가 (120)영역에서 (121), (122)영역으로 이동하더라도 핸드오버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이동단말이 접속된 엑세스망을 관할하는 액세스 제어부는 프리미엄 서비스가 시작했는지 주기적으로 검사(S100)하여 프리미엄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면 인접한 영역을 관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S110)한다. 인접한 영역을 관할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이 선택되었으면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한 수신감도 측정신호를 전달(S120)한다. 그러면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들은 수신감도 측정신호를 받고 수신감도를 측정하며 액세스 제어부는 측정된 수신감도를 비교(S130)한다.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보다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감도가 우수(S140)하면, 지체 없이 미리 확보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가 수행(S150)된다. 이후 이동단말이 접속되었던 액세스망의 액세스 제어부는 이전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종료(S160)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단말의 액세스 포인트로 상태를 변경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구조도이다.
액세스망(A1)을 관할하는 액세스 제어부(ANC)는 망내의 여러 액세스 포인트(AP1~AP4)와 액세스 라우터(R1~R2)를 통해 이동단말(MN)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이동성을 제어한다.
이동단말(MN)이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관할하는 제1 셀 영역(C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가장 수신감도가 높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2 셀 여역(C2)로 이동단말(MN)이 이동한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AP2)의 이동단말(MN)에 대한 수신감도는 감소한다.
만일, 이동단말(MN)이 일반적인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아무 문제 없으나, 고품질의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프리미엄 서비스 사용을 요청하는 경우 이동단말(MN)에 대한 수신감도는 제3 액세스 포인트(AP3)가 더 높다. 이는 이동단말이 제3 셀 영역(C3)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세스 제어부(ANC)는 이동단말(MN)이 프리미엄 서비스 사용을 요청하는 경우, 끊김없는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단말(MN)이 현재 접속된 액세스 라우터(R1) 아이디와, 액세스 포인트(AP2)의 아이디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AP2)가 관할하는 영역정보(C1,C2)를 참조한다.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AP2)가 관할하는 영역정보(C1,C2)를 참조하여 인접영역(C3)를 관할하는 액세스 포인트(AP3)를 선택한다.
액세스 제어부(ANC)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2,AP3)들의 이동단말(MN)에 대한 수신감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진 액세스 포인트(AP3)를 선택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액세스 포인트(AP3)가 더 큰 수신감도를 가진다.
따라서, 액세스 제어부(ANC)는 제2 액세스 라우터(R2) 및 제3 액세스 포인트(AP3)를 인증하고 자원을 예약하고, 인증된 액세스 라운터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이동단말(MN)로 전송한다. 또한, 인증된 액세스 라우터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있다가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즉시 전송하고, 이전에 제1 액세스 라우터(R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를 통해 형성되었던 통신 채널을 단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구조도이다.
제2 실시예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이동단말(MN)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동일 액세스망(A10) 내부가 아닌 이종 액세스망(A20)으로 이동단말(MN)이 핸드오버 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망(A10,A20)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액세부 제어부(ANC10, ANC20)가 아닌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Core Network Mobility Controller; 이하 CNMC라 약칭함)에 의하여 핸드오버가 관할된다.
즉, 이동단말(MN)의 프리미엄 서비스 요청여부는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CNMC)가 모니터링한다. 만일 이동단말(MN)이 프리미엄 서비스 사용을 요청할 경 우 해당 이동단말(MN)이 연결된 액세스망(A10)의 액세스 제어부(ANC10)는 이를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CNMC)로 전송한다. 이동단말(MN)에 통신경로를 통합망 라우터(CR1), 제10 액세스망(A10)의 게이트웨이(A10)와 제10 라우터(R10) 및 제10 액세스 포인트(AP10)를 통해 설정되어 있다.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CNMC)는 액세스 제어부(ANC10)가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이동단말(MN)이 접속된 액세스망(A10) 아이디, 라우터(R10) 아이디, 액세스 포인트(AP10)의 아이디 및 액세스 포인트(AP10)가 관할하는 영역정보를 참조한다.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는 상기 참조된 영역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단말(MN)가 인접한 영역을 관할하는 액세스 포인트(AP20)의 상기 이동단말(MN)에 대한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비교한다. 이전영역의 액세스 포인트(AP20)의 수신감도가 더 높은 경우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CNMC)는 통합망 라우터(CR2), 액세스망(A20)의 게이트웨이(GW20), 라우터(R20) 및 액세스 포인트(AP20)를 통한 새로운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즉, 이동단말(MN)의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단말이 핸드오버될 액세스망(A20)을 선택한 후 상기 이동단말에 대하여 이전 엑세스망(A10)에서 이루어진 통신환경을 상기 선택된 액세스망(A20)에 맞도록 맵핑한다.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CNMC)는 이동단말(MN)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이전 액세스망(A10)과 선택된 액세스망(A20)으로 송신한다. 또한, 이전 액세스망(A10)으로는 선택된 액세스망(A20) 정보를 송신하고, 선택된 액세스망(A20)에 대 하여 이동단말(MN)의 정보와 자원예약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선택된 액세스망(A20)이 이동단말(AP20)에 대한 사전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CNMC)는 기존 통신경로를 해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_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정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과 액세스 포인트가 관할하는 셀이 도시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를 관할하는 시스템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를 관할하는 시스템이 도시된 도이다.

Claims (7)

  1.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접속된 액세스망을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부가 상기 이동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가 일정크기 이상의 수신감도를 요구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액세스망을 구성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이동단말의 수신감도가 측정되도록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수신감도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제어부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측정된 수신감도를 비교하고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지는 엑세스 포인트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감도 측정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액세스 제어부가,
    상기 이동단말이 등록된 엑세스 포인트와 엑세스 라우터의 아이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관할하는 영역정보를 참조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망을 구성하는 다른 엑세스 포인트와 엑세스 라우터의 아이디, 및 상기 다른 엑세스 포인트가 관할하는 영역정보를 참조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된 영역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단말이 위치한 영역과 인접한 영 역을 관할하는 엑세스 포인트들로 상기 수신감도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경로 설정단계는 상기 엑세스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 중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지는 엑세스 포인트 및 엑세스 라우터를 인증하고 자원을 예약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엑세스 포인트 및 엑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엑세스 포인트 및 엑세스 라우터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있다가, 통신경로가 설정되면 설정된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4. 다중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가 액세스망을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부에서 상기 이동단말이 일정크기 이상의 수신감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를 요청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이 일정크기 이상의 수신감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상기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가 엑세스망을 제어하는 엑세스 제어부를 통해 각 엑 세스망의 엑세스 포인트들로 수신감도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측정된 수신감도를 비교하고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지는 엑세스망의 엑세스 포인트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감도를 이용한 다중 인터페이스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감도 측정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가,
    상기 이동단말이 등록된 엑세스망의 엑세스 포인트와 엑세스 라우터의 아이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관할하는 영역정보를 참조하는 단계;
    상기 통합망을 구성하는 엑세스망의 다른 엑세스 포인트와 엑세스 라우터의 아이디, 및 상기 다른 엑세스 포인트가 관할하는 영역정보를 참조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된 영역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단말이 위치한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관할하는 엑세스망의 엑세스 포인트들로 상기 수신감도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감도를 이용한 다중 인터페이스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경로 설정단계는 상기 통합망 이동성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 중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지는 액세스망의 액세스 포 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에 대하여 이전 엑세스망에서 이루어진 통신환경을 상기 선택된 엑세스 포인트의 액세스망에 맞도록 맵핑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버터링하고 이전 엑세스망과 상기 선택된 엑세스망으로 송신하는 단게;
    상기 이전 엑세스망으로는 상기 선택된 엑세스망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선택된 망에 대하여는 이동단말의 정보 및 자원 예약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선택된 액세스망이 상기 이동단말에 대하여 사전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엑세스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선택된 엑세스망에 등록을 완료하여 이전 엑세스망에 대한 접속을 단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감도를 이용한 다중 인터페이스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경로 설정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된 액세스망의 다른 엑세스 포인트가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엑세스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 중 가장 큰 수신감도를 가지는 엑세스 포인트 및 엑세스 라우터를 인증하고 자원을 예약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엑세스 포인트 및 엑세스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엑세스 포인트 및 엑세스 라우터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 고 있다가, 통신경로가 설정되면 설정된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감도를 이용한 다중 인터페이스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20070132813A 2007-12-17 2007-12-17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0947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813A KR100947603B1 (ko) 2007-12-17 2007-12-17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813A KR100947603B1 (ko) 2007-12-17 2007-12-17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320A true KR20090065320A (ko) 2009-06-22
KR100947603B1 KR100947603B1 (ko) 2010-03-15

Family

ID=4099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813A KR100947603B1 (ko) 2007-12-17 2007-12-17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727A1 (en) * 2014-07-15 2016-01-21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 equipment measuring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s
US9699221B2 (en) 2014-08-04 2017-07-04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emergency-call handover
US10039019B2 (en) 2014-07-24 2018-07-31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non-establishment respon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20B1 (ko) * 2000-04-12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방법
KR100689733B1 (ko) * 2004-12-06 2007-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워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방법
KR100770870B1 (ko) * 2005-12-22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갱신 장치 및 방법
KR100760957B1 (ko) 2006-05-03 2007-09-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랜/맨에서 복수의 사전등록을 사용한 지능형 고속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727A1 (en) * 2014-07-15 2016-01-21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 equipment measuring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s
US10004004B2 (en) 2014-07-15 2018-06-19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 equipment measuring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s
US10080163B2 (en) 2014-07-15 2018-09-18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 network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 response
US10721656B2 (en) 2014-07-15 2020-07-21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 network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 response
US10039019B2 (en) 2014-07-24 2018-07-31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non-establishment response
US9699221B2 (en) 2014-08-04 2017-07-04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emergency-call handover
US10594741B2 (en) 2014-08-04 2020-03-17 T-Mobile Usa, Inc. Suppressing third party registration and third party deregistration 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603B1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7149B2 (ja) チューンアウェイおよびクロスページ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008668B2 (en) Service handover control apparatus using an end-to-end service handover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WO201821023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peed based network selection
US200601333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quality of service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WO20051096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capable of minimizing service delay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90860B1 (ko) 무선링크 품질을 고려한 핸드오버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20110075632A1 (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switched handover
Choi et al. Takeover: a new vertical handover concept for next-generation heterogeneous networks
KR20100066875A (ko) 시간지연을 방지하는 이종망간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20050073990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BCMCS service at a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31695B1 (ko)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지원방법 및 장치
KR100947603B1 (ko) 수신감도를 이용한 이동단말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20060118279A (ko) 휴대 인터넷의 핸드오버 방법
KR100753845B1 (ko) Ip기반의 광대역통합 이동망 환경에서 다중 인터페이스가가능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364081B1 (ko) MBS 서비스 관리 장치 및 상기 MBS 서비스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단일 주파수망 환경에서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영역(MBS zone) 구성하는 방법
KR100943760B1 (ko) 서비스 측정 관리를 통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시스템
WO2011020362A1 (zh) 一种终端能力协商的方法、系统和WiMAX基站
EP1825695B1 (en) Control method of handover traffic service in multi-cell environment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CN116546577B (zh) 一种用于通信切换的多基站智能调度方法及系统
KR101463746B1 (ko) 이종망간 핸드오버 시 코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im et al. SWITCH: SDN-WLAN Integrated Handover Scheme for QoS-Guaranteed Mobile Service.
KR10235082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경로 선택 방법 및 장치
WO2011123982A1 (zh) 无线异构网络中的基站、移动设备和方法
KR20050107533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세션정보를 이용한 인증방법 및 시스템
CN117998498A (zh) 网络节点和节点执行的方法及节点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