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597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597A
KR20090063597A KR1020070131026A KR20070131026A KR20090063597A KR 20090063597 A KR20090063597 A KR 20090063597A KR 1020070131026 A KR1020070131026 A KR 1020070131026A KR 20070131026 A KR20070131026 A KR 20070131026A KR 20090063597 A KR20090063597 A KR 2009006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ation
control data
base statio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568B1 (ko
Inventor
김기석
이석진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5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R-MMR 시스템에서 프레임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이 개시된다. 프레임의 DAZ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 및 OTZ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프레임의 MAP에 구성하고, 다음 프레임에서 중계국이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현 프레임을 통해 미리 중계국에 전송함으로써, 중계국을 경유한 정확하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Downlink schedul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R(Transparent)-MMR(Mobile Multi-hop Relay)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중계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국가관리번호: 2006-S-011-02, 과제명: 멀티홉 WiBro용 relay/mesh 통신 시스템 개발].
일반적으로, MMR(Mobile Multi-hop Relay) 시스템은 중계국에서 별도의 프리앰블과 MAP 정보를 전송하는 NTR(Non Transparent)-MMR 시스템과 중계국에서 별도의 프리앰블과 MAP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TR(Transparent)-MMR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TR-MMR 시스템에서 프레임의 다운링크 구간은 DAZ(Downlink Access Zone)와 OTZ(Optional Transparent Zone)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WiMax TDD(Time Division Duplexing) 프레임 구조를 TR-MMR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DAZ 구간의 버스트 정보와 OTZ 구간의 버스트 정보를 하 나의 dl_map_ie로 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운링크 구간(DAZ)과 선택적 투과 구간(OTZ)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이용하는 TR-MMR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기지국 또는 중계국으로부터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 중계국 및 이동국으로 구성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현 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1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선택적 투과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2 제어 데이터를 상기 현 프레임의 제어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 및 다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릴레이 패킷 및 상기 릴레이 패킷을 상기 다음 프레임의 선택적 투과 구간을 통해 전송하는데 필요한 제3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국에서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 중계국 및 이동국으로 구성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중계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1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선택적 투과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2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 현 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이전 프레임의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된,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상기 현 프레임의 선택적 투과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의 MAP 영역에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버스트에 대한 제어 데이터 및 선택적 투과 구간의 버스트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 구성함으로써 중계국을 경유한 데이터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동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스케줄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WiMax TDD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기반으로 하는 WiMax TDD(Time Divison Duplexing) 시스템의 프레임(100)은 기지국(Base Station)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downlink, 이하 DL) 구간(110)과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 송하는 상향링크(Uplink, 이하, UL) 구간(150)으로 나누어진다.
DL 구간(110)은 프리앰블(112), 제어 데이터의 특성을 알려주는 FCH(114), DL 버스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dl_map_ie 등과 같은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DL_MAP(116) 및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일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DL 버스트(118)로 구성되며, UL 구간(150)은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레인징(ranging) 등과 같은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영역(152)과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일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UL 버스트(154) 등으로 구성된다.
도 2는 WiMax TDD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매 프레임(예를 들어, 5msec)마다 다수의 이동국으로 전송할 패킷들을 동일한 MCS(Modulation & Coding Scheme) 레벨을 갖는 패킷으로 분류하고(S200), 동일한 MCS 레벨의 패킷들을 하나의 버스트로 구성한다(S210). 즉 기지국은 패킷들을 동일한 변조지수(Modulation Order) 및 코딩지수(Coding Order)를 갖는 그룹들로 분류하고, 동일한 MCS 레벨을 갖는 1 개 이상의 모든 패킷을 하나의 DL 버스트로 구성한다.
기지국은 DL 버스트에 대해 자원을 할당한다(S220). 즉, 기지국은 DL 버스트에 대하여 프레임에서의 특정 서브채널구간과 특정 심볼구간으로 이루어진 2차원적 자원을 할당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2차원적 자원할당정보와 특정 DL 버스트에 포함된 패킷의 수신 이동국을 구분하는 CID(Call ID)를 포함하는 dl_map_ie를 구성한다.
기지국은 특정 프레임에서 송신해야 할 모든 패킷들에 대하여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1 개 이상의 DL 버스트와 1 개 이상의 dl_map_ie를 구성하여, 프리앰블, FCH, DL_MAP, DL 버스트로 구성된 프레임의 다운링크 구간을 구성한다. 즉, 기지국은 DL 구간동안 프리앰블, FCH, 1 개 이상의 dl_map_ie, 1 개 이상의 DL 버스트를 전송한다.
그러나, TR-MMR 시스템에서 프레임의 DL 구간은 DAZ(Downlink Access Zone)구간과 OTZ(Optional Tramsparent Zone)구간으로 분리되어 사용되므로, 기지국은 DAZ 구간에서만 이동국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고, 중계국은 OTZ 구간에서만 이동국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또한 DAZ 구간과 OTZ 구간에서도 각각 동일한 MCS 레벨을 갖는 DL 버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하나의 dl_map_ie를 이용하여 DL 구간의 DAZ 구간과 OTZ 구간에 각각 존재할 수 있는 동일한 MCS 레벨의 DL 버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도 3은 WiMax TDD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프레임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제어 데이터인 dl_map_ie 내에 포함된 CID를 기초로 자신에게 전송되는 패킷이 포함된 특정 버스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프레임의 dl_map_ie를 수신하면(S300), 먼저 dl_map_ie에 자신에게 할당된 CID가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한다(S310). 자신의 C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이동국은 dl_map_ie에서 CID에 해 당하는 DL 버스트의 자원할당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버스트를 수신하고(S320), 수신된 버스트에서 CID에 해당하는 패킷을 획득한다(S330).
도 4는 WiMax TDD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dl_map_ie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CS 레벨별로 구성되는 DL 버스트마다 dl_map_ie가 존재한다. dl_map_ie는 DL 버스트의 프레임에서의 자원할당정보(심볼, 서브채널)와 해당 DL 버스트에 포함된 패킷의 CID 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프레임을 통해 다수 개의 DL 버스트와 다수개의 dl_map_ie가 전송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TR-MMR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TR-MMR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TR-MMR 시스템의 프레임(500)은 기지국(560)의 관점에서, 기지국(560)이 중계국(565) 또는 이동국(575)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DL 구간(510)과 이동국(575) 또는 중계국(565)이 기지국(56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UL 구간(550)으로 구성된다.
DL 구간(510)은 다시 기지국(560)이 중계국(565) 또는 이동국(575)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DAZ(Dlownlink Access Zone) 구간(520)과 중계국(565)이 자신의 영역에 속한 이동국(57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OTZ(Optional Transparent Zone) 구간(530)으로 구분된다.
DAZ 구간(520)은 프리앰블(521), 제어 데이터의 특성을 알려주는 FCH(522), DAZ 구간의 DL 버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dl_map_ie(523), OTZ 구간의 DL 버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dl_map_ie2(528), 기지국에서 중계국 또는 이동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DL 버스트로 구성된다.
DAZ 구간 동안 중계국(565)은 이동국처럼 동작한다. 중계국(565)은 수신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동기를 설정하고, 수신한 dl_map_ie(523)에 포함된 CID를 기초로 프레임 내에 자신에게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한다. 또한 중계국(565)은 수신한 패킷들 중에서 자신의 영역에 속한 이동국(570)에게 재전송하여야 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현 프레임(500)의 OTZ 구간(530)을 이용하여 그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처리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의 OTZ 구간을 통해 이동국(570)으로 재전송한다.
TR-MMR 시스템에서 모든 이동국들(570,575)은 WiMax 시스템의 이동국들과 동일하게 동작하며, 특히 중계국(565)의 영역에 속한 이동국(570)은 FCH(522), dl_map_ie2(528) 등과 같은 제어 데이터를 DAZ 구간(520)을 통해 기지국(560)으로부터 수신하고 일반 데이터 버스트는 OTZ 구간(530)을 통해 중계국(565)으로부터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R-MMR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크게 (a) 다음 프레임(#n+1)을 통해 중계국이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b) 현 프레임(#n)을 통해 기지국이 중계국 또는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c) 현 프레 임(#n)을 통해 중계국이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현 프레임을 스케줄링한다. 이하 각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다음 프레임(#n+1)을 통해 중계국이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S600)
먼저, 기지국은 다음 프레임(#n+1)을 통해 중계국이 자신의 영역에 속한 이동국으로 전송(즉, 중계)하여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600). 기지국은 중계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송할 1 개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중계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릴레이 패킷을 구성하고(S610), 다음 프레임(#n+1)의 OTZ 구간을 통해 중계국에서 이동국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MCS 레벨, 서브채널 구간, 심볼구간 등의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dl_map_ie2(#n+1) 또는 릴레이 정보(#n+1)를 구성하고 저장한다(S620). 그리고 기지국은 dl_map_ie2(#n+1) 또는 릴레이 정보(#n+1)를 기지국에서 중계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릴레이 메시지를 구성한다(S620). 이렇게 구성된 릴레이 패킷과 릴레이 메시지는 현 프레임(#n)을 통해 기지국에서 중계국으로 전달된다. 이때, 기지국과 중계국은 미리 설정된 MCS를 활용한다.
(b) 현 프레임(#n)을 통해 기지국이 중계국 또는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S630)
기지국은 현 프레임을 통해 기지국에서 중계국 또는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630), 모든 패킷들을 MCS 레벨에 따라 분류하고(S640), MCS 레벨에 따라 분류된 패킷들로 이루어진 데이터 버스트를 구성하고(S650), 프레임에 서 자원을 할당하고, 현 프레임에 대한 dl_map_ie(#n)를 구성한다(S660).
(c) 현 프레임(#n)을 통해 중계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S670)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현 프레임의 OTZ 구간동안 중계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한다(S670). 전송할 데이터의 존부는 이전 프레임(#n-1)에 dl_map_ie2(#n) 또는 이와 관련된 릴레이 정보(#n)가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현 프레임의 OTZ 구간을 통해 중계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이전 프레임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구성되어 저장된 dl_map_ie2(#n) 또는 릴레이 정보(#n)를 이용하여 현 프레임의 제어 데이터 영역에 FCH, dl_map_ie, dl_map_ie2(#n)가 포함되도록 프레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68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TR-MMR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프레임 중계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계국은 현 수신 프레임을 통해 제어 데이터인 dl_map_ie를 수신하고, dl_map_ie에 중계국에 할당된 ID가 포함되어 있다면(S700), dl_map_ie에서 그 ID에 해당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DL 버스트를 수신하고, 수신한 DL 버스트에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S710).
중계국은 수신한 패킷 중에 릴레이 패킷 및 릴레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파악한다(S720). 릴레이 패킷 및 릴레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음 프레임의 OTZ 구간에 전송하기 위한 릴레이 메시지를 해석하여 릴레이 정보를 파악하 고 릴레이 패킷을 저장한다(S730).
중계국은 또한 현 프레임의 OTZ 구간을 통해 중계국이 이동국으로 전송할 패킷이 있는지 판단한다(S740).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이전 프레임에서 수신한 릴레이 메시지와 저장된 릴레이 패킷을 이용하여 OTZ 구간을 통해 이동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75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에 의한 표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WiMax TDD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WiMax TDD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WiMax TDD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프레임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WiMax TDD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dl_map_ie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TR-MMR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TR-MMR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R-MMR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TR-MMR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프레임 중계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9)

  1. 기지국, 중계국 및 이동국으로 구성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현 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1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선택적 투과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2 제어 데이터를 상기 현 프레임의 제어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 및
    다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릴레이 패킷 및 상기 릴레이 패킷을 상기 다음 프레임의 선택적 투과 구간을 통해 전송하는데 필요한 제3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 영역 할당 단계는,
    상기 제2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 영역 할당 단계는,
    이전 프레임의 스케줄링에서 저장된, 상기 현 프레임의 선택적 투과 구간을 통해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제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버스트 영역 할당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할 패킷들을 MCS(Modulation & Coding Scheme) 레벨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동일한 MCS 레벨을 갖는 패킷들을 하나의 다운링크 버스트로 구성하여 상기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할당된 각 다운링크 버스트에 대한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제어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데이터, 상기 제2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제3 제어 데이터는 각각 MCS 레벨, 서브채널 구간, 심볼구간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 영역은 MAP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7. 기지국, 중계국 및 이동국으로 구성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중계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1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선택적 투과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제2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 현 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이전 프레임의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된,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상기 현 프레임의 선택적 투과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현 프레임의 다운링크 액세스 구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서 다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국이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데이터, 상기 제2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제3 제어 데이터는 각각 MCS 레벨, 서브채널 구간, 심볼구간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KR1020070131026A 2007-12-14 2007-12-1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KR10095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026A KR100953568B1 (ko) 2007-12-14 2007-12-1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026A KR100953568B1 (ko) 2007-12-14 2007-12-1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597A true KR20090063597A (ko) 2009-06-18
KR100953568B1 KR100953568B1 (ko) 2010-04-21

Family

ID=4099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026A KR100953568B1 (ko) 2007-12-14 2007-12-1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5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930B1 (ko) * 2006-03-03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108426A (ko) * 2006-04-19 2007-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66024B1 (ko) * 2006-04-19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84744B1 (ko) 2007-11-21 2009-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68B1 (ko)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5268B2 (en) Relay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0863516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AU2006325632B2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relay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6456828B2 (ja) 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及び狭帯域epdcchによるマシンタイプ通信のための仮想キャリア上のリソース割当方法
EP2395679B1 (en) Method for allocating backhaul link resources in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same
US20070237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s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stations
JP622474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方法およびノード
KR20070080367A (ko) 릴레이 스테이션을 이용한 중계 통신 방법
KR10139711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영역을 구성하는 방법
EP19625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4192B1 (ko) 중계국의 전송 타이밍 설정 방법
KR10095356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KR10088474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방법
KR101198501B1 (ko) 중계기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WO2008054149A1 (en) Method for configurating a feedback reg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3292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중계 방법
JP53877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30038784A (ko)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릴레이 시스템
KR20080081118A (ko)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레인징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20170100110A (ko) 슬롯 기반 티티아이의 액세스 링크의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67163A (ko) 무선 기지국, 중계국, 및 통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