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273A -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273A
KR20090062273A KR1020070129415A KR20070129415A KR20090062273A KR 20090062273 A KR20090062273 A KR 20090062273A KR 1020070129415 A KR1020070129415 A KR 1020070129415A KR 20070129415 A KR20070129415 A KR 20070129415A KR 20090062273 A KR20090062273 A KR 2009006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mih
network
heterogeneous network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수
홍진영
김용진
김정준
김용호
김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2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273A/ko
Publication of KR2009006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involving radio access 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e.g. MIH [Media independen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Abstract

본 발명은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에서의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 접속한 제1 망에게 주변에 위치한 이종망의 MAP에 대한 L2 계층정보와 L3(Layer 3) 계층 정보를 요청하는 제1 MIIS 신호를 전송하여 주변에 위치한 각 이종망의 MAP에 대한 L2 계층 정보와 L3 계층 정보를 포함하는 제2 MIIS 신호를 수신하고, 이종망으로의 서브넷 변경 상황을 감지하면 L2 계층 트리거를 수행하여 제2 MIIS에 포함된 상기 MAP에 대한 L2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할 이종망의 MAP를 결정하고 제2 MIIS에 포함된 상기 MAP에 대한 L3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임시주소를 생성한 후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FVH-HMIPv6를 기반으로 하는 이종망에서 이웃하는 네트워크의 MAP 발견 시간을 줄여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Figure P1020070129415
수직적 핸드오버, 고속 핸드오버, MIH, MAP

Description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Fast Vertical Handoff method in Hierarchical Mobile IPv6 us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본 발명은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Fast Vertical Handov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HMIPv6(Fast Hierarchical Handover Mobile IPv6) 기반의 이종 무선망에서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을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세대 (Third-generation, 3G) 네트워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무선 도시 영역 네트워크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네트워크의 연동과 관련된 기술 이슈로 IP 이동성, 수직적 핸드오버, 보안, 인증, 과금, QoS(Quality of Service) 및 서비스 제공 등이 있다.
이중에서 IP 이동성에 관련하여 최근에는 MIPv6(Mobile IPv6)에서의 핸드오버 지연 및 시그널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ETF(Internet Engineer Task Force)에서 고속 핸드오버 FMIPv6(Fast Handover MIPv6) 및 계층적 핸드오버 (Hierarchical Handover MIPv6, HMIPv6)를 표준화하였다.
그리고 최근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HMIPv6를 위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식이 제안되었다.
HMIPv6를 위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의 초기 방식에서는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IP 이동성을 위해 HMIPv6를 기반으로 한 이종망간 핸드오버 즉, 수직적 핸드오버(Vertical Handover HMIPv6, VH-HMIPv6)가 제안 되었다. 이 초기 방식에서는 각각의 상응하는 이종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로컬 이동성 관리를 처리하는 MAP(Media Anchor Point) 역할을 하는 새로운 개체가 정의된다.
따라서, 기존 제안된 VH-HMIPv6 방식에서, 이종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수직적 핸드오버에 대해서는 글로벌 이동성 관리가 수행되고 각각의 이종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의 수평적 핸드오버를 위해서는 로컬 이동성 관리가 수행된다. 이를 통해서, MN이 MAP 도메인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기존 MIPv6에서의 지연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 문제가 상당히 개선될 수 있었다.
그리고 수직적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해서 기존의 VH-HMIPv6 방식에 FMIPv6 기술을 적용한 FVH-HMIPv6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FVH-HMIPv6 방식은 이웃하는 이종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MAP들이 어떻게 도메인(domain) 프리픽스(prefix)와 상응하는 L2(Layer 2) 정보를 매핑하는지를 다루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기존 FVH-HMIPv6 방식에서는 MAP들이 이웃하는 이종 네트워크의 MAP들이 RtsolPr(Router Solicitation for Proxy)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PrRtAdv(Proxy Router Advertisement)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어떻게 교환하는지를 다루지 않았다.
여기서, RtsolPr은 이동노드로부터 이전 MAP까지 보내어지는 메시지로 잠재적인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를 요구한다. 그리고 RrRtAdv는 이전 MAP로부터 이동노드까지 보내어지는 메시지로 링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이종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수직적 핸드오버(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한 표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IEEE 802.21 표준화 워킹 그룹은 L3(Layer 3) 계층 하위에 위치한 이종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 특성에 무관한 이동성을 제공하는 미디어무관 핸드오버 기능(MIHF: 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이라 불리는 표준 이슈를 다뤄왔다.
MIHF의 주요 목적은 잘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종의 전송 매체에 대해 독립적인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이종 네트워크 사이의 핸드오버 발생시 사용자가 경험하는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MIHF는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직적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매우 유용한 기술이며, 미디어 무관 이벤트 서비스 (Media Independent Event Service, MIES), 미디어 무관 명령 서비스 (Media Independent Command Service, MICS)와, 미디어 무관 정보 서비스 (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Service, MIIS)를 제공한다.
이 중 MIES는 임박한 핸드오버 경고 혹은 핸드오버가 수행 완료와 같은 링크 계층(L2 계층) 정보를 상위 계층들로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성 관 리 프로토콜을 포함한 상위 계층들은 핸드오버를 예측하여 핸드오버를 돕기 위해 핸드오버가 곧 발생할 것이라는 것 혹은 막 핸드오버가 수행이 되었다는 등의 링크 계층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MIES는 이러한 요구에 따라 링크 계층 이상의 상위 계층들에게 설정된 등록 절차에 따라 링크 계층 정보를 제공한다.
MIES는 L2 계층 이하의 하위 계층들에 있는 이벤트를 발생한 개체로부터 통상 MIHF에서 종단되는 링크 이벤트(Link Event)와, MIHF에 의해서 등록한 L3 계층 이상의 상위 계층들로 전파되는 MIH 이벤트(MIH Event)로 구분될 수 있다. 발생하는 이벤트로는 "MIH Link Up", "MIH Link Down", "MIH Link Going Down" 등이 있다.
MICS는 상위 계층들과 다른 MIHF 사용자들이 링크 상태를 결정하고 다중 모드 장치의 최적화된 동작을 조정하기 위해서 L3 계층 이상의 상위계층들로부터 L2 계층 이하의 하위 계층들로 보내지는 명령들이다. MIES 서비스들과 유사하게 MICS는 링크 명령(Link Command)과 MIH 명령(MIH Command)으로 나뉘어 진다. MICS 명령의 예로는 "MIH Poll", "MIH Scan", "MIH Configure", "MIH Switch" 등이 있다.
MIIS는 어떤 지리적인 영역내의 동종 혹은 이종망에 대한 정보이다. 이동 단말의 MIHF뿐 아니라 망의 MIHF도 MIIS를 발견하고 획득 할 수 있다. MIIS는 여러 가지 다양한 정보 요소들(Information Elements, IEs)들을 포함하며, 이들 정보 요소들(IEs)은 지능적인 핸드오버 결정을 내리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MIHF를 이용하여 이종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존의 HMIPv6를 위한 고속 핸드오버를 최적화하고 개선한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에서의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이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은, 현재 접속한 제1 망에게 주변에 위치한 이종망의 MAP에 대한 L2 계층정보와 L3(Layer 3) 계층 정보를 요청하는 제1 MIIS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MAP에 대한 L2 계층 정보와 L3 계층 정보를 포함하는 제2 MIIS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이종망으로의 서브넷 변경 상황을 감지하여 L2 계층 트리거를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MIIS에 포함된 상기 MAP에 대한 L2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할 이종망의 MAP를 결정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2 MIIS에 포함된 상기 MAP에 대한 L3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임시주소를 생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1 단계는 임의의 서브넷에 접속 후 상기 이종망으로의 서브넷 변경 상황 감지 전 기간 동안 내에 이루어진다.
상기 제1 MIIS 신호는 MIH Information Request이고, 상기 제2 MIIS 신호는 MIH Information Response일 수 있으며, 이때 제2 MIIS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한 망에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 MIIS 신호에 포함한 MAP에 대한 L3 계층 정보는 해당 MAP가 관리하는 도메인 프리픽스(domain prefix)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FVH-HMIPv6를 기반으로 하는 이종망에서 이웃하는 네트워크의 MAP 발견 시간을 줄여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 노드(Mobile Node, MN)는 단말(Mobile Terminal, MT), 단말(terminal), 이동노드(Mobile Node)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Pv6 기반 이종망간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 예시도로서, HMIPv6 기반의 이종망 환경의 일 예이며, HMIPv6가 각각 적용된 3G 셀룰러 망과 IEEE 802.16e망이 혼재된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보면, MN(10)은 IEEE 802.16e망에서 3G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버를 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HMIPv6 기반으로 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는 이종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로컬 이동성 관리를 처리하는 MAP가 정의된다. MAP는 HMIPv6에서 이종망간 핸드오버시 이전 액세스 라우터(PAR: Previous Access Router)와 다음 액세스 라우터(NAR: New Access Router)가 수행했던 역할을 수행한다. IEEE 802.16e망과 3G 셀룰러 망에서는 이종 망으로의 접속을 처리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30)과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40)이 MAP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MN(10)이 접속해 있는 IEEE 802.16e망의 게이트웨(30)를 MAP_old(30)라 하고, MN(10)이 핸드오버하여 접속할 망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40)을 MAP_new(40)라 한다.
MAP(30, 40)는 FMIPv6 환경에서 이동단말을 대신하여 이종망간 핸드오버(수직적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성 지원 시그널링을 수행하고 다른 MAP와의 터널을 생성한다. 그리고 MAP(30, 40)는 MIH를 탑재하여 MIH 기반의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MN(10)은 여러 서브넷들 사이를 이동하는 노드로서, HMIPv5 통신 환경에서 고속의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하여 FVH-HMIP 스택이 탑재되어 있고, MIH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MN(10)은 예컨대 이동 전화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MN(10)은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해 제작되면 둘 이상의 인터페이스 타입을 지원하는 멀티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타입은, IEEE802.3 기반의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Wire-line) 형태의 인터페이스 타입, IEEE802.11, IEEE802.15, IEEE802.16 등과 같은 IEEE802.XX에 기반한 무선 인터페이스 타입, 또는 3GPP, 3GPP2와 같은 셀룰러(Cellular)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 타입들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타입은 전술한 타입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MN(10)의 프로토콜은 단일 모드 또는 멀티 모드별 물리계층(PHY; Layer 1)위에 매체접근제어계층(MAC; Layer 2) 위치하고, 그 위에 MIH 계층이 존재하며, MIH 계층 위에 IP 계층(Layer 3)이 위치한다. 또한 IP 계층 위에 상위 계층이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을 보인 위한 도면으로, "Predictive Mode"동작 절차를 일 예로 한 것이다.
여기서 MN(10)은 IEEE802.16e 망에서 통신을 시작하여 3G 셀룰러 망으로 수직적 핸드오버가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MN(10)은 IEEE 802.16e 망 내에서 임의의 서브넷의 기지국(BS: BaseStation)으로부터 링크 정보(즉 L2(Layer 2) 계층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3G 셀룰러 망의 기지국(Node-B)로부터 링크 정보(즉 L2 계층 정보)를 수신하고 BS의 신호가 설정치 이하로 약하면 이종망으로의 핸드오버 상황 즉, L2 트리거링이라고 판단한다(S201).
이에 MN(10)은 링크 정보를 제공한 기지국들이 담당하는 서브넷 정보를 얻기 위하여 MAP_old(30)에게 RtSolPr 메시지를 보낸다(S202).
RtSolPr 메시지를 받은 MAP_old(30) 구체적으로, MAP_old(30)의 IS는 각 기지국들에 해당하는 각 서브넷 정보(예; 기지국 ID, AR(Access Router)에 대한 라우팅 정보) 형태의 튜플을 담아 PrRtAdv 메시지를 MN(10)에게 보낸다(S203).
그러면 MN(10)은 PrRtAdv 메시지내의 라우팅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NRCoA(New Regional CoA)와 NLCoA(New Local CoA)를 생성한다(S204). 여기서, NRCoA는 계층적 네트워크에서 AR2(20) 상의 임시주소이고, NLCoA는 계층적 네트워크에서 MAP_old(30) 상의 임시주소이다.
그런 다음 MN(10)은 MAP_old(30)에게 PCoA와 NCoA를 바인딩 하도록 요구하여 MAP_old(30)로 도착하는 패킷들이 MAP_new(40)로 터널링될 수 있도록 하는 FBU(Fast Binding Update) 메시지를 보낸다(S205).
MAP_old(30)는 MN(10)이 MAP_new(40)로 핸드오버를 할 것이라는 알림메시지, 즉 HI(Handover Initiation)를 보내고(S206), HI 메시지를 받은 MAP_new(40)는 MN(10)이 생성한 NCoA의 중복검사를 수행한다. 만약 중복 검사시 적당하지 않은 NCoA일 경우에 NAR은 이동노드를 위한 임시주소를 새로 설정한다.
MAP_new(40)는 MAP_old(30)에게 HI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HAck(Handover Acknowledgement)를 보내고(S207), MAP_old(30)와 터널링한다(S208).
HACK를 받은 MAP_old(30)는 MN(10)와 MAP_new(40)에게 FBACK를 보내고(S209, S210), MAP_old(30)가 실제 NCoA의 주소로 MN(10)의 패킷을 터널링하는 것을 시작함을 알린다. 이때 MN(10)와 MAP_old(30)의 연결은 끊긴다.
MAP_old(30)로 도착한 패킷은 터널을 통해 MAP_new(40)로 포워딩되고(S211), MAP_new(40)는 수신한 패킷을 버퍼링한다(S212). 한편, 이때 MN(10)은 FBAck를 수신함에 따라 RNC1(21)로 L2 계층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L2 링크를 연결한다(S213).
MN(10)는 MAP_new(40)와의 새로운 링크가 설정되자마자 FNA(Fast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MAP_new(40)에게 보냄으로서 MN 자신이 MAP_new(40)의 네트워크에 연결됐음을 알린다(S214).
따라서 CN(50)에서 전송된 패킷은 MAP_new(40)를 통해 MN(10)으로 전송된 다(S215).
여기서, 도 2를 참조로 종래의 실시 예는 "Predictive Mode"동작 절차를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른 방법으로"Reactive Mode" 동작 절차가 있다. 이 "Reactive Mode" 동작 절차는 FBU와 FBAck 과정을 MAP_old(30) 도메인 내에서 주고 받는 "Predictive Mode"와 달리, MAP_new(40) 도메인 내에서 주고 받는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FVH-HMIPv6는 L2 계층 트리거링 이후에 핸드오버할 MAP_new를 찾기 위해 RtSolPr 메시지와 PrRtAdv 메시지를 교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러한 MAP_new를 찾는 과정은 고속 핸드오버를 위한 저해 요소로 작용한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도, 도 2와 마찬가지로 MN(10)이 IEEE802.16e 망에서 통신을 시작하여 3G 셀룰러 망으로 수직적 핸드오버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며, IS(Information Server)가 MAP(30, 40)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설명에 앞서, 종래의 FVH-HMIPv6에 따른 문제점 즉, MAP_new를 찾는 과정을 삭제(생략)하기 위한 작업을 설명한다.
MAP_new를 찾는 과정을 삭제(생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웃하는 이종 네 트워크 MAP들의 L3(Layer 3) 정보가 기존 MIHF의 MIIS에 새롭게 포함된다. 즉, 채널 범위, MAC 주소, 데이터 전송률 등과 같은 L2 정보와 같은 기존 IE(Information Element) 외에 이웃하는 이종 네트워크 MAP들의 도메인 프리픽스를 제공하기 위해 "Domain Prefix"라 불리는 L3 정보를 갖는 새로운 IE를 정의하고, 새로운 IE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수직적 핸드오버 정보(VHI: Vertical Handover Information)으로 하여 MIIS의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정적인 L2 정보(예; 기지국의 MAC 주소, 채널 범위 등의 라디오 링크 정보),는 물론 L3 정보(예; 도메인 프리픽스)를 갖는 IE를 포함하는 VHI는 IS 서버에서 생성되고 저장된다. IS 서버는 이웃하는 각 네트워크의 도메인 프리픽스에 대한 L2 식별자 해석을 위해서 MAP들에 의해 관리되는 매핑 테이블과 같이 VHI 매핑 테이블로 관리한다.
따라서, MIIS 표준 규격에 따라 MN은 IS 서버에 IE를 요청함으로써 "Domain Prefix"를 포함하는 MIIS의 메시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omain Prefix"를 포함하는 MIIS의 메시지로 "MIH Information Response"를 사용하며, 그에 따라 MN이 MIH Information Response"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MIH Information Request"가 된다. 이때 IS 서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MAP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외부에 독립적인 개체로 존재할 수 도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MN(10)은 IEEE 802.16e 망 내에서 MAP 즉, MAP_old(30)에 접속한 상태에서 3G 셀룰러 망의 새로운 MAP_new(40)에 대한 VHI(Vertical Handover Information) 정보를 얻기 위해서 현재 접속한 AR2(20)를 통해 MAP_old(30)에 "MIH Information Request"를 전송한다(S301).
그러면, MAP_old(30)는 3G 셀룰러 망의 MAP_new(40)에 대한 VHI 정보를 포함하는 "MIH Information Response"를 MN(10)에 제공한다(S302).
이때, "MIH Information" 요청 및 응답 메시지 교환 시기는 "MIH Link Going Down"과 같은 L2 트리거 이전에 아무때나 적절한 시간에 수행된다.
따라서, "MIH Information Response"를 수신한 MN(10)은 BS의 신호 세기가 약해지면, L2 트리거링이 MN의 MAC 계층에 의해 알려지며(S303), 이에 "MIH Link Going Down" 이벤트 지시 메시지를 만들고(S304), 이를 FVH-FMIPv6 프로토콜이 동작하고 있는 L3 계층에 보낸다.
그러면 MN(10)은 "MIH Information Response"에 포함된 VHI에서 이웃하는 이종망들의 MAP 에 대한 L2 계층 정보 즉, 기지국의 MAC 주소, 채널 범위 등의 라이도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할 이종망의 MAP을 선택한다. 도 3에서는 3G 셀룰러 망의 MAP를 선택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MN(10)은 이미 "MIH Information Response"의 VHI를 통해 획득한 3G 셀룰러 망의 MAP_new(40)에 연결된 Node-B의 MAC 주소 및 채널 범위 등과 같은 라디오 링크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MAP_new(40)를 발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절약된다.
이렇게 핸드오버할 이종망의 MAP를 선택하면 MN(10)은 "MIH Information Response"에 포함된 VHI에서 L3 계층 정보인 "Domain Prefix"를 이용하여 NRCoA(New Regional CoA)와 NLCoA(New Local CoA)를 생성하고(S305), MAP_old(30) 에게 FBU(Fast Binding Update) 메시지를 보낸다(S306).
MAP_old(30)는 MN(10)이 MAP_new(40)로 핸드오버를 할 것이라는 알림메시지, 즉 HI(Handover Initiation)를 보내고(S307), HI 메시지를 받은 MAP_new(40)는 MN(10)이 생성한 NCoA의 중복검사를 수행한다. 만약 중복 검사시 적당하지 않은 NCoA일 경우에 NAR은 이동노드를 위한 임시주소를 새로 설정한다.
MAP_new(40)는 MAP_old(30)에게 HI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HAck(Handover Acknowledgement)를 보내고(S308), MAP_old(30)와 터널링한다(S309).
HACK를 받은 MAP_old(30)는 MN(10)와 MAP_new(40)에게 FBACK를 보내고(S310, S311), MAP_old(30)가 실제 NCoA의 주소로 MN(10)의 패킷을 터널링하는 것을 시작함을 알린다. 이때 MN(10)와 MAP_old(30)의 연결은 끊긴다.
MAP_old(30)로 도착한 패킷은 터널을 통해 MAP_new(40)로 포워딩되고(S211), MAP_new(40)는 수신한 패킷을 버퍼링한다(S313). 한편, 이때 MN(10)은 FBAck를 수신함에 따라 RNC1(21)로 L2 계층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L2 링크를 연결한다(S314).
MN(10)는 MAP_new(40)와의 새로운 링크가 설정되자마자 FNA(Fast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MAP_new(40)에게 보냄으로서 MN 자신이 MAP_new(40)의 네트워크에 연결됐음을 알린다(S315).
따라서 CN(50)에서 전송된 패킷은 MAP_new(40)를 통해 MN(10)으로 전송된다(S316).
여기서,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Predictive Mode"동작 절차를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른 방법으로 "Reactive Mode" 동작 절차가 있다. 이 "Reactive Mode" 동작 절차는 FBU와 FBAck 과정을 MAP_old(30) 도메인 내에서 주고 받는 "Predictive Mode"와 달리, MAP_new(40) 도메인 내에서 주고 받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5)

  1. HMIPv6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사용하는 이동단말에서의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현재 접속한 제1 망에게 주변에 위치한 이종망의 MAP에 대한 L2 계층정보와 L3(Layer 3) 계층 정보를 요청하는 제1 MIIS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MAP에 대한 L2 계층 정보와 L3 계층 정보를 포함하는 제2 MIIS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이종망으로의 서브넷 변경 상황을 감지하여 L2 계층 트리거를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MIIS에 포함된 상기 MAP에 대한 L2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할 이종망의 MAP를 결정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2 MIIS에 포함된 상기 MAP에 대한 L3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임시주소를 생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임의의 서브넷에 접속 후 상기 이종망으로의 서브넷 변경 상황 감지 전 기간 동안 내에 이루어지는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MIIS 신호는 MIH Information Request이고, 상기 제2 MIIS 신호는 MIH Information Response인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3 계층 정보는 해당 MAP가 관리하는 도메인 프리픽스(domain prefix)를 포함하는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MIIS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한 망에서 제공하는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 핸드오버 방법.
KR1020070129415A 2007-12-12 2007-12-12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핸드오버 방법 KR20090062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415A KR20090062273A (ko) 2007-12-12 2007-12-12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핸드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415A KR20090062273A (ko) 2007-12-12 2007-12-12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73A true KR20090062273A (ko) 2009-06-17

Family

ID=4099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415A KR20090062273A (ko) 2007-12-12 2007-12-12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2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287A (ko) * 2009-06-25 2010-12-3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무선 아이피 프로토콜 버전 6가 적용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버 과정을 단축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CN103747495A (zh) * 2014-01-02 2014-04-23 湖南大学 一种适应于移动WiMAX网络的混合式快速切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287A (ko) * 2009-06-25 2010-12-3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무선 아이피 프로토콜 버전 6가 적용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버 과정을 단축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CN103747495A (zh) * 2014-01-02 2014-04-23 湖南大学 一种适应于移动WiMAX网络的混合式快速切换方法
CN103747495B (zh) * 2014-01-02 2017-06-27 湖南大学 一种适应于移动WiMAX网络的混合式快速切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urmi et al. Mobility management for IP-based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Review, challenge and perspective
Lei et al. Evaluating the benefits of introducing PMIPv6 for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Modares et al. A survey on proxy mobile IPv6 handover
Chuang et al. FH-PMIPv6: A fast handoff scheme in Proxy Mobile IPv6 networks
KR20090066115A (ko) 이기종망간 빠른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US8400980B2 (en) Fast hando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089489A (ko) FMIPv6에서 TCP 패킷의 끊김없는 전송을 보장하는핸드오프 방법
Magagula et al. Ieee802. 21 optimized handover delay for proxy mobile ipv6
US8374149B2 (en) Method of controlling HMIPV6 network-based handover, and access router and mobile node therefor
WO2008125050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communication sans fil pour obtenir un transfert de réseau
Magagula et al. PMIPv6-HC: Handover mechanism for reducing handover delay and packet loss in NGWN
KR20090062273A (ko)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핸드오버 방법
Chen et al. A secure relay-assisted handover protocol for proxy mobile IPv6 in 3GPP LTE systems
CN101111058A (zh) 防止切换过程中包丢失的方法和系统
Yokota et al. Mobile IPv6 fast handovers for 3G CDMA networks
Hussain et al. A novel intra-domain continues handover solution for inter-domain Pmipv6 based vehicular network
Wozniak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IP-based mobility protocols and fast handover algorithms in IEEE 802.11 based WLANs
Kim et al. Hierarchical Mobile IPv6 Based Fast Vertical Handover using IEEE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
Shih et al. A proxy-based fast handover scheme for hierarchical mobile IPv6
Lin-Li Research on Mobile IPv6 technology and handover performance optimization
Zha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seamless handover in mobile IPv6-based cellular networks
Kim et al. A fast handover scheme for proxy mobile IPv6 using IEEE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
Magagula et al. Early discovery and pre-authentication in Proxy MIPv6 for reducing handover delay
Khan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host based and network based IP mobility management schemes over IPv6 network
Kim An optimized vertical inter-MAP handover scheme for HMIPv6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