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029A - 영상 시퀀스 디스플레이에 대한 몰입감 향상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시퀀스 디스플레이에 대한 몰입감 향상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0029A KR20090060029A KR1020070127164A KR20070127164A KR20090060029A KR 20090060029 A KR20090060029 A KR 20090060029A KR 1020070127164 A KR1020070127164 A KR 1020070127164A KR 20070127164 A KR20070127164 A KR 20070127164A KR 20090060029 A KR20090060029 A KR 200900600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eground image
- image
- immersion
- saturation
- contras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2207 ret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76 siz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737 colorimetr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6 linear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GVCLZRQOUEZHG-UHFFFAOYSA-N sigmodal Chemical group CCCC(C)C1(CC(Br)=C)C(=O)NC(=O)NC1=O ZGVCLZRQOUEZ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676 system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4—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local image properties, e.g.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 H04N5/2226—Determination of depth image, e.g. for foreground/background sepa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칼라 스페이스 | 명도 | 채도 | 색조 |
CIECAM02 | Lightness(J) | Choma(C) | Hue(H) |
CIELAB | Lightness(L) | Choma(C) | Hue(H) |
HSV | Brightness(B or V) | Saturation(S) | Hue(H) |
Claims (22)
- 입력 영상의 프레임마다 전경 이미지를 확인하는 전경 이미지 확인부;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을 추출하는 전경 이미지 특성 추출부;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대비 스레시홀드(contrast threshold)를 확인하는 대비 스레시홀드 확인부; 및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 또는 상기 대비 스레시홀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몰입감 향상(immersive enhancement)을 처리하는 몰입감 향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경 이미지 확인부는,상기 입력 영상의 배경 이미지에 대해 칼라 정보 및 평활도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상기 칼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의 경계를 검출하는 경계 검출부; 및상기 평활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경계를 평활(smooth)하는 경계 평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경 이미지 특성 추출부는,상기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전경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역을 확인하는 영역 확인부; 및상기 전경 이미지의 평균 명도 및 평균 채도를 계산하는 명도 및 채도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 및 영역은 망막 이심률(human retinal eccentricity)에 대응하는 각도(degree)의 단위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대비 스레시홀드 확인부는,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 중 망막 이심률 및 반영 망막 크기(reflected retina size)에 영향을 주는 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 및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비 스레시홀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몰입감 향상 처리부는,상기 대비 스레시홀드 및 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대비를 향상시키는 대비 향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대비 향상부는,시그모이달(sigmoidal)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평균 명도에 대한 대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몰입감 향상 처리부는,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채도 스케일을 확인하는 채도 스케일 확인부; 및상기 채도 스케일에 기초하여 입력된 전경 이미지의 평균 채도를 향상시키는 채도 향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채도 스케일 확인부는,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 중 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 및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채도 스케일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영상 또는 출력 영상에 대한 칼라 스페이스를 변환하는 칼라 스페이스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칼라 스페이스 변환부는,RGB(Red, Green, Blue)에 기반한 칼라 스페이스와 인간의 지각 특성(human perceptual attribute)에 기반한 칼라 스페이스간의 변환을 처리하고,상기 지각 특성은 명도, 채도 및 색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입력 영상의 프레임간에 전경 이미지의 이동 정보를 확인하는 이동 정보 확인부; 및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몰입감 향상을 처리하는 몰입감 향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정보 확인부는,상기 프레임마다 상기 전경 이미지가 포함하는 픽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및상기 프레임마다 상기 전경 이미지의 픽셀 수에 대한 전체 픽셀 수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영역을 확인하는 영역 확인부를 포함하고,상기 위치 및 상기 영역은 각도의 단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 및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몰입감 향상 처리부는,상기 위치 및 상기 영역에 기초하여 대비 스레시홀드를 계산하는 대비 스레시홀드 계산부; 및상기 위치, 상기 영역 및 상기 대비 스레시홀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명도에 대한 대비를 향상시키는 대비 향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 및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몰입감 향상 처리부는,상기 위치 및 상기 영역에 기초하여 채도 스케일을 확인하는 채도 스케일 확인부; 및상기 채도 스케일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채도를 향상시키는 채도 향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시스템.
- 입력 영상의 프레임마다 전경 이미지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대비 스레시홀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 또는 상기 대비 스레시홀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몰입감 향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입감 향상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을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상기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전경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상기 전경 이미지의 평균 명도 및 평균 채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대비 스레시홀드를 확인하는 상기 단계는,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 중 망막 이심률 및 반영 망막 크기에 영향을 주는 상기 전경 이미지의 위치 및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비 스레시홀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 또는 상기 대비 스레시홀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몰입감 향상을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상기 대비 스레시홀드 및 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대비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대비 스레시홀드 및 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대비를 향상시키는 상기 단계는,시그모이달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의 평균 명도에 대한 대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 또는 상기 대비 스레시홀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몰입감 향상을 처리하는 상기 단계는,상기 전경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채도 스케일을 확인하는 단계; 및상기 채도 스케일에 기초하여 입력된 전경 이미지의 평균 채도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영상 또는 출력 영상에 대한 칼라 스페이스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입력 영상 또는 출력 영상에 대한 칼라 스페이스를 변환하는 상기 단계는,RGB에 기반한 칼라 스페이스와 인간의 지각 특성에 기반한 칼라 스페이스간의 변환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 향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164A KR101329136B1 (ko) | 2007-12-07 | 2007-12-07 | 영상 시퀀스 디스플레이에 대한 몰입감 향상 방법 및시스템 |
US12/061,921 US8295539B2 (en) | 2007-12-07 | 2008-04-03 | Method and system of immersive sensation enhancement for video sequence display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164A KR101329136B1 (ko) | 2007-12-07 | 2007-12-07 | 영상 시퀀스 디스플레이에 대한 몰입감 향상 방법 및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0029A true KR20090060029A (ko) | 2009-06-11 |
KR101329136B1 KR101329136B1 (ko) | 2013-11-14 |
Family
ID=4072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7164A KR101329136B1 (ko) | 2007-12-07 | 2007-12-07 | 영상 시퀀스 디스플레이에 대한 몰입감 향상 방법 및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295539B2 (ko) |
KR (1) | KR10132913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8601B1 (ko) * | 2008-01-31 | 2014-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응적인 임장감 향상 예측에 따른 임장감 향상 시스템 및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38672A1 (ko) | 2016-02-12 | 2017-08-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US11557265B2 (en) * | 2020-11-13 | 2023-01-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erceptual color enhancement based on properties of responses of human vision system to color stimulu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09425A (en) * | 1988-09-30 | 1992-04-28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machine vision |
AUPO894497A0 (en) | 1997-09-02 | 1997-09-25 | Xenotech Research Pty Ltd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US7003154B1 (en) * | 2000-11-17 | 2006-02-21 |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 Adaptively processing a video based on content characteristics of frames in a video |
DE10204500A1 (de) * | 2002-02-03 | 2003-08-14 | Fraunhofer Ges Forschung | Echtzeitfähiges Erkennungs- und Kompensationsverfahren von Beleuchtungsschwankungen in digitalen Farbbildsignalen |
US7033025B2 (en) * | 2002-05-17 | 2006-04-25 | Virtocc, Inc. | Interactive occlusion system |
KR20070068729A (ko) | 2005-12-27 | 2007-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미지 데이터 표시방법 |
JP2007226553A (ja) * | 2006-02-23 | 2007-09-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画像合成装置 |
-
2007
- 2007-12-07 KR KR1020070127164A patent/KR10132913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4-03 US US12/061,921 patent/US8295539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8601B1 (ko) * | 2008-01-31 | 2014-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응적인 임장감 향상 예측에 따른 임장감 향상 시스템 및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9136B1 (ko) | 2013-11-14 |
US8295539B2 (en) | 2012-10-23 |
US20090147986A1 (en) | 2009-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6596B1 (ko) | 이차원 정지 화상에 대해 몰입감을 생성하는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상기 몰입감 생성을 위한 팩터 조절 방법,이미지 콘텐트 분석 방법 및 스케일링 파라미터 예측 방법 | |
Smith et al. | Apparent greyscale: A simple and fast conversion to perceptually accurate images and video | |
KR101437195B1 (ko) | 코딩된 화상 및 영상에서 블록 아티팩트 검출 | |
US8538147B2 (en) | Methods and appartuses for restoring color and enhancing electronic images | |
CN107705264B (zh) | 一种图像处理方法、电子设备以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 |
CN102867295B (zh) | 一种彩色图像颜色校正方法 | |
WO2019092463A1 (en) | Video image processing | |
US9947258B2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JP2015162718A (ja) |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電子機器 | |
CN113132696B (zh) | 图像色调映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CN108711142B (zh) | 图像处理方法及图像处理装置 | |
CN109523469B (zh) | 图像缩放方法和装置 | |
CN113344836A (zh) | 人脸图像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 |
CN105913460A (zh) | 一种肤色检测方法及装置 | |
CN102567969B (zh) | 一种彩色图像边缘检测方法 | |
CN113301409A (zh) | 视频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 |
CN101329762A (zh) | 基于内容相关图像尺寸调整的保真度评测方法 | |
KR101329136B1 (ko) | 영상 시퀀스 디스플레이에 대한 몰입감 향상 방법 및시스템 | |
US20160345887A1 (en) | Moisture feeling evaluation device, moisture feeling evaluation method, and moisture feeling evaluation program | |
KR20070090224A (ko) | 전자 색 이미지 채도 처리 방법 | |
Lee et al. | Contrast-preserved chroma enhancement technique using YCbCr color space | |
US20240046836A1 (en) | Image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es, electronic devices and storage media | |
CN109348219B (zh) | 一种不同结构下图像转换的方法及图像转换装置 | |
TW201032578A (en) | Method for enhancing image contrast | |
EP3503017A1 (en) | Method and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