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437A -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437A
KR20090059437A KR1020070126300A KR20070126300A KR20090059437A KR 20090059437 A KR20090059437 A KR 20090059437A KR 1020070126300 A KR1020070126300 A KR 1020070126300A KR 20070126300 A KR20070126300 A KR 20070126300A KR 20090059437 A KR20090059437 A KR 20090059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tone
sound
para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6883B1 (ko
Inventor
유재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8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 모드 수행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면, 음성 파라메타들을 포함하는 음성 모델을 확인하는 과정;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상기 음성 파라메타들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도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음성 모델, 추출부, 잡음 제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COMMUNICATION MOD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와 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로는 음성 통화 기능, 화상 통화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카메라 기능, MP3 기능, 휴대 인터넷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중 휴대 단말기의 음성 통화 기능은 사용자가 상대방을 직접 만나지 않고도, 음성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음성 통화 기능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음성 통화 기능을 사용할 때, 주변 환경이 시끄러운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뿐만 아니라 주변의 잡음까지 상대방에게 전달되어,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의 잡음을 제거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능 수행 방법은 통화 모드 수행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면, 음성 파라메타들을 포함하는 음성 모델을 확인하는 과정;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상기 음성 파라메타들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음성 파라메타들을 포함하는 음성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상기 음성 파라메타들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오디오 처리부; 통화 모드시 잡음 제거 모드기 선택되면,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향 신호에서 상기 음성 파라메타들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여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가 수행될 때, 주변 환경의 조건에 따라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환경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휴대 단말기를 통한 음성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변 환경이 시끄러운 곳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한 음성 통화를 수행할 때, 잡음 제거 모드를 선택하면, 상대방에게 주변 환경의 잡음이 제거된 사용자의 음성만을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는 모든 소리 신호이며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의미한다. 여기서 소리 신호는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및 휴대 단말기가 위치한 주변 환경에서 발생되는 모든 소리를 의미한다. 또한 '음성 신호'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의미한다.
'음향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에 입력된 아날로그 소리 신호가 디지털 소리 신호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소리 신호가 디지털 소리 신호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음성 모델'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추출하기 위해 미리 저장되는 음성 파라메타들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음성 모델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를 사용자의 음색, 음의 높이, 음의 세기 및 사용자가 말하는 중간에 쉬는 타이밍별로 분석하여 설정된 음성 파라메타들을 의미한다. 여기서 음성 파라메타들은 음색 파라메타, 음높이 파라메타, 음세기 파라메타, 타이밍 파라메타를 포함한다.
'음성 통화 모드'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드로 일반적인 음성 통화 모드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 모드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저장부(140), 제어부(150), 입력부(160)로 구성된다. 도 1a는 도 1b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주파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송수신 기능을 분리하는 듀플렉서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하는 송신부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음성 통화 모드시, 무선 통신부(110)는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음향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며,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20)는 음색 추출부(121), 음높이 추출부(123), 음세기 추출부(125), 타이밍 추출부(127)를 구비한다.
여기서 오디오 처리부(12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다시 말해 오디오 처리부(120)는 통화 모드 수행시 제거 잡음 모드가 선택되면, 오디오 처리부(130)는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구비된 추출부들(121, 123, 125, 127)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에 구비된 추출부들(121, 123, 125, 127)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만을 추출할 때, 각 추출부들(121, 123, 125, 127)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성 모델과 입력된 음향 신호를 비교하여, 음성 모델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한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20)는 마이크와 마이크 앰프(132)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각 추출부들(121, 123, 125, 127)을 통하지 않고, 바로 마이크 앰프(132)로 전송할 수 있다.
음색 추출부(121)는 음색 검출부와 음색 필터로 구성되며,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음색 검출부를 통해 음색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서 음색 필터를 통해 음성 모델에 해당하는 음색 신호만을 추출한다. 다시 말해 음색 추출부(121)는 음색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음색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모든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서 음성 모델로 설정된 음색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음색 필터에서 사용자의 음색에 해당하는 음색 신호를 추출한다.
음높이 추출부(123)는 음높이 검출부와 음높이 필터로 구성되며,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음높이 검출부를 통해 음높이 신호만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서 음높이 필터를 통해 음성 모델에 해당하는 음높이 신호만을 추출한다. 다시 말해 음높이 추출부(123)는 음높이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음높이 파라 메타에 해당하는 모든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서 음성 모델로 설정된 음높이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음높이 필터에서 사용자의 음높이에 해당하는 음높이 신호를 추출한다.
음세기 추출부(125)는 음세기 검출부와 음세기 필터로 구성되며,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음세기 검출부를 음세기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모든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서 음성 모델로 설정된 음세기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음세기 필터에서 사용자의 음세기에 해당하는 음세기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타이밍 추출부(127)는 타이밍 검출부와 타이밍 필터로 구성되며, 입력되 음향 신호에서 타이밍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모든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서 음성 모델로 설정된 타이밍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타이밍 필터에서 사용자의 타이밍 신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타이밍 신호는 사용자가 말하는 도중에 쉬는 시간에 해당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오디오 처리부(120)는 각 추출부에서 추출된 음색 신호, 음높이 신호, 음세기 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합성기(131)를 통해 음성 신호로 합성하고, 마이크 앰프(132, MIC Amp)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시킨 후, A/D변환기(135)를 통해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오디오 처리부(120)는 하이패스 필터(134, HPF)를 통해 음성 데이터에서 고역대의 주파수만 추출하여, 송신 이득 조절기(135, Tx gain)를 통해 대역폭을 확장시킨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20)는 대역폭이 확장된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150)에 구비된 보코더(151, Vocoder)로 제공한다.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 출력시,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50)에 구비된 보코더(151)를 통해 전송된 음향 데이터에서 하이패스 필터(136,HPF)를 통해 고역대의 주파수만을 추출하고, 수신 이득 조절기(137, Rx gain)를 통해 대역폭을 확장시킨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20)는 D/A 변환기(138)를 통해 음향 데이터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리시버 앰프(139, RCV Amp)를 통해 음향 신호를 증폭시킨 후,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40)는 오디오 처리부(120)에서 음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음성 모델을 저장한다. 여기서 음성 모델은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색 파라메타, 음높이 파라메타, 음세기 파라메타, 타이밍 파라메타별로 분석한 음성 파라메타들을 의미한다. 이렇게 분석된 음성 파라메타들은 잡음 제거 모드시 오디오 처리부(120)에서 각 추출부(121,123, 125, 127)별로 음성 신호를 추출할 때 사용된다.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태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통화 모드 수행 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면,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음성 신호만을 추출한다. 제어부(150)는 이렇게 추출된 음성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음성 신호를 음성 모델로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보코더(151, Vocoder)를 구비한다. 여기서 보코더(151)는 오디오 처리부(120)에서 입력된 음향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압축하거나, 무선 통신부(151)로부터 전송된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부(12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60)는 터치패드 또는 일반적인 키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60)는 통화 모드 수행시 잡음 제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입력부(160)를 통해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추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성 모델을 통해 음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추출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음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210단계에서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220단계에서 입력부(160)를 통해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 명에서 통화 모드를 수행 중에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음성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이렇게 추출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60)에 구비된 기능키를 입력하거나, 메뉴 등을 선택하여 잡음 제거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220단계에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판단하고, 230단계에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성 모델을 확인한다. 여기서 음성 모델은 사용자의 음성이 분석된 음성 파라메타들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음성 모델은 음성 신호를 음색, 음높이, 음세기, 타이밍별로 분석하여 설정된 음성 파라메타들을 의미한다. 여기서 음성 모델은 오디오 처리부(120)에 구비된 각각의 추출부(121, 123, 125, 127)에서 음향 신호에서 음성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모델을 확인한 제어부(150)는 240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음성 모델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만을 추출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50)는 오디오 처리부(120)에 구비된 각각의 추출부를 제어하고,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음성 모델과 비교하여, 입력된 음향 신호에서 음성 모델에 해당하는 음색 신호, 음높이 신호, 음세기 신호 및 타이밍 신호로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각각의 추출부들(121, 123, 125, 127)을 통해 추출된 신호들을 합성하여, 음성 신호로 처리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250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추출 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260단계에서 통화 모드가 종료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60)에 구비된 통화 종료키 입력 등의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통화 모드를 종료한다. 만약에 통화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220단계에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어있는지 판단한다.
그러나 220단계에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270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변환된 음향 데이터를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모델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부(160)에 구비된 기능키를 입력하거나, 메뉴 등을 통해 음성 모델 설정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3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음성 모델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320단계에서 음성 모델 녹음창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330단계에서 녹음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입력부(160)에 구비된 확인키 등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이를 녹음 시작 명령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오디오 처리부(120)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 모델로 사용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340단계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서 음성 모델로 사용 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단어, 문장 등을 발음하여, 음성 신호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상대방과 통화 중에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만을 녹음하고,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350단계에서 녹음 완료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음성 모델로 사용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한 후, 입력부(160)를 통해 확인키 등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이를 녹음 완료 명령으로 판단한다.
녹음 완료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360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 파라메타별로 분석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50)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색에 해당하는 음색 파라메타, 음높이에 해당하는 음높이 파라메타, 음세기에 해당하는 음세기 파라메타, 타이밍에 해당하는 타이밍 파라메타로 분석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370단계에서 분석된 음성 파라메타들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음성 파라메타들은 음성 모델로 설정되며, 통화 수행 중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면, 입력된 음향 신호에서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음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모델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2)

  1. 통화 모드 수행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면, 음성 파라메타들을 포함하는 음성 모델을 확인하는 과정;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상기 음성 파라메타들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화 기능 수행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음향 신호에서 설정된 음색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음색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음향 신호에서 설정된 음높이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음높이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음향 신호에서 설정된 음세기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음세기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음색 신호, 음높이 신호, 음세기 신호를 합성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수행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음향 신호에서 설정된 타이밍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수행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모델은
    사용자의 음성을 음색 파라메타, 음높이 파라메타, 음세기 파라메타 및 타이밍 파라메타별로 분석하여 저장된 상기 음성 파라메타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수행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능 수행 방법.
  6. 설정된 음성 파라메타들을 포함하는 음성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서 상기 설정된 음성 파라메타들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오디오 처리부;
    통화 모드시 잡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향 신호에서 상기 설정된 음성 파라메타들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여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음향 신호에서 음색 신호를 추출하는 음색 추출부, 상기 음향 신호에서 음높이 신호를 추출하는 음높이 추출부 및 상기 음향 신호에서 음세기 신호를 추출하는 음세기 추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들은
    상기 음향 신호에서 각각의 음성 파라메타별로 신호들을 검출하는 검출부들 및 상기 검출된 신호들에서 설정된 음성 파라메타들에 해당하는 신호들을 추출하는 필터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타이밍 신호를 추출하는 타이밍 추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 추출부는
    상기 음향 신호에서 타이밍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신호에서 설정된 타이밍 파라메타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를 추출하는 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음색 신호, 상기 음높이 신호, 상기 음세기 신호 및 상기 타이밍 신호 중 적어도 두 개를 합성하여 상기 음성 신호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파라메타별로 분석하고, 분석된 음성 파라메타들을 상기 음성 모델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음 제거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26300A 2007-12-06 2007-12-06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10138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300A KR101386883B1 (ko) 2007-12-06 2007-12-06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300A KR101386883B1 (ko) 2007-12-06 2007-12-06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437A true KR20090059437A (ko) 2009-06-11
KR101386883B1 KR101386883B1 (ko) 2014-04-29

Family

ID=4098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300A KR101386883B1 (ko) 2007-12-06 2007-12-06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8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4645B2 (en) 2009-07-17 2015-07-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sound sourc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60139776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8066731A1 (ko) * 2016-10-07 2018-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921B1 (ko) * 1998-09-09 2001-07-12 윤종용 이동 전화기의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633985B1 (ko) * 2004-05-04 2006-10-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말기에서의 에코 및 잡음 제거 장치
KR20060069689A (ko) * 2004-12-18 2006-06-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잡음 제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4645B2 (en) 2009-07-17 2015-07-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sound sourc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60139776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8066731A1 (ko) * 2016-10-07 2018-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방법
US10652397B2 (en) 2016-10-07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all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883B1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667B2 (en)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audio streaming
US8972251B2 (en) Generating a masking signal on an electronic device
US20150199977A1 (en)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of an audio signal
US20110237295A1 (en) Hearing aid system adapted to selectively amplify audio signals
EP2528356A1 (en) Voice dependent compensation strategy
JP2009020291A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JP2009178783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13170B1 (ko) 전화통화시 잡음을 제거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JP7197992B2 (ja) 音声認識装置、音声認識方法
US11516599B2 (en) Personal hearing device, external acoustic processing device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589173B2 (en) Hearing aid comprising a record and replay function
KR10138688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통화 기능 수행 방법
US8768406B2 (en) Background sound removal for privacy and personalization use
US7020292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cognizing an audio input and muting an audio device
JP5251588B2 (ja) 携帯電話端末装置及び通話伝達の判断方法
CN109511040B (zh) 一种耳语放大方法、装置及耳机
US9355648B2 (en) Voice input/output device, method and programme for preventing howling
US11924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analytics for communications in walkie-talkie network
KR2012001670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205462A1 (en) Method of transmiting data and a device and system thereof
JPH10240283A (ja) 音声処理装置及び電話装置
JP2010010856A (ja) ノイズキャンセル装置、ノイズキャンセル方法、ノイズキャンセルプログラム、ノイズキャンセルシステム、及び、基地局
JP2015002386A (ja) 通話装置、音声変更方法、及び音声変更プログラム
JP2012194295A (ja) 音声出力システム
KR10065151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