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209A -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209A
KR20090059209A KR1020070125926A KR20070125926A KR20090059209A KR 20090059209 A KR20090059209 A KR 20090059209A KR 1020070125926 A KR1020070125926 A KR 1020070125926A KR 20070125926 A KR20070125926 A KR 20070125926A KR 20090059209 A KR20090059209 A KR 20090059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endoscope tube
force
user
hap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266B1 (ko
Inventor
이두용
우현수
구윤진
유인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12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2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실제 내시경을 그대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조작에 따른 촉감 및 기능적인 감각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기본적인 소화기 내시경 시술의 운동 및 반력은 충실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힘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보다 정밀하게 실제와 유사한 느낌을 제공하는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Haptic Interface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Simulators}
이 발명은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터에서 사용자에게 촉감과 역감에 있어 실제 소화기 내시경 시술을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보다 정밀하게 제공해 주는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 내시경 시술의 경우 내시경 끝단의 카메라를 통해서 시술자에게 전달되는 정보가 매우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소화기 내시경에서 전해지는 촉감과 역감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소화기 내시경 시술을 모사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는 현실감 있는 그래픽 구현과 더불어 시술자에게 촉감과 역감을 실제에 충실하게 구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단단한 링크와 비교적 한정된 운동범위를 갖는 기존의 상용 햅틱장치로는 길고 유연한 튜브를 이용하는 소화기 내시경 시술의 느낌과 역감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었고, 최근에는 소화기 내시경 시술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햅틱장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있어 왔다.
일본의 나고야 대학에서 2001년에 개발한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터를 위한 2자유도 햅틱장치는 두 쌍의 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고무공과 실제 내시경 튜브 사이의 마찰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직선과 롤(roll)방향의 반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위스의 로잔공과대학에서는 2005년에 마찰 벨트구동과 차동기어를 이용한 2자유도 햅틱장치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반력구현을 위해 고무공 혹은 벨트와 내시경 튜브 사이의 마찰을 이용한 이런 메커니즘은 큰 반력을 전달하고자 할 때 고무공 혹은 벨트를 내시경 튜브와 강하게 밀착시켜야 했으며, 이는 햅틱장치의 역장동성(back-drivability)과 투명성(transparency)에 있어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독일의 만하임 대학에서는 2003년에 내시경 끝단을 긴 컨베이어 벨트 위를 움직이는 왕복대에 고정한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터용 2자유도 햅틱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는 직선과 롤 방향의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지만, 직선 방향의 관성이 너무 크고 롤 방향으로 구현 가능한 반력의 크기가 너무 작다는 한계가 있었다. KAIST에서는 2005년에 기존의 방법들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레일과 길이가 조절되는 접힘 가이드를 함께 이용하는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터용 2자유도 햅틱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치는 내시경 튜브에 직선과 롤 방향의 두 개의 자유도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으면서 독립된 큰 힘을 낼 수 있었다. 하지만, 내시경 튜브에 연결된 내시경 손잡이가 실제 내시경 손잡이와 촉감적인 면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다르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과 시뮬레이터의 훈련 효율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2006년에 KAIST에서 새롭게 개발된 햅틱장치는 실제 내시경을 그대로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반력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었으나, 기어를 이용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회전방향으로 큰 반력을 구현할 때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힘과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위치가 사용자의 움직임 축에서 벗어나 있어 사용자의 힘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터를 상용화한 대표적인 회사로는 미국의 Immersion 사와 이스라엘의 Simbionix 사가 있으며, 두 회사의 시뮬레이터 모두 사용자에게 반력을 전달하기 위한 햅틱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Immersion 사의 햅틱장치는 큰 원통에 삽입된 내시경 튜브를 감아서 반력을 구현하는 방식이며, 직선 방향의 작은 반력구현만이 가능하고 반응시간이 길다는 문제가 있었다. Simbionix 사의 햅틱장치는 가상의 대장 모델과 삽입된 내시경 튜브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반력을 구현하였지만, 시뮬레이터에서 계산된 반력을 정교하게 구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뮬레이터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실제 내시경을 그대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조작에 따른 촉감 및 기능적인 감각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기본적인 소화기 내시경 시술의 운동 및 반력은 충실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힘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보다 정밀하게 실제와 유사한 느낌을 제공하는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내시경 튜브의 일단이 고정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내시경 튜브의 직선운동에 대한 반력을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의 제어기에서 제공받아 내시경 튜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직선 운동부와; 직선 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내시경 튜브의 롤방향 회전운동에 대한 반력을 제어기에서 제공받아 내시경 튜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롤 회전 운동부; 및 내시경 튜브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직선 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시경 튜브의 직선운동 및 롤방향 회전운동에 따른 구동력을 감지하여 제어기에 제공하는 구동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롤 회전 운동부 는 구동력 감지부와 결합되어 일체로 작동하는 제1 회전부와, 제1 회전부와 와이어 결합되어 와이어 구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에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1, 제2 회전부는 속이 빈 제1, 제2 원통체일 수 있다. 이 때, 제1 원통체는 제2 원통체에 비해 그 직경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동력 감지부는 회전방향의 토크와 직선방향의 힘을 각각 측정할 수 있는 토크센서 및 힘센서와, 내시경 튜브에 고정되며 토크센서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토크센서와 힘센서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힘센서를 직선 운동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힘센서는 구동력 감지부의 축의 비틀어짐을 방지하도록 2개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실제 내시경 튜브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기존에 연구된 소화기 내시경 수련용 시뮬레이터와는 달리 사용자가 느끼는 힘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보다 정밀하게 시술자에게 실제와 유사한 촉감과 역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이 발명은 실험을 통해 2개의 힘센서와 1개의 토크센서를 이용한 새로운 힘 측정방식이 사용자가 느끼는 힘을 치우침(bias)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롤방향에 새롭게 적용된 와이어 고정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움직임의 자유를 보장하면서 노이즈 없이 큰 반력까지 구현할 수 있음도 확인하였 다.
이 발명의 햅틱장치는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기에 충분한 최대 60N 이상의 힘과 0.3Nm 이상의 토크를 사용자에게 전해줄 수 있으며, 이러한 크기는 이 발명에서의 제1 모터에 연결된 모터축의 직경, 그리고 제2 모터에 연결된 원통체 등을 이용하여 더욱 크게 또는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을 적용한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실제 환자에게 사용하게 될 내시경 환경과 동일 유사한 조건에서 수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훈련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통상의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시뮬레이터(100)와 햅틱 제어기(200) 및 햅틱장치(3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픽 시뮬레이터(100)는 사용자(400)가 소화기 내시경을 삽입하여 카메라를 통해 인체 소화기를 보는 것과 같은 영상을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햅틱 제어기(200)는 그래픽 시뮬레이터(100)에서 계산된 힘 반력 명령에 맞게 햅틱장치(300)를 제어하며, 햅틱장치(300)의 운동정보를 그래픽 시뮬레이터(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햅틱장치(300)는 사용자(400)가 조작함에 따라 작동하여 그 정보를 햅틱 제어기(200)에 제공하고, 그에 따라 햅틱 제어기(200)에서 제공되는 반력을 사용자(400)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범용 햅틱장치는 6자유도의 입력과 힘 반력을 구현하면서도 충분히 큰 힘과 넓은 운동범위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효율성을 위해서는 대상작업에 따라 햅틱장치의 자유도, 힘 및 운동범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소화기 내시경은 식도나 항문과 같은 고정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므로 6개의 자유도가 모두 구현될 필요까지는 없으며, 단지 직선방향과 롤방향의 2자유도를 이용하더라도 기본적인 소화기 내시경 시술의 운동을 표현할 수가 있다. 즉, 내시경 시술의 특성상 직선방향은 내시경 길이만큼의 운동 범위를 구현하고, 롤방향은 무한대의 운동범위를 구현할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햅틱장치는 소화기 내시경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직선운동과 롤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어깨 운동에 적합한 삽입방향의 큰 작업공간과, 손목운동에 적합한 롤방향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삽입 방향과 롤방향에서 큰 힘의 반력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운동 사이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각 자유도의 독립적인 설계가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햅틱장치의 직선 운동부 및 롤 회전 운동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햅틱장치의 롤 회전 운동부의 구성관계를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햅틱장치(300)는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에서의 내시경 튜브의 삽입방향 직선운동을 구현하는 직선 운동부(310)와, 내시경 튜브의 롤방향 회전운동을 구현하는 롤 회전 운동부(320)와, 내시경 튜브에 가해지는 구동력(회전 토크, 직선방향 힘)을 감지하는 구동력 감지부(330)와, 내시경 튜브의 접힘을 가이드하는 접힘 가이드부(34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부(350)로 구성된다. 즉, 이 실시예의 햅틱장치(300)는 일정 너비와 길이를 갖는 지지 밑판(351)과, 지지 밑판(351)의 양 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접합되는 한 쌍의 지지 측판(352)으로 구성되는 지지부(350)를 통해, 직선 운동부(310), 롤 회전 운동부(320), 구동력 감지부(330) 및 접힘 가이드부(3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운동부(310)는 직선 움직임으로 가이드해 주는 가이드부와, 직선 움직임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나눌 수 있다. 가이드부는 일단이 고정된 내시경 튜브(360)가 거동함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봉(311)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판(312)을 포함한다. 이동판(312)의 양 단부부위에는 한 쌍의 가이드 봉(311)을 따라 마찰 없이 부드러운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볼 부시 베어링(313)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봉(311)의 양 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측판(352)에 각각 지지되고, 내시경 튜브(360)의 타측은 한 쪽의 지지 측판(352)을 관통하여 자유롭게 거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동판(312)은 사용자가 내시경 튜브(360)를 당기거나 밀면 한 쌍의 가이드 봉(311)을 따라 원활하게 직선 운동하게 된다. 내시경 튜브(360)는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는 절곡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지만 롤방향에 대해서는 변형되지 않는 실제의 내시경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판(312)은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이동판(312)의 양 측부에는 고정판(314)이 각각 고정되고, 고정판(314)의 어느 한 쪽에는 제1 모터(315)가 고정되며, 제1 모터(315)의 모터 축(316)은 고정판(31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 제1 모터(315)와 대향하는 고정판(314)과 모터 축(316)의 사이에는 마찰력을 줄이도록 베어링(도시안됨)이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모터(315)는 햅틱 제어기(200)에서 제공되는 반력을 내시경 튜브(360)를 파지상태로 조작하는 사용자(400)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판(314)의 하부에는 바퀴의 역할을 하도록 베어링(318)이 장착되어 있어, 이동판(312)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직선 운동부(310)의 구동부는 와이어 구동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모터 축(316)에 와이어(317)를 4 ~ 5 바퀴 감은 후 와이어(317)의 양 단부를 지지 밑판(351)의 양 단부부위에 각각 고정한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방식은 통상의 햅틱장치에 널리 이용되는 방식으로서, 역작동성(back-drivability)을 보장하고 백래시(backlash)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회전 운동부(320)는 와이어 구동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동판(312)의 후방 윗부분에는 와이어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원통체(322)(제1 회전부)가 설치되고, 전방 아랫부분에는 토크를 발생하 기 위한 제2 모터(321)가 설치되며, 후방 아랫부분에는 제1 원통체(322)와 쌍을 이루는 작은 크기의 제2 원통체(323)(제2 회전부)가 설치된다.
구동력 감지부(330)는 사용자가 내시경 튜브에 가하는 구동력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이동판(312)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 구동력 감지부(330)는 직선방향의 힘과 회전방향의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힘센서(331), 토크센서(332)와, 내시경 튜브(360) 및 이들 센서(331, 332)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제2, 제3 연결부(333, 334, 335)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연결부(333)는 내시경 튜브(360)에 나사 조임 방식으로 고정되며 토크센서(332)와 연결되는 역할을 하고, 제2 연결부(334)는 토크센서(332)와 힘센서(33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제3 연결부(335)는 힘센서(331)와 이동판(312)을 연결하되 힘센서(331)가 이동판(3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구동력 감지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내시경 튜브에 구동력(롤방향의 토크, 직선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일체로 작동한다.
여기서, 힘센서(331)는 도 1의 사용자(400)가 내시경 튜브(360)를 조작함에 따른 직선운동 정보를 햅틱 제어기(200)에 제공하고, 토크센서(332)는 롤방향 회전운동 정보를 햅틱 제어기(200)에 제공한다.
토크센서(332)는 내시경 튜브(360)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중심부에 구멍을 갖는 형태를 가지며, 힘센서(331)는 구동력 감지부(330)의 축의 비틀어짐을 방지하도록 2개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센서(331, 332)와 연결부(333 ~ 335)의 중심축을 모두 일치시킴으로써, 내시경 튜브(360)의 움직임이 왜곡 없이 센서(331, 332)에 잘 전달될 수 있으므로 센서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센서(331, 332) 및 연결부(333 ~ 335)의 하부에는 토크 반력을 사용자에게 전달해 주는 제2 모터(321)가 설치되는데, 센서(331, 332)와 연결부(333 ~ 335)의 중심축이 모두 일치하므로, 제2 모터(321)를 통해 롤방향의 반력이 내시경 튜브(360)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모터(321)는 햅틱 제어기(200)에서 제공되는 반력을 내시경 튜브(360)를 파지상태로 조작하는 사용자(400)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모터(321)가 회전하면, 서로 간에 와이어로 연결된 크기가 다른 2개의 제1, 제2 원통체(322, 323)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때, 힘의 증폭정도는 제1, 제2 원통체(322, 323)의 크기의 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구동방식은 기어처럼 무한대의 회전을 구현할 수는 없지만, 소화기 내시경 시술의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회전수는 충분히 구현 가능하며, 기어와 달리 백래쉬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2 모터(321)가 회전하면 제2 모터(321)에 연결된 작은 크기의 제2 원통체(323)와 큰 크기의 제1 원통체(322)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이 제1 원통체(322)와 연결된 제3 연결부(335)를 통해 최종적으로 내시경 튜브(36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토크 반력이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 속이 빈 제1, 제2 원통체(322, 323)를 사용하는 것은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전체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가이드부(340)는 내시경 튜브(360)의 접힘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내시경 튜브(360)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사용자의 직선방향과 롤방향의 힘이 내시경 튜브(360)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동판(312)까지 전달되기 위해서는 내시경 튜브(360)가 직선으로 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힘 가이드부(34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접힘 가이드판(341)을 이용하여 내시경 튜브(360)가 중간에서 휘거나 처지는 현상을 예방한 것이다. 즉, 다수개의 접힘 가이드판(341)을 가이드 봉(311) 및 내시경 튜브(36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배열하되, 가이드 봉(311)을 따라서는 직선이동이 가능하고, 내시경 튜브(360)에 대해서는 각각 고정되는 형태로 배열한 것이다. 이 때, 접힘 가이드판(341)은 가이드 봉(311)을 따라 큰 마찰 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최대한 가벼운 아크릴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접힘 가이드판(341)들 사이를 접힘 가이드부(340)를 구성하는 와이어(도시안됨)로 각각 연결하여 내시경 튜브(360)의 접힘 동작이 자유롭게 구현되며 펴짐 동작에서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접힘 가이드판(341)들 사이의 간격을 최대 5cm 정도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시경 튜브(360)의 휨이나 처짐 현상을 예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0)가 내시경 튜브(360)를 파지상태에서 조작한다. 이 때, 사용자(400)가 내시경 튜브(360)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내시경 튜브(360)의 일단이 고정된 이동판(312)이 한 쌍의 가이드 봉(311)을 따라 직선운동하고, 그에 따른 힘 정보를 힘센서(331)에서 감지하여 햅틱 제어기(200)에 제공한다. 그러면, 햅틱 제어기(200)가 그 정보를 그래픽 시뮬레이터(100)에 제공하여 초기에 설정된 값에 비교하여, 비교값에 대한 정보를 햅틱 제 어기(200)를 통해 제1 모터(315)에 제공한다. 즉, 햅틱 제어기(200)에서의 프로그램 구동을 통해 반력정보가 제1 모터(315)를 통해 내시경 튜브(360)를 조작하는 사용자(400)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사용자(400)가 내시경 튜브(360)를 롤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시경 튜브(360)의 일단이 고정된 구동력 감지부(330)가 회전운동하고, 그에 따른 롤방향 토크 정보를 토크센서(332)에서 감지하여 햅틱 제어기(200)에 제공한다. 그러면, 햅틱 제어기(200)가 그 정보를 그래픽 시뮬레이터(100)에 제공하여 초기에 설정된 값에 비교하여, 비교값에 대한 정보를 햅틱 제어기(200)를 통해 제2 모터(321)에 제공한다. 즉, 햅틱 제어기(200)에서의 프로그램 구동을 통해 반력정보가, 제2 모터(321)를 통해 제2, 제1 원통체(323, 322) 및 구동력 감지부(330)를 거쳐 내시경 튜브(360)를 조작하는 사용자(400)에게 전달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햅틱장치를 적용한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햅틱장치의 직선 운동부 및 롤 회전 운동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햅틱장치의 롤 회전 운동부의 구성관계를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그래픽 시뮬레이터 200 : 햅틱 제어기
300 : 햅틱장치 310 : 직선 운동부
320 : 롤 회전 운동부 340 : 접힘 가이드부
350 : 지지부 360 : 내시경 튜브

Claims (5)

  1.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내시경 튜브의 일단이 고정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내시경 튜브의 직선운동에 대한 반력을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의 제어기에서 제공받아 상기 내시경 튜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직선 운동부와;
    상기 직선 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내시경 튜브의 롤방향 회전운동에 대한 반력을 상기 제어기에서 제공받아 상기 내시경 튜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롤 회전 운동부; 및
    상기 내시경 튜브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직선 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내시경 튜브의 직선운동 및 롤방향 회전운동에 따른 구동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제공하는 구동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 회전 운동부는 상기 구동력 감지부와 결합되어 일체로 작동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와 와이어 결합되어 와이어 구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에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회전부는 속이 빈 제1, 제2 원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체는 상기 제2 원통체에 비해 그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감지부는 회전방향의 토크와 직선방향의 힘을 각각 측정할 수 있는 토크센서 및 힘센서와, 상기 내시경 튜브에 고정되며 상기 토크센서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토크센서와 상기 힘센서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힘센서를 상기 직선 운동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힘센서는 상기 구동력 감지부의 축의 비틀어짐을 방지하도록 2개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KR1020070125926A 2007-12-06 2007-12-06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KR10093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926A KR100934266B1 (ko) 2007-12-06 2007-12-06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926A KR100934266B1 (ko) 2007-12-06 2007-12-06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209A true KR20090059209A (ko) 2009-06-11
KR100934266B1 KR100934266B1 (ko) 2009-12-28

Family

ID=4098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926A KR100934266B1 (ko) 2007-12-06 2007-12-06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2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80B1 (ko) * 2012-12-13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를 위한 회전운동 모사 장치,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1372881B1 (ko) * 2012-12-13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
KR101400443B1 (ko) * 2012-12-13 2014-05-28 한국과학기술원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를 위한 직선운동 모사 장치,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1401462B1 (ko) * 2012-05-17 2014-05-30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힘센서를 이용한 수술 훈련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27B1 (ko) 2002-05-01 2004-11-18 한국과학기술원 가상현실과 햅틱장치를 이용한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스템
KR100526741B1 (ko) * 2003-03-26 2005-11-08 김시학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및 반력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최소 절개용 수술시스템
GB2418521B (en) 2004-09-22 2007-05-30 Keymed Endoscopy training simulator
KR100606616B1 (ko) 2004-10-06 2006-08-01 한국과학기술원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462B1 (ko) * 2012-05-17 2014-05-30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힘센서를 이용한 수술 훈련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372880B1 (ko) * 2012-12-13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를 위한 회전운동 모사 장치,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1372881B1 (ko) * 2012-12-13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
KR101400443B1 (ko) * 2012-12-13 2014-05-28 한국과학기술원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를 위한 직선운동 모사 장치,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266B1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265B1 (ko)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션용 원형 햅틱장치 및 햅틱인터페이스
US9827050B2 (en) User interface device for surgical simulation system
US20150325147A1 (en) Haptic user interface device for surgical simulation system
KR101401462B1 (ko) 힘센서를 이용한 수술 훈련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18958A1 (en) Force reflective robotic control system and minimally invasive surgical device
KR20140117858A (ko) 내시경 장치
KR100934266B1 (ko)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US20120178062A1 (en) Haptic Interface for Simulator, Such as a Colonoscopy Simulator
KR100457927B1 (ko) 가상현실과 햅틱장치를 이용한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스템
US20160335919A1 (en) User Interface Device For A Surgical Simulation System
EP1722346B1 (en) An endoscopy simulation system
KR100606616B1 (ko) 소화기 내시경 수련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KR101603044B1 (ko) 6자유도 메커니즘 햅틱장치
KR100362733B1 (ko) 장착형 반직접 구동방식의 역감제시 기구
KR101372880B1 (ko)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를 위한 회전운동 모사 장치,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햅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1212634B1 (ko) 바늘 중재시술 훈련용 시뮬레이션장치
KR100802136B1 (ko)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터용 햅틱장치
Samur et al. A haptic interface with motor/brake system for colonoscopy simulation
KR101231526B1 (ko) 내시경 시뮬레이터용 반력 제공 장치
JP2014130184A (ja) 手術シミュレータ用鉗子
Chakravarthy et al. A haptic simulator for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Woo et al. Improved haptic interface for colonoscopy simulation
Jun Yong et al. Haptic device for colonoscopy training simulator
Gu et al. A Design of Hardware Haptic Interface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Simulation.
CN117475691A (zh) 一种多人模拟腹腔镜手术训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