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777A -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777A
KR20090058777A KR1020070125528A KR20070125528A KR20090058777A KR 20090058777 A KR20090058777 A KR 20090058777A KR 1020070125528 A KR1020070125528 A KR 1020070125528A KR 20070125528 A KR20070125528 A KR 20070125528A KR 20090058777 A KR20090058777 A KR 20090058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handover
region
wireless termin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768B1 (ko
Inventor
임현창
홍진영
최영수
김정준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2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7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제1 무선통신 서비스 영역인 제1 영역 내에 제2 무선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제2 영역이 위치한 무선 통신 환경에서,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가 제1 셀에서 제2 셀로의 이동을 감지하면, 제2 셀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영역 식별자를 판독하여 현재 위치한 제2 영역 내의 서브 영역을 파악하고, 기 저장한 바로 이전에 위치한 서브 영역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위치한 서브 영역으로의 영역 이동성을 판단하며, 영역 이동성에 따라 설정된 핸드오버 가중치를 산출한 후, 산출된 핸드오버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종망간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특정 구역 내에서 불필요하게 이종망으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핸드오버, 이종망, 영역, WLAN, 식별자

Description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Handover determination method between on mobile network and another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이종망간 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다른망이 존재된 영역 내에서 제1망의 통한 통신 서비스 이용 중에 발생되는 핸드오버시 동종망 또는 이종망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망(예; CDMA망, WCDMA망, 와이맥스, WLAN 등)이 개발되어 구축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로 다른 무선망이 혼재되어 있는 혼재 지역이 있다. 특히, 혼재 지역 중 빌딩이나 공장, 보안을 요하는 특정지역 등에서는 근거리 무선망(WLAN, 지그비(zig bee) 망, 블루투스(Bluetooth) 망)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지역에서는 근거리 무선망 및 타 무선망(예; WCDMA 등)의 접속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망을 통한 서비스 이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특정지역 내 핸드오버시 근거리 무선망으로의 접속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예컨대, 복수의 AP(Access Point)가 설치된 특정 빌딩 내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무선랜을 통한 통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있 다.
그런데, 특정지역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지만 CDMA망 또는/및 WCDMA망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특정지역 내에서 무선 단말기는 핸드오버시에 자신의 절대적인 위치 측정을 할 수 없거나 기타 요인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보다 WCDMA 통신 환경이 좋게 되면 불필요하게 WCDMA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WCDMA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 중인 무선 단말기가 특정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WCDMA망을 통해 지속적인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인데도,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 무선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중에 불필요하게 제1 무선망 이외의 타망으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무선통신 서비스 영역인 제1 영역 내에 제2 영역이 위치하고, 이때 상기 제2 영역은 제2 무선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 통신 환경에서, 상기 제1 영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가 제1 셀에서 제2 셀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셀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영역 식별자-상기 제1 영역을 나눈 복수개의 서브 영역 중 각 셀이 속한 서브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판독하여 현재 위치한 서브 영역을 파악하는 제2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기 저장한 바로 이전에 위치한 서브 영역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위치한 서브 영역으로의 영역 이동성을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영역 이동성에 따라 설정된 핸드오버 가중치를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산출된 핸드오버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종망간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1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프로브 응답 신호이고, 상기 영역 식별자는 상기 서브 영역을 알리기 위해 새로이 정의된 타입의 요소(element) ID 필드 내에 요소 몸체에 기록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서브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간 모든 경계 지역을 구획한 경계 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경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구획된 내부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역 식별자는 상기 경계 영역과 상기 내부 영역을 구별한다.
상기 영역 이동성이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내부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낮은 이종망간 핸드오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경계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높은 이종망간 핸드오버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영역 이동성이 상기 내부 영역에서 상기 경 계 영역으로의 이동이면 상기 핸드오버 가중치를 가장 높게 하고, 상기 경계 영역에서 상기 경계 영역으로의 이동이면 핸드오버 가중치를 중간으로 하며, 상기 내부 영역으로의 이동이거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경계 영역으로의 이동이면 상기 핸드오버 가중치를 가장 낮게 한다.
그리고 제5 단계는 상기 산출한 핸드오버 가중치를 이종망간 핸드오버 연산에 반영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무선망을 통한 서비스 이용을 권장하는 특정 구역 내에서 무선 단말기가 내부에 위치하는지 제1 무선망과 타 무선망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무선 단말기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핸드오버 가중치를 산출하고 핸드오버 가중치를 이용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특정 구역 내에서 불필요하게 이종망간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은 좁은 지역(즉, 특정 국부 영역)을 통신 서비스 지역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N3)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을 통신 서비스 지역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망(N2)이 구축되어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WLAN, 블루투스, 지그비 등 중 하나 일 수 있고, 이동통신망은 CDMA, W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돕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WLAN이라 하고, 이동통신망이 WCDMA라 한다. 그리고 WCDMA(N2)를 통한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을 영역1(A1)이라 하고, WLAN(N3)을 통한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을 영역2(A2)라 한다. 물론 영역1은 영역2을 포함하는 넓은 영역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로 하여 도 1에 도시한 제2 영역에 구축된 WLAN에 대한 종래 및 본 발명 간의 관리 방법 차이를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에 특정지역에 설치된 무선랜 환경을 보인 일 예시도로서, 빌딩이나 공장 내에 설치된 WLAN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장소나 회사 또는 공장 등의 실내에는 WLAN이 설치되는데, 실내 어디에서든 원활한 WLAN 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무선 접속 포인트인 AP(Access Point)(10)가 조밀하게 설치된다. 즉, 실내에 설치되는 AP(10)는 출입문 주위에도 설치되고 내부 중심측에도 설치된다.
그런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입장에서 보면 종래에는 WLAN 서비스를 이용중인 자신이 현재 내부 중심측에 있는지 출입문 경계에 있는지를 알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는 핸드오버시에 자신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통화 품질이 높은 망으로 접속을 시도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이종망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로 하여 도 1에 도시한 제2 영역에 구축된 본 발명의실시 예에 따른 WLAN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지역에 설치된 무선랜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공장소나 회사 또는 공장 등의 실내에 구축된 WLAN은 도 2와 동일한 형태로 AP(10)가 설치된다. 즉, 실내에 설치되는 AP(10)는 출입문 경계에도 설치되고 내부 중심측에도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입장에서 통신 서비스를 이용중인 자신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으며 과거 어느 위치에 있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영역2(A2) 즉, 특정 국부 영역을 복수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영역2(A2)를 내부 영역(A20)과 경계 영역(A21)으로 구분한다. 내부 영역(A20)은 출입문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영역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입장에서 보면 WCDMA로의 핸드오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경계 영역(A21)은 출입문과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출입문이 배치된 방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입장에서 보면 WCDMA로 핸드오버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가 내부 영역(A20)에 위치하는지 또는 경계 영역(A21)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해당 영역(A20, A20)에 위치한 AP는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는 현재 위치에서 수신되는 신호 중 신호 품질(예;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신호의 AP로부터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통해 자신이 내부 영역(A20)에 위치하는지 또는 경계 영역(A21)에 위치하는 지를 알 수 있다.
물론, 무선 단말기는 핸드오버시에 이전 영역의 영역 식별자(또는 이전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새로 이동한 영역과 이전 영역간 영역 이동성을 산출한다. 여기서 영역 이동성이란 무선 단말기가 동일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였는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였으면 어떤 영역에서 어떤 영역으로 이동하였는지 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영역2(A2)가 건물이 아닌 특정 지역으로 구획된 장소인 경우에 경계 영역(A21)은 영역1(A1)과 영역2(A2) 간 모든 경계 지역으로 정의되고, 내부 영역(A20)은 영역2(A2) 중 경계 영역(A2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에게 해당 영역 식별자를 제공하는 신호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의 위치식별자를 가진 신호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에서 전송하는 신호 중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는 비콘(beacon) 신호이거나 프로브(probe) 응답 신호이다. 이러한 비콘 신호 또는 프로브 응답 신호의 프레임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C 헤더 필드와 페이로드(payload)인 프레임 몸체 필드와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를 포함한다.
이때 프레임 몸체 필드는 길이가 가변적이며, 시간 확인 팔드, 비콘간격 필드, 수용 능력 필드, 지원속도 필드 등과 같이 디폴트된 필드와 더불어, 복수의 요소(element) ID 필드를 가진다.
요소 ID 필드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 ID와 길이 및 내용이 기록되는 요소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요소 ID는 0 - 255의 값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값에 따라 요소 ID 필드의 타입이 결정된다. 현재 요소 ID은 1 - 6, 16 - 31까지가 값, 즉 타입이 결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SSID(Service Set ID)는 타입값이 1인 요 소 ID이다.
그리고 길이는 요소 몸체의 길이가 몇 바이트로 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고, 요소 몸체는 요소 ID가 나타내는 타입을 정의하는 내용이 기록된다. 예컨데, 요소 ID가 타입값이 1인 SSID를 나타내는 경우에 요소 몸체는 WLAN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다른 여러 다른 무선 셀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식별자(ID) 정보가 기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영역(A20, A21)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타입의 요소 ID 필드(이하 "위치요소 ID 필드"라 한다)를 만들어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프레임 몸체에 추가한다. 이때 위치요소 ID 필드는 그 타입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7-15와 32-255 중 하나를 영역2(A2) 내에 각 영역(A20, A21)을 식별하는 타입값으로 하는 위치요소 ID와, 경계 영역(A21)과 내부 영역(A20)을 구별하는 영역 식별자를 기록한 몸체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는 AP로부터 수신한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된 위치요소 ID 필드, 특히 영역 식별자를 판독함으로써, 자신이 현재 내부 영역(A20)에 위치하고 있는지 또는 경계 영역(A21)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하, 첨부한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WLAN 통신 서비스가 권장되는 영역2(A2)에서 무선 단말기가 WLAN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해 현재 접속한 AP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이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핸드오버 상황이라고 판단한다(S510).무선 단말기는 핸드오버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현재 접속한 AP의 비콘 프레임의 위치요소 ID 필드의 영역 식별자로부터 파악한 자신의 현재 서브영역(내부 영역과 경계 영역 중 하나)과, 기 저장된 이전 셀의 AP로부터 파악한 서브영역(내부 영역과 경계 영역 중 하나)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이동성 즉, 이동방향을 산출한다(S520).
이때의 이동방향은 영역간 이동 방향으로, 무선 단말기의 이동이 동일 영역 내에서 이루어졌는지, 경계 영역(A21)에서 내부 영역(A20)으로 이동하였는지, 내부 영역(A20)에서 경계 영역(A21)으로 이동하였는지, 영역1(A1)에서 영역2(A2)로 이동하였는지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의 이동방향을 파악하면,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핸드오버 가중치를 산출하고(S530), 산출한 핸드오버 가중치를 기 설정된 핸드오버 연산에 반영하여 동종망으로 핸드오버할지 또는 이종망으로 핸드오버할지를 결정한다(S540).
여기서 핸드오버 가중치가 적용되는 핸드오버 연산은 이종망간 핸드오버에 대한 연산이다. 즉, 핸드오버 대상이 동종망인 경우에 핸드오버 가중치는 핸드오버 연산에 반영되지 않고, 핸드오버 대상이 이종망인 경우에 핸드오버 가중치가 적용된다.
이하, 도 6을 참조로 하여 가중치 산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가중치 산출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자신의 현재 위치한 영역을 파악한 무선 단말기는 현재 위치한 영역이 경계 영역(A21)인지를 판단한다(S561).
이 판단(S561)에서 현재 위치한 영역이 경계 영역(A21)인 경우에, 무선 단말기는 이전에 위치한 영역이 내부 영역(A20)인지를 판단하여(S562), 내부 영역(A20)이면 가중치(W)를 1.5로 산출하고(S563), 이전에 위치한 영역이 내부 영역(A20)이 아니면 이전 영역이 경계 영역(A21)인지를 판단한다(S564).
이 판단(S564)에서 이전 영역이 경계 영역(A21)이면 무선 단말기는 가중치(W)를 1.0이라 산출하고(S565), 경계 영역(A21)이 아니면 영역1(A1)로부터 진입하였다고 판단하여 가중치(W)를 0.5로 산출한다(S566).
한편, 상기 판단(S561)에서 현재 영역이 경계 영역(A2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무선 단말기는 자신이 내부 영역(A20)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가중치(W)를 0.5로 산출한다(S566).
결국, 가중치는 무선 단말기가 내부 영역(A20)에서 경계 영역(A21)으로 이동한 경우에 무선 단말기가 영역2(A2)에서 영역1(A1)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높고, 경계 영역(A21)에서 경계 영역(A21) 이동한 경우에 무선 단말기가 영역1(A1)로 이동할 가능성이 다소 낮으므로 작으며, 영역1(A1)에서 진입한 경우나 내부 영역(A20)에서만 이동한 경우에 무선 단말기가 영역1(A1)로 이동할 가능성이 매우 낮으므로 아주 작다.
결국, 가중치는 작으면 이종망으로의 핸드오버 가능성을 낮추고 높으면 이종망으로의 핸드오버 가능성을 높이게 한다.
예컨대, 핸드오버 가중치를 반영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 단말기는 현재 위치에서 WLAN에서 WCDMA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한다면, 핸드오버 가중치의 값이 낮은 경우에 가급적 WLAN으로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지게 하고, 핸드오버 가중치의 값이 큰 경우에 WCDMA으로의 핸드오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에 특정지역에 설치된 무선랜 환경을 보인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지역에 설치된 무선랜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의 위치식별자를 가진 신호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가중치 산출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Claims (8)

  1. 제1 무선통신 서비스 영역인 제1 영역 내에 제2 영역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무선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 통신 환경에서, 상기 제1 영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가 제1 셀에서 제2 셀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셀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영역 식별자-상기 제1 영역을 나눈 복수개의 서브 영역 중 각 셀이 속한 서브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판독하여 현재 위치한 서브 영역을 파악하는 제2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기 저장한 바로 이전에 위치한 서브 영역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위치한 서브 영역으로의 영역 이동성을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영역 이동성에 따라 설정된 핸드오버 가중치를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산출된 핸드오버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종망간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프로브 응답 신호인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 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식별자는 상기 서브 영역을 알리기 위해 새로이 정의된 타입의 요소(element) ID 필드 내에 요소 몸체에 기록되어 있는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간 모든 경계 지역인 경계 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경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내부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특정 구역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식별자는 상기 경계 영역과 상기 내부 영역을 구별하는 식별자인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영역 이동성이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내부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낮은 핸드오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경계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높은 핸드오버 가중치를 부여하는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영역 이동성이 상기 내부 영역에서 상기 경계 영역으로의 이동이면 상기 핸드오버 가중치를 가장 높게 하고, 상기 경계 영역에서 상기 경계 영역으로의 이동이면 핸드오버 가중치를 중간으로 하며, 상기 내부 영역으로의 이동이거나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경계 영역으로의 이동이면 상기 핸드오버 가중치를 가장 낮게 하는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산출한 핸드오버 가중치를 이종망으로의 핸드오버 연산에 반영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
KR1020070125528A 2007-12-05 2007-12-05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KR10095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528A KR100950768B1 (ko) 2007-12-05 2007-12-05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528A KR100950768B1 (ko) 2007-12-05 2007-12-05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77A true KR20090058777A (ko) 2009-06-10
KR100950768B1 KR100950768B1 (ko) 2010-04-05

Family

ID=4098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528A KR100950768B1 (ko) 2007-12-05 2007-12-05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7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765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US8812001B2 (en) 2010-05-25 2014-08-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mode terminal for supporting access in different network,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60019220A (ko) * 2014-08-11 2016-02-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정보 인식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80020199A (ko) * 2018-02-19 201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KR20180090978A (ko) * 2018-08-06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9220A (en) 2000-02-03 2001-08-1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Handover in accordance with a network policy
KR20060087069A (ko) * 2005-01-28 2006-08-02 주식회사 아이컨택트 이종 무선 데이터망간의 핸드오프 방법
KR20070013444A (ko) * 2005-07-26 200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종망간 핸드오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50639B1 (ko) * 2005-12-10 2007-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티컬 핸드오프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9562B2 (en) 2009-10-30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WO2011053061A3 (en) * 2009-10-30 2011-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094884B2 (en) 2009-10-30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KR20110047765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US9413800B2 (en) 2009-10-30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10200926B2 (en) 2009-10-30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769724B2 (en) 2009-10-30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781667B2 (en) 2009-10-30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820202B2 (en) 2009-10-30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11503524B2 (en) 2009-10-30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961602B2 (en) 2009-10-30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10772019B2 (en) 2009-10-30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8812001B2 (en) 2010-05-25 2014-08-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mode terminal for supporting access in different network,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60019220A (ko) * 2014-08-11 2016-02-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정보 인식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80020199A (ko) * 2018-02-19 201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KR20180090978A (ko) * 2018-08-06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768B1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134B1 (en) Edge sector handoff determination
US7499718B2 (en) Enhanced coverage hole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s
US8204029B2 (en) Mobile intelligent roaming using multi-modal access point devices
US8023948B2 (en) Vertical handover method for overlay communication system
US9681323B2 (en) Connected mode network selection in WLAN-cellular interworked networks
JP4669548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を再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509173B (zh) 用于基于无线通信系统中的拥塞的业务减荷的方法和装置
ES2693466T3 (es) Método y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para la aplicación de la señalización de interfuncionamiento WLAN-3GPP
US9642036B2 (en) Relieving conges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4144473B (zh) 一种选择可用接入网络的方法及用户设备
EP2946599B1 (en) Enhanced integration between wi-fi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20150072706A1 (en) Determining a mobility state of a user equipment
JP2010502144A (ja) 好適なモバイル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リストの決定
US8798633B2 (en) Positioning-assisted cell selection and handover for LTE
KR20130106325A (ko)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프 측정
US9769693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improving measurement reporting involving WLA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50768B1 (ko) 특정 구역 내에서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JP2010528558A (ja) 隣接セルの自動処理
WO2013170949A1 (en) Mobility management based on cell size
Cai et al. Dynamic and user-centric network selec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Kim et al. Efficient ANDSF-assisted Wi-Fi control for mobile data offloading
US2021027436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Optimization
Miyim et al. Prioritized network-based vertical handover decision in multi-access wireless networks
KR102103457B1 (ko)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검색 방법 및 접속 관리 방법
EP4040842A1 (en) Detection and reporting of slice misalig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