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651A -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651A
KR20090057651A KR1020070124325A KR20070124325A KR20090057651A KR 20090057651 A KR20090057651 A KR 20090057651A KR 1020070124325 A KR1020070124325 A KR 1020070124325A KR 20070124325 A KR20070124325 A KR 20070124325A KR 20090057651 A KR20090057651 A KR 20090057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list
tim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532B1 (ko
Inventor
맹숙영
조산정
김명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식별 시간 및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들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식별정보들을 리스트화 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리스트화된 식별정보들 중 선택된 임의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식별정보

Description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function of setting the marking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 설정을 포함한 복수의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저장매체 기술의 발달로 한번에 많은 양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구비된 LCD 화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포착한 영상을 원하는 때에는 언제든지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포착하는 경우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규격에 의하여 자동으로 파일이름이 생성된다. 이러한 파일이름은 숫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영상이 포착된 순서대로 숫자가 커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영상 파일이 많을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재생하여 감상하기 위해서는 방향 버튼 등 을 사용하여 영상을 한 장씩 검색하거나 썸네일 영상에서 이미지를 찾아 이동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일반적으로 포착과 동시에 부여되는 파일이름에 포함된 숫자의 순서에 따라서 정렬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시간, 장소 등으로 포착된 영상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발명에 의하여도 포착된 영상이 폴더에 의하여 구분되므로 특정 영상을 감상하기 위하여는 여러 폴더를 차례로 검색하여야 하므로 여전히 영상을 검색하는데 사용자의 많은 수고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재생하고자하는 영상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임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식별 시간 및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들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식별정보들을 리스트화 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리스트화된 식별정보들 중 선택된 임의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들 및 포착된 영상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식별정보 설정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식별정보 설정부, 상기 식별정보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식별정보들을 리스트화 하고 상기 리스트화된 식별정보들을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리스트 제공부에 의하여 리스트화되어 제공된 식별정보들 중 선택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제공부는 상기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포 함하는 표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제공부는, 복수의 식별정보에 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의 촬영정보로부터 시간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 각각의 식별 시간들에 대하여 상기 식별 시간들 이후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상기 식별 시간들에 가장 근접한 시간정보를 가지는 영상들의 썸네일 영상들을 호출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의 시간정보 및 썸네일 영상들을 검색하는 검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a) 임의의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정보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임의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새로운 영상을 포착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식별 시간으로 현재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a2)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임의의 식별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a2)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 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들을 호출하는 단계, (c2) 상기 (c1) 단계의 식별정보들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번호들 및 식별 시간들을 표로 이루어진 리스트로 제작하는 단계 및 (c3) 상기 (c2) 단계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들을 호출하는 단계, (c2) 상기 (c1) 단계에서 호출된 식별정보들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시간들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시간들보다 늦은 시간정보를 가진 영상들 중에서 상기 식별 시간들에 가장 근접한 시간정보를 가지는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 (c3) 상기 (c2) 단계에서 검색된 영상들에 해당하는 썸네일 영상들을 호출하여 리스트로 제작하는 단계 및 (c4) 상기 (c3) 단계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정보 설정부, 리스트 제공부, 검색부, 저장부, 사용자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임의로 식별정보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리스트 제공부에 의하여 표 또는 썸네일 영상으로 제공하여 저장되어 있는 많은 영상들 중에서 원하는 영상부터 재생할 수 있어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짧은 시간 내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재생시 키기 위하여 재생 모드에서 반복적인 버튼 조작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 리스트가 썸네일 영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의 저장시기가 기억나지 않아도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을 보고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을 용이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식별정보 설정부(132), 리스트 제공부(133), 검색부(134),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서 영상 포착부(110) 및 제어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1), 식별정보 설정부(132), 검색부(133) 및 검색부(134)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를 구성할 수 있다.
영상 포착부(110)는 영상을 포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도 2 나타난 셔터-릴리즈 버튼(121),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122w), 망원(telephoto)-줌 버튼(122t), 모드 버튼(123), 특수효과 버튼(124), 기능버튼(125), 재생버튼(126) 등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버튼들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기능버튼(125)의 조작으로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활성화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30)는 제어부(131), 식별정보 설정부(132), 리스트 제공부(133), 검색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신호들을 제어한다.
식별정보 설정부(132)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 저장된 영상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란 일반적으로 북마크라고 불리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상기 '북마크'는 식별정보의 일 예로, '북마크'가 아닌 다른 단어에 의하여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식별정보 설정부(132)는 저장된 영상들에 식별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식별정보 설정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식별정보 설정 메뉴에는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내는 부분과 식별정보를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식별정보 설정창이 포함되어 있다. 식별정보 설정창은 온(ON), 오프(OFF)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설정창이 온(ON)으로 표시되어 식별정보가 설정되는 경우 자동으로 낮은 번호부터 순서대로 식별정보 식별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식별정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OFF)로 표시하고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1 부터 10까지의 식별 번호로 직접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일련번호는 예시적인 것으로 설정가능한 식별정보의 개수는 10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또한 식별정보 설정 메뉴에서 사용자가 현재 시간이 아닌 임의의 시간에 식별정보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내는 부분에서 임의로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설정된 식별정보는 식별번호의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포함하는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저장부에 저장될 것이다.
리스트 제공부(133)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 리스트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식별정보 리스트를 호출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는 표로 제공하는 방법과 썸네일 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별정보 리스트를 표로 제공하는 방법은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정보의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다. 또한 식별정보 리스트를 썸네일 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식별정보에 의하여 마킹된 영상들의 썸네일 영상들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다.
검색부(134)는 상기 리스트 제공부(133)에서 사용자에게 썸네일 영상으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필요한 썸네일 영상을 호출하기 위하여 저장된 영상들로의 촬영정보에서 저장된 시간정보 및 썸네일 영상을 검색하는 부분이다.
저장부(140)는 제1 저장부(141), 제2 저장부(142), 제3 저장부(143)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41)는 촬영 조건 등과 관련된 사용자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제공부(133)에 의하여 제공되는 식별정보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저장부(141)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저장부(142)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로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부(142)로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3 저장부(143)는 상기 영상 포착부(110)에 의하여 포착된 영상들, 상기 영상들에 대한 촬영정보 및 썸네일 영상들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저장부(143)로는 메모리 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장형 또는 탈착이 가능한 외장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피사체, 사용자에 의한 기능버튼들(163)의 조작에 따라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및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별정보 설정 메뉴, 식별정보 리스트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일반적으로 LCD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별정보 설정부(132), 리스트 제공부(133), 검색부(134),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임의로 식별정보를 설정하여 저장되어 있는 많은 영상들 중에서 원하는 영상부터 재생할 수 있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재생 모드에서 반복적인 버튼 조작을 해야하고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물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카메라가 아닌 캠코더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카메라라고 할지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거나 SLR(single lens reflex) 카메라와 같은 렌즈 교환식 카메라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식별정보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300)이며,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식별정보 설정방법에서 제공되는 식별정보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식별정보 기능이 실행되면 식별정보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다(310단계). 식별정보 설정 메뉴는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는 부분 및 식별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식별정보 설정창(400)이 포함되어 있다. 최초로 식별정보 설정 메뉴가 디스플레이 될 때에는 식별정보 설정창(400)이 오프(OFF)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도 4(a) 참조). 상기 식별정보 설정창(400)에 표시된 '북마크'는 식별정보의 일 예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별정보를 나타 내는 다른 표현으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초기값으로 식별정보의 식별 시간을 위한 날짜 및 시간은 현재 날짜 및 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식별정보 설정 메뉴에서 식별 시간을 수동으로 설정하는지를 판단(320단계)하고 자동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현재 시간을 식별 시간으로 판단(330단계)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식별 시간을 수동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변경된 식별 시간을 디스플레이(330단계)하고 이를 식별정보 식별 시간으로 판단한다.
식별정보 식별 시간의 설정을 마치고 나서 식별정보 설정창(400)에서 식별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식별정보 설정창(400)에 오프(OFF)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을 온(ON)으로 변경한다(350단계)(도 4(b) 참조). 이 경우 식별정보의 식별 번호는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 리스트에서 사용되지 않는 식별 번호 중 가장 낮은 번호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식별정보가 설정되어 식별정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 식별 번호가 1, 2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다음에 설정되는 식별 번호는 3이 될 것이다.
상기 단계에 의하여 식별정보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설정된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식별정보 리스트에 저장한다(360). 상기 식별정보 리스트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식별정보 설정부(132)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짧은 시간 내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식별정보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00)이며, 도 6은 상기 식별정보 설정방법에서 식별정보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3에 의한 식별정보의 설정방법과의 차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식별정보를 설정하고자 하는 시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하여 식별 시간을 판단한 다음에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식별정보 설정창(400)에 오프(OFF)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원하는 식별 번호로 디스플레이 한다(550단계). 사용자 입력부(120)의 기능 버튼(125)를 조작하여 사용자는 식별 번호를 1 부터 10까지의 번호로부터 임의의 번호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번호를 식별정보 식별 번호로 판단할 것이다. 도 6에서는 식별정보 설정 메뉴의 식별정보 설정창(400)을 오프(OFF)에서 1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식별 번호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1 부터 10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별 번호의 개수는 임의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단계에 의하여 식별정보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설정된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식별정보 리스트에 저장한다(360). 상기 식별정보 리스트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식별정보 설정부(132)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짧은 시간 내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컴퓨터 등의 장치에 이동시킨 후 모니터(700)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영상은 임의로 포착한 영상이다. 상기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두 번째로 포착된 영상 및 열다섯 번째로 포착된 영상이 저장된 시간 직전에 각각 식별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에서 설정한 식별 시간 직후의 영상들에 식별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식별정보의 식별 번호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좌측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도면에서는 두 번째로 포착된 영상에 식별 번호가 1인 식별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열다섯 번째로 포착된 영상에 식별 번호가 2인 식별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식별정보의 식별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는 좌측 상단에 한정되지 않고 식별정보가 설정된 영상의 어느 부분에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 식별 번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800)이며, 도 9는 도 8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정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재생 모드에서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시키는 버튼을 조작하여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한다(810단계). 단축키에 의하여 실행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재생 모드에서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정보 탐색 기능이 실행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리스트 제공부(133)에 의하여 식별정보 리스트를 호출한다(820단계).
상기 단계에 의하여 식별정보 리스트가 호출되면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정보들의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표로 작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표를 디스플레이부(150)에서 디스플레이한다(830단계). 상기 표에는 사용자가 식별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활성화 커서가 생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식별정보 리스트가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포함한 표로 제공되는 모습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식별 번호를 나타내는 항목이 좌측 열에 배열되고 식별 시간을 나타내는 항목이 우측 열에 배열되어 있다. 식별 시간은 연/월/일, 오전(또는 오후), 시각의 순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로 나타난 식별정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에는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나타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크롤 바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식별정보 리스트에 의한 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버튼을 조작하여 활성화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840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활성화 커서의 이동 이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한다(850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이란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의 식별정보 식별 시간 이후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상기 식별정보 식별 시간 이후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을 말한다.
만약 사용자가 식별 번호가 1인 항목을 선택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식별 번호가 1인 두 번째 영상을 먼저 재생시키게 되고 방향 버튼에 의하여 3, 4, 5...번째로 포착된 영상의 순서로 영상이 재생될 것이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식별 번호가 2인 항목을 선택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식별 번호가 2인 열다섯 번째 영상을 먼저 재생시키게 되고 방향 버튼에 의하여 16, 17, 18....번째로 포착된 영상의 순서로 영상이 재생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열다섯 번째로 포착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재생 모드에서 처음 포착된 영상부터 순서대로 재생시켜 14번의 방향버튼을 누르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식별정보 리스트에 의하여 제공되는 표에서 용이하게 원하는 식별 시간 직후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많은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빠른 시간 내에 재생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 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000)이며, 도 11은 도 8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정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재생 모드에서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시키는 버튼을 조작하여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한다(1010단계). 단축키에 의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재생 모드에서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정보 탐색 기능이 실행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리스트 제공부(133)에 의하여 식별정보 리스트를 호출한다(1020단계).
상기 단계에 의하여 식별정보 리스트가 호출되면 리스트 제공부(133)가 썸네일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검색부(134)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의 촬영정보들로부터 상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의 시간정보를 검색한다(1030단계).
상기 단계에서 검색한 영상들의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호출된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정보의 식별 시간들 이후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상기 식별 시간 이후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을 판단하고, 상기 식별 시간 이후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이라고 판단된 영상들의 썸네일 영상들을 호출한다(1040단계).
상기 리스트 제공부(133)는 상기 호출된 썸네일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부(150)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썸네일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부(150)에 서 디스플레이한다(1050단계). 도 11에는 상기 리스트 제공부(133)에 의하여 제공되는 썸네일 영상들이 나타나있다. 각 썸네일 영상의 좌측 상단에는 식별정보의 식별 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식별정보 리스트에 의한 썸네일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썸네일 영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버튼을 조작하여 활성화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1060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활성화 커서의 이동 이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한다(1070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이란 상기 선택된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고 있는 촬영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말한다.
만약 사용자가 식별 번호가 2인 항목을 선택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식별 번호가 2인 열다섯 번째 영상을 먼저 재생시키게 되고 방향 버튼에 의하여 16, 17, 18....번째로 포착된 영상의 순서로 영상이 재생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열다섯 번째로 포착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재생 모드에서 첫번째 영상부터 순서대로 재생시켜 14번의 방향버튼을 누르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식별 번호가 4인 항목을 선택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식별 번호가 4인 150번째 영상을 먼저 재생시키게 되고 방향 버튼에 의하여 151, 152, 153...번째로 포착된 영상의 순서로 영상이 재생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150번째로 포착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재생 모드에서 첫번째로 포착된 영상부터 순서대로 재생시켜 149번의 방향버튼을 누르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식별정보 탐색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식별정보 리스트에 의하여 제공되는 썸네일 영상들에서 용이하게 원하는 식별 시간의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많은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빠른 시간 내에 재생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식별정보 리스트가 썸네일 영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의 저장시기가 기억나지 않아도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을 보고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을 용이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식별정보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정보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식별정보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정보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정보 기능을 실행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정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정보 기능을 실행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식별 정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Claims (12)

  1. 임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식별 시간 및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들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식별정보들을 리스트화 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리스트화된 식별정보들 중 선택된 임의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들 및 포착된 영상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식별정보 설정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식별정보 설정부;
    상기 식별정보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식별정보들을 리스트화 하고 상기 리스트화된 식별정보들을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리스트 제공부에 의하여 리스트화되어 제공된 식별정보들 중 선택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제공부는 상기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포함하는 표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제공부는,
    복수의 식별정보에 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의 촬영정보로부터 시간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 각각의 식별 시간들에 대하여 상기 식별 시간들 이후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상기 식별 시간들에 가장 근접한 시간정보를 가지는 영상들의 썸네일 영상들을 호출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들의 시간정보 및 썸네일 영상들을 검색하는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7. (a) 임의의 식별 번호 및 식별 시간을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정보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임의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새로운 영상을 포착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단계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식별 시간으로 현재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a2)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임의의 식별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a2)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들을 호출하는 단계;
    (c2) 상기 (c1) 단계의 식별정보들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번호들 및 식별 시간들을 표로 이루어진 리스트로 제작하는 단계; 및
    (c3) 상기 (c2) 단계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 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들을 호출하는 단계;
    (c2) 상기 (c1) 단계에서 호출된 식별정보들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시간들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시간들보다 늦은 시간정보를 가진 영상들 중에서 상기 식별 시간들에 가장 근접한 시간정보를 가지는 영상들을 검색하는 단계;
    (c3) 상기 (c2) 단계에서 검색된 영상들에 해당하는 썸네일 영상들을 호출하여 리스트로 제작하는 단계; 및
    (c4) 상기 (c3) 단계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124325A 2007-12-03 2007-12-03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1448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25A KR101448532B1 (ko) 2007-12-03 2007-12-03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25A KR101448532B1 (ko) 2007-12-03 2007-12-03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651A true KR20090057651A (ko) 2009-06-08
KR101448532B1 KR101448532B1 (ko) 2014-10-08

Family

ID=4098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325A KR101448532B1 (ko) 2007-12-03 2007-12-03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5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854A (ko) * 2005-07-27 2007-01-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한 사진들의리스트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03812B1 (ko) * 2006-02-08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폴더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532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5674B2 (en) Camera, reproducing apparatus, and album registration method
JP526859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EP1717675A2 (en) Display controller, display control method, mobi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434199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US914853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RU24503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й,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JP2006140990A (ja) 画像表示装置、カメラ、画像表示装置およびカメラの表示方法
JP201105519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702854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573716B2 (ja) 表示制御装置、カメラ、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040263662A1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processing program
US8199241B2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1673531B (zh) 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记录介质
JP2008059220A (ja) データ管理装置、カメラ、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データ管理方法
KR1007038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폴더 디스플레이 방법
US20050134708A1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US20060245739A1 (en) Electronic camera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history file
JP200430461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89953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59862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17139B2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プログラム
US2005010260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1448532B1 (ko) 식별정보 설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000209541A (ja) 動画像再生装置、及び動画像再生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JP4860495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