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538A -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538A
KR20090056538A KR1020070123741A KR20070123741A KR20090056538A KR 20090056538 A KR20090056538 A KR 20090056538A KR 1020070123741 A KR1020070123741 A KR 1020070123741A KR 20070123741 A KR20070123741 A KR 20070123741A KR 20090056538 A KR20090056538 A KR 2009005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al
operation switching
frequency band
terminal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7210B1 (en
Inventor
오창윤
노원일
장영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210B1/en
Publication of KR2009005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5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6Assessment of spectral gaps suitable for allo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e.g. for carrier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mprising a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switch an operation of a terminal smoothly while maintaining a frame structure of a time division duplex method by setting an operation switching section of H-FDD(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method. An interval between sub frames included in a first frequency band is separated from the interval between sub frames included in a second frequency band by using the average of operation switching sections of a terminal(203).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on switching section and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sections is calculated(205). The sub frames includ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re shifted right as much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on switching section and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sections(207).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Device and method for frame compo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이중-주파수 분할 복신(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H-FDD라 칭함)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hereinafter referred to as H-FDD). will be.

오늘날 고속의 이동통신을 위해서 많은 무선통신 기술들이 후보로 제안되고 있다. 상기 후보로 제안되는 무선통신 기술들 중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OFDMA이라 칭함)기법은 현재 가장 유력한 차세대 무선통신의 후보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상기 OFDMA 기법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의 규격제정그룹(Working group)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Today, man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as candidates for high speed mobile communicati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FDMA) is one of the candidate technologies for the next gene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OFDMA technique is being standardized in a working group of IEEE (IEEE) 802.16e.

상기 IEEE 802.16e 표준에 정의된 무선통신시스템은 시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여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구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 행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fined in the IEEE 802.16e standard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 frame structu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using a time division duplex sche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fram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time division duplex sche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100)은 시간 자원을 통해 하향링크 부프레임(11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a frame 100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time division duplex scheme includes a downlink subframe 110 and an uplink subframe 120 through time resources.

이때,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11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120) 사이에는 단말의 동작 전환을 위한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130)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120)과 다음 프레임의 하향링크 부프레임 사이에는 단말의동작 전환을 위한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140)이 존재한다.In this case, there is a TTG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130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etween the downlink subframe 110 and the uplink subframe 120. In addition, there is a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RTG) 140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UE between the uplink subframe 120 and the downlink subframe of the next frame.

최근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데이터를 더욱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광대역(Wide-band)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H-FDD 방식의 경우,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즉, 기지국은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로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들은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하지만, 상기 H-FDD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들은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받으면서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multimedia services increases, studies o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ing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in order to transmit a lot of data faster have been conduc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H-FDD sche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wo frequency bands. That is,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signal to terminal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terminals transmit a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However, UEs using the H-FDD scheme cannot transmit signals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while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따라서, 상기 H-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이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받은 후,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 록 하향링크 구간과 상향링크 구간 사이에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해야한다.Therefo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H-FDD scheme operates between the downlink period and the uplink period so that the terminal can transmit a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after receiving the signal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You have to set the transition section.

이때,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상기 H-FDD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이 신호를 수신받는 주파수 대역과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분할 복신 방식과 동일하게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H-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전환을 위한 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필요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terminal receives the signal and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H-FDD sche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the sam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s in the time division duplex scheme as shown in FIG. Cannot be set. Therefo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H-FDD scheme, a frame structure including a secti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이중-주파수 분할 복신(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H-FDD라 칭함)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hereinafter referred to as H-FD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FDD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a terminal in an H-F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FDD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분할 복신 방식의 프레임 구성에 포함되는 심볼들 중 하나 이상의 심볼을 동작 전환 구간으로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H-FDD방식에서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을 시분할 복신 방식보다 크게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ditionally use one or more symbols among symbols included in a time division duplex frame configuration in an H-F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us,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UE in the H-FDD schem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tting a larger than a time division duplex scheme are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반이중(Half Dulex)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은,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부프레임들 사이와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부프레임들 사이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을 이용하여 이격시키는 과정과,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부프레임들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차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configuration method for supporting a terminal using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first Spaced apart between the subframes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and the subframes includ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by using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and the subframes includ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the st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moving to the right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반이중(Half Dulex)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는, 프레임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차만큼 오른쪽으로 쉬프트한 시점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송신기를 제어하고, 송신 구간과 수신 구간에 따라 RF(Radion Frequency) 처리기가 동작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송신 구간이 종료되면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신호를 수신받고, 수신 구간이 종료되면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로 전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RF 처리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송신 구간 동안 상향링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RF처리기로 전송하는 송신기와, 수신 구간 동안 상기 RF처리기로부터 제공받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device using a 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includes a method for changing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transmitter to generate an uplink subframe from a time point shifted to the right by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and controls the radio frequency (RF) processor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transmission section and a reception section; When the transmission period ends, the signal is switched to the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o receive the signal, and when the reception period ends, the signal is switched to the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An RF processor for transmitting and generating an uplink signal during a transmission peri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receive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provided from the RF processor during a reception period and transmitting to the receiver.

상술한 바와 같이 반이중-주파수 분할 복신(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H-FDD라 칭함)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분할 복신 방식의 프레임 구성에 포함되는 심볼들 중 하나 이상의 심볼들을 동작 전환 구간으로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H-FDD방식의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시분할 복신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단말이 원활하게 동작을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symbols included in a time division duplex frame configuration in a 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H-FDD) typ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used as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By additionally using the H-FDD scheme to set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E can smoothly switch the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frame structure of the time division duplex scheme to the maximu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전이중(Full Duplex)-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F-FDD라 칭함)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반이중(Half Duplex)-주파수 분할 복신(이하, H-FDD라 칭함)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lf-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hereinafter referred to as H-FDD) scheme in a full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F-F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echnique for configuring a frame including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a terminal of UE will be described.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은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서빙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서빙 노드로 신호를 전송한다. 하지만, 상기 단말은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받으면서 동시에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receives a signal from a serving node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serving node through a second frequency band. However, the terminal cannot transmit a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while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따라서,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을 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을 구성해야한다. 이때,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은 신호를 수신받는 주파수 대역과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동작 전환에 필요한 시간이 시분할 복신(TDD :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보다 길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TDD 시스템의 동작 전환 구간보다 크게 상기 H- 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해야한다. 예를 들어, 대역폭이 10M인 경우, 상기 TDD시스템은 단말의 동작 전환을 위한 최대 SSTTG(Subscriber Station TTG)와 SSRTG인 50us를 고려하여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를 105.714us로 설정하고,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를 60us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은 동작 전환시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므로 상기 TDD 시스템의 SSTTG와 SSRTG보다 크게 각각 100us정도의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TDD시스템의 TTG와 RTG를 TTG(TDD)와 RTG(TDD)라 칭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F-FDD system should configure a frame that can support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In this case,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band for receiving the signal and the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the signal, so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switching should be longer than the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 Therefore, the F-FDD system should set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larger than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DD system. For example, when the bandwidth is 10M, the TDD system sets the TTG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to 105.714us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SSTTG (Subscriber Station TTG) and SSRTG 50us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RTG Set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to 60us. In this case, since the frequency band is changed when the H-FDD scheme is switched,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should be set to a value of about 100 us greater than SSTTG and SSRTG of the TDD system.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TG and RTG of the TDD system will be referred to as TTG (TDD) and RTG (TDD).

상기 대역폭이 10M인 경우, 상기 TDD 시스템은 47개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심볼들과 하나의 TTG(TDD)와 하나의 RTG(TDD)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OFDMA 심볼은 102.87us의 크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의 동작 전환을 위해 상기 TTD시스템의 SSTTG와 SSRTG보다 100us를 더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TDD 시스템의 47개의 OFDMA 심볼들 중 하나의 OFDMA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TTG(TDD) 구간과 RTG(TDD) 구간을 확장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TTG와 RTG로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bandwidth is 10M, the TDD system is composed of 47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OFDMA) symbols, one TTG (TDD) and one RTG (TDD). At this time, one OFDMA symbol has a size of 102.87us. In this case, the F-FDD system requires 100us more than the SSTTG and SSRTG of the TTD system in order to switch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Accordingly, the F-FDD system extends the TTG (TDD) section and the RTG (TDD) section by using one OFDMA symbol among 47 OFDMA symbols of the TDD system,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Can be used as TTG and RTG for the UE of the FDD scheme.

Figure 112007086647439-PAT00001
Figure 112007086647439-PAT00001

여기서, 상기 TTG(H-FDD)는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TTG를 나타내고, 상기 RTG(H-FDD)는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RTG를 나타내며, 상기 TTG(TDD)는 TDD시스템의 TTG를 나타내고, 상기 RTG(TDD)는 TDD시스템의 RTG를 나타낸다.Here, the TTG (H-FDD) represents the TTG for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the RTG (H-FDD) represents the RTG for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and the TTG (TDD) is a TDD system Represents the TTG of, and the RTG (TDD) represents the RTG of the TDD system.

상기 <수학식 1>와 같이 상기 F-FDD 시스템은 TTG를 상기 TTG(TDD)에 한 개의 OFDMA 심볼의 반을 추가한 것과 동일한 길이를 같도록 설정하고, RTG를 상기 RTG(TDD)에 한 개의 OFDMA 심볼의 반을 추가한 것과 동일한 길이를 같도록 설정한다.As shown in Equation 1, the F-FDD system sets the TTG to have the same length as adding half of one OFDMA symbol to the TTG (TDD), and sets one RTG to the RTG (TDD). The same length as that of adding half of the OFDMA symbol is set to be the same.

다른 실시 예로 상기 F-FDD시스템은 상기 TDD시스템의 한 개 이상의 OFDMA 심볼들을 상기 TTG(TDD)와 RTG(TDD)를 확장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FDD system may use one or more OFDMA symbols of the TDD system to extend the TTG (TDD) and the RTG (TD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F-TDD 시스템은 TTG(TDD)와 RTG(TDD)에 하나 이상의 OFDMA 심볼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H-FDD 방식의 단말의 동작 전환을 위한 TTG와 RTG를 설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TDD system additionally uses one or more OFDMA symbols in the TTG (TDD) and the RTG (TDD) to configure the TTG and the RTG for the operation switching of the UE of the H-FDD scheme.

이때,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구성하므로 상기 F-FDD 시스템은 하기 도 2의 절차를 이용하여 상기 TTG와 RTG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UE of the H-FDD scheme configures downlink and uplink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the F-FDD system may configure a frame including the TTG and RTG using the procedure of FIG. 2. Can b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반이중 주파수분할 복신 방식의 단말에 대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2 illustrates a procedure for configuring a frame for a UE of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F-FDD 시스템은 201단계에서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들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TTG(TDD)와 RTG(TDD)에 한 개의 OFDMA 심볼을 추가하여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F-FDD시스템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H-FDD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들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다.Referring to FIG. 2, first, in step 201, the F-FDD system calculates an average of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type UE is configured by adding one OFDMA symbol to the TTG (TDD) and the RTG (TDD), the F-FDD system is represented by Equation 2 below. An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 is calculated.

Figure 112007086647439-PAT00002
Figure 112007086647439-PAT00002

여기서, 상기 GAP은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을 나타내고, 상기 TTG(TDD)는 TDD시스템의 TTG를 나타내며, 상기 RTG(TDD)는 TDD시스템의 RTG를 나타낸다.Here, the GAP represents an average of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 the TTG (TDD) represents a TTG of a TDD system, and the RTG (TDD) represents an RTG of a TDD system.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TTG와 RTG는 상기 TTG(TDD)와 RTG(TDD)를 한 개의 OFDMA 심볼만큼 확장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을 상기 TTG(TDD)와 RTG(TDD) 및 OFDMA 심볼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TTG and RTG for the H-FDD type UE are the same as the TTG (TDD) and RTG (TDD) extended by one OFDMA symbol. Accordingly, the F-FDD system may calculate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 using the TTG (TDD), the RTG (TDD), and the OFDMA symbol as shown in Equation (2). have.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을 산출한 후, 상기 F-FDD 시스템은 203단계로 진행하여 부프레임들 사이를 상기 H-FDD 방식의 단말들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을 이용하여 이격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F-FDD 시스템은 제 1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 하향링크 부프레임들의 사이와 제 2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의 사이를 상기 H-FDD 방식의 단말들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로 이격시킨다. 이때, 상기 F-FDD시스템은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하향링크 부프레임도 상기 H-FDD 방식의 단말들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로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F- FDD시스템은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상향링크 부프레임도 상기 H-FDD 방식의 단말들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로 이격시킨다.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the F-FDD system proceeds to step 203 to separate the subframes using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s. For example, the F-FDD system includes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UEs of the H-FDD scheme between downlink subframes located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uplink subframes located in a second frequency band. Spaced to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In this case, in the F-FDD system, the last downlink subframe of the i-th frame and the first downlink subframe of the (i + 1) th frame are also equal to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s. Spacing to size In addition, in the F-FDD system, the last uplink subframe of the i-th frame and the first uplink subframe of the (i + 1) th frame are also equal to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s. Spacing to size

다른 실시 예로 상기 F-FDD 시스템은 제 1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 하향링크 부프레임들의 사이를 상기 H-FDD 방식의 단말들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의 두 배만큼 이격시킨다. 이때, 상기 F-FDD 시스템은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하향링크 부프레임를 이격시키지 않는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FDD system separates downlink subframes located in a first frequency band by twice the average of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type UEs. In this case, the F-FDD system does not separate the last downlink subframe of the i-th frame from the first downlink subframe of the (i + 1) th frame.

또한, 상기 F-FDD 시스템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의 사이를 이격시키지 않는다. 이때, 상기 F-FDD 시스템은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사이를 상기 H-FDD 방식의 단말들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의 두 배만큼 이격시킨다.In addition, the F-FDD system does not space between uplink subframes locat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this case, the F-FDD system averages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UE between the last uplink subframe of the i-th frame and the first downlink subframe of the (i + 1) th frame. Two times apart.

이후, 상기 F-FDD 시스템은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201단계에서 산출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의 차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F-FDD 시스템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201단계에서 산출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의 차를 산출한다.In step 205, the F-FDD system proceeds to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H-FDD termin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calculated in step 201 to set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terminal.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In this case, the F-FDD system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calculated in step 201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Figure 112007086647439-PAT00003
Figure 112007086647439-PAT00003

여기서, 상기 TTG(H-FDD)는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TTG를 나타내고, 상기 RTG(H-FDD)는 H-FDD방식의 단말에 대한 RTG를 나타내며, 상기 TTG(TDD)는 TDD시스템의 TTG를 나타내고, 상기 RTG(TDD)는 TDD시스템의 RTG를 나타내며, 상기 GAP는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인 TTG(H-FDD)와 RTG(H-FDD)의 평균과 동일한 값으로 부프레임들의 사이에 삽입한 영역의 크기를 나타낸다.Here, the TTG (H-FDD) represents the TTG for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the RTG (H-FDD) represents the RTG for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and the TTG (TDD) is a TDD system TTG of the TG, the RTG (TDD) represents the RTG of the TDD system, the GAP is the average of the TTG (H-FDD) and RTG (H-FDD)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The same value indicates the size of the region inserted between the subframes.

상기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은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TTG(TDD)와 RTG(TDD)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산출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의 차는 상기 TTG(TDD)와 RTG(TDD)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산출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의 차는 상기 TTG(TDD)와 RTG(TDD)의 차의 반과 동일한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산출한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의 차는 상기 단말의 동작 전한 구간인 TTG와 RTG의 차의 반과 동일한 값을 갖는다.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may be calculated using TTG (TDD) and RTG (TDD) as shown in Equation 2 above. Therefore, as shown in Equation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calculated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terminal may be calculated by the TTG (TDD) and the RTG (TDD).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calculated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type UE has the same value as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TG (TDD) and the RTG (TDD).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calculated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terminal of the H-FDD scheme has the same value as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TG and the RTG, which is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상기 동작 전환 구간과 동작 전환 구간에 대한 평균의 차를 산출한 후, 상기 F-FDD 시스템은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동적 전환 구간과 상기 동전 전환 구간에 대한 평균의 차만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을 오른쪽으로 쉬프트시킨다. 즉,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을 이용하여 이격시킨 시점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을 상기 동적 전환 구간과 상기 동전 전환 구간에 대한 평균의 차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After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the F-FDD system proceeds to step 207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dynamic switching interval and the coin switching interv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increased. Shift uplink subframes to the right. That is, in step 203, an average of uplink subframes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for the dynamic switching period and the coin switching perio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using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periods for the H-FDD type UE. Move to the right by the car.

이후, 상기 F-FDD 시스템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 F-FDD system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F-FDD 시스템은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작 전환 구간의 차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FDD system may configure a frame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an average of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and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type UE.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도 2의 방법을 이용하여 H-FDD 방식의단말들을 두 개의 그룹으로 구성하여 기지국이 제 1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제 2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The F-FDD system configures the terminals of the H-FDD scheme into two groups using the method of FIG. 2 so that the UEs belong to the second group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downlink signal to the UE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 frame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to receive an uplink signal from the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반이중 주파수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에 대한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using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FDD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영역(360, 370)을 부프레임들 사이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H-FDD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은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한다.Referring to FIG. 3, first, the F-FDD system subframes regions 360 and 370 that are the sam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 as shown in FIG. 3A. Insert between them. Here,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for the H-FDD type UE is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2.

예를 들어, 상기 F-FDD 시스템은 i번째 프레임의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 들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360)을 삽입한다. 이후,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i번째 프레임의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i+1)번째 프레임의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 사이에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370)을 삽입한다. For example, the F-FDD system includes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to terminals belonging to a first group in a first frequency band of an i-th frame and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to terminals included in a second group. The region 360 having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is inserted therebetween. Subsequently, the F-FDD system transmits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of the i-th frame and the terminals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of the (i + 1) th frame. An area 370 having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transition periods is inserted between link subframes.

또한, 상기 F-FDD 시스템은 i번째 프레임의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380)을 삽입한다. 이후,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i번째 프레임의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i+1)번째 프레임의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 사이에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390)을 삽입한다. In addition, the F-FDD system operates between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erminals belonging to a first group and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erminals included in a second group in a second frequency band of an i-th frame. The region 380 having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transition intervals is inserted. Thereafter, the F-FDD system includes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of the i-th frame and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erminals included in a first group of the (i + 1) th frame. An area 390 having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transition periods is inserted between the frames.

이후,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의 (a)와 같이 구성한 프레임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의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을 H-FDD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수학식 2>에서 산출한 값의 차(330)만큼 오른쪽으로 쉬프트하여 프레임을 구성한다. Subsequently, the F-FDD system performs uplink subframes of a second frequency band on the H-FDD type UE in the frame configured as shown in FIG. 3A as shown in FIG. The frame is shifted to the right by the difference 330 between the operation switching section and the value calculated by Equation 2 above.

이때, 상기 프레임은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310) 동안 기지국에서 제 1 그룹의 단말들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제 2 구간(320) 동안 상기 기지국에서 제 2 그룹의 단말들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도 3의 (a)와 (b)의 프레임 구조는 기지국 입장에서 표현하였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무선 환경의 지연에 의해 상기 도시된 하향링크 부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보다 왕복 전송 지연(RTD : Round Trip Delay)의 절반 이후에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In this case, the frame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for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s of the first group during the first period 310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for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s of the second group. Here, the frame structures of FIGS. 3A and 3B are expressed from the base station point of view. Accordingly, the terminal receives the downlink subframe half of a round trip delay (RTD) after the downlink subframe is transmitted due to a delay in a wireless environment.

상기 프레임은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310) 동안 제 2 그룹의 단말들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간(320) 동안 제 1 그룹의 단말들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무선 환경에 따른 지연을 고려하여 상기 도시된 하향링크 부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보다 RTD의 절반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전송해야한다.The frame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for transmitting the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by the second group of terminals during the first period 310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addition, the second group 320 configures uplink subframe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to the base station by the first group of terminals. Here, the terminal should transmit the uplink subframe half of the RTD before the time point of transmitting the illustrated downlink subframe in consideration of a delay according to a wireless environment.

따라서, 상기 도 3의 (b)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310)과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구간(320) 사이에 상기 단말이 동작을 전환하는 TTG(3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구간(320)과 다음 프레임의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 사이에 상기 단말이 동작을 전환하는 RTG(300)가 구성된다.Therefore, referring to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n FIG. 3B, the terminal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ection 310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section 320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TG 340 is configured to switch operations. In addition, the RTG 300 is configured to switch the operation between the second section 320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 first sectio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of the next frame.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310)과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2 구간(320) 사이에 상기 단말이 동작을 전환하는 RTG(35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2 구간(320)과 다음 프레임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 사이에 상기 단말이 동작을 전환하는 TTG(341)가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the RTG 351 is configured to switch the opera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310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section 320 of the first frequency band. do. In addition, the TTG 341 is configured to switch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etween the second section 320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first sec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of the next frame.

다른 실시 예로 상기 F-FDD 시스템은 프레임을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 이 구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FDD system may configure a frame as shown in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반이중 주파수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에 대한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using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FDD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들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영역(460, 470)을 부프레임들 사이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은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한다.Referring to FIG. 4, first, the F-FDD system includes regions 460 and 470 that are equal to the average of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UEs using the H-FDD scheme as shown in FIG. 4A. Insert between subframes. Here,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is calculated as in Equation 2.

예를 들어, 상기 F-FDD 시스템은 i번째 프레임의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이 두 배와 동일한 크기의 영역(460, 470)을 삽입한다. 이후,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i번째 프레임의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i+1)번째 프레임의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 은 연속적으로 위치시킨다. For example, the F-FDD system includes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to terminals belonging to a first group in a first frequency band of an i-th frame and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to terminals included in a second group. The regions 460 and 470 having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are inserted in between. Subsequently, the F-FDD system transmits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of the i-th frame and the terminals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of the (i + 1) th frame. Link subframes are placed consecutively.

또한, 상기 F-FDD 시스템은 i번째 프레임의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은 연속적으로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i번째 프레임의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i+1)번째 프레임의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 사이에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두 배와 동일한 크기의 영역(480, 490)을 삽입한다. The F-FDD system continuously positions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erminals belonging to a first group and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erminals included in a second group in a second frequency band of an i-th frame. . Thereafter, the F-FDD system includes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of the i-th frame and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erminals included in a first group of the (i + 1) th frame. Between the frames, regions 480 and 490 having the same size as twice the average of the motion switching intervals are inserted.

이후, 상기 H-FDD 시스템은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4의 (a)와 같이 구성한 프레임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의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을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수학식 2>에서 산출한 값의 차(430)만큼 오른쪽으로 쉬프트하여 프레임을 구성한다. Subsequently, the H-FDD system operates the uplink subframes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the frame configured as shown in FIG. 4A as shown in FIG. The frame is shifted to the right by the difference 430 of the value calculated in 2>.

이때, 상기 프레임은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410) 동안 기지국에서 제 1 그룹의 단말들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제 2 구간(420) 동안 상기 기지국에서 제 2 그룹의 단말들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도 4의 (a)와 (b)의 프레임 구조는 기지국 입장에서 표현하였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무선 환경의 지연에 의해 상기 도시된 하향링크 부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보다 RTD의 절반 이후에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In this case, the frame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for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s of the first group during the first period 410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 addi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420, the base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for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to the UEs of the second group. Here, the frame structures of FIGS. 4 (a) and 4 (b) are expre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base station. Therefore, the terminal receives the downlink subframe half of the RTD after the downlink subframe is transmitted due to the delay of the wireless environment.

상기 프레임은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410) 동안 제 2 그룹의 단말들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간(420) 동안 제 1 그룹의 단말들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무선 환경에 따른 지연을 고려하여 상기 도시된 하향링크 부프레임이 전송되는 시점보다 RTD의 절반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전송해야한다.The frame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for transmitting the uplink signal by the second group of terminals to the base station during the first period 410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addition, the first group of terminals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420. Here, the terminal should transmit the uplink subframe half of the RTD before the time point of transmitting the illustrated downlink subframe in consideration of a delay according to a wireless environment.

따라서, 상기 도 4의 (b)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410)과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구 간(420) 사이에 상기 단말이 동작을 전환하는 TTG(4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구간(420)과 다음 프레임의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 사이에 상기 단말이 동작을 전환하는 RTG(450)가 구성된다.Therefore, referring to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n FIG. 4B, the terminal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ection 410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section 420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TG 440 is configured to switch this operation. In addition, the RTG 450 is configured to switch the operation between the second section 420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 first sectio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of the next frame.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들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410)과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2 구간(420) 사이에 상기 단말이 동작을 전환하는 RTG(45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2 구간(420)과 다음 프레임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1 구간 사이에 상기 단말이 동작을 전환하는 TTG(441)가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the RTG 451 is configured to switch the opera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410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section 420 of the first frequency band. do. In addition, the TTG 441 is configured to switch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etween the second section 420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first sec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of the next frame.

이하 설명은 상기 F-FDD시스템에서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의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lock configuration of the H-FDD type termina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 frame including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type terminal in the F-FDD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반이중 주파수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5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using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송신기(500), 수신기(510), 제어기(520) 및 RF처리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includes a transmitter 500, a receiver 510, a controller 520, and an RF processor 530.

먼저, 상기 송신기(500)는 프레임 생성기(501), 자원 매핑기(503), 변조기(505),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 Digital /Analog Converter)(5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transmitter 500 includes a frame generator 501, a resource mapper 503, a modulator 505,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DAC) 507.

상기 프레임 생성기(501)는 상기 제어기(520)의 제어에 따라 상위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간 동안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상위 노드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생성한다.The frame generator 501 generat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upper node through a second frequency band during a period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upper n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20.

상기 자원 매핑기(503)는 상기 프레임 생성기(501)에서 생성한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해당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하여 출력한다.The resource mapper 503 allocates an uplink subframe generated by the frame generator 501 to a burst of the corresponding link and outputs the burst.

상기 변조기(505)는 상기 자원 매핑기(503)로부터 제공받은 부프레임을 해당 변조 수준에 따라 부호화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수준은 MSC(Modulaton and Coding Scheme)레벨을 나타낸다.The modulator 505 encodes and modulates the subframe provided from the resource mapper 503 according to the modulation level. Here, the modulation level represents a Modulaton and Coding Scheme (MSC) level.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7)는 상기 변조기(505)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 처리기(530)로 출력한다.The digital-analog converter 507 converts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modulator 505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o the RF processor 530.

상기 수신기(51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Digital Converter) (511), 복조기(513), 자원 디매핑기(515) 및 프레임 추출기(5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ceiver 510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C) 511, a demodulator 513, a resource demapper 515, and a frame extractor 517.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1)는 상기 RF 처리기(530)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511 converts an analog signal provided from the RF processor 530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복조기(513)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1)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신호를 해당 변조 수준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The demodulator 513 demodulates and decodes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511 according to the modulation level.

상기 자원 디매핑기(515)는 상기 복조기(513)로부터 제공받은 각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된 실제 부프레임들을 추출한다.The resource demapper 515 extracts the actual subframes allocated to the burst of each link provided from the demodulator 513.

상기 프레임 추출기(517)는 상기 자원 디매핑기(515)로부터 제공되는 부프레임에서 서빙 노드에서 전송한 부프레임을 추출한다. The frame extractor 517 extracts the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serving node in the subframe provided from the resource demapper 515.

상기 RF 처리기(530)는 수신 구간이 되면 상기 제어기(520)의 제어에 따라 제 1 주파수 대역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상기 RF처리기(530)는 서빙 노드가 전송한 고주파(Radio Frequency)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받아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수신기(510)로 출력한다.When the RF processor 530 receives a reception period, the RF processor 530 switches to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20. Thereafter, the RF processor 530 receives a downlink signal of a radio frequency transmitted by a serving node, converts the signal into a baseband signal, and outputs the baseband signal to the receiver 510.

또한, 상기 RF 처리기(530)는 송신 구간이 되면 상기 제어기(520)의 제어에 따라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상기 RF처리기(530)는 상기 송신기(500)로부터 제공받은 기지대역의 상향링크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서빙 노드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RF processor 530 is switched to the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the uplink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20 when the transmission period. Thereafter, the RF processor 530 converts a baseband uplink signal provided from the transmitter 500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 serving node through an antenna.

상기 제어기(520)는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동작 전환 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프레임 생성기(501)와 상기 RF처리기(5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의 (b)와 같은 프레임 구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520)는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동작 전환 구간과 동작 전환 구간의 평균의 차만큼 오른쪽으로 쉬프트한 시점에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상기 프레임 생성기(501)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쉬프트하는 구간은 TTG(TDD)와 RTG(TDD)의 차의 절반 및 TTG와 RTG의 차의 절반과 동일하다. The controller 520 controls the frame generator 501 and the RF processor 530 according to 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the H-FDD type terminal. For example,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frame configuration as shown in (b) of FIG. 3, the controller 520 is as much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s shown in Equation (3). The frame generator 501 is controlled to transmit an uplink subframe at a time shifted to the right. Here, the shifting interval is equal to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TG (TDD) and RTG (TDD) and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TG and RTG.

또한, 상기 제어기(520)는 수신 구간 동안 상기 RF 처리기(530)가 제 1 주파수 대역의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520)는 송신 구간 동안 상기 RF처리기(530)가 제 2 주파수 대역의 송신 모드로 전환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20 controls the RF processor 530 to receive the downlink signal by switching to the reception mod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during the reception period. In addition, the controller 520 controls the RF processor 530 to transmit the uplink signal by switching to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during the transmission period.

이때, 상기 제어기(520)는 상기 TTG 구간 동안 상기 RF처리기(530)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RTG구간 동안 상기 RF처리기(530)가 수 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520 controls the RF processor 530 to switch from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during the TTG period and controls the RF processor 530 to switch from the reception mode to the transmission mode during the RTG period. .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fram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time division duplex sche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반이중 주파수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onfiguring a fram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반이중 주파수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am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반이중 주파수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반이중 주파수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5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반이중(Half Dulex)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In a frame configuration method for supporting a terminal using a 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부프레임들 사이와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부프레임들 사이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을 이용하여 이격시키는 과정과,Separating the subframes include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ubframes includ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by using an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periods of the terminal;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부프레임들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차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moving to the right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subframes includ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프레임들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과정은,The process of spaced apart between the subframes,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i번째 프레임의 j번째 구간과 (j+1)번째 구간의 사이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로 이격시키는 과정과,Separa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j-th period and the (j + 1) th period of the i-th frame in the first frequency band by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periods of the terminal;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구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구간의 사이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로 이격시키는 과정과,Separa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last interval of the i-th frame and the first interval of the (i + 1) th frame in the first frequency band by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i번째 프레임의 j번째 구간과 (j+1)번째 구간의 사이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로 이격시키는 과정과,Separa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j-th section and the (j + 1) -th section of the i-th frame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by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periods of the terminal;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구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구간의 사이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로 이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epara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last interval of the i-th frame and the first interval of the (i + 1) th frame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by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Wa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은, 시분할 복신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정의된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와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과 적어도 하나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심볼들의 합의 절반과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is TTG (Remit / receive Transition Gap), RTG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and at least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OFDMA) symbol defined in a time division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is equal to half of the sum of the two.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프레임들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과정은,The process of spaced apart between the subframes,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i번째 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 사이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두 배만큼 이격시키는 과정과,Separa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interval and the second interval of the i-th frame in the first frequency band by twice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구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구간의 사이를 이격시키지 않고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the first frequency band without being separated between the last section of the i-th frame and the first section of the (i + 1) th frame;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i번째 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의 사이를 이격시키지 않고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without being spaced apart between the first interval and the second interval of the i-th frame;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구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구간의 사이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두 배만큼 이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epara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last interval of the i-th frame and the first interval of the (i + 1) th frame by twice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 전환 구간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구간과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operation switching perio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eriod for switching from a transmission mode to a reception mode and a period for switching from a reception mode to a transmission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차는,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구간과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구간의 차의 절반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is equal to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al for switching from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and the interval for switching from the reception mode to the transmission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차는, 시분할 복신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정의된 TTG와 RTG의 차의 절반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is equal to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TG and RTG defined in the time division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을 이동시킨 크기의 합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 전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um of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and the size of moving the uplink subframes is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switching from a transmission mode to a reception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을 이동시킨 크기의 차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 전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and the size of moving the uplink subframes is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for switching from the reception mode to the transmission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상위 노드에서 상기 단말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The first frequency band represents a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from an upper node to the terminal,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상기 단말이 상기 상위 노드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econd frequency b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indicates a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to the upper node.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반이중(Half Dulex)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A terminal device using a 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프레임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차만큼 오른쪽으로 쉬프트한 시점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송신기를 제어하고, 송신 구간과 수신 구간에 따라 RF(Radion Frequency) 처리기가 동작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The transmitter is controlled to generate an uplink subframe from a time point shifted to the right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eriod and the reception period, RF (Radion Frequency)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processor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송신 구간이 종료되면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신호를 수신받고, 수신 구간이 종료되면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로 전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RF 처리기와,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n the transmission period ends, the signal is switched to the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when the signal is received, the signal is received in the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An RF processor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송신 구간 동안 상향링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RF처리기로 전송하는 송신기와,A transmitter for generating an uplink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uplink signal to the RF processor under a control of the controller; 수신 구간 동안 상기 RF처리기로부터 제공받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receiver f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provided from the RF processor during a reception period.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프레임 구성 정보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부프레임들이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을 이용하여 이격된 크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부프레임들이 이격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된 크기 정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영역 정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size in which subframes include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are spaced apart using an average of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and in a state in which subframes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size information moved to the right, area information for receiving a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rea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부프레임들이 이격된 크기 정보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모든 부프레임들 사이가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동일한 크기로 이격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ize information from which the subframes are spaced apart may include information spaced between all subframes include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by the same size as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Device.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부프레임들이 이격된 크기 정보는,The size information spaced apart from the subframes,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i번째 프레임의 j번째 구간과 (j+1)번째 구간의 사이가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두 배만큼 이격되고, 상기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구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구간의 사이가 이격되지 않음 을 포함하는 정보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i번째 프레임의 j번째 구간과 (j+1)번째 구간의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상기 i번째 프레임의 마지막 구간과 (i+1)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구간의 사이가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두 배만큼 이격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interval between the j-th period of the i-th frame and the (j + 1) -th period is spaced by twice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periods of the terminal, and the last interval of the i-th frame and (i + 1)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interval of the first frame is not spaced apart, the j j interval of the i-th frame and the (j + 1) -th interval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not spaced apart, i And an interval between the last interval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interval of the (i + 1) th frame includes information spaced by twice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of the terminal. 제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은, 시분할 복신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정의된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와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과 적어도 하나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심볼들의 합의 절반과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is an agreement between a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TGT) and a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RTG) and at least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OFDMA) symbols defined in a time division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same size as half.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동작 전환 구간은, 상기 RF처리기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구간과 상기 RF처리기가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operation switching period may include a period for the RF processor to switch from a transmission mode to a reception mode and a period for the RF processor to switch from a reception mode to a transmission mode.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차는, 상기 RF처리기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구간과 상기 RF처리기가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구간의 차의 절반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is equal to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al for the RF processor to switch from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and the interval for the RF processor to switch from the reception mode to the transmission mo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말의 동작 전환 구간과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의 차는, 시분할 복신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정의된 TTG와 RTG의 차의 절반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and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terminal is equal to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TG and the RTG defined in the time division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을 이동시킨 크기의 합은, 상기 RF처리기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um of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and the size of the shifted uplink subframes is a period in which the RF processor switches from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동작 전환 구간들의 평균과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들을 이동시킨 크기 의 차는, 상기 RF처리기가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s and the size of moving the uplink subframes is a period in which the RF processor switches from a reception mode to a transmission mode.
KR1020070123741A 2007-11-30 2007-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47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41A KR101447210B1 (en) 2007-11-30 2007-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41A KR101447210B1 (en) 2007-11-30 2007-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538A true KR20090056538A (en) 2009-06-03
KR101447210B1 KR101447210B1 (en) 2014-10-07

Family

ID=4098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741A KR101447210B1 (en) 2007-11-30 2007-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2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440A (en)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mbol in a filter-bank multi-carri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11784T2 (en) 2003-06-25 2007-11-08 Siemens S.P.A. Bandwidth allocation for the uplink of a point-to-multipoint radio system with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of physical channels (adaptive PHY mode)
EP1746743B1 (en) 2005-07-21 2010-01-06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for transmission in a TDD system with variable length guard period
US8305943B2 (en) 2006-05-18 2012-11-06 Qualcomm Incorporated Half-duplex communi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440A (en)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mbol in a filter-bank multi-carri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210B1 (en)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3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 link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US81600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492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considering buffering in real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949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KR200700311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ting multi link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KR200600824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information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82837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470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19625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79409A1 (en) Time frame structure of a multi hop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359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4440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link zon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2222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472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65715B2 (en) OFDM communication system with fast frequency hops
US10873986B1 (en) Use of buffer occupancy as a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dual-connectivity service
KR1013917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JP6355855B2 (en) Bandwidth allocation device and frame format
KR201700493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 cellular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KR10133621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rame communic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85396B1 (en) Apparatus and method selectting frame structur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382633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mmunication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plurality of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 device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downlink communication data to a plurality of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 devices, system for transmitting downlink communication data to a plurality of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 devices,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 device suitable for receiving downlink communication date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09665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800315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bchannel allocation in multi 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0876129A (en) V2X resource scheduling and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