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233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233A
KR20090056233A KR1020070123296A KR20070123296A KR20090056233A KR 20090056233 A KR20090056233 A KR 20090056233A KR 1020070123296 A KR1020070123296 A KR 1020070123296A KR 20070123296 A KR20070123296 A KR 20070123296A KR 20090056233 A KR20090056233 A KR 2009005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display panel
diffraction grating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994B1 (ko
Inventor
황진
강경래
Original Assignee
(주)유니드일렉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드일렉트로 filed Critical (주)유니드일렉트로
Priority to KR102007012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9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복수의 색광으로 칼라영상이 표현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다른 각도로부터 입사되는 색광을 평행광으로 집속하기 위한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와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색광의 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색광의 굴절과 직진이 교대로 이뤄지도록 하는 복수의 회절격자와; 상기 광원부에 동기하여 상기 복수의 회절격자를 구동하는 순차굴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색광 경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 콜리메이팅 렌즈, 회절격자, 순차굴절구동부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이디 등의 광원에서 나온 녹색광, 적색광 및 청색광을 투과형 액정 패널을 통과시켜 원하는 이미지를 얻고 이를 스크린에 확대투사하여 스크린에서 큰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와 투과형 액정패널을 이용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녹색광원과 적색광원 및 청색광원이 별도로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각 광원에서 나온 광을 집속하기 위한 집속렌즈도 별도로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광들을 합성하기 위한 이색성 미러도 적어도 2장이 필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엘이디와 투과형 액정 패널을 이용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엘이디 모듈과 이색성 미러를 이용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갈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적색엘이디모듈(21), 녹색엘이디모듈(22) 및 청색엘이디모듈(23)을 구비한다. 이들은 R, G, B의 광을 발생하 기 위한 반도체 광원으로서, 영상신호처리부(3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점멸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적색엘이디모듈(21), 녹색엘이디모듈(22)은 청색엘이디모듈(23)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영상신호처리부(30)는 영상소스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서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40)로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4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적색엘이디모듈(21), 녹색엘이디모듈(22) 및 청색엘이디모듈(23)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입력되는 R, G, B 영상신호에 따라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광량을 조정하여 투과시키는 것으로, 투과형 액정패널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투과형 액정 패널은 이차원 셀 어레이(cell array)로 구성되며 1인치이하의 매우 작은 크기에 VGA~SXGA급의 화소(pixel)들로 구성되며, 통상 투과형 타입의 초소형 (1인치 이하) 액정패널이며, 칼라필터 어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적색엘이디모듈(21), 녹색엘이디모듈(22) 및 청색엘이디모듈(23)의 전면에는 각 모듈에서 나오는 광을 평행광으로 집속하기 위한 제1콜리메이팅 렌즈(61) ~ 제3콜리메이팅 렌즈(63)가 설치된다. 즉,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는 3개의 콜리메이팅 렌즈(61,62,63)가 필요하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이색성 미러(71)와 제2이색성 미러(72)를 구비한다.
제1이색성 미러(71)는 녹색엘이디모듈(22)과 청색엘이디모듈(23)의 전면에 청색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정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이색성 미러(71)는 청색광은 통과시키고 녹색광은 반사시키도록 광학코팅이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청색광과 녹색광은 제2이색성 미러(72)로 보내진다.
제2이색성 미러(72)는 적색엘이디모듈(21) 전면에 적색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대략 45도정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이색성 미러(72)는 적색광은 통과시키고 청색광과 녹색광은 반사시키도록 광학코팅이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각 엘이디 모듈에서 나온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은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40)로 보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40)에는 영상신호처리부(30)에서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40) 전면에 투사렌즈(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투사렌즈(50)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이미지를 스크린에 확대하여 투사함으로써 대화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엘이디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하나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칼라영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시간 순차적으로 R, G, B의 순서로 단색 영상들을 투사하여 사람의 눈에서 순차적으로 색합성이 이루어진다.
위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콜리메이팅 렌즈는 세 개가 필요하고, 이색성 미러는 2개가 필요하다.
R, G, B 색합성 광학계와 광집속기(optical integrator) 광학계가 R, G, B 색깔별로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광학계의 길이와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콤팩트(compact)한 프로젝션 조명 광학계를 얻고 이를 통하여 초소형 프로젝션 광학 엔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 경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광학계의 사이즈를 종래의 것에 비해 작게 구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에 R,G,B 광원별로 각각 적용되던 콜리메이팅 렌즈를 단 하나의 콜리메이팅 렌즈로 줄임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복수의 색광으로 칼라영상이 표현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다른 각도로부터 입사되는 색광을 평행광으로 집속하기 위한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와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색광의 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색광의 굴절과 직진이 교대로 이뤄지도록 하는 복수의 회절격자와; 상기 광원부에 동기하여 상기 복수의 회절격자를 구동하는 순차굴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회절격자는, 전압 인가시 투명하게 되고 무전압 인가시 적색광을 굴절시키는 제1회절격자와 전압 인가시 투명하게 되고 무전압 인가시 청색광을 굴절시키는 제2회절격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현된 칼라영상을 확대하는 투사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는 하나의 비구면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compact)한 프로젝션 조명 광학계를 얻고 이를 통하여 초소형 프로젝션 광학 엔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 경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R,G,B 광원별로 각각 적용되던 콜리메이팅 렌즈를 단 하나의 콜리메이팅 렌즈로 줄임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R,G,B 광원별로 광 경로가 최적화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0)와,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투사렌즈(130)와, 콜리메이팅 렌즈(140)와, 복수의 회절격자(150,160)와, 순차굴절구동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프로젝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의 복수의 색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반도체 광원으로서, 적색 광원(111)과, 녹색 광원(112)과, 청색 광원(113)과, 영상신호처리회로(1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적색 광원(111), 녹색 광원(112) 및 청색 광원(113)은 상호 일렬로 배치된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신호처리회로(11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순차적 점멸이 가능하다.
적색 광원(111), 녹색 광원(112) 및 청색 광원(113)은 콜리메이팅 렌즈(140)의 초점면 근방에 있으면 되지만, 최적의 성능을 위하여 콜리메이팅 렌즈(140)의 초점거리의 대략 3~5% 이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신호처리회로(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소스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서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적색 광원(111), 녹색 광원(112) 및 청색 광원(113)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순차적 점멸이 이뤄지도록 구동한다.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0)의 적색 광원(111), 녹색 광원(112) 및 청색 광원(113)으로부터 조사되는 복수의 색광 으로 칼라영상이 표현되도록, 광원부(110)의 영상신호처리회로(114)에서 입력되는 R, G, B 영상신호에 따라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광량을 조정하여 투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투과형 타입의 초소형 (1인치 이하) 액정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투과형 액정 패널은 이차원 셀 어레이(cell array)로 구성되며 1인치이하의 매우 작은 크기에 VGA~SXGA급의 화소(pixel)들로 구성된다.
투사렌즈(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전면에 배치되어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에서 표현된 칼라영상을 스크린에 확대하여 투사함으로써 대화면 영상을 표시한다.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0)와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다른 각도로부터 입사되는 색광을 평행광으로 집속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콜리메이팅 렌즈(140)를 거친 적색광은 +30도(도 3의 ‘θ’참조), 녹색광은 0도, 청색광은 -30도(도 5의 ‘-θ’참조)로 진행된다.
회절격자의 효율 및 성능 면에서 ‘θ’의 값은 일반적으로 클수록 좋지만, 광학렌즈의 성능 면에서는 ‘θ’의 값은 작을수록 좋기 때문에 ‘θ’의 값은 대략 20도~40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특히 3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콜리메이팅 렌즈(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적색 광원(111), 녹색 광원(112) 및 청색 광원(113)으로부터 각각 조사되는 R,G,B 색광들이 공통적으로 입사되도록 하나의 비구면 렌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 R,G,B 광원별로 각각 적용되던 콜리메이팅 렌즈를 단 하나의 콜리메이팅 렌즈로 줄임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절격자(150,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팅 렌즈(140)와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에 색광의 경로를 따라 제1회절격자(150)와 제2회절격자(160)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R,G,B 색광 중 어느 하나의 색광의 굴절과 직진이 교대로 이뤄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회절격자는 두개의 글래스 기판 사이에 홀로그래픽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가 샌드위치 형태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며, 두개의 글래스 표면에는 투명전극(ITO: Indium-Tin Oxide) 층이 형성되어 광 간섭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절격자는 두 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회절격자는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회절격자의 특성은 두 입력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고 안함에 따라 회절격자를 통과하는 색광의 굴절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자로서, 전압이 인가될 때에는 투명하게 되어 색광을 굴절시키지 않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일정 굴절률로 색광을 굴절시킨다.
제1회절격자(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팅 렌즈(140)와 제2회절격자(160) 사이에 배치되며, 전압 인가시 투명하게 되고 무전압 인가시 적색광을 굴절시킨다. 즉, 제1회절격자(150)는 광원부(110)의 영상신호처리회로(114)에 동기하는 순차굴절구동부(170)에서 +24V 또는 -24V의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투명해지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30도로 입사되는 적색광을 0도로 꺾어주게 된다.
제2회절격자(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절격자(150)와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며, 전압 인가시 투명하게 되고 무전압 인가시 청색광을 굴절시킨다. 즉, 제2회절격자(160)는 순차굴절구동부(170)에서 +24V 또는 -24V의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투명해지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30도로 입사되는 청색광을 0도로 꺾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광원의 위치 배열을 종래의 직각 배열방식에서 일렬 배열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콤팩트(compact)한 프로젝션 조명 광학계를 얻고 이를 통하여 초소형 프로젝션 광학 엔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회절격자(150)의 다음에는 제2회절격자(16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회절격자(150)와 제2회절격자(160)의 위치는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순차굴절구동부(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0)의 영상신호처리회로(114)에 동기하여 복수의 회절격자(150,160)를 구동한다. 즉, 순차굴절구동부(170)는 제1회절격자(150)와 제2회절격자(160)를 시간적으로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순차굴절구동부(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광원(111)이 활성화되는 동안은 제1회절격자(150)를 비활성화 하여 적색광을 굴절시키고, 청색 광원(113)이 활성화되는 동안은 제2회절격자(160)를 비활성화 하여 청색광을 굴절시킨다. 순차굴절구동부(170)가 제1회절격자(150) 또는 제2회절격자(160)를 활성화시킬 때에는 매 주기마다 활성전압의 극성을 반전시켜 소자의 파괴를 방지한다.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구간 A와 구간 C는 목표 광원 ⓒ가 On되는 구간으로서 회절격자의 양단전압이 없으므로 목표 광원 ⓒ는 일정 굴절률로 굴절되고, 구간 B와 구간 D는 목표 광원 ⓒ가 Off되는 구간으로서 회절격자의 양단전압이 교대로 인가되므로 색광은 굴절 없이 직진 통과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구간 A부터 구간 D까지 입력되는 광원에 따라 제1회절격자(150)의 제어용 출력 ⓐ와 제2회절격자(160)의 제어용 출력 ⓑ를 발생시키는 순차굴절구동부(170)의 회로를 설계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을 참고로 설명하면, 광원 ⓒ의 On/Off에 따른 구간 A~D에서의 회절격자의 단자제어신호 ⓐ,ⓑ를 도출하기 위해 광원 ⓒ의 1/2 주파수의 파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D-FlipFlop을 사용하여 출력 Q′와 D를 결선한 후, ⓓ의 clock에 광원 ⓒ를 입력하면 출력 Q는 1/2 주파수의 광원 ⓔ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1/2 주기의 광원 ⓔ까지 포함된 도 6의 상세 제어상태도로서 도 8에 의하면 ⓐ,ⓑ는 ⓒ,ⓔ에 대한 논리조합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 NOT ⓒ AND ⓔ
ⓑ = NOT ⓒ AND NOT ⓔ
최소 로직회로를 사용하기 위해 FlipFlop 1개와 NOR 2개를 사용하도록 위 식들을 드모르강 법칙으로 최적화하면,
ⓐ = NOT (ⓒ OR NOT ⓔ)
ⓑ = NOT (ⓒ OR ⓔ) 가 된다.
이에 따라, 순차굴절구동부(170)가 제1회절격자(150) 및 제2회절격자(160)를 교호적으로 구동하여 제1회절격자(150) 및 제2회절격자(160)에 의해 적색광 및 청색광의 굴절과 직진이 교대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광 경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하여 칼라영상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영상신호처리회로(114)는 영상소스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서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적색 광원(111), 녹색 광원(112) 및 청색 광원(113)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순차적 점멸이 이뤄지도록 구동한다.
다음에, 적색 광원(111), 녹색 광원(112) 및 청색 광원(113)으로부터 콜리메이팅 렌즈(140)로 입사되는 색광들은 각각 콜리메이팅 렌즈(140)를 거치면서 어느 정도 평행화가 이루어진다.
순차굴절구동부(170)는 영상신호처리회로(114)에 동기하여 제1회절격자(150)와 제2회절격자(160)를 교호적으로 구동한다.
즉, 적색 광원(111)으로부터 적색광이 조사될 때에는 순차굴절구동부(170)는 제1회절격자(15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제2회절격자(160)에만 전압을 인가한다(도 3 참조).
녹색 광원(112)으로부터 녹색광이 조사될 때에는 순차굴절구동부(170)는 제1회절격자(150) 및 제2회절격자(160) 모두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회절격자(150) 및 제2회절격자(160)를 투명화시킴으로써 녹색광이 굴절됨 없이 직진 통과되어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진행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청색 광원(113)으로부터 청색광이 조사될 때에는 순차굴절구동부(170)는 제2회절격자(16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제1회절격자(150)에만 전압을 인가한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광 경로가 일직선으로 최적화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제1회절격자(150) 및 제2회절격자(160)를 거친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도달되면, 영상신호처리회로(114)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으로 소정의 칼라영상을 표현한다.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120)에서 표현되는 칼라영상은 투사렌즈(130)에서 확대되며, 외부의 스크린으로 투사되어 대화면 영상을 구현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한 프로젝션 조명 광학계를 얻고 이를 통하여 초소형 프로젝션 광학 엔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적색 광원의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2의 녹색 광원의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2의 청색 광원의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회절격자의 제어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차굴절구동부의 회로도,
도 8은 도 6의 상세 제어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광원부
120 :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 130 : 투사렌즈
140 : 콜리메이팅 렌즈 150 : 제1회절격자
160 : 제2회절격자 170 : 순차굴절구동부

Claims (4)

  1.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복수의 색광으로 칼라영상이 표현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다른 각도로부터 입사되는 색광을 평행광으로 집속하기 위한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와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색광의 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색광의 굴절과 직진이 교대로 이뤄지도록 하는 복수의 회절격자와;
    상기 광원부에 동기하여 상기 복수의 회절격자를 구동하는 순차굴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절격자는,
    전압 인가시 투명하게 되고 무전압 인가시 적색광을 굴절시키는 제1회절격자와,
    전압 인가시 투명하게 되고 무전압 인가시 청색광을 굴절시키는 제2회절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현된 칼라영상을 확대하는 투사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는 하나의 비구면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123296A 2007-11-30 2007-11-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2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296A KR100928994B1 (ko) 2007-11-30 2007-11-30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296A KR100928994B1 (ko) 2007-11-30 2007-11-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233A true KR20090056233A (ko) 2009-06-03
KR100928994B1 KR100928994B1 (ko) 2009-11-26

Family

ID=4098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296A KR100928994B1 (ko) 2007-11-30 2007-11-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9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644B1 (ko) * 2004-10-28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반점을 제거한 조명계 및 이를 채용한 1 패널식프로젝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994B1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844B1 (ko) 조명 장치 및 투사형 표시 장치
US8643928B2 (en) Illumination systems for visual displays
US7746559B2 (en) Image projecting device and method
JP4600269B2 (ja) 液晶表示装置
US7455410B2 (en) Illuminating apparatus and projector
US10514570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color separation device
KR20110050929A (ko) 착용형 디스플레이장치
KR101976991B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598971B2 (en) Image device with a compact homogenizer
CN106997122B (zh) 发光装置以及显示装置
US20200045273A1 (en) Display with increased pixel count
WO2007138501A2 (en) Miniature projection engine
KR1009289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857995B2 (en) Light source system for stereoscopic projection
JP3337022B2 (ja) プロジェクタ
TW201933399A (zh) 投影裝置及照明系統
US7149390B2 (en) Waveguide system,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such a system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JP2002006298A (ja) 投射型カラー画像表示装置
EP4296776A1 (en) Infrared light source module and projection device
US8002412B2 (en) Projection system employing semiconductor diode
WO2023097767A1 (zh) 光学投影模组以及照明光机
JP5397334B2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9289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113469A (ja) プロジェクタ
CN2677965Y (zh) 具有近似等光程照明系统的三镜头液晶投影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