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227A - 토글증폭댐퍼시스템 - Google Patents

토글증폭댐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227A
KR20090055227A KR1020070122043A KR20070122043A KR20090055227A KR 20090055227 A KR20090055227 A KR 20090055227A KR 1020070122043 A KR1020070122043 A KR 1020070122043A KR 20070122043 A KR20070122043 A KR 20070122043A KR 20090055227 A KR20090055227 A KR 2009005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mplification
damper
hinged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153B1 (ko
Inventor
이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to KR102007012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1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거더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 측부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하는 좌측증폭레버 및 우측증폭레버; 상기 좌측증폭레버 및 우측증폭레버의 각각의 중간에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 상기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 각각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좌측증폭레버의 타단과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우측증폭레버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는 마찰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철도교에서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진동의 크기를 수평방향으로 증폭하여 저감시킬 수 있고, 진동저감장치의 크기 및 중량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존 교량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진동저감장치를 구성하게 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글증폭댐퍼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 증폭레버, 댐퍼암, 마찰댐퍼, 진동저가장치.

Description

토글증폭댐퍼시스템{Toggle amplifier damper system}
본 발명은 오래전에 설치된 철도교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진동을 저감시키는 토글 메카니즘을 이용한 진동저감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거에 시공된 철도교는 침목 및 레일 등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자갈이 없는 무도상궤도(ballastless track)로 이루어진 강교가 대부분이었으며, 현재까지 약 40% 정도가 이러한 무도상 강교로서 하천을 지나거나 계곡 사이를 지나는 등, 상당수의 철도교는 무도상으로 설치되어있다.
철도교에 있어서 열차가 진행함에 따라 매우 큰 동적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즉, 열차가 철도교를 지나갈 때 궤도틀림에 의해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동적 하중변동이 발생하게 되며, 철도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진동이나 휨이 발생한다. 이러한 열차의 수직 및 수평하중은, 거더에 의해 수직 브레이싱으로 전달되어 과도한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해 철도교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더의 취약한 강성으로 인하여 열차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 평 방향으로의 진동과 휨이 크게 발생하여 철도교에 손상이 생기는 동시에 동적인 사용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무도상 강철도교의 진동저감을 위한 방법들은 구조적으로 건전한(정적인 하중지지능력이 충분한) 교량을 극단적으로 철거하고 다른 형식의 유도상 콘크리트교량으로 교체하거나, 교체수준의 공사를 수반하는 것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고밀도로 열차가 운행하는 주요 선로에서는 열차운행 지장(서행, 중간)을 초래할 뿐만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건전한 거더 및 목재침목을 폐기(교체)하기 때문에 막대한 교체비용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도교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를 10배 이상 증폭하여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진동저감장치의 크기 및 중량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존 교량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거더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며, 양 측부에 결합공이 형성있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하는 좌측증폭레버 및 우측증폭레버; 상기 좌측증폭레버 및 우측증폭레버의 각각의 중간에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 상기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 각각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좌측증폭레버의 타단과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우측증폭레버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며, 상기 거더에서 수직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마찰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는 좌측고정구 및 일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우측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는 우측고정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브라켓은 거더의 하면에 결합하는 판형상의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수직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폭레버의 일단과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의 폭의 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고정브라켓 몸체의 양 측면에 수직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찰댐퍼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댐퍼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일단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단은 좌측증폭레버와 힌지결합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는 좌측댐퍼암 및 상기 실린더의 타단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단에는 고무재질의 완충고무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증폭레버와 힌지결합하는 우측댐퍼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턱과 상기 좌측댐퍼암에서 실린더 내부에 걸치는 부분에는 스프링이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찰댐퍼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일단은 강봉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베이스플레이트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레일에 끼어져 슬라이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찰댐퍼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일단은 볼록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이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접촉되고,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측증폭레버와 좌측로우레버를 결합하는 핀에 일단이 연결되고, 우측증폭레버와 우측로우레버를 결합하는 핀에 타단이 연결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성체의 재질은 강재의 스프링 또는 탄성 재질의 고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측고정구 및 우측고정구의 각각의 타단 및 일단 사이에 구비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글증폭댐퍼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철도교 등 교량을 지나는 교통수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의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의 진동을 수평방향으로 증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의 경우 진동저감장치의 크기 및 중량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존 교량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진동저감장치를 구성하게 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 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각 구성요소의 명칭은 첨부된 도 3을 기준으로 고정브라켓(100)의 왼쪽을 고정브라켓 일측, 오른쪽을 고정브라켓 타측으로 정했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힌지결합하는 증폭레버는 첨부된 도면 3을 기준으로 좌측의 증폭레버를 좌측증폭레버(200)로 명명하고, 우측의 증폭레버를 우측증폭레버(20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로우레버의 경우도 도 3을 기준으로 왼쪽의 로우레버를 좌측로우레버(300) 오른쪽의 로우레버를 우측로우레버(301)로 정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도교 등과 같은 강교의 거더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인바 필요한 경우 외에는 도면에서 거더(girder, 10)의 표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토글(toggle)이란 용어의 의미는 수직방향의 압력 또는 진동을 횡 방향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이러한 수직방향의 진동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켜 마찰댐퍼 및 마찰패드(40)를 이용하여 저감시키도록 한 것에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거더(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양 측부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00); 고정브라켓(100)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하는 좌측증폭레버(200) 및 우측증폭레버(201); 상기 좌측증폭레버(200) 및 우측증폭레버(201)의 각각의 중간에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측로우레버(300 및 우측로우레버(301); 상기 각각의 로우레버의 타단(330, 331)과 힌지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400); 일단은 상기 좌측증폭레버 타단(230)과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우측증폭레버의 타단(331)과 힌지결합하여, 상기 거더(10)에서 수직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는 마찰댐퍼(500) 및 상기 좌, 우측증폭레버(200,201)와 좌,우측로우레버(300,301) 사이에 구비되는 마찰패드(4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거더(10)의 하면에 부착고정되는 것으로서. 거더(10)의 하면에 필요에 따른 수만큼 설치한다. 고정브라켓(100)은 본 발명의 구성인 증폭레버(200, 201)와 힌지결합하여 증폭레버(200, 201)로 하여금 수직진동을 수평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초가 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2와 같이 거더(10)의 하면에 결합하는 판형상의 고정플레이트(1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수직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의 일단(210, 211)과 힌지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120,121)를 포 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판형상의 고정플레이트(110)를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결합 등을 통해 거더의 하면에 부착시킨 후,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나란히 2개의 결합플레이트(120, 1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플레이트(120, 121)의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결합공에 상기 좌측증폭레버(200) 및 우측증폭레버(201)를 핀(20)을 이용하여 와셔(60)와 너트(30)를 이용하여 힌지결합을 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고정플레이트(110)에 수직하게 일렬로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120, 121)의 고정을 보충해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플레이트(130)를 결합플레이트(120, 121) 사이에 구비하여 결합플레이트(120, 121)가 휘지 않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플레이트(120, 121)와 좌,우측증폭레버(200, 201)를 힌지결합하는 이유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철도교를 열차(70)가 지나가는 경우에는 거더(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고정플레이트(110) 및 결합플레이트(120, 121)를 통해 진동이 좌,우측증폭레버(200, 201)로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의 방향이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에 의해 수직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플레이트(120, 12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과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와의 힌지결합방식은 첨부된 도 1과 같이 좌, 우측증폭레버의 일단(210, 211)에 결합공을 형성한 후, 결합플레이트(120, 121)에 형성된 결합공과 좌, 우측증폭레버 일단(210, 211)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핀(20)을 통과시키고 와셔(60)를 결합한 다음 이들을 너트(30)로 조이는 방식에 의해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첨부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2개의 너트(30)를 이용하여 조이도록 하여 상기 좌, 우측증폭레버의 각각의 일단(210, 211)과 결합플레이트(120, 121)의 결합을 공고히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좌,우측증폭레버(200, 201)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120, 121)에 상기 좌, 우측증폭레버의 각각의 일단(210, 211)을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결합시키고 증폭레버의 각각의 타단(230, 231)은 이하에서 후술하는 마찰댐퍼(500)와 힌지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좌측증폭레버(200) 및 우측증폭레버(201)의 각각의 중앙(220, 221)에는 일단(310, 311)이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측로우레버(300) 및 우측로우레버(301)가 제공된다. 이러한 각각의 좌,우측로우레버(300, 301)는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와 각각 핀(21)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을 하는데 첨부된 도 2와 같이 좌, 우측증폭레버의 각각의 중앙(220, 221)과 좌, 우측로우레버 일단(310, 311)의 각각의 사이에는 마찰패드(40, 4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찰패드(40, 41)는 상기 핀을 통해 힌지결합하는 좌,우측로우레버(300, 301)와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사이에 구비되어 마찰에 의해 좌, 우측로우레버의 각각의 일단(310, 311)과 좌, 우측증폭레버의 각각의 중앙(220, 221)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열로 전환하여 이를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로우레버의 일단(310, 31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과 너트(31) 사이에는 각 스프링(50)을 끼워 탄성력을 부여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0)의 양측에는 각각 와셔(61)를 더 포함하였다. 그리고 결속력을 위하여 너트(31)를 2개를 이용하여 조여주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좌, 우측로우레버의 타단(330,331)은 베이스플레이트(400)와 연결하였는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의 일단은 상기 좌측증폭레버의 타단(230)과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우측증폭레버의 타단(231)과 힌지결합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좌,우측로우레버(300, 301)는 각각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는 후술하는 좌,우측고정구(600, 601)에 의해 거더(10)의 하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거더(10) 상부의 수직방향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첨부된 도 4와 같이 좌,우측증폭레버(200, 201) 및 좌,우측로우레버(300, 301)가 수평방향으로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찰댐퍼(500)는 상기 거더(10)의 상부에서 발생하여 상기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전환된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 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댐핑(완충작용, 댐퍼)의 의미는 진동을 마찰 등에 의한 열에너지 등으로 전환하여 저감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탄성이 좋은 쇠막대기를 때려 충격을 주면 반복적으로 왔다 갔다 하면서 진동을 하게 된다. (다만, 너무 빨라 잘 보이지 않을 때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지켜보면 서서히 진동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얼마 가지않아 정지한다. 즉, 진동을 유지하던 진동에너지가 열에너지, 마찰에너지, 탄성에너지 등으로 전환되면서 소비된 것이다. 정확하게는 이를 언더 댐핑(under damping)이라고 한다.
이때 마찰댐퍼(500)의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댐퍼실린더(510); 상기 댐퍼실린더의 일단(512)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단(523)은 좌측증폭레버(200)와 힌지결합하고, 타단에는 걸림턱(525)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510) 내부에 구비되는 좌측댐퍼암(520); 상기 실린더 타단(514)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단에는 고무재질의 완충고무(550)가 형성되고, 타단(535)은 상기 우측증폭레버(201)와 힌지결합하는 우측댐퍼암(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댐퍼암(520)의 실린더 내부에 걸치게 되는 타단에는 걸림턱(525)을 형성하여 스프링(40)이 감기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판(plate)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슬라이딩레일(420)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 몸 체(401) 및 상기 고정브라켓 몸체(401)의 양 측면에 수직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좌측로우레버(300) 및 우측로우레버(301)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410)를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 몸체(401)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긴 직사각형의 판(plate)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 몸체(40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개의 결합플레이트(410)를 구성하되, 상기 결합플레이트(410)에는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의 각각의 타단(330, 331)이 결합하도록 한다.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로우레버와의 결합은 힌지결합 또는 고정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너트와 로우레버 사이에 와셔(63)를 더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첨부된 도 1 등과 같이 상기 로우레버(300, 301)와 결합하는 결합공의 측면에는 상기한 좌측고정구(600) 및 우측고정구(601)와 결합하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401)에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 몸체(40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420)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레일(420)은 후술하는 슬라이딩브라켓(700)의 타단(7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홈(725)이 끼워져 슬라이딩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마찰댐퍼(5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브라켓(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일단(710)은 강봉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댐퍼실린더(510)의 외주면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타단(720)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딩홈(725)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401)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레일(420)에 끼어져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은 상기한 댐퍼실린더(510)의 안정적인 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딩레일(420)의 길이는 상기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의 수평 운동방향의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도 겸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브라켓(700)의 개수는 실시조건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2 개의 슬라이딩브라켓(700)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라이딩브라켓의 일단(710)은 상기 댐퍼실린더(510)의 외주면에 고정결합되게 되는 데 일반적인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딩브라켓의 타단(720)은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레일(420)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브라켓 타단(720)에 슬라이딩홈(725)을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딩레일(420)에 슬라이딩홈(725)이 끼워져 이동함으로써 상기 댐퍼실린더(510) 및 좌,우측댐퍼암(520, 530)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찰댐퍼(500) 및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며, 첨부된 도 6과 같이 좌측증폭레버(200)와 좌측로우레버(300)를 결합하는 핀(21)에 일단이 연결되고, 우측증폭레버와 우측로우레버를 결합하는 핀(21')에 타단이 연결되는 스프링(8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보다 댐핑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강재의 스프링으로 실시할 수 있고 탄성력이 좋은 고무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열차가 지나가는 경우에는 거더(10)의 상부로부터 거더하부로 수직방향의 진동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고정브라켓(100)으로 전달되고 곧바로 좌,우측증폭레버(200, 201)로 전달된다. 이때 좌,우측증폭레버(200, 201)는 수평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러한 좌,우측증폭레버(200, 201)의 움직임에 의해 댐퍼실린더(510)에 구비된 좌측댐퍼암(520)의 타단의 걸림턱(525)도 왼쪽으로 움직이며 스프링(800)을 압축시킨다. 동시에 우측댐퍼함(530)도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압축되었던 스프링(800)은 다시 팽창하면서 진동이 탄성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진동이 저감된다.
도 6의 경우는 우측증폭레버(200)와 좌측로우레버(300)를 결합하는 핀(21)에 일단이 연결되고, 우측증폭레버와 우측로우레버를 결합하는 핀(21')에 타단이 연결되는 스프링(80)에 의해 도 5의 경우보다 댐핑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좌측고정구(600) 및 우측고정구(601)의 각각의 타단 및 일단 사이에 턴버클(900)을 구성하여 실시한다. 이때 턴버클(900)은 상기 좌측고정구(600) 및 우측고정구(601)의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측고정구(600, 601)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턴버클(900)은 턴버클 몸체(910); 상기 턴버클 몸체(9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로드결합공(920, 921) 및 일단에 상기 연결로드결합공(920, 921)내에 결합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좌,우측고정구(600, 601)와 연결되는 연결로드(930, 931)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좌,우측고정구(600, 601)와 연결하는 연결로드(930, 931)의 각각의 타단은 고리형태, 나사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좌,우측고정구(600, 601)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작동원리는 상기 턴버클 몸체(9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로드(930, 93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의 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930, 931)가 턴버클 몸체(910)의 내외로 움직이며 상기 좌,우측고정구(600, 601)를 팽팽하게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좌,우측고정구(600, 601)를 팽행하게 하여 좌,우측고정구(600, 601)가 뒤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턴버클은 이미 공지된 요소인바 본 실시예에 사용한 것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턴버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는 상기 슬라이딩브라켓 타단(720)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401)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시키고, 상기 슬라이이딩브라켓 일단(710)의 표면위로 상기 댐퍼실린더(510)의 외주면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420) 없이 실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좌측댐퍼암과 댐퍼실린더가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좌, 우측고정구의 실시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더(girder) 20, 21, 22, 23 ; 핀
30, 31, 32, 33 ; 너트 40, 41 ; 마찰패드
50 ; 스프링 60, 61, 62, 63 ; 와셔
70 ; 열차 80 ; 토글증폭댐퍼시스템
100 ; 고정브라켓 110 ; 고정플레이트
120, 121 ; 결합플레이트 130 ; 보강플레이트
200 ; 좌측증폭레버 201 ; 우측증폭레버
210 ; 좌측증폭레버 일단 211 ; 우측증폭레버 일단
230 ; 좌측증폭레버 타단 231 ; 우측증폭레버 타단
300 ; 좌측로우레버 301 ; 우측로우레버
310 ; 좌측로우레버 일단 311 ; 우측로우레버 일단
330 ; 좌측로우레버 타단 331 ; 우측로우레버 타단
400 ; 베이스플레이트 401 ; 베이스플레이트 몸체
410 ; 결합플레이트 420 ; 슬라이딩레일
430 ; 보강플레이트 440,441 ; 고정구결합공
445,446 ; 고정구연결플레이트
450,451 ; 로우레버결합공
500 ; 마찰댐퍼 510 ; 댐퍼실린더
520 ; 좌측댐퍼암 530 ; 우측댐퍼암
540 ; 스프링 550 ; 완충고무
600 ; 좌측고정구 601 ; 우측고정구
700 ; 슬라이딩브라켓 710 ; 슬라이딩브라켓 일단
720 ; 슬라이딩브라켓 타단 730 ; 슬라이딩브라켓 하부
800 ; 스프링
900 ; 턴버클 910; 턴버클 몸체
920,921; 연결로드결합공
930,931 ; 연결로드

Claims (10)

  1. 교량의 거더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 측부에 각각 일단이 힌지결합하는 좌측증폭레버 및 우측증폭레버;
    상기 좌측증폭레버 및 우측증폭레버의 각각의 중간에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
    상기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 각각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좌측증폭레버의 타단과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우측증폭레버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는 마찰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2. 제 1항에서,
    일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는 좌측고정구; 및,
    일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우측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는 우측고정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거더의 하면에 결합하는 판형상의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수직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폭레버의 일단과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의 폭의 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고정브라켓 몸체의 양 측면에 수직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좌측로우레버 및 우측로우레버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마찰댐퍼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댐퍼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일단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단은 좌측증폭레버와 힌지결합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는 좌측댐퍼암; 및
    상기 실린더의 타단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일단에는 고무재질의 완충고무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증폭레버와 힌지결합하는 우측댐퍼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턱과 상기 좌측댐퍼암에서 실린더 내부에 걸치는 부분에는 스프링이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6. 제 5항에서,
    상기 마찰댐퍼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일단은 강봉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베이스플레이트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레일에 끼어져 슬라이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7. 제 5항에서,
    상기 마찰댐퍼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일단은 볼록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이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접촉되고,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좌측증폭레버와 좌측로우레버를 결합하는 핀에 일단이 연결되고,
    우측증폭레버와 우측로우레버를 결합하는 핀에 타단이 연결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9. 제 8항에서,
    상기 탄성체의 재질은 강재의 스프링 또는 탄성 재질의 고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10. 제 2항에서,
    좌측고정구 및 우측고정구의 각각의 타단 및 일단 사이에 구비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증폭댐퍼시스템.
KR1020070122043A 2007-11-28 2007-11-28 토글증폭댐퍼시스템 KR10099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43A KR100992153B1 (ko) 2007-11-28 2007-11-28 토글증폭댐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43A KR100992153B1 (ko) 2007-11-28 2007-11-28 토글증폭댐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227A true KR20090055227A (ko) 2009-06-02
KR100992153B1 KR100992153B1 (ko) 2010-11-05

Family

ID=4098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043A KR100992153B1 (ko) 2007-11-28 2007-11-28 토글증폭댐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0231A (zh) * 2021-01-18 2021-06-04 同济大学 一种大跨度悬索桥弹塑性中央扣装置
CN113236706A (zh) * 2021-05-10 2021-08-10 南通理工学院 一种应用于混凝土框架结构中的减震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145B (zh) * 2020-03-08 2021-07-23 北京工业大学 防止桥墩端部产生塑性铰的位移放大型多维耗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0486B2 (ja) 1997-10-22 2004-08-04 辰治 石丸 制振装置
JPH11229663A (ja) 1998-02-19 1999-08-24 Sumitomo Constr Co Ltd 減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制震構造物
KR100770433B1 (ko) 2006-05-18 2007-10-2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사장케이블 제진을 위한 감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0231A (zh) * 2021-01-18 2021-06-04 同济大学 一种大跨度悬索桥弹塑性中央扣装置
CN113236706A (zh) * 2021-05-10 2021-08-10 南通理工学院 一种应用于混凝土框架结构中的减震装置
CN113236706B (zh) * 2021-05-10 2022-03-08 南通理工学院 一种应用于混凝土框架结构中的减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153B1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03928B (zh) 一种多跨简支桥梁伸缩缝的连接结构及施工方法
CN108612186B (zh) 含肘节型多维减振杆件的可装配式桁架结构
KR100992153B1 (ko) 토글증폭댐퍼시스템
CN104264854A (zh) 一种磁悬浮式水平调谐质量阻尼器
CN106120571B (zh) 拱桥吊杆张拉装置
CN211645788U (zh) 一种钢轨阻尼动力吸振装置
CN107700343A (zh) 一种桥梁应力面板节点加固装置
SG187196A1 (en) Vibration absorber for damping mechanical vibrations
US5090166A (en) Rectilinear building structure
KR20010000649A (ko) 연속교 강박스 교량에 있어서 상부구조의 이탈방지장치와그 시공방법
CN109098047A (zh) 一种用于钢轨的扣件装置
KR101272472B1 (ko) 탄성수지 고정방식의 저진동 철도교
KR100660007B1 (ko) 철도 레일 고정 구조
CN209468649U (zh) 一种用于钢轨的扣件装置
JP2008031653A (ja) Pc枕木継手
JPH03257201A (ja) 常電導磁気浮上式リニアモーターカー用軌道
CN214401403U (zh) 桥梁伸缩缝的锚固装置
CA2450089A1 (en) Stay cable damper
CN113550641A (zh) 三维隔震装置及其制作方法
CN209258599U (zh) 大数据机箱运输装置
CN209468645U (zh) 一种适用于轨道交通预制浮置板的大刚度连接装置
CN110130210A (zh) 一种防落梁耗能装置的安装方法
CN216877819U (zh) 一种减震摇摆结构
CN221297446U (zh) 一种铁路线路螺栓锚固装置
KR200268160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외부강선 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