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848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848A
KR20090054848A KR1020070121743A KR20070121743A KR20090054848A KR 20090054848 A KR20090054848 A KR 20090054848A KR 1020070121743 A KR1020070121743 A KR 1020070121743A KR 20070121743 A KR20070121743 A KR 20070121743A KR 20090054848 A KR20090054848 A KR 20090054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wing body
terminal
keypad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1022B1 (en
Inventor
박상율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022B1/en
Priority to US12/205,449 priority patent/US8046033B2/en
Publication of KR2009005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realize the high usage of a camera by being arranged at a space opened by a swing body. A display unit(31) is arranged at a front side of a swing body(30), and is connected to a terminal body(10) in a swinging way. A second keypad(50) is prepared at a region of the terminal body. The terminal body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swing body. A camera operating unit(53) for the first camera is prepared in a first region(52A) of an upper end, and includes a connection key(54).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 이동통신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 기기이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들은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portable terminal may have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receiv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The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ultimedia device.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개발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are applied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functions of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has been developed.

특히, 정보통신 분야가 발달함에 따라 전문가 집단이 아닌 일반인들도 기존의 미디어보다 빠르고 가치있는 정보들을 생산해 내면서 이른바 UCC(User Created Contents) 문화를 형성하기도 한다. 사진이나 동영상을 글과 함께 결합하여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업로드시킬 수 있는 UCC를 통하여 다른 이용자도 손쉽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the general public, not the expert group, produces faster and more valuable information than the existing media, forming a so-called User Created Contents (UCC) culture. UCC, which can combine photos or videos with text, can be uploaded to an Internet portal site so that other users can easily enjoy it.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빠르고 용이하게 생산하기 위해서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의 배치가 적절히 고려될 것을 요한다.In order to quickly and easily produce content using a portable terminal, it is necessary to properly consider an arrangement of a camera for taking a picture or a video or an operation means for operating the camer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카메라 조작부를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and quickly use a camera and a camera operation unit capable of capturing a picture or a vide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컨텐츠를 다른 컴퓨터나 인터넷에 용이하게 접속함으로써 정보 전달성이 우수한 휴대 단말기를 제안하는데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portable terminal having excellent information transfer capability by easily connecting photographed picture or video content to another computer or the Interne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단말기 본체에 수평으로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면에는 스윙되어 열림시 노출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카메라가 구비된 스윙바디; 및 스윙에 의하여 열려지는 단말기 본체의 영역상에 배치되며, 제1카메라를 조작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카메라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erminal body; A swing bod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in a horizontally swingable manner, the swing body having a first camera installed at the rear thereof to be exposed when the swing is opened; And a camera manipulation unit disposed on an area of the terminal body opened by the swing and provided to operate the first camera.

제1카메라는 스윙바디의 이동에 의하여 열려지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시에만 단말기 본체로부터 노출되므로 비사용시 제1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윙바디의 전면에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될 화상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윙바디는 단말기 본체를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열릴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손가락의 사용상 자연스러운 방향인 엄지 손가락 을 벌리는 방향으로 스윙바디를 열리도록 하고, 카메라 조작부가 설치된 단말기 본체의 열리는 영역은 자동적으로 엄지손가락이 접근되기 용이한 위치로 되는 것이다.Since the first camera is disposed in an area opened by the movement of the swing body, the first camera is exposed from the terminal body only during use, thereby protecting the first camera when not in use. In this cas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r an imag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wing body. Preferably, the swing body may be installed to open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thumb while holding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swing body is open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thumb, which is a natural direction of use of the finger, and the open area of the terminal body in which the camera operation unit is installed is automatically positioned to allow the thumb to be easily accessed.

스윙바디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9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가 되거나 닫힌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스윙바디는 닫힌 상태일 때 단말기 본체의 전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는 스윙바디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제1키패드 및 스윙바디가 회전되어 개방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제2키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The swing body may be installed to be in an open state or in a closed state by being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The swing body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terminal body so tha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s exposed when the swing body is closed. In this case,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irst keypad is installed in the area that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swing body and the second keypad is installed in th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wing body is rotated and opened. Can be.

제2키패드가 장착되는 제2키패드 장착부는 제1키패드가 장착되는 제1키패드 장착부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들어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윙바디의 전면과 상기 제1키패드의 전면은 균등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The second keypad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keypad is mounted may be formed to enter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keypad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irst keypad is mounted. Preferably, the front surface of the swing body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keypad may be formed at an equal height to improve appearance.

카메라 조작부는 복수의 키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키패드는 상하로 구획된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영역에 카메라 조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의 세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키들은 카메라 조작부의 영역 내에 둠으로써 카메라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셔터키나 줌인/줌아웃키 등이 카메라 조작부를 이룰 수 있다.The camera manipulation unit may be formed in a form having a plurality of keys. That is, the second keypad may include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divided up and down, and the camera manipulation unit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Keys for implementing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camera can be easily placed in the area of the camera operation unit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camera.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utter key, a zoom in / zoom out key, etc. may form a camera operation unit.

단말기 본체에 배치되는 제1키패드는 카메라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키는 카메라의 세부 기능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카메라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조작수단의 집중적인 배치를 얻을 수 있다. The first keypad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may include a direction key to adjust the function of the camera. The arrow keys can be used for more precise control of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camera, thereby obtaining a intensive arrangement of operation means necessary for using the camera.

카메라 조작부를 이루는 복수의 키 사이에 제2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카메라는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거나 화상통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may be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keys forming the camera manipulation unit. The second camera may be used for photographing the user himself or for making a video call.

카메라 조작부는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을 무선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의 접속을 지시하는 접속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키는 생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보다 빨리 인터넷이나 타 서버에 업로드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The camera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key for instructing access to an internet site for wirelessly uploading a photo or video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The access key can help upload the produced multimedia content to the Internet or to another server more quickly.

단말기 본체와 스윙바디 사이에는 스윙바디가 열리면 제1카메라의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스윙바디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윙바디가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모드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스윙바디의 이동만으로 카메라를 곧바로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대기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이후 카메라의 실행 조작을 해야하는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유닛은 스윙바디에 배치되는 마그넷; 및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마그넷의 근접 여부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기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카메라 모드 전환부는 발광부와 발광부의 빛을 인식하는 광센서의 조합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When the swing body is open, the terminal body and the sw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swing body is opened or closed so as to switch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camera. In this case, when the swing body is rotat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at least one selectable execution mode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Since the camera can be immediately executed only by moving the swing body, power can b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in the standby mode, and a complicated process of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can be omitted.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is a magnet disposed on the swing body; And a magnetic switch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and operated by proximity of the magnet. In addition, the camera mode switching unit may be achieved by a combination of a light emitting unit and an optical sensor that recognizes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가 배치된 스윙바디를 회전시켜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카메라 조작부는 스윙바디에 의하여 열려지는 공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므로 카메라의 사용성이 높은 휴대 단말기를 얻을 수 있다.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obtain a state for using the camera by rotating the swing body in which the camera is disposed while the user holds the terminal body, and the camera manipulation unit for operating the camera swings. Since it is intensively arranged in the space opened by the body,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rtable terminal with high usability of the camera.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는 제1키패드(40)가 전면에 배치된 단말기 본체(10)와, 전면에 디스플레이부(31)가 배치되어 있으며 단말기 본체(10)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윙바디(3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 includes a terminal body 10 having a first keypad 40 dispos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 display unit 31 dispos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swinging on the terminal body 10. It is provided with the swing body 30 connected to it possible.

스윙바디(30)는 도 1과 같이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일 때 단말기 본체(10)의 전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윙바디(30)의 회전과 관계없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영역에 제1키패드(40)가 설치된다.The swing body 30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terminal body 10 so tha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 can be exposed in the clos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The first keypad 40 is installed in an area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rotation.

휴대 단말기(1)는 무선 이동통신을 위한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내부적으로 단말기 본체(10) 또는 스윙바디(30)의 내부에는 전파 신호를 처리하여 통화가 가능한 음으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전파 신호로 처리하여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The portable terminal 1 may be equipped with means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o this end, internally, the terminal body 10 or the swing body 30 is provided with means for processing radio signals and converting them into voices capable of making a call, or conversely, processing and transmitting a user's voice as radio signals. .

이에 대응하여, 스윙바디(30)의 외부에는 상대방과의 통화음을 출력하는 제1음향출력부(11)가 구비되며, 단말기 본체(10)의 하단에는 통화음이나 녹음 또는 녹화음을 증폭시키는 마이크(12)가 구비되고 있다. Correspondingly, a first sound output unit 11 for outputting a call sound with the other party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wing body 30, and a microphone for amplifying a call sound or a recording or recording soun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 body 10. 12) is provided.

제1음향출력부(11)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부(11)는 디스플레이부(31)의 양단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됨으로써 스테레오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 may be arranged in pairs at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31 to realize a stereo function.

마이크(12)는 단말기 본체(10)의 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키패드(40)를 이루는 키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microphone 1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terminal body 10,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keys constituting the first keypad 40.

제1키패드(40)를 이루는 키들(42)은 스윙바디(30)가 도 1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31)를 이용하여 보다 실현시킬 수 있는 기능이나 방향지시 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조그키 또는 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조그키(43)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keys 42 constituting the first keypad 40 may be used for a function or direction indication that can be more realized by using the display unit 31 even when the swing body 30 is closed as shown in FIG. 1. It may include at least one jog key or wheel. 1 illustrates that a jog key 43 is provided.

스윙바디(3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3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31)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1 installed in the swing body 3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odule,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Furthermore, the display unit 31 may include touch input means to enable touch input.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외부 인터페이스(15) 및 사이드키(17)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키(17)는 특정 기능을 곧바로 실행시키거나 조절을 위한 용도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1카메라(32) 또는 제2카메라(13)의 조작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external interface 15 and the side key 17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10. The side key 17 may be implemented to immediately execute or adjust a specific function, and may be set to perform a function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32 or the second camera 13 to be described later. .

외부 인터페이스(15)는 제1카메라(32)를 통하여 얻은 동영상을 피씨(PC) 또는 다른 서버장치와의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인터페이스(15)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1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external interface 15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interface 15 that allows a video obtained through the first camera 32 to be connected to the PC or another server device. The external interface 15 is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etc.) }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스윙바디가 스윙되어 열린 것을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swing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is swinged open.

도 2를 참조하면, 스윙바디(30)는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90도 회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도 함께 회전되므로 디스플레이부(31)에 출력되는 내용도 디스플레이부(31)의 자세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2, the swing body 30 is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Accordingly, since the display unit 31 is also rotated together, the content output to the display unit 31 may als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display unit 31.

스윙바디(30)가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스윙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이라 할 수 있다. 열린 상태는 스윙바디(30)가 90도보다 작은 경우에도 구현될 수 있으며, 90도 이상의 각, 예를 들어 180도에서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말기 본체(10)와 스윙바디(30) 사이에는 임의의 각도에서 스윙바디(30)가 멈춤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한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The swinging state of the swing body 30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The open state may be implemented even when the swing body 30 is smaller than 90 degrees, and may be implemen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for example, 180 degrees. In this case, a rotation limiting elemen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erminal body 10 and the swing body 30 to maintain the swing body 30 at a predetermined angle.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윙바디(30)의 후면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제1카메라(32)가 구비되어 있다. 제1카메라(32)는 휴대 단말기(1)의 후방 즉, 사용자의 전방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되며, 제1카메라(32)를 이루는 이미지 센서는 고화소를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As shown in FIG. 3, the rear surface of the swing body 30 is provided with a first camera 32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The first camera 32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a subject located behind the portable terminal 1, that is, in front of the user, and the image sensor constituting the first camera 3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high pixel.

제1카메라(3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34)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34)는 제1카메라(3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The flash 34 is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amera 32. The flash 34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32.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전원 공급부(18)와 제2음향출력부(19)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는 단말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 가능한 배터리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본 실시예와 달리 내장형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8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9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 The power supply unit 18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1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rechargeable battery for continuous us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18 may be detachably coupled.

제2음향출력부(19)는 멀티 미디어 파일을 보다 풍부한 음량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출력이 큰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음향출력부(11)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음향출력부(19)는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9 may use a speaker having a large output so that the multimedia file can be viewed at a richer volume, and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 In addition,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9 may be used for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제1카메라(32)는 스윙바디(30)의 스윙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스윙바디(30)가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닫힌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제1카메라(32)는 단말기 본체(10)에 의하여 가려진다. 이에 따라, 제1카메라(32)가 사용되지 않는 때 제1카메라(32)를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게 되며, 스윙바디(30)가 닫혀 있을 때 복잡한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camera 32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exposed during the swing of the swing body 30. Therefore, in the state shown in FIG. 1 where the swing body 30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the first camera 32 is covered by the terminal body 10. Accordingly, when the first camera 32 is not used, the first camera 32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swing body 30 is clo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mplexity of forming a complicated appearance. hav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윙바디(30)의 회전에 의하여 열려지는 단말기 본체(10)의 영역에는 제2키패드(50)가 구비된다. 특히, 제2키패드(50)는 상하로 구획된 제1영역(52A)과 제2영역(52B)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영역(52A)과 제2영역(52B) 에는 각기 다른 입력을 할 수 있는 키들(54,55)로 배정되어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a second keypad 50 is provided in an area of the terminal body 10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swing body 30. In particular, the second keypad 50 includes a first area 52A and a second area 52B, which are divided up and down, and input different inputs to the first area 52A and the second area 52B. Are assigned keys 54, 55.

특히, 상단의 제1영역(52A)에는 제1카메라(32)를 조작할 수 있게 구비되는 카메라 조작부(53)가 구비된다. 카메라 조작부(53)는 촬영될 이미지에 대한 촬영키(셔터키), 줌인/줌아웃키, 카메라모드 전환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 camera manipulation unit 53 i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52A of the upper end to operate the first camera 32. The camera manipulation unit 53 may include a shooting key (shutter key), a zoom in / zoom out key, a camera mode switch key, and the like for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나아가, 카메라 조작부(53)는 제1카메라(32)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을 무선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의 접속을 지시하는 접속키(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속키(54)가 눌려지면, 사진이나 동영상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포털 사이트, 블로그(blog) 사이트 또는 UCC 사이트 등에 곧바로 접속됨으로써 생성된 컨텐츠를 빠른 시간에 올리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카메라(32)에 의하여 생산된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는 보다 빨리 특정인(상대방) 또는 대중에게 전달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amera operating unit 53 may include a connection key 54 for instructing access to an internet site for wirelessly uploading a photo or video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32. That is, when the access key 54 is pressed, the content generated by directly accessing a portal site, a blog site, a blog site, or a UCC site that can upload or download a picture or video can be uploaded or downloaded quickly. Accordingly, multimedia such as a picture or a video produced by the first camera 32 may be delivered to a specific person (the other party) or the public more quickly.

카메라 조작부(53)를 이루는 복수의 키 사이에는 제2카메라(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카메라(13)는 휴대 단말기(1)의 전방에 있는 피사체 즉, 사용자 자신 등을 촬영하기 적합하며, 화상통신시 사용자의 화상을 촬영하는 용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keys forming the camera manipulation unit 53. The second camera 13 is suitable for capturing a subject in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at is, the user himself, etc., and may be configured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user during video communication.

제2카메라(13)는 제1카메라(32)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32)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13)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1카메라(3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amera 13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32,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32. For example, the second camera 13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first camera 32 has a high pixel for photographing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제2키패드(50)의 하단의 제2영역(52B)에는 번호의 입력 또는 편집모드에서 문자의 입력을 위한 일반키들(55)이 배치된다. 이들 일반키들(55)의 동작 여부는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게 시각화될 수 있다. In the second area 52B at the bottom of the second keypad 50, general keys 55 are arranged for inputting letters in the input or edit mode of numbers. Whether the general keys 55 are operated may be visualized to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31.

제2키패드(5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keypad 50 is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or a wheel or jog method that rotates a key,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joystick. Or the like.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키패드(50)가 장착되는 제2키패드 장착부(51)는 제1키패드(40)가 장착되는 제1키패드 장착부(41)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들어가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윙바디(30)의 전면과 제1키패드(40)의 전면은 균등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복잡한 윤곽이나 형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keypad mounting portion 51 on which the second keypad 50 is mounted is formed to enter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keypad mounting portion 41 on which the first keypad 40 is mounted. . Preferably, the front surface of the swing body 3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keypad 40 are formed to have an equal height,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omplicated contours or shapes.

단말기 본체(10)와 스윙바디(30) 사이에는 스윙바디(30)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모듈(60)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모듈(60)은 스윙바디를 일정 거리로 이동시키는 동안 탄성 복원에너지가 저장되었다가 스윙바디(3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에너지에 의하여 스윙바디(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윙바디(30)는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부드러우면서도 이른바 반자동식의 개폐구조를 얻을 수 있다.An elastic module 60 for elastically moving the swing body 30 is installed between the terminal body 10 and the swing body 30. The elastic module 60 is installed so as to move the swing body 30 by the elastic restoring energy when the elastic restoring energy is stored while moving the swinging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winging body 30 is removed. It may include a spring. By doing so, the swing body 30 can obtain a soft and so-called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는 무선통신 모듈(81), 조작부(85), 마이크(12), 영상입력부(86), 디스플레이부(31), 음향출력부(11,19), 센싱 유닛(89), 외부 인터페이스(15), 메모리(87), 전원 공급부(18), 제어부(80) 등을 포함하고 있다.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1, the operation unit 85, the microphone 12, the image input unit 86, the display unit 31, the sound output unit 11, 19, the sensing unit 89 And an external interface 15, a memory 87, a power supply 18, a controller 80, and the like.

제어부(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8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카메라(32)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ler 80 additionally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32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통신 모듈(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8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82)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the transmission unit 83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ing unit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82).

제1키패드(40), 제2키패드(50) 및 사이드키(17)를 포함하는 조작부(8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80)에 제공한다. 특히, 제2키패드(50)에는 제1카메라(32) 또는 제2카메라(13)를 조작하기 위한 키들이 배정될 수 있으며, 필요시 신속하게 카메라(32,1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operation unit 85 including the first keypad 40, the second keypad 50, and the side key 17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 to 3 so that the user inputs the key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input data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80. In particular, keys for manipulating the first camera 32 or the second camera 13 may be assigned to the second keypad 50, so that the cameras 32 and 13 may be quickly operated when necessary.

마이크(1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81)로 전달된다. 녹음 또는 녹화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87)에 저장된다. The microphone 1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1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1 in the call mode. In the recording or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87.

제1카메라(32) 및 제2카메라(13)를 포함하는 영상입력부(8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31)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 86 including the first camera 32 and the second camera 13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31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31.

그리고, 영상입력부(8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87)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 86 may be stored in the memory 8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1.

영상입력부(8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image input unit 86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31)는 휴대 단말기(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8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 displays and outputs a captured image, a UI, and a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When the display unit 31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3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출력부(11,19)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87)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제1음향출력부(1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1,19)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 and 19 receive sound data or memory 87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in a call signal reception, call mode or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 Converts the sound data stored in)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11 and 19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 유닛(89)은 스윙바디(3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이외에도, 센싱유닛(89)은 전원 공급부(18)의 전원 공급 여부, 외부 인터페이스(15)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89 detect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swing body 30 and appli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the controller 80.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89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8 supplies power or whether the external interface 15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외부 인터페이스(15)는 휴대 단말기(1)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1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external interface 15 connects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for example, a SIM / UIM card), etc., in addi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1. It serves as an interface. The external interface 15 receives data or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87)는 제어부(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87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8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이러한 메모리(87)는 착탈 가능한 형태인 외장 메모리(16)와 내장되는 내장 메모리(87)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is memory 87 includes a removable memory 16 and a built-in internal memory 87 in a removable form, and generally known hard disk, card type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Includes concepts such as, rom, etc.

방송수신 모듈(88)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출력부(11,19), 디스플레이부(31)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전달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88)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 송수신 모듈(88)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87)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88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 and 19 and the display unit 31,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80. .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88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room transceiving module 88 may be stored in the memory 87.

전원 공급부(18)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8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6A to 6C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스윙바디(30)가 단말기 본체(10)에 대해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1카메라(32) 및 제2카메라(13)는 가려져 있으며, 제1카메라(32) 또는 제2카메라(13)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6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wing body 30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In this state, the first camera 32 and the second camera 13 are covered, and a picture or an image taken by the first camera 32 or the second camera 13 can be viewed.

스윙바디(30)는 단말기 본체(10)를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열릴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6b와 같이, 오른손으로 휴대 단말기(1)를 잡았을 때 스윙바디(30)는 손가락의 사용상 자연스러운 방향인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열려지게 된다. The swing body 30 may be installed to be open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umb is opened in the state of holding the terminal body 10. That is, as shown in FIG. 6B, when the mobile terminal 1 is held by the right hand, the swing body 30 is opened when the thumb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thumb, which is a natural direction of use of the finger.

스윙바디(30)가 열려지면 센싱유닛(89)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에 그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80)는 도 6b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선택가능한 실행모드들이 디스플레이부(31)에 출력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1)에 출력되는 화상은 각 실행모드를 의미하는 그래픽이나 아이콘(36)일 수 있다.When the swing body 30 is opened, the sensing unit 89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80, and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display unit 31 as shown in FIG. 6B. Output through Then, selectable execution modes are output to the display unit 31. In this case,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31 may be a graphic or icon 36 representing each execution mode.

이외에도 스윙바디(30)가 스윙되어 열려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하여 출력될 있는 실행모드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의 작성, 다이얼링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wing body 30 is opened by swinging, an execution mode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1 may be added. For example, it may include composing a message, dialing, and the like.

만약,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도 6c와 같이 피사체에 대하여 카메라 조작부(53)를 이용하여 조작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멀티 미디어를 생산할 수 있다.If the mode for taking a picture or video is selected, the multimedia can be produced more easily and quickly by manipulating the subject using the camera operating unit 53 as shown in FIG. 6C.

상기와 같이 설명된 명칭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name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ively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스윙바디가 단말기 본체에 대해 90도 회전되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ng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opened by being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FIG.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5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6A to 6C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단말기 본체;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에 수평으로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면에는 스윙되어 열림시 노출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카메라가 구비된 스윙바디; 및A swing body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terminal body and having a first camera installed at a rear thereof so as to be exposed when swinging; And 상기 스윙에 의하여 열려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영역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카메라를 조작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카메라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nd a camera operation unit disposed on an area of the terminal main body opened by the swing and provided to operate the first camer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윙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될 화상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imag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r an imag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front of the swing body.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카메라 조작부는 복수의 키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amera ope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 having a plurality of key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윙바디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9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가 되거나 닫힌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swing body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so that it can be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in an open state or in a closed stat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스윙바디는 닫힌 상태일 때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swing body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terminal body so tha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s exposed when the swing body is clos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스윙바디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제1키패드 및 상기 스윙바디가 회전되어 개방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제2키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keypad installed in the area that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swing body and a second keypad installed in th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wing body is rotated and opened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2키패드가 장착되는 제2키패드 장착부는 상기 제1키패드가 장착되는 제1키패드 장착부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들어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keypad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second keypad is mounted is formed to enter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keypad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keypad is mount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2키패드는 상하로 구획된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1영역에 상기 카메라 조작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second keypad includes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divided up and down, and the camera operating unit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카메라 조작부를 이루는 복수의 키 사이에 제2카메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camera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keys forming the camera manipul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카메라 조작부는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을 무선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의 접속을 지시하는 접속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amera operation unit includes a connection key for instructing access to an internet site for wirelessly uploading a photo or video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단말기 본체와 스윙바디 사이에는 상기 스윙바디가 열리면 상기 제1카메라의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스윙바디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nsing unit between the terminal body and the swing body to detect whether the swing body is opened or closed so that the swing body can be switched to an operation mode of the first camera when the swing body is opened.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스윙바디가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t least one execution mode that is selectable when the swing body is rotat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윙바디의 전면과 상기 제1키패드의 전면은 균등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front surface of the swing body and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keypad are formed at an equal height.
KR1020070121743A 2007-09-17 2007-11-27 Portable terminal KR101371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743A KR101371022B1 (en) 2007-11-27 2007-11-27 Portable terminal
US12/205,449 US8046033B2 (en) 2007-09-17 2008-09-0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743A KR101371022B1 (en) 2007-11-27 2007-11-27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848A true KR20090054848A (en) 2009-06-01
KR101371022B1 KR101371022B1 (en) 2014-03-10

Family

ID=4098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743A KR101371022B1 (en) 2007-09-17 2007-11-27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0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656A1 (en) * 2014-08-1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654B1 (en) * 2004-06-14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Two Way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60119589A (en) *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for dmb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656A1 (en) * 2014-08-1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US9954986B2 (en) 2014-08-14 2018-04-24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022B1 (en)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33B2 (en) Mobile terminal
KR10142726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13953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18766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18765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18389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20031830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67886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displaying method of charging thereof
KR20090102242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71022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80426A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77605A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6B1 (en)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1474415B1 (en) Portable terminal
KR10086514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4963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27271B1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88983A (en) Portable terminal
KR101360214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0930564B1 (en) Handheld terminal
KR101466026B1 (en) Portable terminal
KR100596916B1 (en)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amera of mobile phone with camera
KR10151361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1347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