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043A -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Google Patents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4043A KR20090054043A KR1020070120717A KR20070120717A KR20090054043A KR 20090054043 A KR20090054043 A KR 20090054043A KR 1020070120717 A KR1020070120717 A KR 1020070120717A KR 20070120717 A KR20070120717 A KR 20070120717A KR 20090054043 A KR20090054043 A KR 200900540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eat medium
- air
- medium composition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5—The tubes containing an electrically heated intermediate fluid, e.g.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사무실이나 거실, 회의실, 교실, 기타의 사무 공간뿐만 아니라, 휴게실, 대형업소의 영업 공간 등, 난방이 필요한 농사용 하우스 기타 공장 등의 난방을 담당하는 전기 온풍기에 있어서, 단열처리가 잘되어 화재나 열상을 막고, 열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한 안전한 함석구조의 케이스와, 열매체 조성물을 수용하고 활발한 열전달 작동을 하도록 팽창공간을 가지며 잡 공기를 제거하여 저항을 받지 아니하도록 진공 처리한, 일정한 지름과 길이를 가지고 내부가 중공 된 발열 관과, 가열탱크, 전선을 가지고 가열탱크 내부의 주머니(포켓)에 삽입될 전기 카트리지히터와, 가열탱크 바깥 면 전부를 보온단열처리 한 보온실과, 찬 공기가 유입되어 발열 핀에 직접 닿지 아니하도록 부착한 바람막이와 분산 및 체류를 유도하는 특수 주름판과 송풍기, 제어 부(컨트롤 박스)가 장착된 온풍기의 난방기능과, 실내공기를 일정한 습도로 맞추는 습도조절 기능 외에, 유용 미생물 군 희석 액을 본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의 상단에 장치된 전자초음파 가습기의 탱크에 저장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 분사하여 데워진 상승공기에 편승해서 널리 퍼져나갈 수 있게 함으로서 탁한 공기와 구석진 실내 곳곳의 미세 먼지 속에 숨어 있는 곰팡이와 잡균들을 제거하고 불유쾌한 냄새를 없애주는 위생 정화기능까지 갖추게 한 것이 본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의 특징이다.
유용 미생물 군, 배양기술, 열매체 조성물, 열전달, 온풍기, 복합기
Description
본 발명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는 전열기기로서 겨울 난방에 쓰이는 난방장치이며 그간 많은 연구개발에 의해 질 좋고 성능이 우수한 난방분야의 제품들이 많이 생산되어 시중에 나와 판매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름이나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어 화석연료의 과다한 사용에 의한 탄산가스의 공기 중 유출로 인해 대기의 온난화와 환경파괴의 주원인이 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 효율 면에 있어서 그렇게 양호하다 할 수 없으며, 연소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 인해 실내의 난방에는 한계가 있고 자주 환기를 시켜 주어야 하는 폐단이 있다.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한 전열장치에 있어서 발열량은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의하여 전기에너지가 100%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우수한 열효율을 나타낸다 할 수 있을지 모르나, 전기 저항 열에 의해 방열하는 경우, 발열체 부분의 국부적인 곳은 뜨거워 온도가 매우 높지만 실내 전체적인 온도를 상승 시키는 데는 아주 불리하며, 발열면적을 크게 하기위한 발열 체 소재가 대부분 고가이며, 전기에너지가 가진 열량의 한계 때문에 대용량의 기기를 제작하여 사용하기에는 비싼 전력요금 때문에 가정용이나 에너지 감면 혜택을 적용받지 못하는 곳에서의 사용은 불리하여 소비자가 선택하여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과 불편함이 뒤 따르고 있으며,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 일수록 고가이므로 효율이 뛰어난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한 전열기기를 제작 생산하여 널리 보급하기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에 적용된 몇 가지 원리와 배경기술을 서술하면, {열매체 조성물의 역할과 열전달체계}: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용기 안에 점성, 비중, 끓는점, 녹는점 및 농도차이가 있는 본 발명의 열매체 조성물을 소정 량 주입하고 진공처리에 의해 잡 공기를 제거하고 완전 밀폐한 후, 반응 부를 가열하면 고체 상태로 변해있던 열매체 조성물이 순식간에 기화하면서 공기저항이 없는 중공(中空)용기 속, 팽창공간을 지나 응축 부까지 달려 나간다. 이때 아직 끓는점이 높아 기화되지 못한 액체상태의 남은 열매체 조성물이 상승기체와 함께 덩달아 순차적으로 열을 머금고 응축 부까지 튀어 나가면서 용기 각 부분에 골고루 열을 전달하고 다시 되돌아가는 방식으로, 외부로부터 열을 공급 받으면 용기내의 다양한 특성을 지닌 열매체 조성물이 축열, 기화, 확산, 상승, 발열, 응축, 냉각, 하강, 회귀, 등 끊임없이 반복되는 심장박동과 같이, 고체, 액체, 기체사이의 상변화에 따른 잠열(기화열, 승화열)을 이용한 열전달 작용을 그 원리로 채택하였다. 태양에서 발산되는 빛과 열에너지가 무중력 중공(中空)상태의 우주공간을 지나 순식간에 지구에 도달하여 대기와 지표면을 데우는 대류와 복사열의 원리를 적용 하였으며, 중력 작용의 영향을 이용, 용기의 기울기와 반응부의 위치선정에 심혈을 기울였고, 열팽창에 따른 용기의 파열방지를 위해 열매체 조성물을 용적량100% 대비 9.5% 내지 10.5%의 비율로 채워 활발한 열전달작용을 할 수 있도록 팽창공간을 충분히 확보해 주었고, 감압과 잡 공기 제거를 위한 새로운 진공처리기술이 개발 적용되었다.
{유용 미생물 군(Effective Micro-organisms)이란?}: 광합성세균, 유산균, 효모균 등 예로부터 인류가 음식과 의료에 사용해온 유용미생물의 복합체를 말한다. 자연계에는 소생 형(항산화 또는 발효)과 붕괴 형(산화 또는 부패)의 두 가지 형태로 크게 분류되어 존재하는데, 자연계가 소생의 형태로 나아가면 건강에 유익하거나 생동감이 있게 되지만, 반대로 붕괴의 형태로 나아가면 부패, 오염 등의 환경파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방향성을 좌우하는 것이 생명의 가장 작은 단위인 미생물인바, 유용 미생물 군은 유익한 미생물의 복합체로서 자연환경은 물론 우리의 몸의 회복과 소생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인간과 동식물,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을 80여종 배양하여 만든 항산화력, 소생력, 정화력이 탁월한 유용 미생물 군(Effective Micro-organisms)으로 구성, 기본 주원료가 되게 하고 여러 구성 물질을 정밀 배합하여 발효 숙성시키는 배양기술이 원천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난방기기 이상의 효율을 가져오되 환경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 무공해 난방장치로서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한 일반 전열기기보다 열효율과 에너지 소비효율이 높으며, 전열기기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제작비가 오히려 더 저렴하게, 산소를 소비하지 않고 유독 연소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소음이 없고 그을음이 생기지 않으며, 동파나 인화성 물질에 의한 화재의 위험이 전혀 없고 실내에서 생활하는 모든 동식물의 활동과 생장에 지장이 없이 고르게 하고, 입력된 전기에너지를 변환시켜 열에너지와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열손실이 없이 100%의 열을 전달, 발산하여 목적하는 열량과 적정온도를 얻어내는 탁월한 난방기능에, 가습기 기능이 하나로 복합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비좁은 공간, 공기유통이 원활치 못한 실내의 특성상 가구와 기기들, 작물들 아래에 쌓이는 미세먼지와 곰팡이 등, 그 속에서 번식하며 호흡기 질병을 가져오는 세균들의 활동을 막고, 냄새를 제거하고, 건조한 공기에 쾌적하고 신선한 습도를 공급하여 주고, 산화 현상에 의한 녹스는 것을 방지 하도록 하는 등, 위생 정화기능 까지 더한 복합적인 기능이 되게 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기술적 과제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정한 크기와 체적을 가지고 케이싱 안쪽 부분엔 단열처리가 잘되어 화재나 열상을 막고, 열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한 안전한 함석구조의 케이스와, 뛰어난 열전달 효율을 가진 열매체 조성물과, 열매체 조성물을 수용하고 활발한 열전달 작동을 하도록 팽창공간을 가지며 잡 공기를 제거하여 저항을 받지 아니하도록 중공 처리한, 일정한 지름과 길이를 가지고 내부가 중공 된 방열기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밖으로 쉽고, 빠르고, 더 많이, 발산 할 수 있게 발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외주 면에 일정높이와 간격을 주어 설치한 발열 핀과, 방열기의 열원이 될 전기 카트리지히터를 수용할 주머니(포켓)가 내부를 향해 기밀설치 된 가열탱크와, 전선을 가지고 가열탱크 내부의 주머니(포켓)에 삽입될 전기 카트리지히터와, 전력의 소모를 적게 하고 기화반응을 신속하게 이끌어 내기위하여 가열탱크 바깥 면 전부를 단열, 보온 처리 한 보온실과, 구조상 좁은 발열공간에 모여 있는 데워진 공기를 인위적으로 밀어 올려 밖으로 배출 할 수 있게 상부 케이스 아래 중간부의 좌우 전면 일부에 여러 개의 공기 유통 구를 가진 케이스와, 송풍기를 통해 찬 공기가 유입되어 방열기에 직접 닿지 아니하도록 부착한 바람막이와 분산, 체류를 유도하는 특수 주름판과 송풍기, 제어 부(컨트롤 박스)가 장착된 온풍기 기능과 함께, 본 발명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에 부가된 핵심 가습기 기능에 있어서, 단순히 건조한 실내공기를 일정한 습도로 맞추는 습도조절 기능 외에, 탁한 공기와 구석진 실내 곳곳의 미세 먼지 속에 숨어 있는 곰팡이와 잡균들을 제거하고 불유쾌한 냄새를 없애기 위하여, 가습기 탱크 속에 배양되어 있는 유용 미생물 군 활성 액(발명에 적용된 원리에서 자세히 설명함)이 자동 분사 장치에 의해 항시 실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분사 되어 온풍기로부터 상승하는 공기에 실려 널리 구석진 곳까지 퍼져나가, 가족과 실내에서 생활하는 모든 식구들의 호흡기 건강을 도모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 목적이 달성 되게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는,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독립된 제품으로 이동운반과 설치 및 철거가 가능 하고, 동파의 위험이나 열팽창으로 인한 파열의 위험이 없어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연소를 위해 실내산소를 소모하지 않아 실내공기나 대기를 오염시킬 염려가 없으며, 소음공해가 없으며, 강제송풍으로 인한 지나친 건조현상이 없고, 적정온도의 자동조절이 용이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열전달효율이 뛰어나 에너지 비용을 크게 절감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무공해 친환경 제품으로 실내생활을 하는 사람, 작업자 등에 스트레스가 없고, 또한 동식물의 성장이 고르며, 우수한 품질의 화예,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으며, 부패와 산화, 오염을 방지하는 유용 미생물 군의 접목으로 실내 건강 증진과 각종 유해 미생물에 의한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01)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와 체적을 가지며, 케이스(중간 부)(02) 안쪽 부분엔 얇은 보온단열재(03)로 단열처리가 잘되어 화재나 열상을 막고, 열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한 안전한 함석구조의 상부(04), 중간 부(02), 하부(05) 케이스와, 외부 전면엔 제어 부(컨트롤 박스)(05-1)와, 상승공기 유통 구(06)가, 중간 부 케이스 상단 일정위치에 전면과 양 좌측, 우측면에 타공처 리 되어 있고, 송풍기(07)가 또한 하부 케이스 전면에 부착되고, 송풍기의 찬바람과 맞닿는 곳 내부 방열기의 바로 앞에는 찬 바람막이 및 분산, 체류를 유도하는 특수 주름 판(07-1)과, 하부케이스의 양 좌우측면엔 찬 공기 유입 구(08)가 타공처리 되어있고, 중간 부 케이스 내부엔 열 장치에 해당되는 방열기(09)가 내장되어 있고, 상부케이스 내부엔 칸막이 판(10)과 그 판위엔 보온단열재(11)로 단열하며, 전자초음파 가습기(12)가 상부로 돌출되게 내장되어 있고, 상기 방열기(09)를 구성하는 발열 관(13)은, 일정한 지름 및 길이를 갖고 내부가 중공 된 형상으로,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와 동 파이프로 형성되며 발열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외주 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한 발열 핀(14)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팽창 압을 견디게 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및 동 파이프 그리고 알루미늄을 주 재질로 사용하고, 상기 방열기의 내부에 수용할 열매체 조성물(15)은, 용기의 용적량 100% 대비 9.5% 내지 10.5%를 주입하여 용기내부에서 열전달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팽창공간을 확보하여 주고, 열매체 조성물이 냉각되어, 중력의 영향으로 항시 아래로 내려와 머무는 부위인 가열탱크(16), 즉 전기 카트리지히터(17)를 수용하고 전기 저항 열을 내부의 열매체 조성물에 전하는, 가열탱크 내부를 향해 전기 카트리지히터 수용포켓(18)이 설치된, 가열탱크내부 하단에 고이도록, 용기의 기울기를 3도 이상이 되게 하여주고, 상기 가열탱크 외주 전면을 보온단열재(19)를 피복 하여, 열매체 조성물의 기화(승화)반응을 빠르게 하고 과열을 방지하여 제어 부(컨트롤 박스)(05)에 장착된 각종 첨단 미세 조절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고, 방열기 내부에 존재하는 잡 공기를 없애고 감압하기 위하여, 중공 단속 구(20)를 구비하여 발열 관(13) 상단 일 측에 부착하고, 방열기속에 열매체 조성물을 주입하고 내부 잡공기의 제거 및 감압, 중공 밀폐단속 처리 시, {처리방법 1; 진공장비로 용기내부의 잡 공기를 흡인 할 때, 열매체 조성물이 밖으로 따라 나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반드시 발생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매체 조성물이 중력의 영향 때문에 낮은 곳으로 내려와 모이는 것을 이용, 그 모인 열매체 조성물의 전체 어는점, 최저 온도까지(-100℃ 이상) 순식간에 냉각시켜 얼려, 고체화시키기 위해, 일정용량과 크기를 가지고 단열처리가 잘된 실행부스를 별도로 만들어 냉매가 새어나오지 않게 기밀 안전조치를 취한 후, 대상물 부위만 부스에 집어넣고, 액체 초저온 냉매를 사용하여, 급속냉각, 고체화 시킨 후, 흡인 기를 통해 잡 공기를 빼어내고, 감압을 하여 내부공기저항을 없앤 후, 특수정밀 가압용접으로 중공 단속 구를 순식간에 완전 압착 밀봉하면, 열매체 조성물이 전혀 따라 나오지 않고, 성분과 질량의 미세한 변화가 방지되고, 아주 우수한 중공도(10의 -2승~-3승TOR)를 짧은 시간 내에 얻어내어 시간을 단축 하며, 비용을 줄이는 제작기술로 중공단속 구를 단속하여 완성} {처리방법 2; 진공장비로 용기내부의 잡 공기를 흡인 할 때, 열매체 조성물이 밖으로 따라 나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반드시 발생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매체 조성물이 액체 상태 이므로 중력의 영향 때문에 낮은 곳으로 내려와 모이는 특성을 이용하여 용기에 주입할 열매체 조성물의 용량과 똑같은 크기의 용량을 담을 수 있는 일정모양의 성형 틀(탈착이 용이한)을 만들어 그 용기에 열매체 조성물을 담아 초저온 냉각장치가 설비된 부스에 넣어 냉동시켜 완전 고체화 시킨 후, 고형 화 된 열매체 조성물을 일회용 캡슐 혹은 팩(비유기성 계열의 천연 수용성 물질로 형성되어 용기 내부에서, 가열 시 녹아 열매체 조성물에 포함될 때, 열매체 조성물의 효능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 성분) 속에 넣어 캡슐 혹은 팩 속에 들어있는 잡 공기를 완전히 흡인 제거 하여 밀봉처리하면, 잡공기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순수 고형 화된 열매체 조성물 캡슐이나, 팩이 완성된다. 이 완성된 열매체 조성물 고형 화 된 캡슐이나, 팩을 열매체 조성물을 주입해야할 용기 속에 집어넣고 중공 단속 구를 설치하고, 흡인 기를 통해 잡 공기를 빼어내고, 감압을 하여 내부공기저항을 없앤 후, 특수정밀 가압용접으로 중공 단속 구를 순식간에 완전 압착 밀봉하면, 열매체 조성물이 전혀 따라 나오거나 성분과 질량의 미세한 변화가 방지되고, 아주 우수한 중공도(10의 -2승~-3승TOR)를 짧은 시간 내에 얻어내어 시간을 단축 하며, 비용을 줄이는 제작기술로 중공 단속 구를 완성}하고, 상단 지지대(21)와 하단지지대(22)로, 용접하여 상기 방열기가 일체형이 되게 고정하고, 온풍기 바닥 틀 평판(23)위에 곧추세워 설치하고, 일정크기와 용량을 가진 전자초음파 가습기(12)의 유용 미생물 군 희석 액 저장탱크(24)안에, 유용 미생물 군 희석 액을 항시 가습기 저장탱크 안에 배양하여 실내의 미세먼지 속에 자라는 각종 해로운 바이러스나 잡균, 냄새제거를 하고, 실내의 건조한 공기에 일정한 습도를 유지해 주기 위해, 가습기용 소형모터펌프(25)와, 분사용 노즐(26)과, 타이머(27)에 의해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자동분사 되어, 찬 공기 체류 실(28)을 거쳐 방열기로 부터 뜨겁게 덥혀진 상승공기와 만나 공기혼합 실(29)에서 믹서 되어 힘 있게 분출하는 상승공기에 실려서, 퍼져 나갈 수 있게 하는 등, 상기와 같은 구조와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장치는 가습기능 외에 실내공기 정화, 살균 작용을 통해 건강 위생을 도모하고, 방열기 자체가 가진 잠재된 잉여 열을 배양온도에 이용함으로서 에너지 비용과, 기기의 구입 비용부담을 최소화 하기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한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안에 복합되게 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과 활용도를 최대한 이끌어 내고자 구성 하였다. 아래의 실험 예 에서 보면 본 발명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의 장점을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비교실험)
A: 본 발명의 열매체를 가지고 발열면적을 같게 제작한 실험용 열매체 조성물 온풍기(4.5KW), B: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발열 면적이 같은 저항 열을 이용한 전기 온풍기(4.5KW), 체적이 같은 (가로3M 세로3M 높이2.5M) 보온 처리된 부스 2개, 내부의 열이 밖으로 나가거나 밖의 기온변화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도록 보온처리 함(동일조건), (외부온도0 ~ -5℃ 안팎의 차가운 상태), 유용 미생물 군 활성 배양액을 살포하는 가습기의 부가된 기능을 체크하기 위해 만개한 상태의 국화 꽃 화분을 각각의 부스 안에 하나씩 넣고 그 변화를 관찰함. A, B 각각의 부스에 발열체와 멀리 떨어진 가장 구석진 곳에 온도계 설치, 전원을 공급하고 실험을 시작, 소비전력량이 똑 같은 조건에서 시작 (4.5KW), 처음엔 B부스의 내부 온도가 먼저 상승하기 시작하였으나 30분의 시간이 경과 할 때부터, A부스의 온도가 상승, 추월하기 시작하더니 약 2시간 후 부터는 10℃이상 차이가 났다. 약 1개월 동안 동절 기 실험을 진행한 결과 9.5~ 10.5℃범위 안에서 A부스 내부의 온도가 훨씬 높게 측정 되었다. 국화꽃 화분의 상태를 관찰한 결과 유용 미생물 군, 활성 배양액이 온풍기의 가습기에 의해 살포된 A부스의 경우는 처음 보다는 다소 시들고 윤기를 잃은 상태였으나 여전한 봉우리와 함께 향긋한 향기를 발하고 적당한 습기를 가지고 있었다. 일반 저항 열을 이용한 전기 온풍기를 사용한 B부스의 경우엔 실로 화분의 모습이 처참 하였다. 모두 바싹 말라 화분의 흙마저도 먼지가 일어날 정도였으며, 꽃은 이미 시들어 고사 상태였고 뿌리 또한 말라 있었다. 송풍장치에 의해 온풍이 강제로 송풍되어 밀폐된 실내를 순환하고 대류 하는 동안 어느새 습기는 모두 없어지고 화분 안, 흙속의 습기마저 말라 버렸다. 예상을 한 내용이지만 생육상태의 결과와 차이는 심하였다. 약 4L의 배양액이 가습장치를 통해 부스 내부에 분사되었지만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악조건에서 결코 시들지 않고 그 생명력을 나타낸 것을 보면서 유용 미생물군의 역할과 위력이 대단함을 느꼈다. 불빛마저 들지 않고 많은 수분을 공급하지도 않은 상황, 끊임없이 온풍기를 통해 더운 바람이 부는 조건에서 약 한달 동안을 버텨낸 국화꽃 화분의 비교 관찰에서, 앞으로 유용 미생물 군의 활용가치와 방안에 대하여 많은 연구와 실험이 병행되고, 널리 보급하여 여러 화훼 농가나 소비자들이 경제적인 이득을 보게 되었으면 한다.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한 전열장치에 있어서 발열량은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의하여 전기에너지가 100%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똑 같다고 가정 할 수 있을지 모르나 이 실험결과가 말해 주듯이 전기 저항 열에 의해 방열하는 경우 발열체 부분의 국부적인 곳은 뜨거워 온도가 매우 높지만 실내 전체적인 온도를 상승 시키는 데는 아주 불리하다는 게 입증되었다. 물론 여기서는 강제 송풍장치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밖으로 불어 내는 온풍기였지만, 본 열매체 조성물을 이용, 매체의 상변화에 따른 잠열을 이용한 열전달 시스템은 과히 비교가 안 될 만큼의 열량과 온도 차이를 가져왔다. 이는 심장박동과 같이 용기 내부에서 일어나는 본 열매체 조성물에 의한 열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상호작용이 파장처럼 활동하여 외부로 끊임없이 그 에너지를 발산하기 때문에 생기는 결과이다. 똑 같은 소비전력량을 가지고 체적이 같은 내부의 온도를 훨씬 더 많이 높여 준 사실은 하나의 반증이 될 것이다. 내부의 열량 에너지가 하나도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조치한 동일 조건 하에서 전기에너지가 100%로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발열 하였다면 부스 내부의 온도 또한 동일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비교실험에서 보듯 본 발명의 열매체 조성물을 이용한 온풍기의 열전달 및 방열효과는 확연히 우수함이 증명 되었다. 따라서 난방규모, 용도, 원하는 적정온도에 맞추어 소비전력을 결정하여 알맞은 용량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이 되는 화석연료 과소비 형태, 비효율 적인 에너지 낭비를 막으며, 유가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게 되기를 바라고 본 발명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를 실험용으로 제작하여 현장에 적용하여 다음과 실험 하였다.
2. (현장 적용 실험)
장착한 발열 관 사양
재질: 스테인레스 스틸304SS 두께:0.9T 구경:32mm 길이:1.2M 수량:35개
방열 핀
재질: 알루미늄 두께: 0.5T 피치 높이: 15mm 피치거리: 2.5mm이하
소비전력용량: 7.5KW 중공도: 10의-3승torr
열매체 조성물 용량: 발열 관용적(29리터)의 10% 범위(2.8리터)를 주입.
상기와 같은 사양으로 발열 관 35개를 이용하여 제작한 온풍기 한 대를 한겨울 가장 추운시기, 외부온도가 영하 15℃를 오르내리는 시기에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의 버섯재배 사에 설치하고 같은 크기, 같은 면적으로, 면세유류 기름보일러를 사용하여 난방 하는 재배사와 함께 한 달 동안의 에너지 소비량과 그 비용을 비교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의 열매체 조성물을 적용한 온풍기를 설치한 하우스에서는 7.5KW의 소비전력량을 (KW당36.4원하는 농사용 전력 병을 적용받아) 일일 난방시간 평균 15시간으로 하고 한 달 30일을 사용하니 실내 최적재배 온도(20℃전후)를 맞추어 난방 하는 데 약12만 5천원의 에너지 비용이 발생한 반면, 같은 크기의 재배 사에서, 같은 작물을 재배하고, 같은 온도조건을 맞추기 위해 20000Kcal/h의 기름보일러를 사용하는 재배 사의 한 달사용 에너지 비용은 면세 유류 대를 적용하여 약60만원의 에너지 비용이 발생했다. 적산전력계에 의해 계량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량과 요금을 속일 수 없지만 유류를 사용하는 난방기기의 특성을 보아 소비량이 그 절반이라 하더라도 에너지 비용이 절반이나 절감됨을 알 수 있었다. 실재에서는 약4.5배의 절감을 하였다.
본 발명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는 잠열을 이용한 열전달 체계에 알맞은 열매체 조성물과, 유용 미생물 군 배양기술과, 과학적 설계와 디자인에 의한 제작 기술이 접목된 것으로, 용기와 제품에 있어서 구경, 길이, 부피, 크기, 형태, 등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독립된 소형, 기능성 난방 제품을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대형 산업용에는 더욱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므로 경쟁력과 시장성은 무궁무진하고 적용범위 또한 넓다. 제조와 대량생산이 쉽고 순수 국산화 할 수 있으며, 수출하여 외화도 벌어들일 수 있다.
도 1은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의 입체구성도.
가(온풍기 사시도), 나(가습기 입체도), 다(제어 부)
도 2는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의 단면도
가(정단면도), 나(우측단면도)
도 3은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의 방열기 상세도
가(정면도), 나(우측면도)
Claims (7)
- 일정한 크기와 체적을 가진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에 있어서, 케이스 안쪽 부분엔 얇은 보온단열재로 단열처리가 잘되어 화재나 열상을 막고, 열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한 안전한 함석구조의 상부 중간 부, 하부 케이스와, 외부엔, 기기의 제어부인 컨트롤 박스, 상승공기 유통 구, 송풍기, 찬 공기 유입 구 등이 있고, 내부엔, 찬바람막이, 및 분산, 체류를 유도하는 특수 주름판과, 열 장치에 해당되는 방열기가 내장되어 있고, 상부케이스 내부엔, 칸막이 판, 그 판위엔 보온단열재, 전자초음파 가습기가 상부로 돌출되게 내장되어 있고, 상기 방열기를 구성하는 발열 관은, 일정한 지름 및 길이를 갖고 내부가 중공 된 형상으로,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와 동 파이프로 형성되며, 발열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외주 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한 발열 핀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팽창 압을 견디게 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및 동 파이프 그리고 알루미늄을 주 재질로 사용하고, 상기 방열기의 내부에 수용할 열매체 조성물{전체 열매체 조성물, 총1000g 에 대하여,▷염화나트륨 (sodium chloride) (27.5~29.55g ) [염화나트륨 100%]▷증류수 (water) (850~830g) [물 100%]▷황산 (sulfuric acid) (0.25~2.64g) [황산 100%]▷마그네슘 (magnesium) (1.26~1.27g) [마그네슘100%]▷칼슘 (calcium) (0.37~0.4g) [칼슘100%]▷활성 탄소 (active carbon) (0.12~0.139g) [비유기성 활성화 차콜99%, 석영1%]▷산화 붕소 (boron oxide) (0.043~0.046g) [산화붕소100%]▷스트론튬, 분말 (strontium, powder) ( 0.0074~0.008g) [스트론튬, 분말100%]▷불소 표준용액 (0.1M불화나트륨) (fluoride standard(0.1M NaF) (0.0012~0.0013g) [불화 나트륨0.42%, 물99.58%]▷인 플라즈마 표준, 1000PPM, IN물 (phosphorus plasma standards, 1000PPM, in water) (0.065~0.07g) [인산암모늄1.0%, 물99%]▷아연 표준용액 (zinc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질산5%,산화 아연0.1%, 물94.9%]▷리튬 표준 용액(1MG/ML 리튬) (lithium standard solution(1MG/ML lithium)) (0.15~0.17g) [염화리튬0.1%, 물99.9%]▷질소 니트레이트 표준 용액 (nitrogen nitrate standard solution) (0.00047~0.0005g) [질산칼륨2%, 물98%]▷브롬 물 (bromine water) (0.06~0.065g) [브로민5%, 물95%]▷철 참조 기준 용액 (iron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질산2.0%, 질산 제2철, 구수화물0.7%, 물97.3%]▷몰리브덴 참고 표준 용액1000PPM MO (molybdenum reference standard solution 1000PPM MO) (0.0093~0.01g) [몰리브덴 무수물0.15%, 염산0.06%, 질산0.04%, 물99.7%]▷알루미늄 참조 표준 용액 (aluminum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알루미늄 염화물 헥사수화물0.85%, 염산10.13%, 물89.02%]▷세슘 염화물 (cesium chloride) (0.0328~0.036g) [세슘염화물100%]▷칼륨 (potassium) (0.3554~0.386g) [칼륨100%]▷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 에테르 (tetra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9.0~9.9g)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 에테르100%]▷에틸렌 글리콜 (ethylene glycol) (6.0~6.6g) [에틸렌 글리콜100%]▷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6.0~6.6g)[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100%]▷디프로필렌 글리콜 (dipropylene glycol) (6.0~6.6g) [디프로필렌 글리콜100%]▷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tri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6.0~6.6g)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100%]▷메톡시트리글리콜 아세트산 (methoxytriglycol acetate) (6.0~6.6g) [메톡시트리글리콜 아세트산100%]▷디에틸렌 글리콜 (diethylene glycol) (6.0~6.6g) [디에틸렌 글리콜100%]▷메톡시 트리글리콜 (methoxy triglycol) (6.0~6.6g) [메톡시 트리글리콜100%]▷디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트산 (diethylene glycol diacetate) (6.0~6.6g)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트산100%]▷에톡시트리글리콜 (ethoxytriglycol) (6.0~6.6g) [2-(2-(2-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올85~99%, 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칸-1-올0.1~15%,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0.1~4%, 디에틸렌 글리콜0.1~3%, 트리에틸렌 글리콜0.1~2%]▷트리에틸렌테트라민 (triethylenetetramine) (6.0~6.6g) [트리에틸렌테트라민100%]▷트리프로필렌 글리콜 (tripropylene glycol) (6.0~6.6g) [트리프로필렌 글리콜95.0~99.0%, 옥시비스프로판올1.0~5.0%]▷디에탄올아민 (diethanolamine) (6.0~6.6g) [디에탄올아민100%]▷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 (tetra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9.0~9.9g)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99.9%, 기타오염물질]▷트리에틸렌 글리콜 (triethylene glycol) (9.0~9.9g) [트리에틸렌 글리콜100%]▷트리에탄올아민(85%)(triethanolamine(85%))(9.0~9.9g) [트리에탄올아민85%, 디에탄올아민15%]▷테트라에틸렌 글리콜 (tetraethylene glycol) (9.0~9.9g) [테트라에틸렌 글리콜99.9%, 에틸렌 글리콜0.05%, 산화 에틸렌0.05%]▷글리콜 활성제 용액 A-4402 (glycol activator solution A-4402) (2.74753~6.4782g) [하이드록시 칼륨80%, 물20%]을 혼합하여 조성된 것}은, 용기의 용적량 100% 대비 9.5% 내지 10.5%를 주입하여 용기내부에서 열전달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팽창공간을 확보하여 주고, 열매체 조성물이 냉각되어, 중력의 영향으로 항시 아래로 내려와 머무는 부위인 가열탱크, 즉 전기 카트리지히터를 수용하고 전기 저항 열을 내부의 열매체 조성물에 전하기 위해 내부를 향해 전기 카트리지히터 수용포켓이 설치된, 가열탱크내부 하단에 고이도록, 용기의 기울기를 3도 이상이 되게 하여주고, 상기 가열탱크 외주 전면을 보온단열재를 피복 하여, 열매체 조성물의 기화반응을 빠르게 하고 과열을 방지하여 제어부에 장착된 각종 첨단 미세 조절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고, 방열기 내부에 존재하는 잡 공기를 없애고 감압하기 위하여, 중공 단속 구를 구비하여 발열 관 상단 일 측에 부착하고, 방열기속에 열매체 조성물을 넣은 후, 중공 밀폐단속 처리 시, {처리방법 1; 진공장비로 용기내부의 잡 공기를 흡인 할 때, 열매체 조성물이 밖으로 따라 나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반드시 발생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매체 조성물이 중력의 영향 때문에 낮은 곳으로 내려와 모이는 것을 이용, 그 모인 열매체 조성물의 전체 어는점, 최저 온도까지(-100℃ 이상) 순식간에 냉각시켜 얼려, 고체화시키기 위해, 일정용량과 크기를 가지고 단열처리가 잘된 실행부스를 별도로 만들어 냉매가 새어나오지 않게 기밀 안전조치를 취한 후, 대상물 부위만 부스에 집어넣고, 액체 초저온 냉매를 사용하여, 급속냉각, 고체화 시킨 후, 흡인 기를 통해 잡 공기를 빼어내고, 감압을 하여 내부공기저항을 없앤 후, 특수정밀 가압용접으로 중공 단속 구를 순식간에 완전 압착 밀봉하면, 열매체 조성물이 전혀 따라 나오지 않고, 성분과 질량의 미세한 변화가 방지되고, 아주 우수한 중공도(10의 -2 승~-3승TOR)를 짧은 시간 내에 얻어내어 시간을 단축 하며, 비용을 줄이는 제작기술로 중공단속 구를 단속하여 완성}. {처리방법 2; 진공장비로 용기내부의 잡 공기를 흡인 할 때, 열매체 조성물이 밖으로 따라 나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반드시 발생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매체 조성물이 액체 상태 이므로 중력의 영향 때문에 낮은 곳으로 내려와 모이는 특성을 이용하여 용기에 주입할 열매체 조성물의 용량과 똑같은 크기의 용량을 담을 수 있는 일정모양의 성형 틀(탈착이 용이한)을 만들어 그 용기에 열매체 조성물을 담아 초저온 냉각장치가 설비된 부스에 넣어 냉동시켜 완전 고체화 시킨 후, 고형 화 된 열매체 조성물을 일회용 캡슐 혹은 팩(비유기성 계열의 천연 수용성 물질로 형성되어 용기 내부에서, 가열 시 녹아 열매체 조성물에 포함될 때, 열매체 조성물의 효능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 성분) 속에 넣어 캡슐 혹은 팩 속에 들어있는 잡 공기를 완전히 흡인 제거 하여 밀봉처리하면, 잡공기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순수 고형 화된 열매체 조성물 캡슐이나, 팩이 완성된다. 이 완성된 열매체 조성물 고형 화 된 캡슐이나, 팩을 열매체 조성물을 주입해야할 용기 속에 집어넣고 중공 단속 구를 설치하고, 흡인 기를 통해 잡 공기를 빼어내고, 감압을 하여 내부공기저항을 없앤 후, 특수정밀 가압용접으로 중공 단속 구를 순식간에 완전 압착 밀봉하면, 열매체 조성물이 전혀 따라 나오거나 성분과 질량의 미세한 변화가 방지되고, 아주 우수한 중공도(10의 -2승~-3승TOR)를 짧은 시간 내에 얻어내어 시간을 단축 하며, 비용을 줄이는 제작기술로 처리된 중공 단속 구}를 가진 방열기를 완성하고, 상단 지지대와 하단지지대로, 용접하여 일체형이 되게 고정하고, 온풍기 바닥 틀 위에 곧추세워 설치하며, 일정크기와 용량 을 가진 가습기의 유용 미생물 군 희석 액 저장탱크 안에, 유용 미생물 군 희석 액을 항시 배양{유용 미생물 군을 이용한 배양 및 조제기술과 사용법;▷주원료1. 유용 미생물 군(Effective Microorganisms)2. 쌀뜨물 영양 수(쌀눈이 있는 현미 쌀가루, 쌀겨, 등겨 등 벼를 도정한 후 나오는 부산물을 순수한 물과(배합물20% : 순수한 물 80% 의 비율) 배합하여, 65℃의 온수에서 약 24시간 담가둔 후에 교반 압착과정을 통해 우려내어 이물질을 걸러낸 것)3. 토종 자생선인장(노팔)엑기스(선인장 뿌리, 잎(줄기), 열매 등을 잘 씻어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맑은 물과 섞은 후(50:50의 비율) 120℃에서 고온 가압 중탕 법으로 조제한 무색, 무취, 투명한 엑기스 원액)4. 마늘 냉동건조 분말(생마늘을 냉동건조 하여 분쇄기를 통해 미세하게 가루로 내어 놓은 분말)5. 쑥 분말(생 쑥을 응달에서 잘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통해 미세하게 가루로 만든 분말)6. 고추 분말(마른 고추를 미세하게 가루로 만든 초미립자 분말)7. 포도엑기스(발효되기 전 신선한 상태의 생 포도를 잘 씻어 중탕처리 한 엑기스)8. 당류(백설탕, 흑설탕, 노랑설탕, 물엿, 시럽)▷배양온도(22~41℃범위)▷원료배합비율(전체 1000g 대비 각 물질이 차지하는 비율(그램 수))▶유용 미생물 군 (10g)▶쌀뜨물영양 수 (930g)▶토종 자생선인장(노팔)엑기스 (10g)▶마늘분말 (10g)▶쑥 분말 (10g)▶고추 분말 (10g)▶포도엑기스 (10g)▶당류(백설탕, 흑설탕, 노랑설탕, 물엿, 시럽) (10g)▷적합한 배양용기(유리, 플라스틱, 도기, 옹기 류 계통의 밀폐 가능한 용기)▷배양기간(용기에 준비된 모든 물질을 배합 비율에 잘 맞추어 희석한 후 용기에 넣어 밀폐한 시간으로부터 7일내지 10일이 되면 완전 숙성 발효되어 활성원액이 됨)▷배양액 보관법 및 보관 장소(발효와 숙성이 완료된 용기는 필요량을 덜어내어 쓰고 나머지는 쓰기에 알맞은 적정량의 작은 용기들에 나누어서 밀폐하여 직사광선이 바로 들지 않은 통풍이 잘되며, 깨끗하고, 그늘진 곳에 배양시작 날자와 완성 날짜를 기록하여 순서대로 보관 함)▷완성 된 배양액 확인 법(배양기간의 길고 짧음은 배양온도의 높고 낮음과 용기의 크기에 따른 배양액의 량에 의해, 차이가 있지만 7일에서 10일 사이에 모두 끝이 나며, 혼합하는 당류의 색상(연노랑, 갈색 짙은 갈색)에 따라 처음부터 결정된 색상은 처음이나 완성된 후에나 크게 차이가 없으나, 조금 색상이 짙어지는 현상이 있다. 배양중간엔 밀폐된 용기의 뚜껑을 열어 공기와의 접촉을 일어나게 해서는 안 되며, 잘 배양된 활성 액은 새콤달콤한 막걸리냄새 혹은 은은한 쑥 향이 나고, 간혹 부주의에 의해 실패한 것은 악취가 날 수 있다. 맛은 거의 무미함)▷배양액 사용법(잘 배양된 활성원액을 먼저 미세한 입자의 채를 통해 이물질과 찌끼를 걸러낸 다음, 순수 굴참나무 껍질(코르크)로 된 숯(활성탄)을 만들어 삼베자루에 담아 옹기 계통의 토기로 된 용기에 넣고 활성원액을 통과시켜 필터링 한 후, 깨끗한 플라스틱계통의 용기에 담아 필요한 량만큼 덜어서 사용하며, 용도에 따라 맑은 물과 배양액을 100:1혹은 500:1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한다.▷배양액의 사용처(▲청소 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에 적신 걸레로 냉장고 안과 밖, 자동차, 거실바닥, 유리, 탁자나, 가구 등을 닦는데 사용, ▲설거지 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수세미에 뿌리서 사용하고 설거지 할 그릇 류가 기름때에 찌들어 있는 경우는 한 두 시간 정도 희석 액에 담가두었다가 씻으면 효과가 더 좋음, ▲화분 가꾸기 할 때: 맑은 물5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화분에 직접 뿌리거나 엽 면 살포하면 건강한 화분을 가꿀 수 있음, ▲음 식폐기물을 처리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음식폐기물에 촉촉하게 뿌려주면 악취제거와 발효를 돕고 훌륭한 퇴비나 조사료로 재활용이 가능함, ▲애완동물이나 기타 가축을 사육 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가축이나 애완동물에 털과 주변에 뿌려주면 악취가 제거되고 해충이나 잡균의 번식을 막아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됨, ▲욕실과 화장실에 사용 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변기와 욕조, 바닥과 벽에 뿌려서 곰팡이와 냄새, 찌든 때를 깨끗이 제거 할 수 있음, ▲가습기, 스팀 청소기 등 습도조절 및 습도 장치에 사용 할 때: 맑은 물5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습도조절과 스팀청소를 행하는 기기에 사용하여 공기정화와 냄새제거 및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음)▷배양액의 사용효과(합성세제의 량을 줄여, 수질오염을 방지 할 수 있고, 무 농약, 무 항생제, 무 방부제 등, 순수 유용 미생물 군 배양액을 적용, 사육재배한 안전한 농수축산물 먹 거리를 통해 국민건강을 지킬 수 있고, 항산화 작용에 의한 부식 부패를 막아 냄새가 없고 쾌적한 공기를 얻을 수 있고, 발효를 통해 분뇨 및 음식폐기물의 재활용을 이끌어 낼 수 있고, 정전기, 녹 등을 방지 할 수 있어 금속제품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음)}하여 실내의 미세먼지 속에 자라는 각종 해로운 바이러스나 잡균, 냄새제거를 하고, 실내의 건조한 공기에 일정한 습도를 유지해 주기 위해, 전자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자동분사 되어, 찬 공기 체류 실을 거쳐 방열기로 부터 뜨겁게 덥혀진 상승공기와 만나 공기혼합 실에서 믹서 되어 힘 있게 분 출하는 상승공기에 실려서, 퍼져 나갈 수 있게 하는 등, 상기와 같은 구조와 기능으로 구성된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청구항 1의 온풍기 내부의 방열기에 있어서, 방열기 내부의 총 체적, 곧 용기의 용적량 100%로 대비 9.5% 내지 10.5%의 비율로 열매체 조성물{전체 열매체 조성물, 총1000g 에 대하여,▷염화 나트륨 (sodium chloride) (27.5~29.55g ) [염화 나트륨 100%]▷증류수 (water) (850~830g) [물 100%]▷황산 (sulfuric acid) (0.25~2.64g) [황산 100%]▷마그네슘 (magnesium) (1.26~1.27g) [마그네슘100%]▷칼슘 (calcium) (0.37~0.4g) [칼슘100%]▷활성 탄소 (active carbon) (0.12~0.139g) [비유기성 활성화 챠콜99%, 석영1%]▷산화 붕소 (boron oxide) (0.043~0.046g) [산화붕소100%]▷스트론슘, 분말 (strontium, powder) ( 0.0074~0.008g) [스트론슘, 분말100%]▷불소 표준용액 (0.1M불화나트륨) (fluoride standard(0.1M NaF) (0.0012~0.0013g) [불화 나트륨0.42%, 물99.58%]▷인 플라즈마 표준, 1000PPM, IN물 (phosphorus plasma standards, 1000PPM, in water) (0.065~0.07g) [인산암모늄1.0%, 물99%]▷아연 표준용액 (zinc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질산5%,산 화 아연0.1%, 물94.9%]▷리튬 표준 용액(1MG/ML 리튬) (lithium standard solution(1MG/ML lithium)) (0.15~0.17g) [염화리튬0.1%, 물99.9%]▷질소 니트레이트 표준 용액 (nitrogen nitrate standard solution) (0.00047~0.0005g) [질산칼륨2%, 물98%]▷브롬 물 (bromine water) (0.06~0.065g) [브로민5%, 물95%]▷철 참조 기준 용액 (iron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질산2.0%, 질산 제2철, 구수화물0.7%, 물97.3%]▷몰리브덴 참고 표준 용액1000PPM MO (molybdenum reference standard solution 1000PPM MO) (0.0093~0.01g) [몰리브덴 무수물0.15%, 염산0.06%, 질산0.04%, 물99.7%]▷알루미늄 참조 표준 용액 (aluminum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알루미늄 염화물 헥사수화물0.85%, 염산10.13%, 물89.02%]▷세슘 염화물 (cesium chloride) (0.0328~0.036g) [세슘염화물100%]▷칼륨 (potassium) (0.3554~0.386g) [칼륨100%]▷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 에테르 (tetra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9.0~9.9g)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 에테르100%]▷에틸렌 글리콜 (ethylene glycol) (6.0~6.6g) [에틸렌 글리콜100%]▷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6.0~6.6g)[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100%]▷디프로필렌 글리콜 (dipropylene glycol) (6.0~6.6g) [디프로필렌 글리콜100%]▷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tri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6.0~6.6g)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100%]▷메톡시트리글리콜 아세트산 (methoxytriglycol acetate) (6.0~6.6g) [메톡시트리글리콜 아세트산100%]▷디에틸렌 글리콜 (diethylene glycol) (6.0~6.6g) [디에틸렌 글리콜100%]▷메톡시 트리글리콜 (methoxy triglycol) (6.0~6.6g) [메톡시 트리글리콜100%]▷디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트산 (diethylene glycol diacetate) (6.0~6.6g)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트산100%]▷에톡시트리글리콜 (ethoxytriglycol) (6.0~6.6g) [2-(2-(2-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올85~99%, 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칸-1-올0.1~15%,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0.1~4%, 디에틸렌 글리콜0.1~3%, 트리에틸렌 글리콜0.1~2%]▷트리에틸렌테트라민 (triethylenetetramine) (6.0~6.6g) [트리에틸렌테트라민100%]▷트리프로필렌 글리콜 (tripropylene glycol) (6.0~6.6g) [트리프로필렌 글리콜95.0~99.0%, 옥시비스프로판올1.0~5.0%]▷디에탄올아민 (diethanolamine) (6.0~6.6g) [디에탄올아민100%]▷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 (tetra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9.0~9.9g)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99.9%, 기타오염물질]▷트리에틸렌 글리콜 (triethylene glycol) (9.0~9.9g) [트리에틸렌 글리콜100%]▷트리에탄올아민(85%)(triethanolamine(85%))(9.0~9.9g) [트리에탄올아민85%, 디에탄올아민15%]▷테트라에틸렌 글리콜 (tetraethylene glycol) (9.0~9.9g) [테트라에틸렌 글리콜99.9%, 에틸렌 글리콜0.05%, 산화 에틸렌0.05%]▷글리콜 활성제 용액 A-4402 (glycol activator solution A-4402) (2.74753~6.4782g) [하이드록시 칼륨80%, 물20%]을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청구항 1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에 장착된 온풍기 내부의 방열기의 중공 단속 구에 있어서, 열매체 조성물을 넣은 후, 중공 단속 처리 시, {처리방법1(용기가 소형일 때): 진공장비로 용기내부의 잡 공기를 흡인 할 때, 열매체 조성물이 밖으로 따라 나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반드시 발생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매체 조성물이 중력의 영향 때문에 낮은 곳으로 내려와 모이는 것을 이용, 그 모인 열매체 조성물의 전체 어는점, 최저 온도까지(-100℃ 이상) 순식간에 냉각시켜 얼려, 고체화시키기 위해, 일정용량과 크기를 가진 실행부스를 별도로 만들어 냉매가 새어나오지 않게 기밀 안전조치를 취한 후, 대상물 부위만 부스에 집어넣고, 액체 초저온 냉매를 사용하여, 급속냉각, 고체화 시킨 후, 흡인 기를 통해 잡 공기를 빼어내고, 감압을 하여 내부공기저항을 없앤 후, 특수정밀 가압용접으로 중공 단속 구를 순식간에 완전 압착 밀봉하면, 열매체 조성물이 전혀 따라 나오거 나 성분과 질량의 미세한 변화가 방지되고, 아주 우수한 중공도(10의 -2승~-3승TOR)를 짧은 시간 내에 얻어내어 시간을 단축 하며, 비용을 줄이는 처리제작기술}로 중공 단속 구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청구항 1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에 장착된 온풍기 내부의 방열기의 중공 단속 구에 있어서, 열매체 조성물을 넣은 후, 중공 단속 처리 시, {처리방법2(용기가 대형일 때): 진공장비로 용기내부의 잡 공기를 흡인 할 때, 열매체 조성물이 밖으로 따라 나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반드시 발생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매체 조성물이 액체 상태 이므로 중력의 영향 때문에 낮은 곳으로 내려와 모이는 특성을 이용하여 용기에 주입할 열매체 조성물의 용량과 똑같은 크기의 용량을 담을 수 있는 일정모양의 성형 틀(탈착이 용이한)을 만들어 그 용기에 열매체 조성물을 담아 초저온 냉각장치가 설비된 부스에 넣어 냉동시켜 완전 고체화 시킨 후, 고형 화 된 열매체 조성물을 일회용 캡슐 혹은 팩(비유기성 계열의 천연 가용성 물질로 형성되어 용기 내부에서, 가열 시 녹아 열매체 조성물에 포함될 때, 열매체 조성물의 효능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 성분) 속에 넣어 캡슐 혹은 팩 속에 들어있는 잡 공기를 완전히 흡인 제거 하여 밀봉처리하면, 잡공기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순수 고형 화된 열매체 조성물 캡슐이나, 팩이 완성된다. 이 완성된 열매체 조성물 고형 화 된 캡슐이나, 팩을 열매체 조성물을 주입해야할 용기 속에 집어넣고 중공 단속 구를 설치하고, 흡인 기를 통해 잡 공기를 빼어내고, 감압을 하여 내부공기저항을 없앤 후, 특수정밀 가압용접으로 중공 단속 구를 순식간에 완전 압착 밀봉하면, 열매체 조성물이 전혀 따라 나오거나 성분과 질량의 미세한 변화가 방지되고, 아주 우수한 중공도(10의 -2승~-3승TOR)를 짧은 시간 내에 얻어내어 시간을 단축 하며, 비용을 줄이는 처리 제작기술}로 중공 단속 구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청구항 1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에 장착된 송풍기에 있어서, 온풍기 내부의 데워진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찬바람이 직접 방열기에 닿지 아니하도록 바람막이 및 분산, 체류를 유도하는 일정크기의 특수 주름 판을 내부 방열기 앞에 설치하여, 서서히 주름 판 주변을 따라 데워져 상승하여 내부의 뜨거운 공기와 혼합 실에서 믹서 되어 배출 하여 열 손실을 막고 실내를 신속하게 대류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청구항 1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의 일 측 상단에 장착된 전자초음파 가습기에 있어서, 가습기의 유용 미생물 군 희석 액 저장탱크 내에, 맑은 물과 희석하여 넣을 배양액의 배양기술{유용 미생물 군을 이용한 배양 및 조제기술과 사용법;▷주원료1. 유용 미생물 군(Effective Microorganisms)2. 쌀뜨물 영양 수(쌀눈이 있는 현미 쌀가루, 쌀겨, 등겨 등 벼를 도정한 후 나오는 부산물을 순수한 물과(배합물20% : 순수한 물 80% 의 비율) 배합하여, 65℃의 온수에서 약 24시간 담가둔 후에 교반 압착과정을 통해 우려내어 이물질을 걸러낸 것)3. 토종 자생선인장(노팔)엑기스(선인장 뿌리, 잎(줄기), 열매 등을 잘 씻어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맑은 물과 섞은 후(50:50의 비율) 120℃에서 고온 가압 중탕 법으로 조제한 무색, 무취, 투명한 엑기스 원액)4. 마늘 냉동건조 분말(생마늘을 냉동건조 하여 분쇄기를 통해 미세하게 가루로 내어 놓은 분말)5. 쑥 분말(생 쑥을 응달에서 잘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통해 미세하게 가루로 만든 분말)6. 고추 분말(마른 고추를 미세하게 가루로 만든 초미립자 분말)7. 포도엑기스(발효되기 전 신선한 상태의 생 포도를 잘 씻어 중탕처리 한 엑기스)8. 당류(백설탕, 흑설탕, 노랑설탕, 물엿, 시럽)▷배양온도(22~41℃범위)▷원료배합비율(전체 1000g 대비 각 물질이 차지하는 비율(그램 수))▶유용 미생물 군 (10g)▶쌀뜨물영양 수 (930g)▶토종 자생선인장(노팔)엑기스 (10g)▶마늘분말 (10g)▶쑥 분말 (10g)▶고추 분말 (10g)▶포도엑기스 (10g)▶당류(백설탕, 흑설탕, 노랑설탕, 물엿, 시럽) (10g)▷적합한 배양용기(유리, 플라스틱, 도기, 옹기 류 계통의 밀폐 가능한 용기)▷배양기간(용기에 준비된 모든 물질을 배합 비율에 잘 맞추어 희석한 후 용기에 넣어 밀폐한 시간으로부터 7일내지 10일이 되면 완전 숙성 발효되어 활성원액이 됨)▷배양액 보관법 및 보관 장소(발효와 숙성이 완료된 용기는 필요량을 덜어내어 쓰고 나머지는 쓰기에 알맞은 적정량의 작은 용기들에 나누어서 밀폐하여 직사광선이 바로 들지 않은 통풍이 잘되며, 깨끗하고, 그늘진 곳에 배양시작 날자와 완성 날짜를 기록하여 순서대로 보관 함)▷완성 된 배양액 확인 법(배양기간의 길고 짧음은 배양온도의 높고 낮음과 용기의 크기에 따른 배양액의 량에 의해, 차이가 있지만 7일에서 10일 사이에 모두 끝이 나며, 혼합하는 당류의 색 상(연노랑, 갈색 짙은 갈색)에 따라 처음부터 결정된 색상은 처음이나 완성된 후에나 크게 차이가 없으나, 조금 색상이 짙어지는 현상이 있다. 배양중간엔 밀폐된 용기의 뚜껑을 열어 공기와의 접촉을 일어나게 해서는 안 되며, 잘 배양된 활성 액은 새콤달콤한 막걸리냄새 혹은 은은한 쑥 향이 나고, 간혹 부주의에 의해 실패한 것은 악취가 날 수 있다. 맛은 거의 무미함)▷배양액 사용법(잘 배양된 활성원액을 먼저 미세한 입자의 채를 통해 이물질과 찌끼를 걸러낸 다음, 순수 굴참나무 껍질(코르크)로 된 숯(활성탄)을 만들어 삼베자루에 담아 옹기 계통의 토기로 된 용기에 넣고 활성원액을 통과시켜 필터링 한 후, 깨끗한 플라스틱계통의 용기에 담아 필요한 량만큼 덜어서 사용하며, 용도에 따라 맑은 물과 배양액을 100:1혹은 500:1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한다.▷배양액의 사용처(▲청소 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에 적신 걸레로 냉장고 안과 밖, 자동차, 거실바닥, 유리, 탁자나, 가구 등을 닦는데 사용, ▲설거지 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수세미에 뿌리서 사용하고 설거지 할 그릇 류가 기름때에 찌들어 있는 경우는 한 두 시간 정도 희석 액에 담가두었다가 씻으면 효과가 더 좋음, ▲화분 가꾸기 할 때: 맑은 물5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화분에 직접 뿌리거나 엽 면 살포하면 건강한 화분을 가꿀 수 있음, ▲음식폐기물을 처리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음식폐기물에 촉촉하게 뿌려주면 악취제거와 발효를 돕고 훌륭한 퇴비나 조사료로 재활용이 가능 함, ▲애완동물이나 기타 가축을 사육 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가축이나 애완동물에 털과 주변에 뿌려주면 악취가 제거되고 해충이나 잡균의 번식을 막아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됨, ▲욕실과 화장실에 사용 할 때: 맑은 물1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변기와 욕조, 바닥과 벽에 뿌려서 곰팡이와 냄새, 찌든 때를 깨끗이 제거 할 수 있음, ▲가습기, 스팀 청소기 등 습도조절 및 습도 장치에 사용 할 때: 맑은 물500:배양 액1의 비율로 희석한 물을 습도조절과 스팀청소를 행하는 기기에 사용하여 공기정화와 냄새제거 및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음)▷배양액의 사용효과(합성세제의 량을 줄여, 수질오염을 방지 할 수 있고, 무 농약, 무 항생제, 무 방부제 등, 순수 유용 미생물 군 배양액을 적용, 사육재배한 안전한 농수축산물 먹 거리를 통해 국민건강을 지킬 수 있고, 항산화 작용에 의한 부식 부패를 막아 냄새가 없고 쾌적한 공기를 얻을 수 있고, 발효를 통해 분뇨 및 음식폐기물의 재활용을 이끌어 낼 수 있고, 정전기, 녹 등을 방지 할 수 있어 금속제품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음)}이 접목되어 배양된 배양액을 맑은 물과 희석(맑은 물과 유용 미생물 군 배양액 비율 500:1)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가습기 장치를 통해 자동분사 시켜 상승 대류 하는 공기에 실어 실내 구석구석까지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청구항 1의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에 있어서, 단순 난방과, 가습기, 기능 외에 실내공기 정화, 살균 작용을 통해 건강 위생을 도모하고, 온풍기 자체가 가진 잠재된 열을 용액배양에 이용함으로서 에너지 비용과, 기기의 구입 비용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기능들(난방기능, 습도 조절기능, 위생 정화기능, 등)을 하나의 기기 안에 복합되게 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과 공간 활용도를 최대한 이끌어 낸, 기술과 아이디어를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0717A KR20090054043A (ko) | 2007-11-26 | 2007-11-26 |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0717A KR20090054043A (ko) | 2007-11-26 | 2007-11-26 |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4043A true KR20090054043A (ko) | 2009-05-29 |
Family
ID=4086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0717A KR20090054043A (ko) | 2007-11-26 | 2007-11-26 |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404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1839A (ko) * | 2014-04-22 | 2015-10-30 | 황익현 |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
-
2007
- 2007-11-26 KR KR1020070120717A patent/KR2009005404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1839A (ko) * | 2014-04-22 | 2015-10-30 | 황익현 |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946629U (zh) | 一种多功能种子储藏装置 | |
CN204400851U (zh) | 堆肥装置 | |
CN209475975U (zh) | 一种废气热量回收除臭装置 | |
CN110476705A (zh) | 一种人工智能气候室栽培灵芝的方法 | |
CN2371793Y (zh) | 净菜无土栽培箱 | |
KR20090054041A (ko) | 열매체 다기능 전기테이블 히터 | |
CN207054242U (zh) | 冷凝定点浇水育苗房 | |
CN206637749U (zh) | 一种生态型水培植物空气净化器 | |
KR20090054043A (ko) | 열매체 다목적 전기온풍기 | |
CN204320063U (zh) | 一种用于畜禽舍的多级排气除臭装置 | |
CN203692114U (zh) | 家用生态豆芽机 | |
CN206909281U (zh) | 一种基于水循环蓄热的温室大棚 | |
KR20090054062A (ko) | 열매체 전기 음식폐기물 건조기 | |
CN108815867A (zh) | 一种具有压缩式热泵的蜂蜜浓缩机 | |
CN212393404U (zh) | 一种实现储热、供热和灭虫的设施农业土壤换热装置 | |
CN208911467U (zh) | 一种具有压缩式热泵的蜂蜜浓缩机 | |
CN209660063U (zh) | 一种大棚种植养殖互补共养系统 | |
CN207589737U (zh) | 一种小型智能气雾栽培机 | |
KR20090054175A (ko) | 열매체 다목적 전기사우나 건조기 | |
CN106925111A (zh) | 一种负压除臭系统 | |
CN208911466U (zh) | 一种半导体热泵式蜂蜜浓缩机 | |
CN106510231A (zh) | 一种杀菌鞋柜 | |
CN207838638U (zh) | 一种发酵房内异味吸收装置 | |
CN106613325A (zh) | 绿色培育平菇立体箱及箱内培育平菇的方法 | |
CN206851714U (zh) | 一种养鸡用鸡舍供暖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