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246A -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246A
KR20090052246A KR1020070118851A KR20070118851A KR20090052246A KR 20090052246 A KR20090052246 A KR 20090052246A KR 1020070118851 A KR1020070118851 A KR 1020070118851A KR 20070118851 A KR20070118851 A KR 20070118851A KR 20090052246 A KR20090052246 A KR 2009005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vibration
home
network server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581B1 (ko
Inventor
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강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강희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Priority to KR102007011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5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댁내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모듈, 댁내 거주자의 단말기를 통해 댁내 해당 어플리언스의 동작을 설정하도록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설정에 따라 지그비모듈로부터 전송된 해당 측정값을 전달받아 댁내의 해당 어플리언스들의 동작을 명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홈네트워크서버, 댁내에 설치되어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와 지그비모듈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지그비모듈로부터 전송된 해당 센서 측정값을 홈네트워크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로부터의 동작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언스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홈네트워크서버로부터 게이트웨이에 전송된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와 댁내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상기 지그비모듈로부터 전달받아 진동의 강약과 진동시간을 달리하는 진동신호로 생성하여 진동하는 진동전환모듈을 포함하여 청각장애인들이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방범이나 가스누출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도 이를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118851
홈 네트워크, 센서, 게이트웨이, 청각장애인, 진동전환모듈, 지그비모듈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the home-network for a hearing-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를 통한 댁내 환경을 감지하여 집안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최적의 주거환경을 구현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청각 장애인들이 소지하는 진동전환모듈을 통해 홈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아 진동으로 감지함으로써 댁내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자동화가 보편화되면서 댁내의 가전기기들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최첨단의 댁내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은 미비한 상태이다.
예를 들어 가스누출 시에 이를 감지한 가스감지센서가 홈네트워크의 중앙홈서버에 이를 알려주게 되고, 중앙 홈서버에서 경고음을 보낸다고 하더라도 청각장애인들은 이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긴급 상황에 어떠한 대처도 하지 못하게 되므로 큰 위험에 빠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네트워크 서버가 청각장애인들이 인체에 부착하고 있는 진동전환모듈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각종 센싱 정보 및 경고 알람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진동전환모듈이 상기 정보들을 진동모드로 변환시켜 작동시킴으로써 청각장애인들이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댁내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모듈, 댁내 거주자의 단말기를 통해 댁내 해당 어플리언스의 동작을 설정하도록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설정에 따라 지그비모듈로부터 전송된 해당 측정값을 전달받아 댁내의 해당 어플리언스들의 동작을 명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홈네트워크서버, 댁내에 설치되어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와 지그비모듈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지그비모듈로부터 전송된 해당 센서 측정값을 홈네트워크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로부터의 동작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언스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홈네트워크서버로부터 게이트웨이에 전송된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와 댁내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상기 지그비모듈로부터 전달받아 진동의 강약과 진동시간을 달리하는 진동 신호로 생성하여 진동하는 진동전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서버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통해 위급상황 혹은 댁내 어플리언스 동작 여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거주자가 수신하도록 무선단말기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어플리언스의 작동을 수행시키도록 그 명령 메시지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각 세대별 온도, 습도, 조도, 가스감지, 음성인식, 동체감지에 따른 가공데이터 또는 이에 따른 저장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홈네트워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시리얼통신 또는 범용직렬버스(USB)로 지그비모듈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환모듈은, 홈네트워크서버에서 생성된 어플리언스 작동명령 데이터와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환경감지신호를 지그비모듈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작동명령 데이터와 환경감지신호를 진동신호를 전환하는 신호 전환부, 상기 신 호 전환부에서 전환되는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발생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지속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및 상기 신호 전환부에서 전환되는 진동신호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언스는 댁내 가전기기 또는 방범경보기, 가스경보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에는 각 해당 세대의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감지신호, 이에 따른 홈네트워크 어플리언스의 가동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주거환경 조성에 필요한 지수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방법은,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지그비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지그비모듈은 게이트웨이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청각장애인에 부착된 진동전환모듈로 환경감지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단계, 게이트웨이는 감지신호를 홈네트워트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홈네트워크서버는 게이트웨이에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게이트웨이는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를 지그비모듈과 각 어플리언스에 전송하는 단계, 지그비모듈은 어플리언스 동작명령 데이터를 청각 장애인에 부착된 진동전환모듈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및 진동전환모듈은 지그비모듈에서 수신한 감지신호와 동작명령 데이터에 따라 진동의 강약과 진동시간을 달리하여 세대별 상황을 나타내는 진 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방법에 있어서, 홈네트워크서버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세대 거주자의 단말기와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홈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거나 해당 세대의 홈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은, 진동전환모듈이 상기 홈네트워크 정보들을 진동모드로 변환시켜 청각장애인들이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방범이나 가스누출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도 이를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지그비모듈(100), 홈네트워크서버(200), 상기 지그비모듈(100)과 홈네트워크서버(20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201), 상기 게이트웨이(201)를 통해 홈네트워크서버(200)로부터의 명령을 받아 작동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홈네트워크 어플리언스(에어컨, 전동커튼, 전동창문, 습도기, 제습기, 방범 경 보기, 가스경보기)들로 구성된다.
상기 홈네트워크서버(200)는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의 인구밀집지역에 1대씩 설치되어 있으며 각 댁내에 설치되는 홈게이트웨이(201)로부터 센싱값을 전송받고 이에 대응하는 해당 가구의 해당 어플리언스들의 동작을 명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홈네트워크서버(200)는 각 세대별 복수개의 게이트웨이(20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홈네트워크서버(200)는 인터넷망을 통해 세대 거주자의 단말기(210) 혹은 외부의 단말기와 접속되어, 세대원들에게 홈네트워크 웹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세대별 홈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세대의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홈네트워크서버(200)는 각 해당 세대별로 측정된 센서값, 이에 따른 홈네트워크 어플리언스의 가동내역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었다가, 이들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세대 거주자가 소지한 무선단말기(220)를 통해 해당 세대의 홈네트워크 감지상태나 그에 따른 어플리언스의 동작여부, 위급상황 등을 통보받도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 주며, 또한 무선단말기(220)를 통해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을 받아 이를 수행하도록 각 어플리언스에 명령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01)는 댁내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홈네트워크서버(200)와 지그비모듈(100)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게이트웨이는 그 일측에 홈네트워크서버(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지그비모듈(100)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댁내 복수개의 어플리언스들은 지그비모듈(100) 실행부인 액츄에이션 노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201)는 RS-485(시리얼통신)통신 혹은 범용직렬버스(USB)로 연결되어 있는 지그비모듈(100)을 통해 무선으로 감지센서(101)에서부터 측정되어 전송된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한편, 홈네트워크서버(200)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받은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정보를 전달받아 각 어플리언스에 전달한다.
즉, 상기 게이트웨이(201)는 홈네트워크서버(200)와 외부 네트워크망으로 구성되어 있어 홈네트워크서버(200)로부터의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신호를 받아 이를 해당 세대의 해당 어플리언스에 전달하게 한다.
상기 어플리언스는 중앙의 홈네트워크서버(200)로부터의 작동명령을 받아 그에 따른 동작 혹은 제어되는 댁내 가전기기들로써, 온도, 습도, 조도, 가스누출 등의 각 감지센서들의 감지신호(센싱값)에 따라 가동되는 전등, 전동커튼, 가습기, 보일러, 에어컨, 공기청정기가 이에 해당한다.
상기 감지센서(101)는 가스감지센서모듈, 동체감지센서모듈, 음성인식모듈, 온도감지센서모듈, 조도감지센서모듈, 습도감지센서모듈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감지센서모듈들은 센싱 기능을 가지고 있어 주위환경으로부터 해당 센싱값을 생성하여 지그비모듈(100)로 전송한다.
상기 조도감지센서모듈은 주위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포토IC, CCD 센서, 솔라셀 등이 있다.
상기 조도감지센서모듈의 센서 동작에 의해 조명의 점등과 소등 그리고 전자커튼의 개폐가 수행된다.
상기의 조도센싱에 의해 전동커튼과 전등이 원격 제어됨으로써, 동/하절기의 효율적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센서모듈로부터의 댁내 온도를 감지한 센서에 의해 보일러, 전동커튼, 에어컨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모듈의 온도감지센서는 다이오드 측정, IC센서, 써모커플, RTD, 써미스터, 크리스탈 진동자 등의 종류가 있다.
이러한 온도감지센서모듈의 센싱값은 홈네트워크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데, 각 세대별 혹은 세대의 실별 주야간, 주간, 월간, 계절별 데이터를 축정하여 그에 따른 온도관리를 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필요한 온도지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거주자가 단말기를 통해 홈네트워크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전에 온도 값을 설정해 놓으면 센싱값에 상관없이 설정해 놓은 시나리오대로 운전을 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모듈은 상기의 센서값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작동과 동일 유사한 방식으로 가습기, 전동커튼, 보일러, 에어컨, 제습기와 같은 어플리언스가 운영된다.
상기 습도감지센서모듈의 습도센서는 세라믹 소자를 이용하여 센서 입자면에 공기 중의 수준이 흡착될 때 전기적인 특성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는 소자로써, 습 도 센서에는 공기 중의 수분을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물리 흡착형과 소재의 이온 성분과 수분이 화학반응에 의해 결합하는 화학 흡착형이 있다.
상기 동체감지센서모듈은 방범기능을 위한 것으로 댁내에 거주자가 없거나 거주자가 모두 외출한 상태에서 침입한 외부인 또는 기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게이트웨이(201)를 통해 홈네트워크서버(200)에 전송하여 방법에 따른 긴급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초전센서와 적외선 반사형이 있다.
상기 초전센서는 결정에 온도 변화를 주면 전하가 유기되는 초전 효과를 이용한 방식으로, 온도 변화를 감지하므로 온도를 가진 물체가 움직이는 것이 감지되는 것으로 BaTiO3, PbTiO3, PZT, PLZT 등의 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가스감지센서모듈은 공기 중의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측정된 가스농도를 게이트웨이(201)를 통해 홈네트워크서버(200)에 전송하게 됨으로써, 기준농도 이상의 가스가 누출되었음을 판별한 홈네트워크서버(200)가 이에 대한 가스감지신호를 게이트웨이(201)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음성인식모듈은 청각장애인의 육아을 하는 경우 아기들의 우는 소리를 들을수 없기 때문에 동체감식과 함께 음성인식을 통해 아기의 육아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다른 사람이 집을 방문하여 초인종을 누르거나 음성으로 부르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모듈에서 감지된 음성 검출 신호를 게이트웨이(201)를 통해 홈네트워크서버(200)에 전송하여 청각장애인에 부착된 진동전환모듈로 진동음을 생성하여 외부에서의 방문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지그비모듈(100)은 게이트웨이(20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는 각 감지센서와 진동전환모듈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그비모듈(100)은 상기 센서들로부터의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게이트웨이(201)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서버(200)를 통해 게이트웨이(201)로 전송된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신호 혹은 댁내의 환경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진동전환모듈(1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환경감지신호란 현재 해당 세대내의 환경상태를 알려주는 신호로써, 가스누출경보음, 화재에 따른 비상대피경보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전환모듈(100)은 청각장애인들이 인체에 휴대하고 있는 단말장치로써, 상기 지그비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신호와 환경감지신호를 진동신호로 전환하여 작동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진동전환모듈의 블록 구성도의 일실시예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전환모듈(110)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홈네트워크서버(200)에서 생성된 어플리언스 작동명령 데이터와 감지센서(101)에서 측정된 환경감지신호를 지그비모듈(100)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111), 상기 작동명령 데이터와 환경감지신호를 진동신호를 전환하는 신호 전환부(112), 상기 신호 전환부에서 전환되는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발생하는 진동발생부(114),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지속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113), 상기 신호 전환부에서 전환되는 진동신호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1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전환모듈(110)은 상기 지그비모듈(100)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환경감지신호와 작동명령신호를 전달받도록 무선통신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신호들에 따라 청각장애인이 인지 및 구별할 수 있는 진동모드로 전환시켜 단말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댁내의 현재 주거환경 상태를 바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즉, 댁내의 각 감지센서(101)들이 온도, 습도, 조도, 동체감지, 가스감지를 행하게 되면, 상기 센싱 정보들은 지그비모듈(100)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어 게이트웨이(201)에 전달된다.
상기 전달된 센싱 정보들은 중앙의 홈네트워크서버(200)에 전달되며, 상기 홈네트워크서버(200)에 전달된 이들 센싱 정보들을 통해 해당 세대의 해당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신호가 생성하게 된다.
상기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신호는 다시 해당 세대의 게이트웨이(201)로 전송되어 각 해당 어플리언스에 전달되어 작동명령에 따른 동작을 행하게 된다.
예를들면, 측정된 온도가 기준온도(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전동커튼을 열고 창문을 열거나 혹은 열려있는 전동커튼과 창문을 닫고 에어컨을 가동시키게 된다.
또한, 가스누출이나 화재감지에 따른 경보신호가 발생할 경우, 해당 댁내의 경보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동체가 감지된 경우(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작동), 이들 신호 역시 홈네트워크서버(200)를 통해 동체감지정보로 생성되어 해당 댁내에서 경보장치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홈네트워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신호 혹은 댁내의 환경감지신호는 각 어플리언스에 전달되어 작동됨과 동시에 지그비모듈(100)을 통해 진동전환모듈(110)로 전송된다.
상기 진동전환모듈(110)로 전송된 상기 어플리언스 작동명령신호 혹은 댁내의 환경감지신호는 청각장애인들이 그 의미를 인지할 수 있는 진동모드로 전환된다.
즉, 상기진동모드는 그 진동의 강약과 진동시간을 달리하여 이에 해당하는 세대내의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의미있는 신호이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은 동체감지 및 화재경보, 가스누출경보 등의 환경감지신호를 진동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각 어플리언스의 동작상태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수행 과정도이다.
도1, 도2에서 설명된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세대별 거주자의 단말에 제공된 웹페이지에서 어플리언스 초기 환경설정에 따라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작동되면, 댁내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센서(101)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는 무선으로 지그비모듈(100)로 전송된다(S10).
상기 환경감지신호를 포함하는 감지신호(센싱신호)를 수신한 지그비모듈은 게이트웨이(201)에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환경감지신호를 청각장애인에 부착된 진동전환모듈(110)로 무선전송하게 된다(S20).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201)는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홈네트워크서버(200)에 전송하여 홈네트워크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세대별로 저장된다(S30).
상기 홈네트워크서버(2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감지신호에 따라서 세대별 어플리언스를 동작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201)로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를 전송한다(S40).
상기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게이트웨이(201)는 지그비모듈(100)과 세대별 각 어플리언스에 동작명령 데이터를 전달한다(S50).
이때, 지그비모듈(100)은 어플리언스 동작명령 데이터를 청각장애인에 부착된 진동전환모듈(110)로 무선 전송한다(S60).
상기 진동전환모듈(110)은 지그비모듈(100)에서 수신한 감지신호와 동작명령 데이터에 따라 진동의 강약과 진동시간을 달리하여 세대별 상황을 나타내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면 청각 장애인은 어플리언스 작동명령 또는 동체감지, 화재경보, 가스누출경보와 같은 환경감지신호를 인식하여 긴급 상황을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된다(S70).
또한, 상기 홈네트워크서버(200)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세대 거주자의 단말기 또는 무선단말기와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홈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거나 해당 세대의 홈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해당 세대의 홈네트워크 감지상태나 그에 따른 어플리언스의 동작여부, 위급상황 등을 통보받도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 주며, 또한 무선단말기(220)를 통해 어 플리언스 작동명령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를 수행하도록 각 어플리언스에 명령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진동전환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수행 과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지그비모듈 101 : 감지센서
110 : 진동전환모듈 111 : 데이터수신부
112 : 신호전환부 113 : 타이머
114 : 진동발생부 115 : 신호제어부
200 : 홈네트워크서버 201 : 게이트웨이
210 : 거주자 단말기 220 : 무선휴대폰

Claims (10)

  1.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댁내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지그비모듈;
    댁내 거주자의 단말기를 통해 댁내 해당 어플리언스의 동작을 설정하도록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설정에 따라 지그비모듈로부터 전송된 해당 측정값을 전달받아 댁내의 해당 어플리언스들의 동작을 명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홈네트워크서버;
    댁내에 설치되어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와 지그비모듈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지그비모듈로부터 전송된 해당 센서 측정값을 홈네트워크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로부터의 동작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언스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홈네트워크서버로부터 게이트웨이에 전송된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와 댁내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상기 지그비모듈로부터 전달받아 진동의 강약과 진동시간을 달리하는 진동신호로 생성하여 진동하는 진동전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서버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통해 위급상황 혹은 댁내 어플리언스 동작 여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거주자가 수신하도록 무선단말기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어플리언스의 작동을 수행시키도록 그 명령 메시지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각 세대별 온도, 습도, 조도, 가스감지, 음성인식, 동체감지에 따른 가공데이터 또는 이에 따른 저장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홈네트워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시리얼통신 또는 범용직렬버스(USB)로 지그비모듈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환모듈은,
    홈네트워크서버에서 생성된 어플리언스 작동명령 데이터와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환경감지신호를 지그비모듈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작동명령 데이터와 환경감지신호를 진동신호를 전환하는 신호 전환부;
    상기 신호 전환부에서 전환되는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발생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지속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및
    상기 신호 전환부에서 전환되는 진동신호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언스는 댁내 가전기기 또는 방범경보기, 가스경보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서버에는 각 해당 세대의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감지신호값, 이에 따른 홈네트워크 어플리언스의 가동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주거환경 조성에 필요한 지수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9.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감지신호를 지그비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지그비모듈은 게이트웨이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청각장애인에 부착된 진동전환모듈로 환경감지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단계;
    게이트웨이는 감지신호를 홈네트워트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홈네트워크서버는 게이트웨이에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게이트웨이는 어플리언스 동작 명령 데이터를 지그비모듈과 각 어플리언스에 전송하는 단계;
    지그비모듈은 어플리언스 동작명령 데이터를 청각 장애인에 부착된 진동전환모듈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및
    진동전환모듈은 지그비모듈에서 수신한 감지신호와 동작명령 데이터에 따라 진동의 강약과 진동시간을 달리하여 세대별 상황을 나타내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홈네트워크서버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세대 거주자의 단말기 또는 무선단말기와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홈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거나 해당 세대의 홈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방법.
KR1020070118851A 2007-11-20 2007-11-20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094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851A KR100942581B1 (ko) 2007-11-20 2007-11-20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851A KR100942581B1 (ko) 2007-11-20 2007-11-20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246A true KR20090052246A (ko) 2009-05-25
KR100942581B1 KR100942581B1 (ko) 2010-02-16

Family

ID=4086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851A KR100942581B1 (ko) 2007-11-20 2007-11-20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29B1 (ko) * 2012-03-28 2013-11-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다중 pan 지그비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WO2014092464A1 (ko) * 2012-12-14 2014-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17B1 (ko) * 2016-06-07 2018-08-24 이정철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생활밀착형 센서
KR102572980B1 (ko) 2020-10-19 2023-08-31 주식회사 오성전자 엣지 서버를 이용한 긴급 상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2543498B1 (ko) 2021-08-09 2023-06-14 주식회사 오성전자 엣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대응 시스템
KR20230056471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오성전자 환경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홈 엣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79A (ko) * 1999-05-04 2000-12-05 이형찬 청각 장애자를 위한 호출 장치
KR200336514Y1 (ko) * 2003-05-22 2004-03-19 조영준 액정표시 기능을 갖는 청각장애인용 진동형 무선 경보 장치
KR20070060610A (ko) *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팬택 시각 장애인 안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KR20070075142A (ko) * 2006-01-12 2007-07-18 주식회사 텔로드 휴대폰, 이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29B1 (ko) * 2012-03-28 2013-11-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다중 pan 지그비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WO2014092464A1 (ko) * 2012-12-14 2014-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0819958B2 (en) 2012-12-14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11064158B2 (en) 2012-12-14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581B1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5059B1 (en) Thermal management in smart doorbells
KR100942581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Dey et al. Web based real-time home automation and security system
US20110112692A1 (en)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and heaters with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s
JP4915046B2 (ja) 換気装置ならびに換気装置を利用したネット家電システム
CN106054660B (zh)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系统及方法
JP4987598B2 (ja) 宅内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Hercog et al. Smart home solutions using wi-fi-based hardware
Halder et al. Artificially intelligent home automation system based on Arduino as the master controller
CN211741898U (zh) 一种家庭环境监控系统
CN11421753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监控系统
CN206249029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房间调控系统
CN210442648U (zh) 物联网家居系统
CN211149235U (zh) 一种智能家居系统
KR102286559B1 (ko) 홈 edge 허브를 활용한 공동주택 환경에서 긴급 상황 대응 시스템
Sarkar et al. Smart hom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hin et al. Ardunio and Bluetooth based Smart Home Control System
Namdeo et al. A review: IoT based power & security management for smart home system
Namdeo et al. IoT based smart home for power & security management
Šimšík et al. Ambient technology and social services for seniors
CN216848487U (zh) 智能家居用智慧中控系统
TWI769713B (zh) 多重輸入模式及多重輸出通道預警系統
Gandhi et al. Anti-Theft Security System With Reporting and Safety Using Android Application Smart Industrial System using Android ADK
Gopinath et al. Smart Homes: Steps, Components, Utilities and Challenges
RO131294A0 (ro) Sistem multifuncţional de control şi management al unei locuinţ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