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239A -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239A
KR20090052239A KR1020070118840A KR20070118840A KR20090052239A KR 20090052239 A KR20090052239 A KR 20090052239A KR 1020070118840 A KR1020070118840 A KR 1020070118840A KR 20070118840 A KR20070118840 A KR 20070118840A KR 20090052239 A KR20090052239 A KR 2009005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balance weight
molding
concre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3433B1 (ko
Inventor
유시풍
Original Assignee
(주)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티 filed Critical (주)씨엔티
Priority to KR102007011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4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2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by injection 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는 세탁기의 터브에 장착되어 회전 진동을 감소시키는 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제철 슬래그와 시멘트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팅홀이 마련되고, 호형의 외주면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인서트 몰딩된 몰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는 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세탁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인서트 몰딩에 의해 몰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위생상,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탁기, 터브, 밸런스 웨이트, 몰딩, 사출, 인서트

Description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balance weight, manufacturing apparatus of balance weight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작은 부피로도 충분한 무게를 가지며, 인서트 몰딩을 통해 위생적이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밸런스 웨이트와 이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에는 내부에 충진된 세탁물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되는 세탁조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한다.
종래의 밸런스 웨이트는 시멘트 거푸집으로부터 곧바로 양생되어 완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밸런스 웨이트는 표면이 매우 거칠어 이를 다루는 작업자에게 부상 위험을 줄 수 있으며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출된 합성수지재의 내부에 콘크리트 블록을 양생시켜 만든 밸런스 웨이트가 있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는 합성수지재로 사출된 하우징의 내부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여 양생함으로 써 완성된다. 이를 위해 밸런스 웨이트에는 일측으로 콘크리트 몰탈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를 터브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각 볼트홀에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세탁기 터브에 단단히 고정한다. 특히 밸런스 웨이트의 내부에는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부싱이 삽입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에 의한 밸런스 웨이트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작업자가 손으로 콘크리트를 만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내부에 기포가 유입되어 콘크리트 몰탈이 하우징에 온전히 충진되지 못하게 되어 밸런스 웨이트가 기준중량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가 기준중량에 도달하지 못하면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불량 판정을 받게 된다. 특히 밸런스 웨이트의 특성상 이러한 불량 제품은 재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모두 별도로 폐기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폐기에 따른 처리비용의 증가와 산업 쓰레기의 발생에 따른 환경 오염의 증가 그리고, 제품의 생산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은 제철 슬래그를 포함하므로 부피가 작아도 충분히 무거우며, 합성수지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여진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철 슬래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이 합성수지의 중앙에 위치하여 무게의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는 세탁기의 터브에 장착되어 회전 진동을 감소시키는 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제철 슬래그와 시멘트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팅홀이 마련되고, 호형의 외주면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인서트 몰딩된 몰딩부를 구비한다.
상기 몰딩부의 하면에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몰딩부의 측면에는 상기 몰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는 제철 슬래그와 시멘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압착하여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팅홀이 마련되고, 호형의 외 주면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블록 압착기와, 상기 블록 압착기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건조 및 소성시키기 위한 건조기와,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인서트 몰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형합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상기 캐비티 내부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핀들을 포함하는 사출금형을 구비한다.
상기 사출금형은 상기 지지핀에 의해 지지된 콘크리트 블록이 캐비티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촉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에 돌출된 복수개의 회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방법은 제철 슬래그와, 시멘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재료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팅홀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블록 제작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건조 및 소성시키는 소성단계와, 상기 소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인서트 몰딩을 위한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장착하는 장착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외주면을 합성수지가 감싸도록 상기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인서트 몰딩하는 몰딩단계를 포함는데, 상기 장착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캐비티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사출금형의 하부금형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지지핀에 지지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는 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세탁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인서트 몰딩에 의해 몰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위생상,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10)는 세탁기의 터브(1)에 설치되어 회전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블록(11)과, 콘크리트 블록(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인서트 몰딩되는 몰딩부(12)를 구비한다.
콘크리트 블록(11)은 제철슬래그와 시멘트를 혼합한 혼합물을 후술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블록압착기를 이용해 압착성형하고 건조실에서 건조하여 제작한 것이다.
콘크리트 블록(11)은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세탁기의 터브(1)에 결합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팅홀(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철슬래그는 강의 제강 작업중 발생하는 것으로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작 은 부피로도 세탁기의 작동시 세탁물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히 무거운 밸런스 웨이트를 제작할 수 있는 좋은 재료이다. 또한, 제철슬래그의 첨가로 인해 밸런스 웨이트의 체적을 줄여 세탁기의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세탁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철슬래그는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데, 이를 시멘트와 함께 밸런스 웨이트를 제조하는 데 재활용됨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가 있다.
몰딩부(12)는 거친 콘크리트 블록(11)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콘크리트 블록(11)의 표면을 감싸는 부분이다.
몰딩부(12)는 후술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사출금형 내부에 콘크리트 블록(11)을 장착하고, 용융된 합성수지를 사출금형 내에 주입하여 합성수지를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에 몰딩함으로서 형성된다.
몰딩부(12)의 하면에는 콘크리트 블록(11)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핀홀(12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몰딩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블록(11)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고정홀(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에 몰딩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인서트 몰딩시, 콘크리트 블록(11)이 사출금형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사출금형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핀 및 회동방지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복수개의 지지핀 및 회동방지부재는 콘크리트 블록(11)을 사출금형 내부에서 움직임이 없이 지지하며, 인서트 몰딩시 콘크리트 블록의 표면에 용융된 합성수지 가 균일하게 몰딩되도록 한다.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의 불량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주입되는 합성수지의 양을 줄일 수가 있어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사출금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몰딩부(12)의 두께는 1㎜∼8㎜의 범위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딩부(12)의 두께가 1㎜미만인 경우에는 몰딩부가 균열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높으며, 콘크리트 블록의 거친 표면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게 되어 몰딩부의 외주면이 콘크리트 블록처럼 거친 표면을 갖게 된다. 이와는 달리 몰딩부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콘크리트 블록의 거친 표면을 몰딩부가 상쇄시켜 매끄러운 표면의 밸런스 웨이트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몰딩부의 두께가 8㎜가 넘게 되면 몰딩부에 의한 효과의 증대가 크지 않으며, 오히려 인서트 몰딩시 응고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제품 제작 시간이 늘어나고, 많은 양의 합성수지를 주입하는데에 따른 생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는 제철 슬래그와 시멘트를 혼합한 몰탈을 성형틀(21)에 넣고 압착하여 콘크리트 블록(11)을 제작하는 블록 압착기(20)와, 블록 압착기(20)에 의해 압착된 콘크리트 블록(11)을 열풍에 의해 건조 및 소성하는 건조실(도시하지 않음)과, 건조된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에 합성수지를 몰딩한 몰딩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11)을 사출금형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장착할 수 있는 상/하부금형을 구비한 인서트 사출기(30)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압착기(20)는 일반적인 프레스로서 성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블록(11)의 형상에 대응된 형상의 성형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성형틀(21)과, 성형틀(21)내에 넣어진 몰탈을 압착하는 압착판(22)과, 압착판(22)을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23)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4를 참조하면, 블럭압착기(20)의 성형틀(21) 내부에는 콘크리트 블록(11)의 볼팅홀(11a)을 형성하기 위해 볼팅홀형성부재(21a)가 소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있고, 압착판(22)에는 볼팅홀형성부재가 관통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건조실은 콘크리트 블록(11)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저장공간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기가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서트 사출기(30)는 일반적인 사출기로서 형합되는 상/하부 금형(31,32)과, 상/하부 금형(31,32)을 구동하는 유압액츄에이터(33)와, 형합된 상/하부 금형 내부의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건(34)이 마련된 주입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6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에 합성수지를 몰딩하기 위해, 하부금형(32)의 내면으로부터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콘크리트 블록(11)이 하부금형(32)에 장착되도록 하부금형(32)의 내부 저면 및 측면에 복수개의 지지핀(32a)과 회동방지부재(3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몰탈 제조단계
먼저 콘크리트 블록(11)을 제조하기 위한 몰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시멘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비중을 높이기 위한 제철 슬래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몰탈을 준비한다. 물론, 본 단계에서 콘크리트 블록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래나 기타 첨가제(방청제, 소포제등)를 첨가하여 몰탈을 제조할 수도 있다.
2. 콘크리트 블록 제조단계
몰탈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몰탈을 압착성형하여 콘크리트 블록(11)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콘크리트 블록(11)은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하면을 관통한 볼팅홀(11a)이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몰탈의 압착성형은 후술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블록 압착기(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성형틀(21)에 몰탈을 주입하고, 유압실린더(23)에 의해 압착판(22)을 구동시켜 성형틀(21)에 주입된 몰탈을 압착하게 된다.
3. 콘크리트 블록 소성단계
콘크리트 블록 제조단계에 의해 성형된 콘크리트 블록(11)을 건조 및 소성하는 단계이다. 콘크리트 블록(11)은 후술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건조실(도시하지 않음)내에서 열풍에 의해 가열 건조된다.
4. 콘크리트 블록 장착단계
콘크리트 블록 소성단계에서 소성된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에 합성수지를 몰딩하기 위해 후술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의 인서트 사출기의 사출금형 내부 캐비티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에 균일한 두께로 합성수지를 감싸기 위한 중요한 작업으로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이 사출금형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콘크리트 블록(11)을 하부금형(32)에 장착하게 된다. 즉, 콘크리트 블록(11)이 하부금형(32)의 내부 저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핀(32a)과, 하부금형(32)의 내부 측면에 돌출된 회동방지부재(32b)에 지지되어 움직임이 없이 하부금형(32)에 장착된다.
5. 콘크리트 블록 몰딩단계
콘크리트 블록(11)이 하부금형(32)에 장착되면, 상부금형(31)을 하부금형(32)에 형합시키고, 형합된 사출금형 내부의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에 합성수지가 몰딩되는 단계이다.
몰딩부(12)의 형성시, 지지핀(32a) 및 회동방지부재(32b)에 접한 콘크리트 블록(11)의 외면에는 합성수지가 몰딩되지 못하고, 결국 몰딩부(12)에 핀홀(12a) 및 고정홀(12b)을 다수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11)에 몰딩부(12)가 형성되면 사출금형으로부터 취출하여 완성된 밸런스 웨이트(10)를 얻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 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의 실시 예가 세탁기의 터브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밸런스 웨이트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중 블록압착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블록압착기의 성형틀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중 인서트 사출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인서트 사출기의 사출금형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단계를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터브 10 : 웨이트 밸런스
11 : 콘크리트 블록 12 : 몰딩부
12a : 핀홀 12b : 고정홀
20 : 블록압착기 30 : 인서트 사출기
32 : 하부금형 32a : 지지핀
32b : 회동방지부재

Claims (6)

  1. 세탁기의 터브에 장착되어 회전 진동을 감소시키는 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제철 슬래그와 시멘트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팅홀이 마련되고, 호형의 외주면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인서트 몰딩된 몰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의 하면에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의 측면에는 상기 몰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4. 제철 슬래그와 시멘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압착하여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팅홀이 마련되고, 호형의 외주면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블록 압착기와;
    상기 블록 압착기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건조 및 소성시키기 위한 건조실과;
    상기 건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인서트 몰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형합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이 상기 캐비티 내부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핀들을 포함하는 사출금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금형은 상기 지지핀에 의해 지지된 콘크리트 블록이 캐비티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촉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에 돌출된 복수개의 회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 장치.
  6. 제철 슬래그와, 시멘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몰탈 제조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팅홀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단계;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건조 및 소성시키는 콘크리트 블록 소성단계;
    상기 소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인서트 몰딩을 위한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장착하는 콘크리트 블록 장착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외주면을 합성수지가 감싸도록 상기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인서트 몰딩하는 콘크리트 블록 몰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장착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캐비티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사출금형의 하부금형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핀 및 회동방지부재에 지지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방법.
KR1020070118840A 2007-11-20 2007-11-20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KR10091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840A KR100913433B1 (ko) 2007-11-20 2007-11-20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840A KR100913433B1 (ko) 2007-11-20 2007-11-20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239A true KR20090052239A (ko) 2009-05-25
KR100913433B1 KR100913433B1 (ko) 2009-08-21

Family

ID=4086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840A KR100913433B1 (ko) 2007-11-20 2007-11-20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587B1 (ko) * 2012-05-11 2013-10-18 박정숙 재사용되는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0390B (it) 1991-05-29 1995-04-07 Zanussi Elettrodomestici Procedimento e impianto di fabbricazione di un contrappeso per macchine lavatrici e contrappeso cosi' ottenuto.
JP2002257198A (ja) 2001-02-28 2002-09-11 Maruemu:Kk バランスウエイト
KR200397571Y1 (ko) * 2005-07-13 2005-10-05 김귀식 드럼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
KR200403506Y1 (ko) * 2005-09-21 2005-12-09 김순옥 코팅층을 갖는 세탁기 밸런스 웨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587B1 (ko) * 2012-05-11 2013-10-18 박정숙 재사용되는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433B1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246B2 (en) Aggregate for a washing machine with a plastic sudsing container
US5686009A (en) Mould
EP0969134A1 (en) Washing machine
KR20050043811A (ko) 엘리베이터 웨이트
KR100913433B1 (ko)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PL166270B1 (pl) Urzadzenie do formowania bloków z mieszanki betonowej PL
EP1597043B1 (en) Moulding equipment with cores for concrete casting machines
KR101596337B1 (ko) 주물수축을 이용한 맨홀받침 제조장치
CN207806542U (zh) 一种插入式射砂嘴
KR100959025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제조방법
KR100774160B1 (ko) 드럼세탁기용 밸런스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07995B1 (ko) 드럼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방법
KR101101978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 장치
RU88603U1 (ru) Форм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фигурного стенового блока
RU2530954C2 (ru) Форм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борудование,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180165A (zh) 水泥砂浆模具
KR20090109721A (ko) 로스트 스티렌 폼 주조장치
KR0136506Y1 (ko) 가스 배출장치가 설치된 사출성형기
CN218083255U (zh) 一种混凝土预制件制备用振动模台
SU1073101A1 (ru) Объемна опалубка дл формовани изделий с наклонными стенками
KR950010604B1 (ko) 주조품, 그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CN217975201U (zh) 一种高强度石塑基层地暖木地板集成式设计结构
KR100568945B1 (ko) 콘크리트 펌프트럭의 피스톤 램 제조방법
KR200163466Y1 (ko) 드럼세탁기용밸런서
KR200403506Y1 (ko) 코팅층을 갖는 세탁기 밸런스 웨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