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365A - Safety door lock of dual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afety door lock of dual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365A
KR20090051365A KR1020070117718A KR20070117718A KR20090051365A KR 20090051365 A KR20090051365 A KR 20090051365A KR 1020070117718 A KR1020070117718 A KR 1020070117718A KR 20070117718 A KR20070117718 A KR 20070117718A KR 20090051365 A KR20090051365 A KR 2009005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atch
lock
bol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08685B1 (en
Inventor
정주석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메탈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메탈라인 filed Critical (주)베스트메탈라인
Priority to KR102007011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685B1/en
Publication of KR2009005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6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레버로 래치볼트(10)와 가드볼트(30)를 작동하고, 타측 레버로 로크와 언로크를 수행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좌우 동형으로 분리되어 동축 상에 이중으로 구비되고, 상기 래치볼트(10)를 전후진하는 래치링크(20); 상기 타측 레버에 연결되어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볼트(10)의 전후진을 구속하는 로크링크(40); 상기 로크링크(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하 행정단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래치링크(20)의 회전을 개별로 단속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가드볼트(30)가 후진 위치에 있는 동안 래치볼트(10)의 후진을 구속하는 보조로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lock for operating the latch bolt 10 and the guard bolt 30 with one lever, and locking and unlocking with the other lever. A latch link 20 for advancing back and forth the bolt 10; A lock link 40 connected to the other lever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restra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 bolt 10; Adjusting means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 and down stroke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 link (40), to individually control the rotation of each latch link (20); And an auxiliary lock means for restraining the reverse of the latch bolt 10 while the guard bolt 30 is in the reverse posi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래치볼트와 가드볼트를 구비하면서도 화재 등의 비상시에 하나의 레버로 개방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고, 필요에 따라 내측과 외측의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aving a latch bolt and a guard bolt can be opened with a single leve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o improve safety, and can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as necessary, improving durability. have.

래치, 데드, 도어록, 이중, 안전, 비상 Latch, Dead, Door Lock, Double, Safety, Emergency

Description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Safety door lock of dual construction}Safety door lock of dual construction

본 발명은 안전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래치볼트와 가드볼트를 구비하면서도 화재 등의 비상시에 하나의 레버로 개방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고, 필요에 따라 내측과 외측의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하는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latch bolt and a guard bolt can be opened with one lever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o improve safety and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as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oor lock of a dual structure that can improve durability.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82709호에 의하면 가드볼트용 샤프트에 연결된 키 구동부가 설치된 외부유니트와, 상기 핸들용 샤프트와 상기 데드볼트용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핸들용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내장된 데드볼트, 래치볼트 및 자동락버튼이 출몰되고, 상기 데드볼트용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이 출몰되는 백셋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락 장치가 개시된다.For example,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No. 0282709, a key drive unit connected to a guard bolt shaft is installed through the external unit, and the handle shaft and the dead bolt shaft are penetra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shaft. Disclosed is a door lock device comprising a back set in which dead bolts, latch bolts, and automatic lock buttons are mounted, and the dead bolts are mounted by rotation of the dead bolt shaft.

다른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5795호의 주요 구성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잠금 및 해제위치로 이동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에 회동되게 배치되며 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이동을 길이방향으로 유도시키는 안내판과, 핀에 의하여 고정된 나선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슬라이드 회전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위 치로 이동시키는 래치볼트 등을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the main configuration of Korean Utility Model No.0205795 is a dead bol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moved to the locked and unlocked position, and a rotating member rotated to the dead bolt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spring;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lide rotating member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spiral spring fixed by a pin, and a latch bolt for selectively moving the slide to a locked and released position. .

상기의 도어록은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기반으로 방범에 대비한 보안성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전자는 비교적 편리한 작동으로 방범 기능을 강화하는 구성이지만 화재 등 비상시 사용자의 안전에 대비하는 기능이 미흡하다. 후자는 주물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도어용 로킹장치가 필요한 어떠한 장소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다고 한다. 그러나 상기 어느 경우에나 좌우로 실내와 실외측이 구분되고 변경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내구성 증대를 기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The door lock can be expected security against crime prevention based on the latch bolt and dead bolt. However, the former is a component that enhances the security function with a relatively convenient operation, but lacks the function to prepare for the safety of the user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fire. The latter is molded in one piece, making it easy to install in any location that requires a locking device for the door. However, in either case, since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are distinguished from side to side and do not change, it is difficult to expect to increase durability.

종래기술의 문헌정보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82709호 “도어락 장치”[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82709 “Door Lock Device”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5795호 “도어용 로킹장치”[Reference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0205795 “Locking Device for Door”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래치볼트와 가드볼트를 구비하면서도 화재 등의 비상시에 하나의 레버로 개방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고, 필요에 따라 내측과 외측의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하는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hile having a latch bolt and a guard bolt can be opened with a single leve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o improve the safe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door safety door lock that can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outside to improve durabilit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 레버로 래치볼트와 가드볼트를 작동하고, 타측 레버로 로크와 언로크를 수행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좌우 동형으로 분리되어 동축 상에 이중으로 구비되고, 상기 래치볼트를 전후진하는 래치링크; 상기 타측 레버에 연결되어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볼트의 전후진을 구속하는 로크링크; 상기 로크링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하 행정단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래치링크의 회전을 개별로 단속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가드볼트가 후진 위치에 있는 동안 래치볼트의 후진을 구속하는 보조로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lock that operates a latch bolt and a guard bolt with one lever, and locks and unlocks with the other lever. A latch link for advancing and reversing the bolt; A lock link connected to the other lever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restra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 bolt; Control mean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troke end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 link, and separatel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each latch link; And an auxiliary lock means for restraining the reverse of the latch bolt while the guard bolt is in the reverse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수단은 돌기와 활주곡면을 통하여 로크링크와 래치링크에 접촉하며 상하운동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 상에서 래치링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이중의 블록과, 상기 각각의 블록의 돌출 길이를 개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편심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ng ro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ck link and the latch link and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projection and the slide surface, a double block which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latch link on the operating rod, and each of the block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ccentric cam is installed to individually adjust the protruding length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조로크수단은 상기 가드볼트의 전후진에 연동하도록 탄지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에 연동하여 래치볼트의 전후진을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탄지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링크와, 상기 래치링크에 연동하여 중간링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lock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link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of engagement in linkag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guard bolt, and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t or release of the latch bolt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link restrained or released And an intermediate link rotatably installed in a ro, and a lower link rotatably installed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intermediate link in conjunction with the latch link.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 inventors should us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alternatives may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래치볼트와 가드볼트를 구비하면서도 화재 등의 비상시에 하나의 레버로 개방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고, 필요에 따라 내측과 외측의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atch bolt and a guard bolt can be opened with a single leve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o improve safety, and can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inner and outer as necessary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언로크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언로크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작동로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로크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로크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unlocked closed state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unlocked open state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sassembled operation rod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ock closing state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ock opening state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일측 레버로 래치볼트(10)와 가드볼트(30)를 작동하고, 타측 레버로 로크와 언로크를 수행하는 도어록에 관련된다. 상기한 레버들은 공지 기술과 다르지 않으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으나 이해의 편의상 전자의 레버를 ‘개폐용 레버’ 후자의 레버를 ‘로크용(잠금용) 레버’라 칭한다. 개폐용 레버는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평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용도이고, 로크용 레버는 도어의 실내측에만 설치되어 실내로의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 용도이다. 래치볼트(10)는 프레임(12)과 연동하여 전후진하며 전진 방향으로 스프링(13)의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that operates the latch bolt 10 and the guard bolt 30 with one lever, and locks and unlocks with the other lever. Since the levers are not different from the known technology, they are not separately illustrated, bu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latter lever is referred to as a 'locking lever'.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is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respectively, and is used to open the door in general, and the lock lever is installed only on the indoor side of the door to prevent unauthorized entry into the interior. The latch bolt 10 is interlocked with the frame 12 and is installed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3 in the forward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래치볼트(10)를 전후진하는 래치링크(20)가 좌우 동형으로 분리되어 동축 상에 이중으로 구비된다. 래치링크(20)는 양측으로 각각 하부아암(20a)과 상부아암(20b)이 형성되는 형상이고 중앙에 개폐용 레버를 고정하기 위한 사각홀을 지닌다. 래치링크(20)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20c)은 후술하는 가드볼트(30)를 작동하기 위한 용도이고, 타측면에 단턱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활주곡면(20d)은 본 발명의 중요 기능의 하나인 안전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link 20 for advancing the latch bolt 10 forward and backward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types and is provided on a double shaft. The latch link 20 has a shape in which the lower arm 20a and the upper arm 20b are formed at both sides, respectively, and has a square hole for fixing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at the center. The recess 20c formed in one side of the latch link 20 is used to operate the guard bol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liding curved surface 20d formed as a stepped surface on the other side is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safety functions,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이와 같은 래치링크(20)가 이중으로 겹친 상태로 동축 상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각각을 선대칭 구조로 형성하여야 한다. 각각의 래치링크(20)에는 실내측 개폐용 레버와 실외측 개폐용 레버가 고정된다. 래치링크(20)를 이중 구조로 하면 실내측과 실외측의 레버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발휘된다. 물론 변경 설치를 위해서는 래치볼트(10)를 비롯한 관련 부품의 위치도 변경해야 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작동설명을 참조한다.In order to be installed on the coaxial in such a state that the latch link 20 is overlapped twice, each should be formed in a line symmetric structure. Each latch link 20 is fixed to the indoor opening and closing lever and the outdoor opening and closing lever. If the latch link 20 has a dual structure, the advantages of installing the lever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can be achieved. Of course, in order to change installation, the position of the related parts including the latch bolt 10 must also be change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래치볼트(10)의 전후진을 구속하는 로크링크(40)가 상기 타측 레버에 연결되어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로크링크(40)는 실내측의 로크용 레버를 고정하는 사각공을 중심으로 하부아암(40a)과 상부아암(40b)을 지니는 형상이다. 로크용 레버를 로크위치로 회전하여 하부아암(40a)이 프레임(12)의 후단에 인접하도록 회전되면 실외측 레버로 래치볼트(10)를 후진시켜도 더 이상의 후진이 구속되므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면에 후술하는 작동로드(42)가 상부아암(40b)에 맞물리는 구성에 의하여 로크용 레버와 무관하게 실내측 레버만으로 신속히 언로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link 40 which restrain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 bolt 10 is connected to the other lever and installed to rotate at a set angle. The lock link 40 has a shape having a lower arm 40a and an upper arm 40b around a square hole for fixing the lock lever on the indoor side. If the lower arm 40a is rotated to be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12 by rotating the lock lever to the lock position, it is impossible to open the door because further backwards are constrained even when the latch bolt 10 is reversed by the outdoor lever. Do.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rod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ngaged with the upper arm 40b, it can be quickly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only by the indoor lever regardless of the locking lever.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래치링크(20)의 회전을 개별로 단속하는 조절수단이 상기 로크링크(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하 행정단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절수단은 돌기(42a)와 활주곡면(42b)을 통하여 로크링크(40)와 래치링크(20)에 접촉하며 상하운동하는 작동로드(42)와, 상기 작동로드(42) 상에서 래치링크(2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이중의 블록(45)과, 상기 각각의 블록(45)의 돌출 길이를 개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편심캠(46)을 구비한다. 작동로 드(42)는 긴 막대 형태이며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로드(42)의 하단에서 2개 지점에 형성되는 곡면형 돌기(42a) 사이에는 로크링크(40)의 상부아암(40b)이 맞물린다. 작동로드(42)의 상단 일측에는 활주곡면(42b)이 형성되어 래치링크(20)의 활주곡면(20d)과 맞물리거나 이격하여 대향한다. 작동로드(42)의 상단에 공간을 형성하고 한 쌍의 블록(45)을 수용한다. 이중의 블록(45)은 이중의 래치링크(20)에 각각 대응한다. 블록(45)은 작동로드(42)의 활주곡면(42b)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하도록 조절된다. 블록(45)이 활주곡면(42b)보다 낮게 위치하면 래치링크(20)의 단턱진 활주곡면(20d)에 맞물려 래치링크(20)의 회전을 구속하여 본 발명의 주요기능인 비상개방 모드가 수행되지 않는다.(통상 실외측을 이 모드로 둔다.) 반대로 블록(45)이 최대한 상승된 상태로 조절되면 블록(45)의 역할이 배제되면서 작동로드(42)의 활주곡면(42b)이 래치링크(20)의 활주곡면(20d)과 접촉되어 비상개방 가능 모드로 된다.(통상 실내측을 이 모드로 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each latch link 20 separately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trok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 link (40). The adjustment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lock link 40 and the latch link 20 through the projection (42a) and the sliding surface (42b)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rod 42, the latch link on the operation rod (42) A double block 45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20, and the eccentric cam 46 is installed to individually adjust the protruding length of each of the blocks (45). The actuating rod 42 is in the form of a long rod and is mount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arm 40b of the lock link 40 is engaged between the curved projections 42a formed at two points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42. A sliding curved surface 42b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42 to engage or be spaced apart from the sliding curved surface 20d of the latch link 20. A spac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operating rod 42 and accommodates the pair of blocks 45. The double blocks 45 correspond to the double latch links 20, respectively. The block 45 is adjusted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sliding surface 42b of the actuating rod 42. When the block 45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liding surface 42b, the block 45 is engaged with the stepped sliding surface 20d of the latch link 20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latch link 20 so that the emergency opening mode, which is a mai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erformed. (Normally, the outdoor side is left in this mode.) On the contrary, when the block 45 is adjusted to the maximum possible state, the sliding surface 42b of the operating rod 42 is removed by the latch link (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ide curved surface 20d of 20 and becomes an emergency opening possible mode (normally, the indoor side is left in this mod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블록(45)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편심캠(46)이 사용된다. 편심캠(46)은 판형 몸체의 일측에 조절축(46a)이 타측에 지지축(46b)이 형성된 구조이다. 조절축(46a)은 상단에 드라이버를 사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부분이고, 지지축(46b)은 블록(45)의 관통요홈(45a)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블록(45)의 관통요홈(45a)에는 지지축(46b)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판스프링(47)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편심캠(46)과 판스프링(47)은 각각의 블록(45)에 대하여 동일하게 이중으로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3, an eccentric cam 46 is used to adjus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lock 45. The eccentric cam 46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trol shaft 46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late-shaped body and a support shaft 46b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 adjusting shaft 46a is a portion where a groove for using a driver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supporting shaft 46b i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recess 45a of the block 45. The through-spring 45a of the block 45 is provided with a leaf spring 47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46b. The eccentric cam 46 and the leaf springs 47 are provided in the same double for each block 45.

이때, 본 발명의 작동로드(42)는 일면에 스프링(43)에 지지되는 접촉자(44) 를 구비하여 상하 일측 행정단의 위치를 견실하게 유지한다. 접촉자(44)는 스프링(43)의 탄성력을 받도록 작동로드(42)의 내부에 수용되고, 본체상에 형성된 산모양의 곡면턱에 걸리면서 상하 일측 행정단의 위치를 견실하게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rod 4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actor 44 supported on the spring 43 on one surface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up and down one end of the stroke. The contactor 44 is accommodated in the working rod 42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and is firmly held by the mountain-shaped curved jaw formed on the main body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stroke ends.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보조로크수단을 드러내어 나타내는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uxiliary lock means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드볼트(30)가 후진 위치에 있는 동안 래치볼트(10)의 후진을 구속하는 보조로크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보조로크수단은 상부링크(30), 중간링크(26), 하부링크(25)로 구성되고 가드볼트(30)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xiliary lock means for restraining the reverse of the latch bolt 10 while the guard bolt 30 is in the reverse position. The auxiliary lock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upper link 30, the intermediate link 26, the lower link 25 and is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guard bolt (30).

상부링크(35)는 상기 가드볼트(30)의 전후진에 연동하도록 탄지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링크(35)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37)은 가드볼트(30)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The upper link 35 is rotatably installed in a tangent state to interlock with the front and rear of the guard bolt 30. The torsion spring 37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upper link 35 acts a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advancing the guard bolt 30.

중간링크(26)는 상기 상부링크(35)에 연동하여 래치볼트(10)의 전후진을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탄지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링크(35)가 외팔보 형태라면 중간링크(26)는 2개의 아암(26a,26b)을 지니는 형태이다. 중간링크(26)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스프링(27)은 아암(26a,26b)을 하향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중간링크(26)의 상부아암(26a)은 래치볼트(10)의 전후진 경로상에 출입하도록 연장되고, 하부아암(26b)은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술하는 하부링크(25)까지 도달한다. The intermediate link 26 is rotatably installed in a tangent state so as to restrain or release th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latch bolt 10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link 35. If the upper link 35 is cantilevered, the intermediate link 26 has two arms 26a and 26b. The spring 27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intermediate link 26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arms 26a and 26b. The upper arm 26a of the intermediate link 26 extends in and out of the forward and backward path of the latch bolt 10, and the lower arm 26b ext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reach the lower link 25 described later. .

하부링크(25)는 상기 래치링크(20)에 연동하여 중간링크(26)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링크(25)도 중간링크(26)처럼 하부아암(25a)과 상부아암(25b)을 지니는 형태이다. 하부아암(25a)은 래치링크(20)의 요홈(20c)에 맞물려 연동하고, 상부아암(25b)은 중간링크(26)에 자유롭게 접촉한다.The lower link 25 is rotatably installed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intermediate link 26 in conjunction with the latch link 20. The lower link 25 also has a lower arm 25a and an upper arm 25b like the intermediate link 26. The lower arm 25a is engaged with the groove 20c of the latch link 20, and the upper arm 25b freely contacts the intermediate link 26.

이때, 본 발명에서 상부링크(35)의 하단부는 중간링크(26)의 상부아암(26a)에 형성된 돌출핀(26c)과 간섭되며 중간링크(26)를 회동시키는 구성을 택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은 후술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link 35 interferes with the protruding pins 26c formed on the upper arm 26a of the intermediate link 26 and takes the configuration of rotating the intermediate link 26.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작동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도어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내측 또는 실외측의 설치 방향을 정해야 한다. 물론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 다시 설치 위치를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실내측 또는 보이는 면)의 블록(45)을 내리고 하측의 블록(45)을 올린 상태라면 상측에 실내측 개폐용 레버와 로크용 레버를 설치하고 하측(실외측 또는 보이지 않는 면)에 실외측 개폐용 레버를 설치한다. 도 1과 도 2는 언로크 상태로서 도 2처럼 개폐용 레버를 회전시키면 래치링크(20)의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10)와 가드볼트(30)가 후진하고 도어가 개방된다. 실내측 개폐용 레버이건 실외측 개폐용 레버이건 공히 도어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n order to use the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indoor side or the outdoor side should be determined. Of course, you can also reverse the installation location after a period of use. If the block 45 on the upper side (indoor side or visible side) is lowered and the lower block 45 is raised on the basis of FIG. 1, an indoor side opening lever and a lock lever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utdoor side or visible side). Outside lever) for the open / close side. 1 and 2 in the unlocked state, as shown in FIG. 2,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rotates the latch bolt 20 and the latch bolt 10 and the guard bolt 3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oor is opened. It is possible to open or close the door whether the lever is for the indoor side or the lever for the outdoor side.

그런데, 도 4처럼 실내측에서 로크용 레버를 회전시키면 로크링크(40)의 하부아암(40a)이 프레임(12)에 접근하는 동시에 상부아암(40b)이 작동로드(42)를 하측으로 밀어 내린다. 일단 내려진 상태의 작동로드(42)는 일측에 수용된 접촉자(44)와 이에 대응하는 턱에 의해 임의로 위치변경 않고 견실한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의 실외측 레버로 래치링크(20)를 회전시켜도 프레임(12)의 후퇴가 구속되기 때문에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다.However, as shown in FIG. 4, when the lock lever is rotated in the room side, the lower arm 40a of the lock link 40 approaches the frame 12, and the upper arm 40b pushes the operation rod 42 downward. . The actuating rod 42 in the once lowered state is maintained by the contactor 44 accommodated on one side and the corresponding jaw, without any change in position, and a solid lock state is maintained. Even if the latch link 20 is rotated by the lever on the outdoor side in this state, the retraction of the frame 12 is restrained so that the door is not opened.

그러나, 도 5처럼 실내측 로크용 레버를 강하게 회전시키면 래치링크(20)의 활주곡면(20d)이 작동로드(42)의 활주곡면(42b)을 밀어 작동로드(4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측 블록(45)이 상승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작동로드(42)가 올라오면 자연히 로크링크(40)가 역으로 회전되고 프레임(12)의 구속을 해제하므로 도어가 개방된다. 즉, 화재시에 노약자나 어린이가 실내에서 긴급하게 피난할 때 2개의 레버를 작동하지 않고 하나의 레버만 회전시켜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다. 만일 도 5의 상태에서 실외측 개폐용 레버를 회전시키더라도 실외측 블록(45)이 래치링크(2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의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5, when the lever for the interior lock is strongly rotated, the sliding curved surface 20d of the latch link 20 pushes the sliding curved surface 42b of the operating rod 42 to push the operating rod 42 upward. This is because the indoor block 45 is rais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rod 42 is raised, the lock link 40 is naturally rotated in reverse and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frame 12 so that the door is opened. That is, when an elderly person or a child evacuates in an emergency at the time of a fire, the door can be opened by rotating only one lever without operating two levers. Even if the outdoor side opening and closing lever is rotated in the state of FIG. 5, since the outdoor block 45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latch link 20, the door lock state cannot be released.

도 6의 작동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드볼트(30)는 자동적으로 보조로크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선단이 사각이 아닌 삼각 또는 곡면 형태로 형성하여 도어를 개폐할 때 걸림이 없이 부드럽게 전후진하도록 한다. 도 6처럼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가드볼트(30)가 후진되면 상부링크(35)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고 중간링크(26)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중간링크(26)가 스프링(27)의 탄성력으로 하방 회동하면서 상부아암(26a)이 래치볼트(10)의 경로상에 들어와 전후진 운동을 구속한다. 그러므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칼이나 카드로 래치볼트(10)를 강제 후진시켜 도어를 개방하려도 폐쇄상태(보조로크 기능)가 유지된다. In the operation of Figure 6, the guard bol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auxiliary lock func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or curved shape of the front end, not square, so as to smoothly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do. When the guard bolt 30 is retra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as shown in FIG. 6, the upper link 35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nd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intermediate link 26. Accordingly, while the intermediate link 26 is rotat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7, the upper arm 26a enters the path of the latch bolt 10 to restra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refore, even when the door is closed, a closed state (auxiliary lock function)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by forcibly reversing the latch bolt 10 with a knife or a card from the outside.

반면에, 레버를 돌려 래치링크(20)를 회전시키면 하부링크(25)가 회동하여 하부링크(25)의 상부아암(25b)이 중간링크(26)의 하부아암(26b)을 밀어 올리므로 래치볼트(10)가 회전되고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다. 물론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것처럼 일단 도어가 개방되어 가드볼트(30)가 전진 상태에 있으면 상부링크(35)가 돌출핀(26a)에 간섭하며 중간링크(26)를 밀어 올리므로 보조로크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atch link 20 is rotated by turning the lever, the lower link 25 rotates so that the upper arm 25b of the lower link 25 pushes up the lower arm 26b of the intermediate link 26 to latch. The bolt 10 is rotated and the door can be opened. Of course, once the door is opened and the guard bolt 30 is in the forward state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the upper link 35 interferes with the protruding pin 26a and pushes up the intermediate link 26 so that the auxiliary lock function is performed. It doesn't work.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도어록은 래치볼트와 가드볼트를 구비하면서도 화재 등의 비상시에 하나의 레버로 개방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고, 필요에 따라 내측과 외측의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tch bolt and a guard bolt, and can be opened with one lever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chang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as necessary. Is improved.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언로크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unlocked closed state of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언로크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unlocked open state of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작동로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rod of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로크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losed state of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로크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ock opening state of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보조로크수단을 드러내어 나타내는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uxiliary lock means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래치볼트 12: 프레임10: Latch Bolt 12: Frame

20: 래치링크 22: 일편20: Latch Link 22: One Piece

25: 상부링크 30: 가드볼트25: upper link 30: guard bolt

32: 가이드 35: 하부링크32: Guide 35: Lower Link

40: 로크링크 42: 작동로드40: lock link 42: operating rod

44: 접촉자 45: 블록44: contact 45: block

46: 편심캠 47: 판스프링46: eccentric cam 47: leaf spring

Claims (4)

일측 레버로 래치볼트(10)와 가드볼트(30)를 작동하고, 타측 레버로 로크와 언로크를 수행하는 도어록에 있어서:In the door lock which operates the latch bolt 10 and the guard bolt 30 with one lever, and locks and unlocks with the other lever: 좌우 동형으로 분리되어 동축 상에 이중으로 구비되고, 상기 래치볼트(10)를 전후진하는 래치링크(20);A latch link 20 which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is provided in double on the coaxial and advances the latch bolt 10 forward and backward; 상기 타측 레버에 연결되어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볼트(10)의 전후진을 구속하는 로크링크(40);A lock link 40 connected to the other lever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restra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 bolt 10; 상기 로크링크(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하 행정단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래치링크(20)의 회전을 개별로 단속하는 조절수단; 및Adjusting means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 and down stroke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ock link (40), to individually control the rotation of each latch link (20); And 상기 가드볼트(30)가 후진 위치에 있는 동안 래치볼트(10)의 후진을 구속하는 보조로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And a secondary locking means for restraining the reverse of the latch bolt (10) while the guard bolt (30) is in the reverse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수단은 돌기(42a)와 활주곡면(42b)을 통하여 로크링크(40)와 래치링크(20)에 접촉하며 상하운동하는 작동로드(42)와, 상기 작동로드(42) 상에서 래치링크(2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이중의 블록(45)과, 상기 각각의 블록(45)의 돌출 길이를 개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편심캠(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The adjustment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lock link 40 and the latch link 20 through the projection (42a) and the sliding surface (42b)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rod 42, the latch link on the operation rod (42) The double door 45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20, and the eccentric cam 46 is installed to individually adjust the protruding length of each block 45,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 door safety lock.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작동로드(42)는 일면에 스프링(43)에 지지되는 접촉자(44)를 구비하여 상하 일측 행정단의 위치를 견실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The actuating rod 42 has a contactor 44 supported by a spring 43 on one surface to securely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one end of the double safety door loc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로크수단은 상기 가드볼트(30)의 전후진에 연동하도록 탄지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링크(35)와, 상기 상부링크(35)에 연동하여 래치볼트(10)의 전후진을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탄지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링크(26)와, 상기 래치링크(20)에 연동하여 중간링크(26)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링크(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The auxiliary lock means has an upper link (35) rotatably installed in a tangent state so as to interlock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guard bolt (30),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 bolt 10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link (35). An intermediate link 26 rotatably installed in a crimped state to restrain or release, and a lower link 25 rotatably installed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intermediate link 26 in conjunction with the latch link 20. Double door safety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KR1020070117718A 2007-11-19 2007-11-19 Dual safety door lock KR1009086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718A KR100908685B1 (en) 2007-11-19 2007-11-19 Dual safety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718A KR100908685B1 (en) 2007-11-19 2007-11-19 Dual safety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365A true KR20090051365A (en) 2009-05-22
KR100908685B1 KR100908685B1 (en) 2009-07-22

Family

ID=4085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718A KR100908685B1 (en) 2007-11-19 2007-11-19 Dual safety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6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56B1 (en) * 2016-06-15 2017-04-05 주식회사 거봉 Motise for DoorLock
KR101983498B1 (en) * 2018-04-26 2019-05-29 주식회사 라맥스 Tubular latch type doorlock double lock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075B1 (en) 2021-05-12 2021-10-28 주식회사 오케이디지털 Digital doorlock
KR102516119B1 (en) 2022-09-28 2023-03-31 주식회사 오케이디지털 Digital door lock for furni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9214A1 (en) 1996-04-16 1997-10-23 Harrow Products, Inc. Latch bolt set
KR100602758B1 (en) * 1999-05-14 2006-07-20 주식회사 유니패스 Mortise Lock Assembly
KR100387951B1 (en) * 2001-02-21 2003-06-18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Auto re-locking type mortise locking system
KR100679176B1 (en)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The one touch door l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56B1 (en) * 2016-06-15 2017-04-05 주식회사 거봉 Motise for DoorLock
KR101983498B1 (en) * 2018-04-26 2019-05-29 주식회사 라맥스 Tubular latch type doorlock double loc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685B1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8740B2 (en) Motor vehicle lock
WO2007000763A1 (en) Mortise lock
KR101868469B1 (en) Push-Pull Door Locks
AU2003281069B2 (en) Door locking mechanism
KR100908685B1 (en) Dual safety door lock
EP1990485A1 (en) Locking unit
AU2008344984B2 (en) Mortice lock with adjustable handing
HU223791B1 (en) Double-wing door, especially a fire protection door
GB222560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cks
EP2547846A1 (en)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WO2011149849A1 (en) Multiple access door lock mechanism with reversible cam actuation
KR100663944B1 (en) Up-down mechanism of sliding windows
KR102462356B1 (en) door lock for a sash
EP2171187B1 (en) Lock for reinforced doors and the like comprising a selector
CN111183265B (en) Lock with a locking mechanism
EP1662075B1 (en) Antipanic handle
KR100743426B1 (en) Door lock assembly that equip one-touch way release device
US20100288000A1 (en) Electronic lock
KR200180200Y1 (en) Latch move system for doorlock
KR20160103268A (en) A non-power type bidirectional operation mortise
EP4345234A1 (en) Assembly for security locks and relative lock
KR100530698B1 (en) Lever type door lock for automatic locking
JP4216972B2 (en) Ventilation lock device for sliding shoji
KR100539421B1 (en) Safety apparatus for slide door of vehicle
JP3955915B2 (en) Electric lock for slid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