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672A - 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672A
KR20090049672A KR1020070115859A KR20070115859A KR20090049672A KR 20090049672 A KR20090049672 A KR 20090049672A KR 1020070115859 A KR1020070115859 A KR 1020070115859A KR 20070115859 A KR20070115859 A KR 20070115859A KR 20090049672 A KR20090049672 A KR 20090049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back
picture
video data
mpeg video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02497B1 (en
Inventor
채종국
유영갑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497B1/en
Publication of KR2009004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4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모바일 컨텐츠 재생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사양의 하드웨어가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동영상에 따른 자막 표시 기능이 갖추어진 소형의 휴대용 디지털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체 자막 내용 중 특정 시점의 자막 내용을 선택하면 해당 시점으로 동영상 재생 시점을 이동하여 동영상과 자막을 화면에 출력하는 모바일 컨텐츠 재생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과 자막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자막 중 특정 시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막 내용의 재생 시점으로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하여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지며, 특히 엠펙 방식으로 인코딩된 동영상을 자막 재생 시점으로 이동시 적은 양의 내부 연산처리만으로도 동영상의 재생 위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obile content playback technology. Particularly, in a small portable digital mobile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is not equipped with high-end hardware and has a capti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 video, the user can view the caption conten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When it is sele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ntent playback technology for outputting a video and a subtitle on a screen by moving a video playback point to a corresponding point i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time point from the subtitles through a portable mobile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can simultaneously display a video and subtitles, the video playback is performed by moving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video to the playback time point of the selected subtitle contents. When moving the MPEG encoded video to the subtitle playback time, the moving position of the video can be quickly moved with only a small amount of internal processing.

엠펙, 동영상, 자막, 모바일 Mpeg, video, subtitle, mobile

Description

자막 선택에 의해 재생지점 선택이 가능한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모바일 컨텐츠 재생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사양의 하드웨어가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동영상에 따른 자막 표시 기능이 갖추어진 소형의 휴대용 디지털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체 자막 내용 중 특정 시점의 자막 내용을 선택하면 해당 시점으로 동영상 재생 시점을 이동하여 동영상과 자막을 화면에 출력하는 모바일 컨텐츠 재생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obile content playback technology. Particularly, in a small portable digital mobile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is not equipped with high-end hardware and has a capti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 video, the user can view the caption conten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When it is sele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ntent playback technology for outputting a video and a subtitle on a screen by moving a video playback point to a corresponding point in time.

현재 개인용 컴퓨터 등의 디지털 기기를 통해 미리 저장되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동영상 컨텐츠는 다양한 압축 코덱에 의해 인코딩되며, 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디코딩되어 재생된다. Currently, a technology for playing video content that is pre-stored or downloaded in a streaming manner through a digital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is widely used. The video content is encoded by various compression codecs and decoded by a playback program and played back.

또한, 미리 작성된 자막 데이터를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화면에 보여줌으로 써 모국어로 시청할 수 없는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에 가독 가능한 스크립트 형태의 자막을 통해 번역된 내용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이미 많이 쓰이고 있다.In addition, a technique for allowing a user to view the translated content through a readable scriptable subtitle in the case of video content that cannot be viewed in a native language by displaying the pre-written subtitle data together with the video data on the screen is already used.

일부 재생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자막 데이터 중 특정 시점을 선택하면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이동하는 기술이 쓰이고 있으나, 이는 개인용 컴퓨터 등 고사양의 하드웨어가 갖추어진 환경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저사양의 하드웨어와 한정된 배터리 용량의 한계 조건을 지닌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서는 일반 개인용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많은 기술적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Some playback programs use the technology to move the playback point of video content when a specific point of view is selected from the subtitle data, but this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an environment equipped with high-end hardwar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In a portable mobile device having a battery capacity limitation condition, there are many technical limitations in applying the technology implemented in a general personal computer.

예컨대, 엠펙 형식으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의 경우 디코딩 과정에서 많은 연산처리를 거쳐야 하며, 저사양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동영상을 재생하게 되면 화면이 끊기거나 영상과 음향이 싱크가 맞지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For example, video data encoded in MPEG format requires a lot of computational processing during the decoding process, and when a video is played back on a low-end personal computer, a problem occurs such that the screen is interrupted or the image and sound are out of sync.

일반적으로, 휴대용 모바일 컨텐츠에서 재생되는 엠펙 데이터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재생가능한 엠펙 데이터와는 프로파일이나 레벨을 달리하여 보다 간소화된 데이터를 사용하며, 이러한 환경에서 동영상과 자막을 표시하고 자막 선택에 의해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신속하고 지연없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기술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In general, MPEG data played on portable mobile content uses simplified data by varying profile or level from MPEG data that can be played on a personal computer. In such an environment, the MPEG data is displayed and the video is displayed by subtitle selection. In order to move the playback time quickly and without delay, there is a need to apply a new type of technology.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가능한 휴대용 소형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해 자막 중 특정 시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막 내용의 재생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하며 저사양의 하드웨어만으로도 속도에 무리없이 재생 시점 이동이 가능한 모바일 컨텐츠 재생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ntent playback technology that can play the video from the playback point of the selected subtitle content and move the playback point without difficulty even with low hardware only when a specific point of time is selected through the portable small mobile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can be moved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는, 엠펙 동영상 데이터와, 엠펙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싱크 정보가 내장된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디코딩된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자막 데이터를 재생되는 엠펙 동영상 데이터와 싱크시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자막 데이터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되면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하고,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의 I-픽쳐를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검색하여 I-픽쳐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임부터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재생 위치 선택부; 및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mobile content includes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MPEG video data and subtitle data in which sync information for MPEG video data is embedded; A decoder for decoding MPEG video data; A display unit for playing the decoded MPEG video data and synchronizing the caption data with the MPEG video data to be reproduc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the entire contents of the cap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playback position selection unit for searching for an I-picture at a close distance from the playback position in the MPEG video data and controlling the video to be played back from a frame generated by the I-picture; And a user interface configured to receive an external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 재생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자막 데이터 중 특정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의 I-픽쳐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I-픽쳐를 재생 시작 위치로 설정하여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producing mobile content, the method including displaying the entire contents of caption data stored in a memory on a screen; Receiv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setting a specific time point among caption data in response to the external control signal; Searching for a playback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ime point in the MPEG video data stored in the memory; Searching for and selecting an I-picture of a near distance from the retrieved playback position; And playing the MPEG video data by setting the I-picture as the playback start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과 자막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자막 중 특정 시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막 내용의 재생 시점으로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하여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지며, 특히 엠펙 방식으로 인코딩된 동영상을 자막 재생 시점으로 이동시 적은 양의 내부 연산처리만으로도 동영상의 재생 위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time point from the subtitles through a portable mobile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can simultaneously display a video and subtitles, the video playback is performed by moving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video to the playback time point of the selected subtitle contents. When moving the MPEG encoded video to the subtitle playback time, the moving position of the video can be quickly moved with only a small amount of internal processin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모바일 컨텐츠 재생장치(10)는 내부에 동영상 컨텐츠가 저장되어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해 시청할 수 있는 장치로서, 자막 데이터가 추가되면 동영상 컨텐츠와 자막을 동시에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The mobil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 is a device that stores video content inside and can carry and watch video content while being portable and can output video content and subtitles simultaneously on the screen when subtitle data is added.

모바일 컨텐츠 재생장치(10)는 크게 메모리(11), 디코더(12), 디스플레이 부(13), 재생 위치 선택부(1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ntent playback apparatus 10 includes a memory 11, a decoder 12, a display unit 13, a playback position selection unit 14, and a user interface unit 15.

메모리(11)에는 엠펙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자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데, 자막 데이터에는 엠펙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싱크 정보를 내장함으로써 동영상 재생시 동영상 내용과 자막이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The memory video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11. In addition, the caption data may be stored. The caption data may include sync information for MPEG video data so that the caption data does not deviate from the video content.

디코더(12)는 엠펙 형식으로 인코딩된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준다.The decoder 12 converts MPEG video data encoded in MPEG format into digital data that can be reproduced.

디스플레이부(13)는 디코더(12)를 통해 디코딩된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재생하는 동시에, 메모리(11)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를 현재 재생되는 엠펙 동영상 데이터와 싱크시켜 출력한다. 그러면, 동영상 화면이 출력되면서 화면의 일부 영역에 해당 자막이 함께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13 reproduces the MPEG video data decoded by the decoder 12 through the screen, and simultaneously outputs the subtitle data stored in the memory 11 with the MPEG video data currently being reproduced. Then, the subtitles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ubtitles on a part of the screen while the video screen is output.

재생 위치 선택부(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를 통해 사용자 키 입력 등의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외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11)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이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스크롤 방식 내지 페이지 넘김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막 데이터 내의 자막 내용을 모두 살펴볼 수 있게 구현한다.When the playback position selection unit 14 receives an external control signal such as a user key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 the display unit 13 displays the entire contents of the cap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11 in response to the external control signal. On the screen. In this case, since the entire contents of the caption data cannot be displayed on one screen, the caption data in the caption data can be viewed by the user using a scroll method or a page turning method.

또한, 재생 위치 선택부(14)는 사용자가 자막 데이터 내의 자막 내용을 살펴보고 자막 데이터 중 특정 내용을 선택하면 내부적으로는 특정 내용에 대응되는 특정 시점이 선택된다. 예컨대, 동영상 러닝 타임 중 20분 경과 시점에 표시되는 자막 내용을 선택하였다면 '20분 경과 시점'이라는 특정 시점이 선택되는 셈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looks at the caption contents in the caption data and selects specific contents from the caption data, the playback position selecting unit 14 selects a specific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ntents internally. For example, if a subtitle content displayed at 20 minutes elapses during the video running time is selected, a specific time point of 20 minutes elapsed time is selected.

그리고, 재생 위치 선택부(14)는 선택된 특정 시점에 대해서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하고,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I-픽쳐를 재생 시작시점으로 삼아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해당 I-픽쳐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임부터 재생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The playback position selection unit 14 searches for the playback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iewpoint in the MPEG video data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specific viewpoint, and searches for an I-picture that is close to the playback position. Using the retrieved I-picture as a start point of playback, the MPEG video data is controlled to start playback from a frame generated by the corresponding I-picture.

I-픽쳐를 재생 시점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P-픽쳐나 B-픽쳐에 비해 해당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복잡한 연산처리를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영상 프레임을 복구할 수 있기 때문이며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휴대용 재생장치에서 구현하기는 여러가지로 유리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후 도 2와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reason for selecting an I-picture as a playback point is that it is possible to recover an image frame on its own without using complicated computational processing to restore the image compared to a P-picture or a B-picture.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implementing.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는 사용자 키 입력 또는 스타일러스 펜, 터치스크린 등의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음으로써 모바일 컨텐츠 재생장치를 통해 동영상 재생 및 자막 선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The user interface unit 15 receives an external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user's key input or an external manipulation of a user such as a stylus pen or a touch screen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playing a video and selecting a subtitle through a mobile content player. To make it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자막을 선택하면 재생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I-픽쳐부터 재생을 시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arting playback from an I-picture closest to a playback position when a user selects a subtitle in the present invention.

엠펙 동영상 데이터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I-픽쳐와, I-픽쳐를 참조하여 프레임을 복구하는 P-픽쳐와, I-픽쳐와 P-픽쳐를 참조하여 프레임을 복구하는 B-픽쳐로 구성된다. 그리고, I-픽쳐부터 다음 I-픽쳐까지의 구간을 GOP(Group of Picture)라고 부른다. 이때, I-픽쳐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가장 근간이 되는 데이터로서 I-픽쳐 자체만으로 하나의 프레임 복구가 가능하다.MPEG video data is composed of an I-picture constituting one frame, a P-picture restoring a frame with reference to the I-picture, and a B-picture restoring a frame with reference to the I-picture and P-picture. . The section from the I-picture to the next I-picture is called a GOP (Group of Picture). In this case, the I-picture is the most basic data for generating a frame, and one frame recovery is possible only by the I-picture itself.

또한, DMB 방송에 쓰이는 엠펙 동영상 데이터는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특성 때문에 양방향 참조가 필요한 B-픽쳐가 포함되지 않으며 I-픽쳐와 P-픽쳐만으로 엠펙 데이터가 구성된다.Also, the MPEG video data used for DMB broadcasting does not include B-pictures requiring bidirectional referenc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used to provide real-time broadcasting, and MPEG data is composed of only I-pictures and P-pictures.

즉, 엠펙 동영상 데이터는 I-픽쳐, P-픽쳐, B-픽쳐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으며, 양방향을 참조하여 프레임을 만들어내는 B-픽쳐없이 I-픽쳐와 P-픽쳐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MPEG video data may include all the I-pictures, the P-pictures, and the B-pictures, or may be composed of only the I-pictures and the P-pictures without the B-pictures generating frames by referring to both direction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자막 #2'가 선택되면 내부적으로 '자막 #2'와 대응되는 동영상 데이터 상의 재생 위치를 검색하며, 도 2에서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B-픽쳐가 '자막 #2'가 표시될 때 재생되는 영상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when the 'subtitle # 2'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ime poi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layback position on the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subtitle # 2' is internally searched. In FIG. 2, the B-picture indicated by the arrow When the subtitle # 2 is displayed, it corresponds to the image being played back.

이때, 하드웨어 자원이 충분히 뒷받침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이상의 과정을 진행한다면 앞서 선택된 B-픽쳐를 재생 시점으로 선택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하지만, B-픽쳐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I-픽쳐와 P-픽쳐를 참조하여 프레임을 재생해야 하므로 자체적으로 프레임 복원이 가능한 I-픽쳐에 비해 복잡한 연산처리가 필요하다.In this case, if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in a personal computer sufficiently supported by hardware resources, it may be appropriate to select the previously selected B-picture as a playback time point. However, in order to reproduce B-pictures, frames need to be reproduced with reference to I-pictures and P-pictures, and thus, more complicated computational processing is required than I-pictures capable of reconstructing frames themselves.

하지만, 휴대용 동영상 컨텐츠 재생장치는 개인용 컴퓨터에 비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신속한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양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휴대 가능한 배터리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력 소비를 최소 화하도록 동작이 이루어져야 한다.However, the portable video content player has a limitation in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data compared to a personal computer, and also has a limitation in the amount of data required for rapid processing. In addition, since a portable battery is limited, an operation should be mad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따라서, 실제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를 검색하고, I-픽쳐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I-픽쳐를 재생하도록 설정하였다. 즉, 도 2에서는 B-픽쳐의 바로 앞의 빗금친 I-픽쳐가 선택되었으며, 사용자가 '자막 #2'를 선택하면 실제 재생 위치보다 약간 시간적으로 앞선 지점부터 동영상 재생이 시작된다. 물론, 자막 데이터도 그만큼 시간적으로 앞서 표시되므로 동영상과 자막은 여전히 싱크를 유지하며 출력된다.Therefore, an I-picture at a close distance from the actual reproduction position is searched,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pictures, the I-picture at the closest distance is set to be played back. That is, in FIG. 2, the hatched I-picture immediately before the B-picture is selected, and when the user selects 'subtitle # 2', the video playback starts from a point slightly ahead of the actual playback position. Of course, since the subtitle data is also displayed in advance in time, the video and the subtitle are still kept in sync.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자막을 선택하면 재생 위치로부터 시간상 바로 앞의 I-픽쳐부터 재생을 시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arting playback from an I-picture immediately preceding a time from a playback position when a user selects a caption. FIG.

도 2의 경우와는 달리 엠펙 동영상 데이터의 GOP가 I-픽쳐와 P-픽쳐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막 #6'을 선택하면, '자막 #6'에 대응되는 시점으로서 GOP의 중간에 있는 P-픽쳐가 선택된다.Unlike the case of FIG. 2, the GOP of MPEG video data is composed of only an I-picture and a P-picture. As shown, when the user selects 'subtitle # 6', a P-picture in the middle of the GOP is selected as a time point corresponding to 'subtitle # 6'.

이때, P-픽쳐와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는 빗금친 2개의 I-픽쳐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시간상 앞선 I-픽쳐를 시작점으로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설정하였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I-picture in close proximity to the P-picture includes two I-pictures hatched. In the example of FIG. 3, the MPEG video data is set to be played back from the I-picture earlier in tim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 재생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ntent playba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화면에 표시한다(ST10).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은 동영상 재생 중에 사용자의 키 입력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상의 세부적인 동작 과정은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entire contents of the cap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T10).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entire contents of the caption data may occur by a user's key input during video playback, and the detailed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그 다음으로 사용자의 키 조작 등에 의해 발생한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외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자막 데이터 중 특정 시점을 설정한다(ST20). 즉, 앞서 단계(ST10)를 통해 표시된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 중에서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동영상 장면의 자막 내용을 선택하면, 동영상의 러닝 타임 안에서 선택된 자막 내용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이 선택된다.Subsequently, an external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user's key operation or the like is input, and a specific point in time of the caption data is set in response to the input external control signal (ST20).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caption content of the video scene to be viewed from the entire contents of the caption data displayed through the step ST10, the playback ti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aption content is selected within the running time of the video.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된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앞서 설정된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한다(ST30). 예컨대,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어느 I-픽쳐를 참조하여 해당 시간대의 영상을 생성하는 어느 P-픽쳐인지를 찾는다.Then, the playback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point is searched for in the MPEG video data stored in the memory (ST30). For example, an I-picture is referred to in MPEG video data to find which P-picture generates an image of a corresponding time zone.

그 다음으로, 검색된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의 I-픽쳐를 검색하여 선택한다(ST40). 그리고, 선택된 I-픽쳐를 엠펙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작점으로 설정한다(ST50).Next, an I-picture at a close distance from the retrieved playback position is searched for and selected (ST40). Then, the selected I-picture is set as the playback start point of the MPEG video content (ST50).

즉, 휴대용 동영상 컨텐츠 재생장치를 통해 자막이 선택되면 실제로 재생되는 위치는 약간의 시간차가 생기게 된다. I-픽쳐를 선택하는 이유는 앞서 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픽쳐나 B-픽쳐에 비해 해당 영상을 빠르고 손쉽게 복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I-픽쳐가 선택되는 단계(ST40)에 대해서는 이후 도 6과 도 7에서 보다 세부 사항을 설명하기로 한다.In other words, when a subtitle is selected through the portable video content player, the position where the subtitle is actually played may be slightly different.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I-picture is that the image can be quickly and easily reconstructed as compared to the P-picture or the B-pictu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step ST40 in which the I-picture is sele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마지막으로, 선택된 I-픽쳐를 재생 시작 위치로 설정하여 엠펙 동영상 데이 터를 재생한다(ST60).Finally, MPEG video data is played by setting the selected I-picture as the playback start position (ST60).

도 5는 도 4에서 자막 데이터 전체 내용 표시 단계(ST10)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caption data full content display step ST10 of FIG. 4.

먼저,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면 엠펙 동영상 컨텐츠가 디코딩되어 재생된다(ST11).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the MPEG video content is decoded and played (ST11).

이때, 자막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와 함께 자막 데이터도 재생되는 내용과 싱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ST12).At this time, if the caption data is stored, the caption data is synchronized with the reproduced content together with the reproduced video content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T12).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 등에 의해 외부 제어신호 입력이 발생하면(ST13), 현재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화면에 표시한다. 즉, 현재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는 일종의 텍스트 스크립트 형태로 작성되어 있으며, 재생되는 컨텐츠의 영상 신호에 맞게 텍스트가 출력된다. 따라서, 이후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막 텍스트 내용을 화면을 보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러닝 타임 동안 표시될 자막 내용 전체를 화면상에 보여준다.When an external control signal input occurs due to a user's key input (ST13), the entire contents of the currently displayed subtitle data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the currently displayed subtitle data is written in the form of a text script, and the text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video signal of the reproduced content. Therefore, in the subsequent process, the entire subtitle content to be displayed during the running ti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subtitle text content while viewing the screen.

도 6은 도 4에서 I-픽쳐 선택 단계(ST40)에서 가장 근접거리의 I-픽쳐를 선택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ng an I-picture of the closest distance in the I-picture selection step ST40 of FIG. 4.

먼저, 검색된 재생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의 I-픽쳐를 검색한다(ST41). 예컨대, 하드웨어 동작의 효율을 위해 선택 가능한 I-픽쳐의 범위를 보다 넓게 설정해둘 수 있다.First, an I-pictu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rched playback position is searched (ST41). For example, a wider range of selectable I-pictures can be set for efficiency of hardware operation.

그리고, 검색된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ST42),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를 선택한다(ST43).When there is more than one I-picture at a close distance from the searched reproduction position (ST42), the I-picture at the closest distance is selected (ST43).

그러나, I-픽쳐가 하나인 경우라면 별도의 선별 과정은 필요없으며 검색된 I-픽쳐를 선택하게 된다(ST44).However, if there is only one I-picture, no separate selection process is required and the searched I-picture is selected (ST44).

그리고, 선택된 I-픽쳐를 재생 시작점으로 설정하는 단계(ST50)로 진행한다.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T50 of setting the selected I-picture as the playback start point.

도 7은 도 4에서 I-픽쳐 선택 단계(ST40)에서 시간상 앞선 I-픽쳐를 선택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ng an I-picture that is advanced in time in the I-picture selection step ST40 of FIG. 4.

먼저, 검색된 재생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의 I-픽쳐를 검색한다(ST41-2). 도 6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 동작의 효율을 위해 선택 가능한 I-픽쳐의 범위를 보다 넓게 설정해둘 수 있다.First, an I-pictu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rched playback position is searched (ST41-2). As mentioned in FIG. 6, a range of selectable I-pictures may be set wider for efficiency of hardware operation.

그리고, 검색된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ST42-2), 시간상 앞선 I-픽쳐를 선택한다(ST43-2). 만약, 검색 범위 내의 I-픽쳐가 3개 이상이라면 가장 앞선 I-픽쳐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When there is more than one I-picture at a distance from the searched reproduction position (ST42-2), the I-picture that is advanced in time is selected (ST43-2). If there are three or more I-pictures within the search range, it may be set to select the most advanced I-picture.

그러나, I-픽쳐가 하나인 경우라면 별도의 선별 과정은 필요없으며 검색된 I-픽쳐를 선택하게 된다(ST44-2).However, if there is only one I-picture, no separate selection process is required and the searched I-picture is selected (ST44-2).

그리고, 선택된 I-픽쳐를 재생 시작점으로 설정하는 단계(ST50)로 진행한다.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T50 of setting the selected I-picture as the playback start point.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 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자막을 선택하면 재생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I-픽쳐부터 재생을 시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starting playback from an I-picture closest to a playback position when a user selects a subtitl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자막을 선택하면 재생 위치로부터 시간상 바로 앞의 I-픽쳐부터 재생을 시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starting playback from an I-picture immediately preceding a time from a playback position when a user selects a subtitl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 재생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ntent playba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서 자막 데이터 전체 내용 표시 단계(ST10)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n operation of the caption data full content display step ST10 of FIG. 4;

도 6은 도 4에서 I-픽쳐 선택 단계(ST40)에서 가장 근접거리의 I-픽쳐를 선택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electing an I-picture of the closest distance in the I-picture selection step ST40 of FIG. 4;

도 7은 도 4에서 I-픽쳐 선택 단계(ST40)에서 시간상 앞선 I-픽쳐를 선택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ng an I-picture that is advanced in time in the I-picture selection step ST40 of FIG. 4.

Claims (7)

엠펙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엠펙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싱크 정보가 내장된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MPEG video data and subtitle data in which sync information of the MPEG video data is embedded; 상기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A decoder for decoding the MPEG video data; 상기 디코딩된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자막 데이터를 상기 재생되는 엠펙 동영상 데이터와 싱크시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for playing the decoded MPEG video data and synchronizing the caption data with the reproduced MPEG video data and outputting the same; 외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자막 데이터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되면 상기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의 I-픽쳐를 상기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검색하여 상기 I-픽쳐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임부터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재생 위치 선택부; 및In response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the entire contents of the cap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a specific time point is selected from the caption data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playback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point in the MPEG video data is performed. A playback position selection unit for searching for a position and searching for an I-picture of a close distance from the playback position in the MPEG video data and controlling the video to be played back from a frame generated by the I-picture; And 상기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the external control signal;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엘 컨텐츠 재생 장치.Mobile content playback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재생 위치 선택부는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를 시작 점으로 엠펙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The playback position selector controls the MPEG video data to be played from the closest I-picture starting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pictures in close proximity from the playback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point. Mobile content playback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재생 위치 선택부는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시간상 앞선 I-픽쳐를 시작점으로 엠펙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 재생 장치.The playback position selection unit controls the MPEG video data to be played back from the start point of tim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pictures in close proximity from the playback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point. . 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the entire contents of the cap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on the screen; 외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외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자막 데이터 중 특정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Receiv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setting a specific time point among the caption data in response to the external control signal; 메모리에 저장된 엠펙 동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Searching for a playback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point in MPEG video data stored in a memory; 상기 검색된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의 I-픽쳐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Searching for and selecting an I-picture of a near distance from the searched playback position; And 상기 I-픽쳐를 재생 시작 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엠펙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Playing the MPEG video data by setting the I-picture as a playback start posi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컨텐츠 재생 방법.Mobile content playback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자막 데이터 전체 내용 표시 단계는 엠펙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엠펙 동영상 데이터에 싱크된 자막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엠펙 동영상 데이터 재생 중 외부 제어신호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컨텐츠 재생 방법.The displaying of the entire subtitle data content may include displaying on the screen MPEG video data and subtitle data synchronized to the MPEG video data; and when an external control signal is input during playback of MPEG video data, the entire subtitle data stored in the memory. Mobile content playback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screen.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I-픽쳐 선택 단계는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 재생 방법.The selecting of the I-picture may include selecting an I-picture that is closest to each oth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pictures that are close to each other from the playback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iew point. How to play.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I-픽쳐 선택 단계는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는 I-픽쳐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시간상 앞선 I-픽쳐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 재생 방법.And selecting the I-picture in advanc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pictures in close proximity from the playback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point.
KR1020070115859A 2007-11-14 2007-11-14 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9024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59A KR100902497B1 (en) 2007-11-14 2007-11-14 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59A KR100902497B1 (en) 2007-11-14 2007-11-14 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672A true KR20090049672A (en) 2009-05-19
KR100902497B1 KR100902497B1 (en) 2009-06-15

Family

ID=4085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859A KR100902497B1 (en) 2007-11-14 2007-11-14 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4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077A1 (en) * 2018-09-11 202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659B1 (en) 2009-10-30 201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ratus and method for syncronizing moving picture contents and e-book contents and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115B1 (en) * 2002-11-01 2006-03-30 김광수 Method of creating caption-based search information and repeating a section using the created search information, and an apparatus using the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077A1 (en) * 2018-09-11 202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497B1 (en)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9069B2 (en) Video record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775176B1 (en) Thumbnail recording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deo data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78305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edition of moving picture data
JP6266109B2 (en) Movie scre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3195284B2 (en) Moving image playback control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KR20070026118A (en) Information playback system using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H08214264A (en)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encoded data
CN103686411A (en) Method for playing video and multimedia device
KR10132333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iscontinuous AV data
KR100902497B1 (en) Mobile contents playing device with play point selection function by selecting script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6221750A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KR200800821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ext-based subtitle
JP2002354406A (en) Dynamic image reproducing equipment
KR101230746B1 (en) Method for generating synchronized image data for synchronous outputting music data and for play synchronous output
JP2006086612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0718385B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video files
JP2008278237A (en) Video playback device, video playbacking method and video playback program
JP6742515B2 (en) CODED VIDEO REPRODUCTION DEVICE AND CODED VIDEO REPRODUCTION METHOD
US2010020907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JP201315706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9094966A (en) Reproducing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reproduction control program
JP4539884B2 (en) Reproducing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ctronic screen
US201502551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nd displaying recorded video content
JP2008277930A (en) Moving pictur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KR20060109571A (en) Apparatus for recording broadcast and method for searching program executable in th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