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599A - 홈 셀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홈 셀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599A
KR20090047599A KR1020070113513A KR20070113513A KR20090047599A KR 20090047599 A KR20090047599 A KR 20090047599A KR 1020070113513 A KR1020070113513 A KR 1020070113513A KR 20070113513 A KR20070113513 A KR 20070113513A KR 20090047599 A KR20090047599 A KR 2009004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information
home cell
portable terminal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944B1 (ko
Inventor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9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로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속한 공용셀로 핸드오버(Handover)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주변에 존재한다고 알리는 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대한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설치에 따라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홈 셀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상위 네트워크와, 상기 상위 네트워크로부터 홈 셀 측정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을 측정함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홈 셀, 개인네트워크 셀, 핸드오버, 셀 측정, Measurement, 전력 소모

Description

홈 셀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ELL MEASUREMENT IN HOME CELL/PRIVATE CONNECTED MODE U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을 적용할 때 공용셀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의 홈 셀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로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속한 공용셀로 핸드오버(Handover)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주변에 존재한다고 알리는 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대한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 시스템은 유럽식 이동통신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을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사용하는 제3 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현재 UMTS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UMTS 시스템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상기 LTE는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논의 중에 있다.
도 1은 차세대(Evolved) UMTS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 ; Evolved UMTS Radio Access Network)(110)는 차세대 기지국(eNB ; evolved Node B)(120, 122, 124, 126, 128)과 상위 노드(anchor node)(130, 132)의 2 노드 구조로 단순화된다. 휴대용 단말기(UE ; User Equipment)(101)은 E-UTRAN(110)에 의해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로 접속한다. eNB(120 내지 128)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비(Node B)에 대응되며, UE(101)와 무선 채널로 연결된다. 기존 노드 B와 달리 상기 eNB(120 내지 128)는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20 내지 128)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또한, eNB에서는 단말기의 채널상태에 맞추어 변조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코딩율(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변조코딩(Adaptive Modulation&Coding, 이하 ‘AMC’라 한다)을 수행하며, UMTS의 HSDPA(High Speed Downl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E-DCH: Enhanced Dedicated Channel라고도 부름)처럼 LTE에서도 eNB(120내지 128)와 UE(101) 사이에 HARQ(Hybrid ARQ)가 수행되며, HARQ 만으로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의 요구(Requirement)를 충족할 수 없으므로, 상위계층에서의 별도의(Outer) ARQ가 단말기(101)와 eNB(120 내지 128)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HARQ란,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를 폐기하지 않고, 재전송된 데이터와 소프트 컴바이닝함으로써, 수신 성공률을 높이는 기법이다.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DCH(Enhanced Dedicated Channel) 등 고속 패킷 통신에서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최대 100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는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셀/개인네트워크 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공용셀(201),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203), 휴대용 단말기(211)가 액세스 가능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205)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211)는 자신이 액세스 가능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205)의 위치를 알지 못해 지속적으로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을 탐지하기 위한 셀 측정(measurement)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셀 측정 과정은 휴대용 단말기(211)의 전력소모를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203)이 공용셀(201)이 배치된 주파수대역과는 별도의 주파수대역에 배치되면 주파수간 셀 측정 과정이 발생하여 기지국-단말 간의 시그널링, 기지국의 scheduling overhead 등이 발생하여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205)을 이용하는 단말이 많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성능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203)이 공용셀(201)이 배치된 주파수대역에 혼재되어 배치되면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203)을 탐지하기 위한 주파수내 셀 측정 과정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 측정시 발생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 측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셀 측정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위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은 인접 셀의 정보를 이용하여 셀 측정 과정 수행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설치에 따라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홈 셀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상위 네트워크와, 상기 상위 네트워크로부터 홈 셀 측정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설치에 따라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과,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로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홈 셀 측정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홈 셀 측정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을 탐색하라는 정보를 제공받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인접 셀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자신의 인접 셀임을 판단한 후,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을 측정함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로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속한 공용셀로 핸드오버(Handover)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주변에 존재한다고 알리는 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대한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설치되고 해당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등록할 때 해당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주변의 공용셀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알려주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공용셀에서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면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주변의 공용셀 영역으로 자신이 진입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진입했을 경우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대한 측정을 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주변의 공용셀 들을 거리에 따라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의 인접 셀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measurement) 시점 즉,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대한 셀 측정을 수행하는 시점은 공용셀(301)의 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311)는 공용셀(301)에서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303)로 진입할 때 셀 측정 과정과 핸드오버 과정을 적절한 시기에 수행하지 않 을 경우, 호 단절(call drop)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311)는 자신이 속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303)의 주변 공용셀(301)의 반경이 클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311)가 억세스할 수 있는 셀(303)이 속한 공용셀에 진입했을 경우에만 셀 측정을 수행하여도 정상적인 셀 측정 과정과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311) 자신이 속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의 주변 공용셀(301)의 반경이 작을 경우에는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303)이 속한 공용셀 외의 다른 공용셀에서부터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정상적인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공용셀(301)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한 것을 상기 공용셀(301)의 인접 셀이라고 정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로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401), 핸드오버 메시지 처리부(403) 및 통신부(40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401)는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대하여 홈 셀 사용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401)는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할 경우,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할 인접 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인접 셀로부터 홈 셀 측정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핸드오버 메시지 처리부(403)는 상기 제어부(401)의 제어를 받아 핸드오버 과정에 따른 핸드오버 메시지를 인접 셀로 전송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통신부(405)는 상기 홈 셀 측정 과정 및 핸드오버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과정은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510)과 핸드오버 과정(530)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501),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의 인접 셀(adjacent cell)(507), 상기 인접 셀외의 주변 공용셀(505), 상위 네트워크(50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위 네트워크(509)는 해당 통신망의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상위 네트워크는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을 적용하는 방식 및 망의 특성에 따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501)는 최초로 홈 셀 사용 등록 과정(512)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홈 셀 사용 등록 과정 후,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은 상기 상위 네트워크(509)로 상기 홈 셀 사용 등록 과정에 따른 정 보(예 ; 홈 셀 정보, 홈 셀에 접속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 등)를 전송(514)한다.
상기 정보를 제공받은 상위 네트워크(509)는 상기 정보를 저장(516)한 후, 상기 해당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속한 공용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가 접속할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의 인접 셀(adjacent cell)들을 선택한다. 이후, 상기 상위 네트워크(509)는 상기 선택한 인접 셀들(507)로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로 접속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518)한다.
상기 상위 네트워크(509)로부터 휴대용 단말기(501)의 정보를 제공받은 인접 셀들(507)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520)함으로써, 상기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51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510)은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이나 휴대용 단말기(501) 또는 통신 망의 설정 등이 변경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핸드오버 과정(530)을 수행할 경우, 상기 인접 셀(507)로 휴대용 단말기(501)의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정보를 제공받은 인접 셀(507)은 기 저장하고 있는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로 접속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로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가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로 접속이 가능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인접 셀(507)은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 측정(measurement) 정보를 전달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가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로 접속이 가능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인접 셀(507)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 측정 정보를 전달(542)할 것이다.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503) 측정 정보를 제공받은 휴대용 단말기(501)는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550)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로부터 handover confirm message를 제공(536)받을 때 해당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measurement control message에 해당 정보를 같이 제공(542)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handover request message(534)를 제공받을 때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handover request ack 정보와 handover command에 보내는 방법과 measurement control message외의 다른 message를 통해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정보는 1 bit를 사용하여 on/off 정보만 표시할 수도 있고, 2 bit 이상을 사용하여 주변 공용셀들의 영역(class)을 여러 개로 나눌 경우 해당 영역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상기 인접 셀로부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정보를 수신할 경우에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을 시작함에 따라 시스템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601),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603),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의 인접 셀(adjacent cell)(607), 상기 인접 셀외의 주변 공용셀(605), 상위 네트워크(60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위 네트워크(609)는 serving gateway를 포함한 넓은 의미의 network entity들을 의미한다.
먼저,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603)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601)는 최초로 홈 셀 사용 등록 과정(610)을 수행한다. 상기 홈 셀 사용 등록 과정(610)은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의 홈 셀 사용 등록 과정(612) 후,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603)은 상기 상위 네트워크(609)로 상기 홈 셀 사용 등록 과정에 따른 정보(예 ; 홈 셀 정보, 홈 셀에 접속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 인접 셀 정보 등)를 전송(614)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는 상기 인접 셀(607)로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인접 셀(607)은 상기 상위 네트워크(609)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의 핸드오버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handover complete message)를 전송(626)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인접 셀(607)은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위 네트워크로 요청(626)하는 것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의 정보를 요청받은 상위 네트워크(609)는 기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및 인접 셀의 정보를 handover complete ack message를 통해 인접 셀(607)로 제공(628)한다.
상기 인접 셀(607)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601)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measurement) 정보를 전달(630)하고,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정보를 제공받은 휴대용 단말기(601)는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640)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은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은 한번 설치되면 위치적으로 고정되며, 공용망의 경우에도 안정화된 이후에는 기지국의 위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이 설치될 때 해당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의 인접 셀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최초로 홈 셀 사용 등록을 할 때 이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알려주어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대한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먼저,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은 한번 설치(710)될 경우,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703)은 상위 네트워크(705)로 최초 홈 셀 설정 과정에 사용한 홈 셀 정보를 전달(712)한다. 상기 홈 셀 정보를 제공받은 상기 상위 네트워크(705)는 인접 셀을 결정(714)한 후,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703)로 상기 결정한 인접 셀의 정보를 제공(716)하며,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703)은 상기 제공받은 인접 셀의 정보를 저장(718)한다. 상기 홈 셀 사용자 등록 후, 이동통신 망의 설정 변경에 따라 인접 셀의 정보가 변경될 경우, configuration update message 등을 통해 바뀐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는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사용자 등록을 수행(720)할 경우, 상기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703)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로 상기 사용자 등록에 대한 응답을 제공(722)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등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인접 셀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는 상기 응답에 포함된 인접 셀의 정보를 저장(724)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701)가 억세스 가능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접속할 경우, 또는 핸드 오버 과정을 수행할 경우, 인접 셀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에 대한 측정 과정의 수행 유무를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차세대(Evolved) UMTS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셀/개인네트워크 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주변의 공용셀 들을 거리에 따라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의 인접 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로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 셀/개인네트워크 셀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4)

  1.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설치에 따라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홈 셀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상위 네트워크와,
    상기 상위 네트워크로부터 홈 셀 측정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네트워크는,
    상기 홈 셀 정보,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및 인접 셀의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네트워크는,
    기 등록된 상기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한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홈 셀 측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홈 셀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네트워크는,
    상기 인접 셀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여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네트워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최초로 홈 셀 사용 등록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한 인접 셀 정보 요청이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인접 셀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한 인접 셀 정보 요청은,
    핸드오버 요청,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 셀 측정 정보는,
    상기 홈 셀 측정 수행 유무를 나타내는 1bit 정보 또는 상기 홈 셀 측정 수행 유무와 인접 셀의 정보를 나타내는 2bit의 정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설치에 따라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과,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로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홈 셀 측정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홈 셀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홈 셀 측정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은,
    상기 홈 셀 정보, 상기 홈 셀 및 개인네트워크 셀의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및 인접 셀의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 셀 측정 과정은,
    기 등록된 상기 홈 셀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한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홈 셀 측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홈 셀 측정 정보를 제공하여 수행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 셀 측정 과정은,
    기 저장된 상기 인접 셀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홈 셀 측정 유무를 판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셀의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최초로 홈 셀 사용 등록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한 인접 셀 정보 요청이 발생할 경우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한 인접 셀 정보 요청은,
    핸드오버 요청,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홈 셀 측정 정보는,
    상기 홈 셀 측정 수행 유무를 나타내는 1bit 정보 또는 상기 홈 셀 측정 수행 유무와 인접 셀의 정보를 나타내는 2bit의 정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113513A 2007-11-08 2007-11-08 홈 셀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 장치 및방법 KR101406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513A KR101406944B1 (ko) 2007-11-08 2007-11-08 홈 셀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513A KR101406944B1 (ko) 2007-11-08 2007-11-08 홈 셀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599A true KR20090047599A (ko) 2009-05-13
KR101406944B1 KR101406944B1 (ko) 2014-06-12

Family

ID=4085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513A KR101406944B1 (ko) 2007-11-08 2007-11-08 홈 셀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9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2123B1 (fi) * 1994-04-15 1998-10-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olukkotyypp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 sekä menetelmä handoverin suorittamiseksi mikrosolun ja makrosolun välillä
FI103171B (fi) * 1996-02-20 1999-04-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solunvaihtopäätöksen tekemiseksi matkaviestinj ärjestelmässä
KR20100119714A (ko) * 2009-05-01 2010-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팸토셀 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944B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6382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由基站执行的数据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
US10257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network and distributing traffic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environment
FI126278B (fi) Tapahtumaliipaisin aikataulutusinformaatiota varten langattomissa viestintäverkoissa
JP546233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ホームセル又は個人ネットワークにセル選択を遂行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020350B1 (ko) 무선이동통신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지원/사용하는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안
KR10204137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내 무선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027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ink adaptation
US20090253470A1 (en) Control of user equipment discontinuous reception setting via mac lcid
US83399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home cell/private network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5721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2603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단말기의 이동상태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Saxena et al. Novel framework for proactive handover with seamless multimedia over WLANs
KR2007007307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인터-프리퀀시 측정 지원 방법
CN116326111A (zh) 一种小数据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
KR101406944B1 (ko) 홈 셀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셀 측정 장치 및방법
WO2022037321A1 (zh) 一种编码速率调整方法及相关设备
KR10141993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의 갭을 이용한 메저먼트 방법 및장치
KR20090108377A (ko) CDMA2000 1xEV-DO 시스템에서의 파일롯비콘을 이용한 하드 핸드오프 지연 최소화 알고리즘을트리거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12650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시 지연 최소화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9001629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방법
KR2007010756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