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429A -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429A
KR20090047429A KR1020090033748A KR20090033748A KR20090047429A KR 20090047429 A KR20090047429 A KR 20090047429A KR 1020090033748 A KR1020090033748 A KR 1020090033748A KR 20090033748 A KR20090033748 A KR 20090033748A KR 20090047429 A KR20090047429 A KR 2009004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attern
detection sensor
remote control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피아
Priority to KR102009003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7429A/ko
Publication of KR2009004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대위치 검출기능을 가진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는 리모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마찰 저항이 작고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의 타원통과; 상기 타원통을 감싸며, 마찰 저항이 작고 유연하며 내마모성이 높은 테프론이나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지며, X 패턴(XP)과 Y 패턴(YP)이 인쇄된 스킨과; 상기 스킨의 X 패턴(XP)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 X 패턴 검출센서와; 상기 스킨의 Y 패턴(YP)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 Y 패턴 검출센서와; 상기 스킨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 및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된 이동량 검출 센서와; 상기 X, Y 패턴 검출센서와 이동량 검출 센서를 통해 검출된 스킨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와 리모콘의 키에 대한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는 기존의 리모콘의 크기나 두께, 또는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적은 비용으로 PC의 마우스 기능과 같은 기능을 가정용 기기에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메뉴 선택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킨의 이동을 광학적인 방법으로 검출하므로, 기존의 손끝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터치패드나 광학 핑거 마우스 방식에 비해 세밀한 포인팅 제어가 가능해 질 수 있다.
리모콘, 마우스, 포인팅, 스킨, 타원통, 절대좌표

Description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MOUSE TYPE POINTING DEVICE FOR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대위치 검출기능을 가진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remote control: 이하 "리모콘"이라 칭함)는 송신기에 키보드 및 적외선 LED가 구비되고, 수신기에 적외선 센서 및 마이컴이 구비되어, 송신기의 키에 대한 입력 정보가 적외선 신호로 변환되어 수신기에 전달되고, 이 신호를 수신기의 마이컴이 처리하여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향후 막대한 보급이 예상되는 IPTV, 쌍방향 CATV, VOD System, 고기능 셋톱박스에서는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콘텐츠의 선택에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아이콘 형태의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기기를 기존의 리모컨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X/Y 방향키(상하/좌우 이동 방 향키)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메뉴의 수가 많아질수록 조작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이 수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의 IPTV 리모콘은, 리모콘의 상부에 트랙볼을 두고 마우스와 동일한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X/Y 공간 선택의 편의를 높여주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광학 마우스의 광학계를 거꾸로 설치한 형태의 광학 핑거 마우스를 리모콘 상부에 설치하거나 터치패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먼거리의 포인팅(커서 이동)을 위해서는 여러번의 터치 조작을 필요로 하는데, 빈번하게 포인팅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IPTV 등의 응용분야에서는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가속도 센서를 리모콘에 내장시키고, 사용자가 리모콘을 움직일때 발생하는 가속도값을 적분하여 위치 정보로 변환하거나,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에 따른 각도의 변화를 검출하여 공간상의 리모콘 움직임을 검출하고 추종하고자 하는 공간 리모콘 방식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사용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기에, 최근에는 IPTV 리모콘에서 기존의 트랙볼의 직경을 키우거나, 터치패드의 면적을 키우거나, 광학 핑거 마우스의 크기를 키우는 방식을 제한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도 반복 터치 조작의 회수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트랙볼의 직경을 키울 경우에는 리모콘의 두께와 무게가 증가하고, 터치패드나 광학 핑거 마우스의 크기를 키울 경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터치패드나 광학 핑거 마우스의 경우 손끝으로 포인팅 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정확도와 세밀함이 기존의 광마우스와 비교할 때 매우 떨 어지게 된다. 덧붙여, 공간 리모콘 방식은 아직까지 가격 구조나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상기 언급한 트랙볼이나 터치패드, 광학 핑거 마우스 방식을 대체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리모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원통 또는 이 원통을 일정량 압착시킨 형태의 타원통(이하, 타원통 이라고 칭함)을 설치하고, 이 타원통을 얇고 유연하며 미끄러운 성질을 갖는 스킨(예를 들어, 테프론 피복 또는 실리콘 피복)으로 둘러싼다. 이 스킨은 타원통을 감싸며 회전(X 방향 움직임)할 수 있고, 직선 슬라이딩 움직임(Y 방향 움직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는 기존의 트랙볼이나 광학 핑거 마우스에서와 같이 상대적인 움직임을 검출하는 방식은 사용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광학 센서 및 스킨에 특정한 패턴을 인쇄하고 이를 검출하는 광학식 패턴 검출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스킨의 절대 위치를 순시적으로(instantaneously) 검출하는 새로운 방법이 함께 제시된다.
본 발명은 리모콘을 사용하여 기기를 조작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데, 특히 IPTV, 쌍방향 CATV, VOD System, 고기능 셋톱박스,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등 메뉴의 이동 및 선택에 의해 조작되는 기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리모콘 의 주어진 크기 범위 내에서 최대로 포인팅 면적을 확보하고 스킨의 중심의 이동에 따른 절대위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는 리모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마찰 저항이 작고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의 타원통과; 상기 타원통을 감싸며, 마찰 저항이 작고 유연하며 내마모성이 높은 테프론이나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지며, X 패턴(XP)과 Y 패턴(YP)이 인쇄된 스킨과; 상기 스킨의 X 패턴(XP)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 X 패턴 검출센서와; 상기 스킨의 Y 패턴(YP)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 Y 패턴 검출센서와; 상기 스킨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 및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된 이동량 검출 센서와; 상기 X, Y 패턴 검출센서와 이동량 검출 센서를 통해 검출된 스킨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와 리모콘의 키에 대한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X 패턴 검출센서 및 Y 패턴 검출센서는 스킨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타원통의 양쪽 중앙 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상기 적외선 LED에서 투사되는 빛이 상기 스킨을 투과하여 상기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량 검출 센서는 상기 타원통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LED에서 투사되는 빛이 상기 스킨에서 반사되어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는 기존의 리모콘의 크기나 두께, 또는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적은 비용으로 PC의 마우스 기능과 같은 기능을 가정용 기기에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메뉴 선택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는 스킨의 이동을 광학적인 방법으로 검출하므로, 기존의 손끝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터치패드나 광학 핑거 마우스 방식에 비해 세밀한 포인팅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는 리모콘에 고정되어 있는 타원형의 통 주위에서 스킨만 미끄러지는 방식이므로, 진동에 의해 원하지 않는 포인팅 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의 트랙볼에 비해 진동에 훨씬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의 타원통과 스킨의 형태 도시도이며, 도 2는 타원통과 스킨이 리모콘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타원통의 밑면에서 관찰된 센서의 배치도이며, 도 4는 타원통의 선단에서 관찰된 센서의 배치도이며, 도 5는 스킨을 펼쳤을 때의 인쇄 패턴 모양 도시도이며, 도 6은 스킨을 접합했을 때의 인쇄 패턴 모양 도시도이며, 도 7은 센서의 구성도이며, 도 8은 굵기와 간격이 서로 다른 패턴이 인쇄된 스킨 도시도이며, 도 9는 비트코드가 인쇄된 스킨 도시도이며, 도 10은 스프링 및 스위치가 하부에 장착된 지지대 도시도이며, 도 11은 스킨의 중심에 돌기를 설치된 형태 도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말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X, Y 방향 움직임을 지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존의 트랙볼이나 광학 핑거 마우스를 대체하여, 타원통(100)과 스킨(101)이 구비된다.
즉, 리모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원통 또는 이 원통을 일정량 압착시킨 형태의 타원통(100)이 설치되는데, 상기 타원통(100)은 양 선단의 지지대(102)를 통해 리모콘(21)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기존의 트랙볼이나 터치패드를 조작하듯이 스킨(101)의 표면을 조작하면 타원통(100)은 고정된 상태에서 스킨(101)이 타원통(100)의 주위를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타원통(100)은 반드시 타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리모콘(21)의 두께가 허용된다면 원통형도 무방하며 두께에 제약이 크다면 얇은 사각판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타원통(100)이라 칭한다. 타원통(100)의 소재는 마찰 저항이 작고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타원통(100)을 얇고 유연한 피복 소재의 스킨(101)이 도 1과 같이 둘러싸게 되는데, 이 스킨(101)은 타원통(10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X 방향) 및 슬라이딩 직선 운동(Y 방향)을 하게 된다. 스킨(101)은 마찰 저항이 작고 유연하며 내마모성이 높은 테프론이나 실리콘 소재의 쉬트를 가공하여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스킨을 조작할 때 사용자는 마치 초대형 트랙볼을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느낌을 얻는다.
스킨(101)에 의해 둘러싸인 타원통(100)은 양선단의 지지대(102)를 통해 도 2 와 같이 리모콘(21)에 고정된다. 즉, 타원통(100)의 양쪽 선단을 리모콘(21)에 고정하여 스킨(101)이 자유롭게 회전하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며, 타원통(100)의 상부 면이 밖으로 드러나도록 한다. 설치된 외관만 보면 노트북에 사용되는 터치패드와 유사하며, 그 조작감은 트랙볼과 흡사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스킨(101)의 X, Y 평면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된다. 기존의 트랙볼과 같이 움직임의 제약이 없는 포인팅 장치에서는, 바로 직전의 트랙 볼 위치와 현재의 트랙볼 위치 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이 차이만큼 현재의 커서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대 위치 결정 방법이 사용된다. 터치패드나 광학식 핑거 마우스에서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킨(10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방향(X 방향)으로는 스킨(101)의 무한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슬라이딩 방향(Y 방향)으로는 타원통(100)의 길이만큼의 제한적인 움직임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기존의 경우와 같이 상대 위치 결정 방법을 사용할 경우,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화면상의 전체 영역을 포인팅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도 3 에서와 같이 3 종류의 검출 센서들, 즉 이동량 검출센서(201), X 패턴 검출센서(202) 및 Y 패턴 검출 센서(203)가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량 검출 센서(201)는 기존의 광학 핑거 마우스나 마우스 패드식 광마우스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초소형 적외선 카메라(이 초소형 적외선 카메라는 기존의 광 마우스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저가의 카메라임)를 내장하고 직전에 촬영된 영상과 현재의 영상을 비교하여 촬영 대상물의 X, Y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센서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통(10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량 검출 센서(201)는 적외선 LED(301)에서 투사되는 빛이 스킨(101)에서 반사되어 초소형 적외선 카메라(302)에서 촬영하도록 되어 있는데, 통상 1초에 수백 번의 촬영을 통해 움직임 벡터를 산출함으로써, 스킨(101)의 미세한 이동도 검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스킨(101)의 타원통(100) 상에서의 절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X 패턴 검출 센서(202)와 Y 패턴 검출 센서(203)가 구비되는데 그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LED(304, 305)와 적외선 다이오드(303, 306)로 구성되는데, 이 적외선 LED(304, 305)와 적외선 다이오드(303, 306)는 스킨(10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통(100)의 양쪽 중앙 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상기의 X, Y 패턴 검출 센서(202, 203)와 이동량 검출센서(201)를 통상 검출기(103, 도 12 참조)라고 통칭하는데, 본 발명의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에 사용된 검출기(103)는 스킨(101)의 위치를 순시적으로(instantaneously) 검출해내므로 사전 영점조절(zero calibration)의 과정이 필요 없고,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검출기(103)의 전원을 차단해 놓더라도 패턴이 검출되는 즉시 스킨(101)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어서, 전원 소모가 중요한 성능 요소 중 하나인 리모콘 응용에 적합하다.
한편 스킨(101)의 표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101)을 펼쳤을 때의 전체 면적을 양분하여 X 패턴(XP)과 Y 패턴(YP)이 인쇄되어 있는데, 이렇게 패턴이 인쇄된 스킨(101)의 양 끝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한 후에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통(100)에 조립하면, 스킨(101)의 중심(CP)이 타원통(100)의 상면부에서 이동하는 한 X 패턴은 X 패턴 검출센서(202)에서 Y 패턴은 Y 패턴 검출센서(203)에서만 감지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턴의 상호 간섭에 의한 검출 오류를 없앨 수 있다.
X 패턴과 Y 패턴은 스킨(101)의 중심(CP)이 타원통(100) 상의 어느 위치에 놓여있는가에 대한 위치정보, 즉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므로, 각각의 X, Y 패턴은 구분 가능한 특징을 가져야 한다. 즉, 각 패턴의 굵기와 각 패턴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도록 하여, 패턴의 굵기와 간격을 측정하였을 때 이를 사전에 기록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순시적으로(과거의 정보 없이)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패턴의 굵기 및 간격과,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 위치 간의 상관관계를 검색 테이블 형식으로 보관하고 있어서, 패턴의 굵기와 간격을 정확하게 알 수만 있다면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 위치를 즉시 읽어낼 수 있게 된다. 문제는 패턴의 굵기와 간격을 어떻게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느냐 인데, 상기 X, Y 패턴 검출센서(202, 203)로는 패턴의 굵기 및 간격에 대한 시간정보만을 알 수 있으므로, 스킨(101)의 움직임 속도가 매번 달라지는 본 응용 분야에서는 굵기와 간격에 대한 치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의 이동량 검출 센서(201)가 사용된다. 이동량 검출 센서(201)는 통상 촬영 대상 물체의 상대적인 이동량을 1초에 수백 번의 회수로 매우 세밀하게 측정하므로, 상기 X, Y 패턴 검출센서(202, 203)에 의해 패턴이 검출되는 시간 동안 이동량 검출 센서(201)에 의해 측정된 이동량 값을 누적함으로써 패턴의 굵기에 대한 치수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패턴과 패턴 간의 간격에 대해서도 같은 원리로 치수 측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패턴의 굵기와 간격에 대한 치수가 측정이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치수 정보를 토대로 검색 테이블을 읽어 서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 위치에 대한 값을 알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X 패턴 검출센서(202), Y 패턴 검출센서(203)와 이동량 검출 센서(201)로 이루어지는 검출기(103)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식대로 현재 감지되는 X 패턴과 Y 패턴에 대한 굵기나 간격에 대한 치수 정보를 알게 되면, 실제 관심 대상인 스킨(101)의 중심(CP)의 위치는 검색테이블에서 순시적으로 읽어내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8에서 와 같이 패턴의 에지(edge)마다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 위치를 읽어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X 패턴과 Y 패턴은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간격이 세밀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만 가지고는 스킨(101)의 중심(CP)의 위치를 세밀하게 추적할 수 없다. 따라서 스킨(101)의 중심(CP)의 위치 이동에 대한 세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패턴의 에지가 검출될 때에는 검색 테이블에서 읽어낸 절대 위치 정보를 사용하고, 패턴의 에지와 에지 사이에서는 이동량 검출 센서에서 측정한 스킨(101)의 움직임 벡터 정보를 누적하여 상기의 절대 위치 정보와 합산한 값을 사용하여 스킨(101) 중심(CP)의 위치를 추적한다.
즉, X 패턴과 Y 패턴으로부터 절대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8과 같이 굵기와 간격이 서로 다른 패턴을 스킨(101)에 인쇄하고, 이 굵기와 간격을 측정하는 방법.
(1) 이동량 검출 센서(201)를 읽은 값을 mv 라 하고
(2) 이동량 검출 센서(201)의 값을 계속 누적해서 읽는다.
MV=MV + mv
(3) 패턴 검출센서를 읽는다
-패턴의 상승 에지가 검출되면
GAP_WIDTH = MV, MV = 0
GAP_WIDTH을 색인(index)으로 하여 GAP 테이블을 읽음 -->절대위치 검출.
- 패턴의 하강 에지가 검출되면
PATTERN_WIDTH = MV, MV = 0
PATTERN_WIDTH를 색인으로 PATTERN 테이블을 읽음 -->절대위치 검출.
이렇게 해서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위치가 검출되면 이 절대위치를 화면상의 좌표로 매핑(mapping)을 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스킨(101)의 중심(CP)이 리모콘(21)의 좌상귀 선단에 있다면 화면상의 커서도 좌상귀 선단에 위치해야 하며 스킨(101)의 중심(CP)이 리모콘(21)의 우하귀 선단에 있다면 화면상의 커서도 우하귀 선단에 위치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매핑 과정은 스킨(101)의 중심(CP)의 절대위치 값, 즉 스킨(101)의 중심(CP)의 X, Y 좌표에 대해 미리 정해진 상수값 K 를 곱하고 이를 화면 좌표로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 상수값 K는 화면을 제어하는 시스템과 모니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덧붙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101)에 비트코드를 인쇄하고 이 코드값을 읽어내는 방법도 있는데, 이런한 방법을 이용하면, 통상 4 비트코드 사용시에 16개의 절대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2)의 하부에 스프링(1001)과 스위치(1002)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타원통(100) 전체를 누를 때 선택스위치로서 작동하도록 하여, 이 선택스위치에 의해 키(104)에 대한 정보가 선택된다.
또한,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101)의 중심(CP)의 위치에 돌기(204)를 두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돌기(204)를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돌기(204)는 초소형 마우스처럼 느껴지고, 리모콘 창에 드러난 타원통(100)의 상부가 마우스 패드의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 블록도를 참조하면, X 패턴 검출센서(202), Y 패턴 검출센서(203)와 이동량 검출 센서(201)로 이루어지는 검출기(103)에 의해 검출된 스킨(101)의 X 패턴, Y 패턴 및 이동량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가 타원통(100) 전체를 누를 시에 선택된 키(104)에 대한 입력정보가 마이크로프로세서(105)로 전송되어 처리되고, 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5)에 처리된 X 패턴, Y 패턴 및 이동량에 대한 정보와, 선택된 키(104)에 대한 입력정보가 송신부(106)를 통해 본체 수신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되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해서, 상기 언급한 기존의 리모콘용 포인팅 장치들이 반복적인 터치 조작을 통해 원거리 커서 이동이 가능한데 반해, 스킨(101)에서 손을 뗄 필요 없이 전체 영역으로 커서 이동이 가능해지며, 스킨(101)의 중심(CP)에 반구형의 돌기를 설치하여 이를 손가락으로 잡고 사용할 경우에, 마우스 패드 상에서 초소형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느낌과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는 기존의 트랙볼이나 터치패드, 광학 핑거마우스에서와 같이 상대적인 이동량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고, 스킨(101)의 회전 및 슬라이딩 양을 검출하는 검출기(103)에 의해, 스킨(101)의 절대적인 이동량을 검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의 타원통과 스킨의 형태 도시도.
도 2는 타원통과 스킨이 리모콘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타원통의 밑면에서 관찰된 센서의 배치도.
도 4는 타원통의 선단에서 관찰된 센서의 배치도.
도 5는 스킨을 펼쳤을 때의 인쇄 패턴 모양 도시도.
도 6은 스킨을 접합했을 때의 인쇄 패턴 모양 도시도.
도 7은 센서의 구성도.
도 8은 굵기와 간격이 서로 다른 패턴이 인쇄된 스킨 도시도.
도 9는 비트코드가 인쇄된 스킨 도시도.
도 10은 스프링 및 스위치가 하부에 장착된 지지대 도시도.
도 11은 스킨의 중심에 돌기를 설치된 형태 도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전체 블록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100: 타원통
101: 스킨 102: 지지대
103: 검출기 104: 키
105: 마이크로프로세서 106: 송신부
201: 이동량 검출센서 202: X 패턴 검출센서
203: Y 패턴 검출센서 204: 돌기
301, 303, 306: 적외선 LED 302: 초소형 적외선 카메라
303, 306: 적외선 다이오드

Claims (4)

  1. 리모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마찰 저항이 작고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의 타원통과;
    상기 타원통을 감싸며, 마찰 저항이 작고 유연하며 내마모성이 높은 테프론이나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지며, X 패턴(XP)과 Y 패턴(YP)이 인쇄된 스킨과;
    상기 스킨의 X 패턴(XP)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 X 패턴 검출센서와;
    상기 스킨의 Y 패턴(YP)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 Y 패턴 검출센서와;
    상기 스킨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 및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된 이동량 검출 센서와;
    상기 X, Y 패턴 검출센서와 이동량 검출 센서를 통해 검출된 스킨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와 리모콘 키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 패턴 검출센서 및 Y 패턴 검출센서는 스킨을 사이 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타원통의 양쪽 중앙 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상기 적외선 LED에서 투사되는 빛이 상기 스킨을 투과하여 상기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검출 센서는 상기 타원통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LED에서 투사되는 빛이 상기 스킨에서 반사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4. 리모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마찰 저항이 작고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의 타원통과;
    상기 타원통을 감싸며, 마찰 저항이 작고 유연하며 내마모성이 높은 테프론이나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지며, X 패턴(XP)과 Y 패턴(YP)이 인쇄된 스킨과;
    상기 스킨의 중심에 위치되는 돌기와;
    상기 스킨의 X 패턴(XP)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 X 패턴 검출센서와;
    상기 스킨의 Y 패턴(YP)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된 Y 패턴 검출센서와;
    상기 스킨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 및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된 이동량 검출 센서 및;
    상기 X, Y 패턴 검출센서와 이동량 검출 센서를 통해 검출된 스킨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와 리모콘 키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KR1020090033748A 2009-04-17 2009-04-17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KR20090047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748A KR20090047429A (ko) 2009-04-17 2009-04-17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748A KR20090047429A (ko) 2009-04-17 2009-04-17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429A true KR20090047429A (ko) 2009-05-12

Family

ID=4085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748A KR20090047429A (ko) 2009-04-17 2009-04-17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74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7892B2 (en) Optical sensing mechanisms for input devices
EP3265895B1 (en) Embedded grasp sens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6985138B2 (en) Input writing device
US7737959B2 (en) Position detection system using laser speckle
KR100465969B1 (ko) 손가락 표면을 이용한 소형 포인팅 장치
KR101234111B1 (ko)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방법
US8730169B2 (en) Hybrid pointing device
US7081883B2 (en) Low-profile multi-channel input device
US20050219355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KR20060017512A (ko) 다기능 플로팅 버튼
US8581847B2 (en) Hybrid pointing device
US20030132914A1 (en) Integrated computer mouse and pad pointing device
US20120026091A1 (en) Pen-type mouse
US20110063212A1 (en) Apparatus for Input of Control Signals for Moving an Object
KR101211808B1 (ko) 동작인식장치 및 동작인식방법
KR101341577B1 (ko) 방향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KR20090047429A (ko) 리모콘용 마우스형 포인팅 장치
KR101588021B1 (ko) 헤드 마우스
WO2022230753A1 (ja) 座標出力装置、ペン型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KR100898427B1 (ko) 마우스 장치
US11481049B2 (en) Divots for enhanced interaction with styluses
JP4366246B2 (ja) 情報入力装置
US20110141019A1 (en) Input device multi-direction control processing method
EP1614022A1 (en) Pointing device
US20120013532A1 (en) Hybrid po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