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394A - Button for clothes - Google Patents

Button for clot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394A
KR20090047394A KR1020087029255A KR20087029255A KR20090047394A KR 20090047394 A KR20090047394 A KR 20090047394A KR 1020087029255 A KR1020087029255 A KR 1020087029255A KR 20087029255 A KR20087029255 A KR 20087029255A KR 20090047394 A KR20090047394 A KR 2009004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groove
clothes
garment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카후미 쿠리타
아츠시 후카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네도비지네스홧숀프란닝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네도비지네스홧숀프란닝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네도비지네스홧숀프란닝구
Publication of KR2009004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3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0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attached by thread visible to the fro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2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attached by thread not visible to the front
    • A44B1/24Eye-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기계 달기에 의해 의복에 부착했을 경우에도, 버튼 본체가 비스듬히 기울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의복에 대하여 견고하게 부착해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버튼 본체(11)와, 버튼 본체(11)의 바닥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링 모양으로 돌출된 다리부(12)를 구비하고, 다리부(12)는 의복(2)에 부착하는 실(23)을 휘감기 위한 홈(17)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홈(17)은 적어도 선단을 향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23)의 매듭 부분이 홈(17)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Figure 112008082323718-PCT00003

의복용 버튼, 드로잉 성형, 수작업 달기, 기계 달기

Even when the garment is attached to the garment by machine attachment, the button body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at an angle, and the garment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garment. A button body 11 and a leg portion 12 protruding in a ring shape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body 11, the leg portion 12 being a thread 23 attached to the garment 2; The grooves 17 are formed to wind the grooves, and the grooves 17 ar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31 such that the gaps between the grooves 17 become narrower at least toward the tip. As a result, the knotted portion of the thread 23 is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groove 17.

Figure 112008082323718-PCT00003

Clothing Buttons, Drawing Molding, Hand-Made, Machine Run

Description

의복용 버튼{BUTTON FOR CLOTHES}Clothing button {BUTTON FOR CLOTHES}

본 발명은 의복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의복용 버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for clothes to be used in clothes and the like.

버튼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링 모양으로 돌출된 다리부를 구비하는 의복용 버튼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용 버튼은 생크 버튼(shank button) 등으로 호칭되는 것으로서, 금속판을 드로잉 성형함으로써, 평판상의 버튼 본체에 대하여 다리부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있다. BACKGROUND ART A garment button having a leg portion projecting downward in a ring shap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body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The button for clothes which has such a shape is called a shank button etc., and the leg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respect to a flat button body by drawing-molding a metal plate.

이 의복용 버튼(6)은,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 본체(6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다리부(62)에서 실(63)을 휘감기게 함으로써 의복(7)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이 실(63)을 휘감기게 하는 경우에는, 다리부(62)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 구멍(64)에 실(63)을 2∼3회 통과시키고, 뿌리감기(감아 내리기)를 행하고, 최후에 뿌리 조임을 행함으로써, 매듭을 만든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a), the garment button 6 is wound by the yarn 63 being wound around the leg portion 62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body 61. (7) is attached. In general, in the case where the thread 63 is wound, the thread 63 is passed through the button hole 64 formed in the leg portion 2 to 3 times, and the roots are wound (rolled down). Finally, by tightening the roots, knots are made.

이 의복용 버튼 의복으로의 부착을, 수작업 달기로 행하는 경우에는, 뿌리 조임의 단계에서 작업원의 힘으로 단단하게 잡아당기거나, 끌어당길 수 있기 때문에, 버튼과 천이 단단하게 접지하여 알맞게 되지만, 생산성이 낮고, 부착 시간이 길어져,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나아가서는 수율도 악화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이 수작업 달기에 의한 버튼의 부착은, 기계 달기의 경우와 비해 실질적으로 약 20% 정도의 수율밖에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작업원 사이에서도 버튼의 부착 방법이나 뿌리죄기 작업에 차가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 바로 그것을 일률적으로 컨트롤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attaching to the button-button garment by hand, the button and the cloth can be firmly grounded and fit properly, because it can be pulled or pulled by the worker's power in the step of tightening the root. This low, the adhesion time is long, the production cost rises, and the yield also deteriorates. For this reas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ttachment of the buttons by manual attaching only yielded a yield of about 20% substantially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mechanical attaching.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button and the rooting work among the worke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control the quality of the product.

이 때문에, 특히 최근에 있어서, 이 버튼의 의복으로의 부착은 미싱 등의 기계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버튼을 기계 달기로 행하는 방법에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화시킬 수 있으며, 저비용인데다 제품의 품질의 격차를 없애고 일률적으로 할 수 있으며, 게다가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For this reason, especially in recent years, it is common to attach this button to clothing using a machine such as a sewing machine. In the method of attaching a button to a machin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work time can be shortened, the cost can be reduced, the product quality can be eliminated, and the yield can be improved.

특허문헌 1: 일본 실원 소56-91938호(일본 실개 소57-203811호)의 마이크로 필름 Patent Document 1: Micro Film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56-9193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57-203811)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Task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렇지만, 버튼을 기계 달기할 때는, 뿌리죄기의 단계에서 작업원의 힘으로 단단하게 잡아당기는 공정이 없으므로, 특히 다리부와 실의 매듭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 12에 도시하는 예로 설명하면, 의복용 버튼(6)을 의복(7)에 부착해도, 실(63)의 매듭이 다리부(62) 위를 미끄러져 버리게 되어, 예를 들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 본체(61)가 비스듬히 기울어버린다. 매듭이 느슨하기 때문에, 가령 기계 달기 시에 있어서, 매듭이 다리부(6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부착해도, 그 후의 버튼의 사용에 의해 이 매듭이 서서히 다리부(62)의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벗어나 버려, 최종적으로 버튼 본체(61)가 비스듬히 기울어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복(7)의 전체도에 있어서의 버튼(6)의 상세는, 도 13(b)(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기울어진 의복용 버튼(6)이 눈에 띄게 되어, 모양새가 대단히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버튼에 형상이나 모양 등의 장식물을 부착하는, 소위 장식 버튼으로서 구성하는 경우에, 버튼 본체(61)가 무거워져서 바로 기울어져 버려, 기대한 장식의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However, when the button is mechanically attached, there is no process of firmly pulling on the force of the worker at the stage of rooting, and in particular, the knot of the leg and the thread cannot be firmly fixed. For this reas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even if the button 6 for clothes is attached to the clothes 7, even if the knot of thread 63 will slide on the leg part 6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B, the button body 61 is inclined at an angle. Since the knot is loose, for example, when attaching the knot so that the kno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eg portion 62, the knot gradually moves from the center of the leg portion 62 to the end portion by the use of a subsequent button. Finally, the button body 61 tilts at an angle. 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a), the details of the button 6 in the overall view of the garment 7 are as shown in FIG. 13 (b) (c). The inclined garment button 6 is conspicuou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becomes very ba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orming as a so-called decorative button that attaches a decoration such as a shape or a shape to the button, the button main body 61 becomes heavy and immediately inclines, so that the expected decoration effect cannot be obtained.

또, 실(63)의 매듭(66)이 다리부(62)의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벗어남으로써, 실(63)이 다리부(62)에 대하여 마찰로 소모되고, 최종적으로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63)이 끊어져 의복용 버튼(6)이 의복(7)으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의복용 버튼을 의복에 부착한 후에는 직립해 있어도, 그 후의 다수회에 걸친 버튼의 사용을 통해 서서히 직립성이 손상되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장기에 걸쳐 직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버튼이 부착된 의복에 대한 요망이 특히 최근에 높아지고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knot 66 of the thread 63 is displaced from the center of the leg portion 62 to the end portion, the thread 63 is consumed by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leg portion 62, and finally,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thread 63 was broken and the button 6 for clothes easily fell off the clothes 7. In addition, even if the garment button is upright after being attached to the garment, the uprightness may be gradually impaired through the subsequent use of the button many times. For this reason, the demand for the garment with a button which can maintain an erectity over a long term has been particularly high in recent years.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회에 걸쳐 의복용 버튼이 사용된 경우에도, 의복용 버튼의 직립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의복용 버튼 및 의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n,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problem, Comprising: Even if a garment button is used for many times, it is providing the garment button and garment which can maintain the uprightness of a garment button for a long tim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task)

본 발명자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리부에 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에 실을 휘감고 의복에 부착함으로써, 실의 매듭 부분이 홈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한 의복용 버튼 및 의복을 발명했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garment button which provided the structure which prevents a knot part of a thread from slipping out of a groove by forming a groove in a leg part, winding a thread in this groove, and attaching it to a garment And clothing.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은 버튼 본체와, 버튼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링 모양으로 돌출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의복에 부착하는 실을 휘감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홈은 적어도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피차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mprises a button body and a leg portion projecting downward in a ring shap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body, wherein the leg portion is formed with a groove for winding the thread attached to the garment,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uch that the gap between the grooves is narrowed toward at least the tip.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은, 버튼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링 모양으로 돌출된 다리부에, 의복에 부착하는 실을 휘감기 위한 홈을 형성시키고 있다. The garment butt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 winding a thread attached to the garment in a leg port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body.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용 버튼에 대하여, 홈에 실을 휘감아서 의복에 부착함으로써, 실의 매듭 부분이 홈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지 않게 되고, 게다가 당해 실의 매듭 부분이 다리부 위를 미끄러져서 그 단부까지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의복용 버튼에서의 버튼 본체가 비스듬히 기울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의복의 천에 대하여 직립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By attaching the thread to the garment and attaching it to the garment with respect to the button for clothe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knot portion of the thread does not slip out of the groove, and the knot portion of the thread slides over the leg portion to the end thereof. You can prevent it from falling off.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body in the button for clothes from tilting at an angle, and to fix it in the state which stood up with respect to the cloth of clothes.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의복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의복용 버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s a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the garment button used by being attached to a garment etc. is demonstrat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의 배면도를, 도 1(b)는 이 의복용 버튼(1)의 측면도를, 또한 도 1(c)는 이 의복용 버튼(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Fig. 1 (a) is a rear view of the button 1 for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b) is a side view of the button 1 for clothes, and Fig. 1 (c) is a button for clothes ( The perspective view of 1) is shown.

의복용 버튼(1)은 버튼 본체(11)와, 버튼 본체(11)의 바닥면(11a)에 대하여 하방으로 링 모양으로 돌출된 다리부(12)를 구비하고 있다. The garment button 1 is provided with the button main body 11 and the leg part 12 which protruded in the ring shap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1a of the button main body 11.

이 버튼 본체(11) 및 다리부(12)는 금속판을 드로잉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수지로 일체 성형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금속, 수지 이외에,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The button main body 11 and the leg part 1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drawing-molding a metal plate, and may be comprised as what integrally molded with resin mutually. Moreover, it may be comprised from what kind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and resin.

다리부(12)의 형상은 링 모양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어떠한 수의 각부로 이루어지는 다각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반타원 또는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이 다리부(12)는 실을 삽입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에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The shape of the leg part 12 may be comprised in what kind of shape as long as it is ring shape, may be made into the polygonal shape which consists of a certain number of corner parts, and may be semi-ellipse or semi-circle shape. Moreover, you may be comprised in U shape. In other words, the leg 12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a ring for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the thread is inserted is formed.

즉, 이 다리부(12)는 약 90°로 절곡되는 각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러한 각부를 없애고 곡률을 갖게 하여 서서히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곡률을 갖게 하여 절곡되는 경우에, 그 곡률 반경은 어떠한 크기이어도 된다. That is, the leg part 12 may be formed with the leg part bent at about 90 degrees, and may be bent gradually, making this curvature remove and giving it curvature. In the case of bending while having a curvature, the radius of curvature may be any size.

다리부(12)의 양단부는 버튼 본체(11)의 바닥면(11a)을 향하여 하측에서 깊숙히 들어가는 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다리부(12)의 중앙부분(21)은 대략 수평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가령 다리부(12)의 형상을 반타원 또는 반원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중앙부분(21)도 마찬가지로 하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된다. 또 다리부(12)는 평판을 링 모양으로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Both ends of the leg part 12 are a type which deeply enters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bottom surface 11a of the button main body 11. In contrast, the central portion 21 of the leg portion 12 extends substanti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leg part 12 is made into the semi-ellipse or semi-circle shape, this center part 21 will also be bent so that it may become convex downward. Moreover, although the leg part 12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curved the flat plate in ring shape, it is not limited to this, You may be comprised in what kind of cross-sectional shape.

또, 다리부(12)의 내측에는 버튼 구멍(14)이 존재하게 된다. 이 버튼 구멍(14)의 형상에 대해서도,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어떠한 수의 각부로 이루어지는 다각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되며 반타원 또는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버튼 구멍(14)의 사이즈는 미싱 등의 기계 달기에 있어서의 규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며, φ1.5mm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12)의 중앙부분(21)은, 도 1(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12a), 상면(12b), 측면(12c), 측면(12d)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In addition, the button hole 14 is present inside the leg portion 12. Also about the shape of this button hole 14, it may be comprised by what kind of shape, may be made into the polygonal shape which consists of a certain number of corner parts, and may be semi-ellipse or semi-circle shape. The size of the button hole 14 is determined based on a standard for attaching machines such as sewing machines, and is preferably φ1.5 mm or more. The center part 21 of the leg part 12 is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12a, the top surface 12b, the side surface 12c, and the side surface 12d, as shown to FIG. 1 (a) (b). have.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에서는, 바닥면(12a), 상면(12b), 측면(12c), 측면(12d)의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서 홈(17)을 형성시킨다. In the button 1 for clothes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ed, the groove 17 is formed in any one or more of the bottom surface 12a, the top surface 12b, the side surface 12c, and the side surface 12d.

도 1의 예에서는,다리부(12)의 중앙부분(21)에 있어서의 양측면(측면(12c), 측면(12d))에 있어서 각각 홈(17)을 형성시키고 있다. 도 2는 이 홈(17)의 확대 구성도이다. 홈(17)은 적어도 선단(32)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31)은, 도 2(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미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 홈(17)의 선단(32)은, 도 2(a),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둥글게 되어 있어도 되고, 도 2(b),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뽀족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In the example of FIG. 1, the groove | channel 17 is formed in the both side surface (side surface 12c, side surface 12d) in the center part 21 of the leg part 12, respectively. 2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roove 17. The grooves 17 ar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31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narrows toward at least the tip 32. Although this inclined surface 31 may be comprised in plane as shown to FIG. 2 (a), (b),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to FIG. 2 (c), (d) It may be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having a slight curvature. The tip 32 of the groove 17 may be round as shown in Figs. 2A and 2C, and as shown in Figs. It may be done.

즉, 이 홈(17)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내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선단을 향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경사면(31)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That is, the shape of this groove | channel 17 may be comprised in what kind of shape as long as it has the inclined surface 31 as shown by the solid line shown in FIG.

도 3은 이 홈(17)을 깊이 방향으로 끝이 뾰족하게 된 단면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단면 대략 오각 형상의 홈(17)에서도 마찬가지로 경사면(31)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된다.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groove 17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pentagonal shape in cross section with a sharp tip in the depth direction. Since the groove 17 of the substantially pentagon-shaped cross section has the inclined surface 31 similarly, it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idea.

덧붙여서, 이 홈(17)의 형상은, 적어도 선단을 향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경사면(31)를 갖는 것이면, 단면 대략 n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n은 3 이상의 정수). In addition, as long as the shape of this groove | channel 17 has the inclined surface 31 which mutually narrows space | interval as it goes to the front end, you may be comprised by substantially n square shape of cross section (n is an integer of 3 or more). .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용 버튼(1)을 의복(2)에 부착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 이 의복용 버튼(1)을 의복(2)에 부착할 때는, 홈(17)에 실(23)을 휘감기게 함으로써 행한다. 일반적으로 이 실(23)을 휘감기게 하는 경우에는, 다리부(12)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 구멍(14)에 실(23)을 2∼3회, 또는 그 이상에 걸쳐서 삽입통과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에서는, 다리부(12)의 중앙부분(21)에서 각각 홈(17)을 미리 형성시키고 있기 때문에, 실(23)을 버튼 구멍(14)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실(23)을 홈(17)에 휘감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홈(17) 내에 실(23)이 돌려 감긴 상태로 된 후에, 뿌리감음(감아내리기)가 행해지고, 최후에 뿌리 조임이 행해지게 된다. FIG. 4 shows a case where the button 1 for clothe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ttached to the clothes 2. When the button 1 for clothes is actually attached to the clothes 2, it is performed by winding the thread 23 in the groove 17. As shown in FIG. In general, in the case where the thread 23 is wound, the thread 23 is inserted through the button hole 14 formed in the leg portion 12 two or three times or more times. At this time, in the button 1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ince the grooves 17 are formed in advance in the center portion 21 of the leg portion 12, the seal 23 is formed in the button hole 14. By inserting through, the seal 23 can be wound around the groove 17. As a result, after the thread 23 turns to the wound state in the groove 17, rooting (winding) is performed, and root tightening is performed last.

이렇게 하여 의복(2)에 부착된 의복용 버튼(1)은 실(23)이 홈(17)에 돌려감긴 상태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실(23)의 매듭 부분이 홈(17)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실(23)의 매듭 부분이 홈(17)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지 않게 되고, 게다가 당해 실(23)의 매듭 부분이 다리부(62) 위를 미끄러져 그 단부까지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의복용 버튼(1)에서의 버튼 본체(11)가 비스듬히 기울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의복(2)의 천에 대하여 직립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garment button 1 attached to the garment 2 is in a state where the thread 23 is wound around the groove 17. In other words, the knot part of this thread 23 is in the state which is located in the groove 17. For this reason, the knot part of the thread 23 does not escape from the groove 17, and furthermore, the knot part of the thread 23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over the leg portion 62 and falling out to the end thereof. hav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main body 11 in the garment button 1 from tilting at an angle, and to fix in the state which stood up with respect to the cloth of the garment 2.

가령, 이 의복용 버튼(1)을 기계 달기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실의 매듭 강도가 수작업 달기의 경우에 비해 느슨한 경우에 있어서도, 홈(17)의 존재에 의해, 이 실(23)의 매듭 부분이 홈(17)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button 1 for clothes is performed by machine attaching, even when the knot strength of the thread is loose compared with the case of manual attaching, the presence of the groove 17 causes the The knot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groove 17.

또한 의복용 버튼(1)을 부착한 후, 그 후의 버튼의 사용에 의해, 의복용 버튼(1)에 대하여 인장력, 회전력이 부하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힘이 가해져도, 본 발명에서는, 실(23)을 홈(17)에 휘감기게 하여 돌려 감고, 이것을 고정해 둠으로써, 홈(17)으로부터의 실(23)의 매듭 부분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한번 의복(2)에 대하여 부착되어 버리면, 그 후의 사용에 의해서도 비스듬히 기울어 버리지 않게 되어, 의복(2)의 천에 대하여 항상 직립시켜 놓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fter the button 1 for clothes is attached, the tension and rotational force are loaded with respect to the button 1 for clothes by use of the button after that. However, even if such a force is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ad 23 is wound around the groove 17 to be wound up, and the thread 23 is fixed so that the knot portion of the thread 23 from the groove 17 is pulled out. Can be prevent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once attached to the garment 2, it does not tilt at an angle even after its use, and it is also possible to always stand up against the cloth of the garment 2.

의복(2)에 대하여, 모두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으로 구성함으로써, 의복(2) 전체로 보았을 때에도, 직립시킨 상태에 있는 의복용 버튼(1)에 의해, 모양새가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의복용 버튼(1)에 대하여, 형상이나 모양 등으로 장식한 장식물을 부착함으로써, 소위 장식 버튼으로서 구성하는 경우에, 버튼 본체(11)가 무거워져도 비스듬하게 기울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대한 장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ith respect to the garment 2, all of the garment buttons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ve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garment 2 becomes worse due to the garment button 1 in the upright state even when viewed from the entire garment 2.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In particular, by adhering a decoration decorated in a shape, a shape, or the like to the button 1 for clothes, when it is configured as a so-called decorative butt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main body 11 from tilting obliquely even if it is heavy. You can get the effect of a decoration.

또,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에서는, 실(23)의 매듭이 다리부(12)의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실(23)을 다리부(12)에 대하여 마찰로 소모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실(23)이 끊어져 의복용 버튼(1)이 의복(2)으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장시간의 사용에 대해서도 의복(2)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utton 1 for clothes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ed, since the knot of the thread 23 does not deviate from the center of the leg part 12 to the edge part, the thread 23 is consumed by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leg part 12. Will not be. For this reason,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is thread 23 from being cut off and the button 1 for clothes falling off from the clothes 2.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intained in a firmly adhered state without falling from the garment 2 even for long time us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홈(17)에 대하여, 적어도 선단(32)을 향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홈(17)에 실(23)을 휘감을 때는, 이 경사면(31)을 통하여 당해 실(23)이 홈(17)의 선단을 향하여 안내되어 오게 된다. 그 결과, 실(23)에 의한 홈(17)으로의 조이는 힘을 홈(17)의 선단을 중심으로 하여 집중시킬 수 있어, 버튼의 경시적인 사용에 수반되는 실(23)의 느슨함의 증가, 나아가서는 직립성의 결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홈(17)에 끝이 뾰족한 부분을 형성시켜, 경사면(31)을 따라 횡으로 넓혀지도록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23)의 홈(17)로부터의 일탈 방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quired that the inclined surface 31 such that the gap between each of the grooves 17 is at least narrowed toward the tip 32 is formed. When the yarn 23 is wound around the groove 17, the yarn 23 is guided toward the tip of the groove 17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31. As a result, the tightening force to the groove 17 by the thread 23 can be centered around the tip of the groove 17, so that the looseness of the thread 23 accompanying the use of the button over time, Furthermore,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lack of uprightness. Moreover, by forming the pointed part in the groove | channel 17 and spreading it horizontally along the inclined surface 31, the deviation prevention property from the groove | channel 17 of the seal 23 can be improved. do.

또한, 홈(17)에서는, 예를 들면, 도 2(b),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17)의 선단을 뾰족하게 해 둠으로써, 경사면(31)을 통하여 당해 선단으로 안내되어 온 실(23)의 조이는 힘을, 선단부를 중심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버튼의 직립성을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groove 17,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B and 2D, the tip of the groove 17 is pointed to guide the tip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31 to the tip. The tightening force of the thread 23, which has been used, can be centered around the distal end portion, and it becomes possible to stably exhibit the uprightness of the butto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또, 본 발명은 버튼을 기계 달기로 의복(2)에 장착할 때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기계 달기로 버튼을 부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저비용이고 게다가 제품의 품질의 격차를 없애 일률적으로 할 수 있고, 게다가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기계 달기할 때에 문제가 되었던 버튼의 기울어짐을 해소하여, 직립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율을 향상시키면서, 수작업 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확실히 직립시킴으로써 외관도 좋게 할 수 있어, 상승적으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 effect when the button is attached to the garment 2 by attaching a machine. By attaching a button with a machine attachment,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it is low cost, and it can make the uniformity by eliminating the gap of product quality, and can also improve the yield.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inclination of the button which became a problem at the time of machine attachment can be eliminated, and it can hold | maintain in an upright state. For this reason, while improving yield, it can make a good appearance by reliably standing up similarly to the case of manual attachment, and can obtain a synergistically big effect.

덧붙여서, 버튼을 직립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홈(17)에 대한 실(23)의 감기 회수는, 다리부(12)의 단면 형상이나 폭, 판 두께, 홈(17)의 형상,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해 가게 된다. 반대로 이 홈(17)의 형상이나 사이즈가 미리 결정된 실(23)의 감기 회수에 기초하여 미리 조정되어 있어도 된다. Incidentally, in order to keep the button upright,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seal 23 relative to the groove 17 is based on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width of the leg 12, the plate thickness, the shape and size of the groove 17. The decision is made. Conversely, the shape and size of this groove 17 may be adjusted in advance based o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windings of the yarn 23.

도 4(a), (b), (c)는 의복용 버튼(1)의 다른 구성예로서의 의복용 버튼(1')을 도시하고 있다. 이 의복용 버튼(1')에서 상기한 도 1의 구성예와 동일한 요소,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기 설명을 인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하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FIG.4 (a), (b), (c) has shown the garment button 1 'as another example of a structure of the garment button 1. As shown in FIG. In the garment button 1 ', the same elements and members as those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of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o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mitted.

이 의복용 버튼(1')에서는, 다리부(12)의 중앙 부분(21)에서의 상면(12b)에서 홈(17)을 형성시키고 있다. 즉, 홈(17)은 중앙부분(21)의 양측면(12c, 12d)과 아울러, 또한 상면(12b)의 3면에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실(23)을 휘감기게 할 때, 이 3면에 형성된 홈(17) 내에 실(23)을 돌려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의복용 버튼(1)과 같이 2면에 형성된 홈(17) 내에 실(23)을 돌려 감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23)의 매듭 부분은 보다 안정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홈(17)으로부터의 빠져나감을 보다 견고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의복용 버튼(1')은 의복(2)에 대하여 보다 안정한 상태로 직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garment button 1 ', the groove | channel 17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2b in the center part 21 of the leg part 1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groove 17 is formed at the three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12b as well as on both side surfaces 12c and 12d of the central portion 21. As a result, when the yarn 23 is wound, the yarn 23 can be wound in the groove 17 formed on these three surfaces, so that the groove 17 formed on two surfaces like the button 1 for clothes is woun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read 23 is wound inside, the knot portion of the thread 23 can be fixed in a more stable state, and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prevent the escape from the groove 17. As a result, the button 1 'for clothes can be made upright with respect to the clothes 2 in a more stable stat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리부(12)의 중앙부분(21)에 홈(17)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17)의 대체로서 돌기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즉, 다리부(12)의 중앙부분(21)에 적어도 2개의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이 돌기 사이에 실을 휘감아서 돌려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홈(17)을 설치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groove | channel 17 wa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21 of the leg part 12 was demonstrated a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A protrusion is provided as a substitute of the groove | channel 17. You may do so. That is, by providing at least two projections in the central portion 21 of the leg portion 12, the thread can be wound around the projections and wound, so that almost the same effects as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grooves 17 can be obtained. Because you can expect.

또한, 이 의복용 버튼의 각 형상을, 도 6∼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A-1∼A-4, B-1∼B-5, C-1∼C-3, D-1∼D-4로 분류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9, each shape of this garment button is A-1-A-4, B-1-B-5, C-1-C-3, D-1-D Classified as -4.

도 6(a), (b), 도 7(a), (b), (c), 도 8(a), 도 9(a)에 도시되는 도면에서는 A-1∼D-4에서 규정하는 곳의 부위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c), 도 7(d), 도 8(b), 도 9(b)는 버튼의 각 부위의 형상을 열거한 것이다. 6 (a), (b), 7 (a), (b), (c), 8 (a) and 9 (a) in the drawings shown in A-1 to D-4. The part of place is shown by the dotted line. 6 (c), 7 (d), 8 (b) and 9 (b) enumerate the shape of each part of the button.

도 6(a)에 대응하는 A-1은 버튼 구멍(14)의 형상의 예를 열거하고 있다. 도 6(b)에 대응하는 A-2∼A-4는 상면(12b)에 형성되는 홈(17) 또는 돌기의 예를 열거하고 있다. 도 7(a)에 대응하는 B-1은 다리부(12)의 외형의 예를 열거하고 있다. 또, 도 7(b)에 대응하는 B-2∼B-4는 바닥면(12a)에 형성되는 홈(17) 또는 돌기의 예를 열거하고 있다. 도 7(c)에 대응하는 B-5는 바닥면(12a) 또는 상면(12b)에 형성되는 홈(17) 또는 돌기의 정면에서 본 형상을 열거하고 있다. 도 8(a)에 대응하는 C-1∼C-4는, 측면(12c)에 형성되는 홈(17) 또는 돌기의 예를 열거하고 있다. 도 9(a)에 대응하는 D-1∼D-4는 측면(12d)에 형성되는 홈(17) 또는 돌기의 예를 열거하고 있다. A-1 corresponding to FIG. 6 (a) lists examples of the shape of the button hole 14. A-2 to A-4 corresponding to FIG. 6B list examples of the grooves 17 or the project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b. B-1 corresponding to FIG. 7 (a) lists examples of the appearance of the leg portion 12. In addition, B-2 to B-4 corresponding to FIG. 7B list examples of the grooves 17 or the project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a. B-5 corresponding to FIG.7 (c) lists the shape seen from the front of the groove | channel 17 or protrusion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2a or the upper surface 12b. C-1 to C-4 corresponding to Fig. 8A enumerate examples of the grooves 17 or the projections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c. D-1 to D-4 corresponding to Fig. 9A enumerate examples of the grooves 17 or the projections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d.

A-1과 B-1에 의해 다리부(12)의 형상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에, 이 A-1과 B-1로부터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정하는 것은 필수가 된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A-2∼A-4, B-2∼B-4, C-1∼C-4, D-1∼D-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이 선정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A-2∼A-4, B-2∼B-4, C-1∼C-4, D-1∼D-4로부터 하나씩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다리부(12)의 바닥면(12a), 상면(12b), 측면(12c, 12d) 모두에서 반드시 홈(17)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되게 된다. Since the shape of the leg part 12 is formed by A-1 and B-1, it is essential to select either structure from this A-1 and B-1.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structure of any one or more of A-2-A-4, B-2-B-4, C-1-C-4, and D-1-D-4 is selected. In other words, by adopting a configuration from A-2 to A-4, B-2 to B-4, C-1 to C-4, and D-1 to D-4,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12 (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by which either the groove | channel 17 or the protrusion is provided in all of 12a), the upper surface 12b, and the side surfaces 12c, 12d.

덧붙여서 A-4, B-4, C-4, D-4는 홈(17)의 양측에 돌기를 설치한 예이다. 이것에 의해, 실(23)의 매듭 부분을 이 홈(17) 내에 묶어 두면, 홈(17)과 아울러, 또한 돌기에 의해 실(23)의 매듭 부분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cidentally, A-4, B-4, C-4, and D-4 are examples in which protrus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17. Thereby, when the knot part of the thread 23 is tied in this groove 17, slippage of the knot part of the thread 23 can be prevented by the protrusion as well as the groove 17,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

(실시예 1)(Example 1)

상기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실험적 검토를 행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을 상기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천에 부착했다. 비교예로서, 의복용 버튼(1)과 동일한 버튼 본체(11)로 이루어지고, 또한, 홈(17)이 설 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품에 대하여, 각각 기계 달기, 수작업 달기로 천에 부착했다. In order to confirm the said effect, the experimental examination demonstrated below was done. The garment button 1 to which this invention was applied was attached to the cloth based on the above process. As a comparative example, a conventional article made of the same button main body 11 as the button 1 for clothes and not provided with the groove 17 was attached to the fabric by mechanical or manual attachment, respectively.

다음에, 이들 버튼에 대하여, 각각 반전 비틀기 시험과, 상하 수직 인장 시험을 행했다. 반전 비틀기 시험에서는, 버튼을 부착한 천의 전후에 각각 60gf의 하중을 가하여 천을 잡아당기면서, 매분 약 200회의 속도로 버튼을 180° 비틀었다. 이 반전 비틀기 시험은, 하나의 버튼에 대하여 10000회 행했다. 또, 상하 수직 인장 시험에서는, 아치 모양 다리부에 120gf의 하중을 가하고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이러한 아치 모양 다리부에 상향이 훅을 걸고, 400gf의 하중이 가해질 때까지 상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 상하 수직 인장 시험은 하나의 버튼에 대하여 100회 행했다. Next, these buttons were subjected to an inversion twist test and a vertical vertical tension test, respectively. In the reverse twist test, the buttons were twisted 180 ° at a speed of about 200 times per minute while applying a force of 60 gf to each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button-attached fabric. This reverse twist test was performed 10,000 times for one button. In the up-and-down vertical tension test, the upper leg is hooked up to the arched leg portion while the upper leg is pulled downward while a load of 120 gf is applied, and the upper leg is pulled upward until a load of 400 gf is applied. This vertical and vertical tension test was performed 100 times for one button.

그 결과,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은 반전 비틀기 시험을 거친 후에도, 또 상하 수직 인장시험을 거친 후에도, 시험 전후에 있어서 버튼의 방향은 안정하게 직립한 상태로 되고 있어, 외관도 아름다웠다. As a result, the garment button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was also stably upright before and after the test even after the reverse twist test and after the vertical tension test, and the appearance was also beautiful. .

이에 반해, 비교예는 기계 달기, 수작업 달기 모두, 반전 비틀기 시험을 거친 후에도, 또 상하 수직 인장 시험을 거친 후에도, 버튼의 방향이 기울어져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direction of the button was inclined even after the mechanical twisting and the manual twisting, even after the reverse twist test and the vertical tension test.

(실시예 2)(Example 2)

또한, 상기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실험적 검토를 행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을 상기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천에 부착했다. 비교예로서, 의복용 버튼(1)과 동일한 버튼 본체(11)로 이루어지고, 또한 홈(17)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품에 대하여, 각각 기계 달기, 수작업 달기로 천에 부착했다. Moreover, in order to confirm the said effect, the experimental examination demonstrated below was done. The garment button 1 to which this invention was applied was attached to the cloth based on the above process.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conventional article which consists of the same button main body 11 as the garment button 1, and is not provided with the groove | channel 17, was attached to the cloth by machine attachment and manual attachment, respectively.

다음에, 이들 버튼에 대하여 위에서 가압했다. 그 결과,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초 대략 연직방향을 향하고 있던 버튼 본체(11)에서의 정점(11b)이 약 40° 정도 기울었다. Next, these buttons were pressed from abov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a), the apex 11b in the button main body 11 that was originally directed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as inclined by about 40 degrees.

다음에, 이 상태를 0°로 하여, 상기 가압을 해제했다. 그 결과, 버튼 본체(11)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제 되는데, 이 때의 복귀각(θ)(°)을 측정했다. 즉, 이 복귀각(θ)은 버튼 본체(11)의 단부가 천에 접지된 상태(0°)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또, 이 측정에서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압한 경우와, B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압한 경우의 2패턴으로 나누어서 측정을 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A방향이란 다리부(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나타내며, B방향과는 다리부(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측정은 각각 다른 샘플에 대하여 8회 행하고, 최후에 그 평균을 취하는 것으로 했다. Next, this state was made 0 degree, and the said pressurization was canceled. As a result, the button main body 11 wa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ut the return angle θ (°) at this time was measured. That is, this return angle (theta) is based on the state (0 degree) in which the edge part of the button main body 11 was grounded to the cloth. In addition, in this measurement, as shown in FIG.10 (b), the measurement is divided into two patterns, when it presses to incline to A direction, and when it presses to incline to B direction. A direction here shows the perpendicul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part 12, and B direction and the paralle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part 12 are shown.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eight times for each of the different samples, and the average was taken at the end.

복귀각(θ)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return angle θ.

Figure 112008082323718-PCT00001
Figure 112008082323718-PCT00001

또, 버튼 본체(11)에서의 복귀각(θ)으로부터 계산한 복귀율을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복귀율이란 버튼 본체(11)의 단부가 천에 접지된 상태(0°)를 기준으로 하여 원래의 위치를 향해서 몇 ° 되돌아가는지를 퍼센트로 표시한 것이다. 즉, 복귀율은 복귀각(θ)/40×100(%)로서 나타낼 수 있다. Moreover, the return rate calculated from the return angle (theta) in the button main body 11 is shown in following Table 2. The return rate is a percentage indicating how many degrees the end of the button body 11 is returned toward the origi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ate (0 °) grounded to the fabric. That is, the return rate can be expressed as a return angle θ / 40 × 100 (%).

Figure 112008082323718-PCT00002
Figure 112008082323718-PCT00002

이 표 1,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예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버튼 본체(11)의 복귀각(θ)이 컸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예는 복귀율도 비교예에 비해 컸다. 즉, 본 발명예는 상기한 메커니즘이 작용하므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이 크게 작용하는 것이 입증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버튼 본체(11)에 대하여 압력이 부하된 경우에도, 직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rom the results of Tables 1 and 2, the return angle θ of the button body 11 was larger in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than in the comparative example. Similarly, the return rate of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lso larg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at is,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bove mechanism works, it can be said that the force which trie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is larg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button body 11, it becomes possible to act so as to maintain the upright state.

(실시예 3)(Example 3)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1)에서의 다리부(12)의 배면의 구성예이다. 이 예에서는, 다리부(12)의 양측면(측면(12c), 측면(12d))에서 각각 홈(17)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 도 11의 예에서는, 홈(17)을 단면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11의 예에 있어서, 홈(17)의 폭(t1)은 0.8mm 정도, 깊이(t2)는 0.7mm 정도이며, 또한 깊이 방향을 향하여 깊이(t3)에 대하여 0.2mm 정도에 끝이 뾰족하게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FIG. 11: is a structural example of the back surface of the leg part 12 in the garment button 1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In this example, the grooves 17 are formed in both side surfaces (side surface 12c and side surface 12d) of the leg portion 12, respectively. In the example of FIG. 11, the groove 17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entagonal shape in cross section. In the example of FIG. 11, the width t 1 of the groove 17 is about 0.8 mm, the depth t 2 is about 0.7 mm, and ends at about 0.2 mm with respect to the depth t 3 toward the depth direction. This is a pointed configuration.

도 11의 예에서는, 실(23)은 홈(17)에 있어서의 끝이 뾰족한 부분에서 최초로 휘감기고, 그 후에, 감기수를 증가시켜 감에 따라 실(23)은 끝이 뾰족한 부분의 양측으로 퍼지도록 하여 휘감긴다. 그 결과, 실(23)에 의한 홈(17)으로의 조이는 힘을 끝이 뾰족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집중시킬 수 있어, 버튼의 경과적인 사용에 수반되는 실(23)의 느슨함의 증가, 나아가서는 직립성의 결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홈(17)에 끝이 뾰족한 부분을 형성시키고, 횡으로 넓어지도록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23)의 홈(17)으로부터의 일탈 방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example of FIG. 11, the thread 23 is first wound in a pointed end of the groove 17, and thereafter, as the winding number is increased, the thread 23 moves to both sides of the pointed end. Encourage to spread. As a result, the tightening force to the groove 17 by the thread 23 can be centered around the pointed end portion, so that the looseness of the thread 23 accompanying the continuous use of the button,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lack of uprightness. Moreover, by forming the pointed part in the groove 17 and making it spread laterally,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deviation prevention property from the groove 17 of the seal 23. As shown in FIG.

또, 도 11의 예에서 도면 중에 나타내는 끝이 표족하게 된 면에서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Ψ)는 10∼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서, 각도(Ψ)가 10° 이하이면, 실(23)에 의한 홈(17)의 조이는 힘을 발현시킬 수 없고, 또 각도(Ψ)가 70°를 초과해 버리면, 끝이 뾰족한 부분이 보다 날카로워져버려, 휘감은 실(23)이 닳아 끊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덧붙여서, 이 각도(Ψ)는 실(23)의 닳아 끊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고, 또한 조이는 힘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또한 30∼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n the example of FIG.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Ψ)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surface in which the edge | tip shown in the figure became acute is comprised by 10-70 degrees. As a reason, when the angle Ψ is 10 ° or less, the tightening force of the groove 17 by the thread 23 cannot be expressed, and when the angle Ψ exceeds 70 °, the pointed portion is sharp. This is because it becomes sharper than this, and the thread 23 wound around wears off.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is angle (Ψ) exists in the range of 30-60 degrees from a viewpoint which prevents the thread 23 from being worn out more reliably, and improves a tightening force further.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에 있어서의 홈의 확대 구성도이다. Fig. 2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oove in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에 있어서의 홈을 단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한 예이다. 3 is an example in which the groove in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entagonal cross section.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을 의복에 부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attached the garment button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to garment.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structural example of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의 각 부위의 형상을 열거한 제 1도이다. Fig. 6 is a first diagram enumerating the shape of each part of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의 각 부위의 형상을 열거한 제 2도이다. 7 is a second view enumerating the shape of each part of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의 각 부위의 형상을 열거한 제 3도이다. 8 is a third view enumerating the shape of each part of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의 각 부위의 형상을 열거한 제 4도이다. 9 is a fourth view enumerating the shape of each part of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Example of the garment button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복용 버튼에 있어서의 다리부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back surface of the leg part in the button for clothes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ed.

도 12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도 13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13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의복용 버튼1 Clothing Button

2 의복2 garments

11 버튼 본체11 button body

12 다리부12 leg

17 홈17 home

21 중앙부분21 center section

23 실23 rooms

Claims (10)

버튼 본체와, With the button body, 버튼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링 모양으로 돌출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It has a leg port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body, 상기 다리부는 의복에 부착하는 실을 휘감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The leg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groove for winding the thread attached to the garment, 상기 홈은 적어도 선단을 향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The groove button is a button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s narrowed toward at least the ti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사면은 곡면 또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The inclined surface is a button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urface or fl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홈의 선단은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거나, 또는 둥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The tip of the groove is a button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pointed or round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경사면에서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Ψ)는 10∼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A button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Ψ)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n the inclined surface is comprised between 10 and 70 degre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홈은 단면 대략 n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n은 3 이상의 정수)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And said groove is formed in substantially n square shape in cross section (n is an integer of 3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은 깊이 방향으로 끝이 뾰족하게 된 단면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서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Ψ)는 10∼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And said groove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entagonal shape in which the end is pointed in the depth direction, and the angle (Ψ)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n the inclined surface is 10 to 70 degree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다리부는 상기 홈이 편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The leg portion is a button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one side or both sides.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다리부는 상기 홈이 바닥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The leg portion is a button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from the bottom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다리부는 상기 홈이 상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버튼.The leg part is a button fo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복용 버튼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The clothing butt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is attached.
KR1020087029255A 2006-08-28 2007-08-28 Button for clothes KR2009004739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31330 2006-08-28
JP2006231330 2006-08-28
JP2006307094 2006-11-13
JPJP-P-2006-307094 2006-11-13
JP2007110797A JP4113904B2 (en) 2006-08-28 2007-04-19 Button for clothes
JPJP-P-2007-110797 2007-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394A true KR20090047394A (en) 2009-05-12

Family

ID=3913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255A KR20090047394A (en) 2006-08-28 2007-08-28 Button for clothe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271954A1 (en)
EP (1) EP2060198A4 (en)
JP (1) JP4113904B2 (en)
KR (1) KR20090047394A (en)
WO (1) WO200802658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4572B2 (en) * 2019-09-11 2023-09-05 Acumed Llc Far bone suture butt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1474A (en) * 1923-03-29 1924-01-22 John F Leidecker Detachable button
US2175840A (en) * 1938-10-04 1939-10-10 Isasi Linus Button
US2516204A (en) * 1946-12-21 1950-07-25 Walter H Hadley Tufting button
US2446816A (en) * 1947-07-09 1948-08-10 Turner & Seymour Mfg Co Tufting button
US3439439A (en) * 1966-09-06 1969-04-22 Raleigh B Stimson Decorative button assembly
JPS499405U (en) * 1972-04-27 1974-01-26
JPS57203811U (en) * 1981-06-22 1982-12-25
JPS581306U (en) * 1981-06-25 1983-01-06 島田商事株式会社 back hole button
JP2546011Y2 (en) * 1992-11-17 1997-08-27 鐘紡株式会社 But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0198A4 (en) 2009-08-12
JP2008142520A (en) 2008-06-26
WO2008026583A1 (en) 2008-03-06
JP4113904B2 (en) 2008-07-09
EP2060198A1 (en) 2009-05-20
US20090271954A1 (en)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46364A (en) Button for fastening fabrics
EP2100530B1 (en) Device for attaching button or the like and button to be attached thereto
KR20090047394A (en) Button for clothes
EP1857395A1 (en) Method of piercing spun yarn and knitting including piercing of yarn
EP1887122B1 (en) Bearded needle
CA2996433A1 (en) Improved knitting need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ircular knitting needle
US20180245244A1 (en) Pile fabric
JP2008142521A (en) Button for clothes
JP2010100968A (en) Warp knit fabric
KR101486204B1 (en) hand knitting supplement device
EP1464744A3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lament corduroy fabric
KR100645101B1 (en) Button for a cap
JP2008081912A (en) Gar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garment button
JP2007509246A (en) Set consisting of multiple needles
KR200478899Y1 (en) A heald for loom
JP2009000301A (en) Button for clothes
JP2008081913A (en) Gar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garment button
CN101511216A (en) Button for clothes
US20090070968A1 (en) Coil Zipper Structure
US11297905B2 (en) Fastening pin
JP2004052130A (en) Heald and dropper each having turnup portion on periphery of warp-inserting portion
US976098A (en) Buttoning device.
US20190292695A1 (en) Woven article with attached objec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79103A (en) Needle-threader.
KR100827018B1 (en) An embroidered necktie protected from the tw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