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554A -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554A
KR20090045554A KR1020070111438A KR20070111438A KR20090045554A KR 20090045554 A KR20090045554 A KR 20090045554A KR 1020070111438 A KR1020070111438 A KR 1020070111438A KR 20070111438 A KR20070111438 A KR 20070111438A KR 20090045554 A KR20090045554 A KR 2009004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l
lighting
bridge
brightness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786B1 (ko
Inventor
허승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07011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7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교량에 설치되는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조명시스템이 완전히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리와 카메라를 통해 보는 거리를 일치시켜 사진을 촬영한 후 이를 예측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교량 조명시스템이 설치 완료되었을 경우 연출될 수 있는 장면을 거리별로 확인 가능토록 한 기술이다.
사진, 실제거리, 교량, 조명시스템,

Description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Actual light displaying expecting system}
본 발명은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교량에 설치되는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조명시스템이 완전히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리와 카메라를 통해 보는 거리를 일치시켜 사진을 촬영한 후 이를 예측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교량 조명시스템이 설치 완료되었을 경우 연출될 수 있는 장면을 거리별로 확인 가능토록 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조망점에서 사람의 시각으로 보이는 교량의 실제 크기를 담아내고자 교량이 설치될 지점을 카메라의 특성을 반영하여 촬영하고 이러한 사진촬영 결과와 동일한 시환경을 조성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휘도를 분석하고 조명 연출시 조망점에서의 실제 밝기를 예측하여 사진 촬영과 휘도 분석을 바탕으로 경관 조명효과를 실제 보이는 야간 조감도로 제작가능토록 한 기술이다.
앞으로 완성될 구조물에 대한 형상을 미리 예측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됨에 따라 구조물 완공 전 사전에 완성된 구조물 형상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교량을 건설하는 경우 미리 설계된 도면에 의거 이를 예측프로그램에 적용시키면 실제 교량이 완공되었을 경의 형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이 교량에 다가갈수록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교량이 크게 보이게 마련인데 종래 이러한 예측프로그램은 단순히 교량 완공시 형상을 거리별 크기 차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로 나타낸다거나 혹은 교량 형상을 확실히 확인하기 위해 무조건 크게 나타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교량 예측시스템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건설 지점에 대한 실제 가시 전경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를 예측 프로그램에 적용시킴으로써 실제 완공시 거리별로 차이가 나는 교량 조명시스템에 의한 연출 조명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한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은, 사진 촬영 후 실제로 보이는 실물 크기의 가시화 작업을 거쳐 실제와 매우 근접한 조명 시환경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은, 사진촬영단계; 휘도분석단계; 및 야간 조감도 완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은, 실물크기의 교량을 3차원으로 분석하여 조망점에서의 실제 밝기를 조명 프로그램으로 예측하고, 사진 촬영한 장면을 휘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망점에서 실제 보이는 밝기로 야간 조감도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에 따르면, 교량 건설 지점에 대한 실제 가시 전경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를 예측 프로그램에 적용시킴으로써 실제 완공시 거리별로 차이가 나는 교량 조명시스템에 의한 연출 조명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 화각 환산표,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가시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사진촬영, 휘도분석 및 야간 조감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진 촬영 후 실제로 보이는 실물 크기의 가시화 작업을 거쳐 실제와 매우 근접한 조명 시환경을 검증하기 위한 기술로써, 그 순서가 사진촬영, 후도분석 및 야간 조감도 완성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 같은 본 발명의 순서는 도 1 및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가능해진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 렌즈 화각 환산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가시범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필름카메라의 표준인 50mm 렌즈를 사용하여 물체를 촬영한 필름의 영상과 사람의 수정체에 맺히는 물체의 크기가 비슷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EOS D30 80mm 렌즈로 촬영한다.(도 1의 표에서 일반 50mm 렌즈는 디지털 카메라 80mm 렌즈와 동일한 화각을 갖는다)
이러한 원리에 의거 실물크기의 교량을 3차원으로 분석하여 조망점에서의 실제 밝기를 조명 프로그램으로 예측하고, 사진 촬영한 장면을 휘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망점에서 실제 보이는 밝기로 야간 조감도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라한 순서를 도 3, 도 4 및 도 5에 차례로 나타내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망점에서 사람의 시각으로 보이는 교량의 실제 크기를 담아내고자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특성을 반영하여 촬영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과 같이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동일한 시환경을 조성하여 컴퓨터 프로그램(Lightscape 3.2R)로 휘도를 분석하여 조명 연출시 조망점에서의 실제 밝기를 예측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사진촬영 및 휘도분석을 바탕으로 경관 조명효과를 실제로 보이는 야간 조감도로 제작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여 예측한 인천대교의 경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 화각 환산표.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가시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사진촬영, 휘도분석 및 야간 조감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Claims (3)

  1. 사진 촬영 후 실제로 보이는 실물 크기의 가시화 작업을 거쳐 실제와 매우 근접한 조명 시환경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
  2. 사진촬영단계;
    휘도분석단계; 및
    야간 조감도 완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
  3. 실물크기의 교량을 3차원으로 분석하여 조망점에서의 실제 밝기를 조명 프로그램으로 예측하고, 사진 촬영한 장면을 휘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망점에서 실제 보이는 밝기로 야간 조감도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시스템.
KR1020070111438A 2007-11-02 2007-11-02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방법 KR10109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38A KR101091786B1 (ko) 2007-11-02 2007-11-02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38A KR101091786B1 (ko) 2007-11-02 2007-11-02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554A true KR20090045554A (ko) 2009-05-08
KR101091786B1 KR101091786B1 (ko) 2011-12-12

Family

ID=4085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438A KR101091786B1 (ko) 2007-11-02 2007-11-02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89B1 (ko) * 2011-12-21 2013-10-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한 야간 경관 휘도 분포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5596A (ko) 2014-06-20 2015-12-30 (주)이즈소프트 이동체용 빛공해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빛공해 측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89B1 (ko) * 2011-12-21 2013-10-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한 야간 경관 휘도 분포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5596A (ko) 2014-06-20 2015-12-30 (주)이즈소프트 이동체용 빛공해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빛공해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786B1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382B2 (en) System comprising multiple digital cameras viewing a large scene
US11782507B2 (en) Image changes based on facial appearance
US20180101992A1 (en) Overlay for camera field of vision
US20190147620A1 (en) Determining optimal conditions to photograph a point of interest
US89822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quential viewing of two video streams
JP201614408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9047985A1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07183A (zh) 虚拟场景可视化方法及系统
CN107920212A (zh) 数字拍摄装置及控制其的方法
KR101778744B1 (ko)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15119277A (ja) 表示機器、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CN105847672A (zh) 虚拟现实头盔抓拍方法及系统
JP6686791B2 (ja) 映像表示方法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9578221B1 (en) Camera field of view visualizer
CN111095348A (zh) 基于摄像头的透明显示器
KR101091786B1 (ko) 사진촬영에 의한 실제 조명 연출 예측방법
TW202001546A (zh) 資訊顯示方法及其顯示系統
WO2022088821A1 (zh) 地标数据的采集方法及地标建筑的建模方法
CN111263951A (zh) 用于对全景视图中的重叠区进行快速图像融合的方法和系统
KR20110136028A (ko) 가상 점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는 증강현실 장치
CN114764850A (zh) 基于vst技术的半实物仿真座舱虚实融合模拟系统
US20210297649A1 (en) Image data output device, content creation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image data output method, content creation method,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US20150249792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program
CN115861079B (zh) 一种无重叠区域的全景图像拼接方法、系统及拼接终端
Gălăţanu et al. Luminance Field of the Façades: from aggressive to attractive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