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332A -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332A
KR20090044332A KR1020070110396A KR20070110396A KR20090044332A KR 20090044332 A KR20090044332 A KR 20090044332A KR 1020070110396 A KR1020070110396 A KR 1020070110396A KR 20070110396 A KR20070110396 A KR 20070110396A KR 20090044332 A KR20090044332 A KR 20090044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subject
anxiety disorder
anxiety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484B1 (ko
Inventor
정재범
남기춘
최문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4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은,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피검자에게 상기 제시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피검자로부터 상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색상을 갖는 단어를 표시하여 해당 색상을 응답하도록 하는 색명명 과제에 속하는 상기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각 과제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수행부와; 상기 과제수행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불안장애 여부 및 불안장애 유형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인과 불안장애 환자의 정서정보 처리 패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자에게 불안과는 독립적인 질문과 반응을 요구함으로써, 불안장애 상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그 불안의 정도와 내용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빠르고 간단하게 불안장애를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anxiety disorders diagnostic and Recording medium using it}
본 발명은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인과 불안장애 환자의 정서정보 처리 패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자에게 불안과는 독립적인 질문과 반응을 요구함으로써, 불안장애 상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그 불안의 정도와 내용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빠르고 간단하게 불안장애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불안장애란 정서적 불안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는 병을 말하며, 감정적 증상, 신체적 증상, 생각으로 나타나는 증상과 행동으로 보이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 실제로 불안장애나 공포증은 두려워할 근거가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그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증세의 발생원인 및 동기에 대해서도 의식하지 못한다. DSM-Ⅳ의 정신장애 분류표를 보면 불안장애는 과도한 불안이나 걱정 공포, 강박증, 등을 특징을 하는 장애로 다시 공황장애, 공포증(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 특정공포증), 강박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급성 스트레스장애, 범 불안장애로 분류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불안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환자와의 면담이나 상담 등을 수행하며, 보다 표준화된 진단을 위해 설문을 수행하기도 한다. 알려진 설문형 검사 도구는 Charles D. Spielberger (1983)가 개발한 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자기평가 설문지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단 방법은 피검자 스스로가 불안장애에 대해 보고한다는 면에서 피검자의 의도에 의해 그 결과가 쉽게 조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면담과 상담 등은 표준화되기가 힘들기 때문에 각 전문가의 경험과 관점에 따라 다른 진단을 보고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평가 설문지를 일일이 평가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불안장애 상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그 불안의 정도와 내용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빠르고 간단하게 불안장애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피검자에게 상기 제시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피검자로부터 상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색상을 갖는 단어를 표시하여 해당 색상을 응답하도록 하는 색명명 과제에 속하는 상기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각 과제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수행부와; 상기 과제수행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불안장애 여부 및 불안장애 유형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색명명 과제는,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반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Color-naming task)와, 특수 불안장애 측정을 위한 특수 범주 색명명 과제와, 불안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 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과제수행부는, 상기 피검자의 응답의 정오 여부와 반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환자유형분류기준은, 범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사회공포증, 고소공포증, 공황장애, 각종 동물 공포증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이 상기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과제수행능력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불안 통제 지수 및 방어 지수를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색상을 갖는 단어를 표시하여 해당 색상을 응답하도록 하는 색명명 과제에 속하는 상기 제시문제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각 과제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불안장애 여부 및 불안장애 유형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일반인과 불안장애 환자의 정서정보 처리 패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자에게 불안과는 독립적인 질문과 반응을 요구함으로써, 불안장애 상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그 불안의 정도와 내용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빠르고 간단하게 불안장애를 검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기존의 정서 정보처리론과 심리학에서 밝혀진 정서 정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최근의 인지심리학이나 정보 처리론적 접근은, 자극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 집착이나 선점(先占)적 사고(preoccupation)와 같은 정서 장애의 다양한 형태들 중 비교적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측면들에 그 중요성을 부여하고 정보처리의 특성을 연구한다. 이런 접근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 중의 하나가 바로 주 의 편향 현상인데, 이는 몰두나 집착 같은 현상이 주의 기제의 편향으로부터 일어난다고 보는 것과 관련된다(Williams, Mathews & MacLeod, 1996). 예를 들어, 불안증에 대한 한 이론(Beck, Emery & Greenberg, 1985)은 환자가 환경으로부터 갑자기 튀어나올 수 있는 위험과 위협을 알리는 일종의 단서들에 대해 과도한 주의(hypervigilance)를 준다는 것에 불안증의 특징을 연관시킨다. 예를 들면, 공황 장애의 경우 일종의 신체감각에 대한 과민성과 연관되는 것으로(Clark, 1988)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해서는 주의가 과거 심적 외상을 일으킨 사건과 관련된 자극들과 생각에 집중되는 것(Yule, 1991)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이런 정서 장애에 대한 인지적 이론들은 주의 편향 현상을 단순한 정서장애의 부산물로서만 보지 않고 정서 장애의 발생 원인으로써 그리고 장애가 유지되는 하나의 근간으로써 보고 있다(예, Wells & Matthews, 1994; Williams et al., 1996). 즉 작은 정서적 혼란이 특정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변화시키고 이는 개체가 환경 내에서 일반적인 위험을 평가하는데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은 Mathews와 MacLeod가 제시한 불안장애 환자와 정상인의 정서 정보처리 모델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각 및 청각 입력부(100)는 정보의 입력을 담당하고, 중앙통제 시스템(110)은 일반적으로 목표수행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앞으로 들어올 자극들에 대한 표상을 미리 예상하여 그 민감도를 높여 놓는다.
목표자극의 표상처리부(130)에서는 입력된 자극을 목표자극과 비교 분석하여 자신이 원하는 자극인지 아닌지를 구분하여 주의 분배 시스템(150)에서 더 많은 주 의 혹은 처리의 강도를 높인다. 그러나 입력에서 목표자극과 관련이 없는 자극이 들어오면 중앙 통제 시스템(110)에서 통제를 하게 된다. 그러나 목표자극과 관련이 없지만 부적자극이나 본인에게 위협적인 자극이라고 평가되는 자극이 들어오면 위협평가 시스템(120)에서 위협관련 표상(140)들에 대한 민감도를 평가하고 그 위협 정도가 높을 때는 주의 선택 및 분배 시스템(150)에서 기존의 목표자극 처리의 진행을 멈추고 위협관련 처리를 우선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불안증이 높은 사람들은 위협 평가 시스템(120)의 민감도가 아주 높아 조금의 부적 혹은 위협 자극이 입력되어도 위협관련 표상 처리(140)가 활성화되어 주의선택이 정서 자극 쪽으로 가게 된다. 이런 이유로 해서 불안한 사람들은 주의가 산만하고 인지 수행에 간섭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런 특정 자극에 대한 민감도는 정서적 스트룹(Emotional Stroop) 과제를 통해 측정이 가능하다. 스트룹 시험(Stroop Test)은 색상 명명과 단어 읽기 사이의 관계를 검사하는 선택적 집중력의 시험이다.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는 단일 자극 중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자극에 의해 주의를 기울인 자극의 정보처리가 방해를 받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스트룹 간섭효과는 자극의 어떤 한 속성은 처리하고 다른 속성들은 여과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겪는 어려움을 시간의 차이로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특정 색상의 단어를 피검자에게 제시하면 단어 처리과정이 색 처리과정보다 빨리 수행되므로 간섭효과가 생긴다. 즉, 단어의 모양을 분석하고 뜻과 이름을 생각해내는 것은 자동적 처리과정으로 수행되고, 색의 밝기와 색상을 분석하여 그 이름을 명명하는 것은 의식적 처리과정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에, 특정 단어 가 피검자의 심리에 영향을 미친 경우 해당 단어의 색상을 명명하는 데에 간섭효과를 일으키게 된다. 예컨대, 파란 색으로 쓰인 "거미"라는 단어를 표시하고 가능한 빨리 단어의 색을 답하도록 하는 경우, 일반인은 응답시간에 변함이 없지만 거미에 공포장애를 가진 피검자는 응답시간이 느려진다.
다음의 표 1은 불안장애 및 특수 불안장애에 대한 정서적 스트룹(Emotional Stroop) 과제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범 불안 장애 사회불안 장애 공황장애 고소공포 장애 동물관련 공포장애 일반인
사회 관련 단어 o o x x x x
신체 증상 단어 o x o x x x
높이 관련 단어 Δ x x o x x
동물 관련 단어 o x x x o x
부정 단어 o Δ x x x x
(o: 스트룹 반응 일어남, x: 스트룹 반응 일어나지 않음, Δ: 스트룹 반응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일어남. )
상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인의 경우 스트룹 반응이 일어나지 않지만, 특정 불안장애를 가진 피검자의 경우 불안 요인과 관계있는 단어가 표시되는 경우 스트룹 반응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범 불안장애의 경우 일반적으로 불안의 대상이 확실치 아니함으로, 그들의 정보처리 패턴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올라간다는 것이다. 특히, 범 불안장애는 그 부정 정도가 아주 낮은 자극에도 민감성이 올라가 있어 일반적인 과제 수행 시 부적 정서를 가진 자극에 아주 방해를 많이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위의 표에서와 마찬가지로 부적 단어 및 사회불안, 신체불안 및 질환관련 단어 등 다양한 부정 자극에 반응을 보인다.
사회 불안장애는 다시 대인공포증, 광장공포증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사화관련 단어에 대한 민감도가 주로 올라가며, 높은 반응도를 보인다.
공황장애는 주로 신체증상이나 신체 관련 단어에 민감도가 올라가며, 때로는 긍정적 신체 자극에도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고소공포 장애는 다른 불안과 중복되어 나타나지 않는 한 높이관련 단어에만 한정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동물 관련 공포장애는 뱀, 거미, 새 등 다양한 동물들에 대한 공포로 다시 나눌 수 있다. 특정 동물 관련 단어에만 반응을 보인다.
일반인은 특수 공포증이 없는 한 특정 관련 단어에 스트룹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시험 전, 발표 전 등과 같이 특정 상황에 따라 상태 불안(state anxiety, 단기간에 일어나는 불안)이 생길 수 있으며 상태 불안은 특정 상황에 관련된 단어나 부적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보인다. 상태 불안은 병적인 불안장애와는 달리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므로 다시 검사를 하였을 때는 반응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심리학에서 밝혀진 정서 정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정보 처리론적 모형에 기반을 둔 증상위주의 진단을 수행하여 불안장애와 여러 특수 불안 그리고 불안 저항지수를 빠르고 객관적으로 진단 및 분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검자에게 제시할 과제 및 평가 기준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20)와, 과제 표시를 위한 출력부(14)와, 피검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12)와, 피검자의 입력을 평가하여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수행부(16)와, 과제수행부(16)의 측정결과에 따라 피검자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부(18)와, 이들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피검자에게 진단을 위한 과제를 표시하고 그에 따른 피검자의 응답을 과제수행부(16) 및 진단부(18)를 통해 처리하여 해당 피검자의 불안장애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저장부(20)에는 복수의 인지수행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된다. 예컨대, 정서적 스트룹(Emotional Stroop) 과제를 통해 피검자를 진단하고자 하는 경우, 저장부(20)에는 각종 불안장애 진단을 위한 단어들과, 해당 단어에 설정되는 색상정보, 과제 출력 순서 등 진단기능의 수행을 위한 정보들과, 피검자의 입력에 대한 평가 기준 등이 저장된다.
입력부(12)는 피검자로부터 과제 수행 결과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12)로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등의 정보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출력부(14)는 피검자에게 복수의 인지과제에 해당하는 제시문제를 출력한다. 출력부(14)는 모니터, 스피커 등의 데이터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피검자 진단을 위한 과제를 표시한다. 이에, 피검자는 출력부(14)에 표시된 특정 색상의 단어를 확인하고 해당 단어의 색상을 입력부(12)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과제수행부(16)는 저장부(2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피검자 진단을 위한 과제들을 소정 순서에 따라 제시하고, 각 과제에 대해 입력되는 피검자의 수행결과를 평가한다. 과제수행부(16)는 시각 자극의 입력에서부터 피검자의 반응까지의 과정에 대한 수행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Color-naming task)와, 특수 불안장애 측정을 위한 특수 범주 색명명 과제와, 불안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에 각각 속하는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 피검자에게 제시한다. 과제수행부(16)는 입력부(12)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응답의 반응시간과 응답의 정/오 여부에 기초하여 평가기준에 따라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의 정도를 측정한다.
진단부(18)는 과제수행부(16)를 통해 측정된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환자 유형 분류기준에 따라 피검자의 범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사회공포증, 고소공포증, 공황장애, 각종 동물 공포증 등의 특수 불안장애 유무를 측정한다. 또한, 진단부(18)는 환자 유형 분류 기준에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라도, 불안에 대해 어느 정도의 통제 및 방어 능력이 있는가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불안장애의 진단이 시작되면 과제수행부(16)를 제어하여 출력부(14)에 피검자 진단을 위한 과제들이 소정 순서에 따라 표시되도록 하고,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피검자의 응답을 과제수행부(16)를 통해 평가한다. 제어부(10)는 과제수행부(16)의 평가결과에 따라 진단부(18)를 통해 피검자의 불안장애 유무를 진단하여 진단결과를 출력부(14)에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을 통해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과제수행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제 화면을 표시부(14)에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불안장애 검사 방법에 따른 과제 표시 상태도이다. 불안장애 검사가 시작되면, 표시부(14)인 모니터에는 소정 시간(a) 동안 대기화면이 표시된다. 대기화면은 검사 시작을 알리는 화면으로 1초 정도 표시될 수 있다.
이 후, 표시부(14)인 모니터에는 검은색으로 표기된 불안장애 검사를 위한 단어가 표시된다. 예컨대, 검은색으로 표시된 "침탈"이라는 단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 시간(b)은 0ms, 120ms, 240ms 등으로 가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검은 색으로 표시된 단어에 대해, 피검자는 단어의 모양을 분석하고 뜻과 이름을 생각해내는 자동적 처리과정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 후, 색깔 명명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 시간(c)에서는 빨강, 파랑, 초록, 혹은 보라색 등으로 표시된 단어를 제시하고, 이에 대해 피검자에게 가능한 빠르게 색을 명명하도록 지시한다. 색깔 명명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 시간(c)에 표시된 단어는 특정 색상으로 표시되며, 이에, 피검자는 단어의 모양을 분석하고 뜻과 이름을 생각해내는 자동적 처리과정 후, 색의 밝기와 색상을 분석하여 그 이름을 명명하는 의식적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단어를 제시하는 시간(c)에서 피검자가 해당 단어의 색깔을 명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그 응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피검자의 불안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불안장애에 따른 정보처리의 특징을 분석하여 그 진단을 내림으로써, 기존의 자기 보고식에서 드러나지 않는 불안증들을 피검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측정할 수 있어 피검자의 속임수나 잘못된 보고에 좌우되지 않고 불안증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의 진척과정이나 불안 저항지수 등을 미리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불안장애 검사가 시작되면, 제어부(10)는 과제수행부(16)를 제어하여 소정 순서에 따라 출력부(14)에 과제를 표시한다(S10). 여기서, 과제수행부(16)는 수행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와, 특수 불안장애 측정을 위한 과제와, 불안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에 각각 속하는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 피검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에, 피검자가 각 과제를 확인하고 각 단어의 색상을 명명하여 입력부(12)로 입력한다.
제어부(10)는 입력부(12)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과제수행 결과를 입력받는다(S12).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과제수행 결과는 과제수행부(16)에서 분석된다(S14). 여기서, 과제수행부(16)는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응답의 반응시간과 응답의 정/오 여부에 기초하여 평가기준에 따라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피검자가 특정 불안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 해당 불안요인과 관련된 색명명 과제에 대한 응답 반응시간이 다른 과제에 대항 응답 반응시간과는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에, 과제수행부(16)가 측정한 과제수행능력 측정값에 따라, 진단부(18)는 피검자의 상태를 분류한다(S16). 진단부(18)는 소정의 환자 유형 분류기준에 따라 피검자의 범 불안 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사회공포증, 고소공포증, 공황장애, 각종 동물 공포증 등의 특수 불안장애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유형 분류 기준에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 불안에 대해 어느 정도의 통제 및 방어 능력이 있는가를 진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불안장애 검사 방법에 따른 검사결과 그래프로서, 도 5는 정상인의 검사결과 그래프이고, 도 6은 불안장애 환자의 검사결과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단어의 제시 시간(도 3의 (b))에 따른 정상인의 반응시간을 살펴보면, 불안장애와 관련이 있는 부정단어와, 불안장애와 무관한 중성단어에 대해 전체적으로 반응시간의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그래프에서, 중간 단어의 제시 시간(도 3의 (b))이 0ms, 즉, 중간 단어를 제시하지 아니하고 곧바로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단어를 제시하는 경우 부정단어 및 중성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의 차이가 동일하게 측정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중간 단어의 제시 시간(도 3의 (b))이 240ms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측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피검자는 정상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한편, 중간 단어의 제시 시간(도 3의 (b))이 120ms인 부정자극에 대한 반응의 경우 정상인은 부정단어에 대한 반응이 빠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차이를 통해 해당 피검자의 불안 저항 지수를 진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단어의 제시 시간(도 3의 (b))에 따른 불안장애 환자의 반응시간을 살펴보면, 불안장애와 관련이 있는 부정단어가 표시되는 경우 반응시간이 현저히 지연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피검자가 어떤 단어에 대해 반응이 지연되었는가에 따라, 불안장애의 종류를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중간 단어의 제시 시간(도 3의 (b))이 0ms, 즉, 중간 단어를 제시하지 아니하고 곧바로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단어를 제시하는 경우와 중간 단어의 제시 시간(도 3의 (b))이 240ms일 경우 불안장애 환자는 부정단어에 대해 현격히 느린 반응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간 단어의 제시 시간(도 3의 (b))이 120ms인 부정자극에 대해서도, 불안장애 환자는 부정단어에 대해 느린 반응을 보인다. 이에, 부정자극에 대한 부정단어 및 중성단어의 반응의 차이에 따라 불안장애 정도의 심각성을 진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안상태에 대한 직접적인 질문이나 설문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질문과 반응을 요구함으로써, 피검자의 검사결과 조작 및 주관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객관적인 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피검자의 응답결과를 과제수행부(16) 및 진단부(18)를 통해 즉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적인 검사자가 없는 경우에도,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피검자가 직접 자신의 불안 정도를 측정하고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Mathews와 MacLeod가 제시한 불안장애 환자와 정상인의 정서 정보처리 모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불안장애 검사 방법에 따른 과제 표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불안장애 검사 방법에 따른 정상인의 검사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불안장애 검사 방법에 따른 불안장애 환자의 검사결과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어부 12 : 입력부
14 : 출력부 16 : 과제수행부
18 : 진단부 20 : 저장부

Claims (11)

  1.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피검자에게 상기 제시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피검자로부터 상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색상을 갖는 단어를 표시하여 해당 색상을 응답하도록 하는 색명명 과제에 속하는 상기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각 과제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수행부와;
    상기 과제수행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불안장애 여부 및 불안장애 유형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명명 과제는,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반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Color-naming task)와, 특수 불안장애 측정을 위한 특수 범주 색명명 과제와, 불안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수행부는,
    상기 피검자의 응답의 정오 여부와 반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유형분류기준은,
    범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사회공포증, 고소공포증, 공황장애, 각종 동물 공포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이 상기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과제수행능력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불안 통제 지수 및 방어 지수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
  6.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색상을 갖는 단어를 표시하여 해당 색상을 응답하도록 하는 색명명 과제에 속하는 상기 제시문제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각 과제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불안장애 여부 및 불안장애 유형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색명명 과제는,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반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Color-naming task)와, 특수 불안장애 측정을 위한 특수 범주 색명명 과제와, 불안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하기 위한 색명명 과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제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검자의 응답의 정오 여부와 반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유형분류기준은,
    범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사회공포증, 고소공포증, 공황장애, 각종 동물 공포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이 상기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과제수행능력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불안 통제 지수 및 방어 지수를 진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6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110396A 2007-10-31 2007-10-31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KR10091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396A KR100919484B1 (ko) 2007-10-31 2007-10-31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396A KR100919484B1 (ko) 2007-10-31 2007-10-31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32A true KR20090044332A (ko) 2009-05-07
KR100919484B1 KR100919484B1 (ko) 2009-09-29

Family

ID=4085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396A KR100919484B1 (ko) 2007-10-31 2007-10-31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4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269B1 (ko) * 2009-10-28 2011-07-04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06869B1 (ko) * 2021-01-29 2021-09-29 송태홍 불안증 환자의 치료반응속도에 따른 평가척도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727B1 (ko) 2021-04-27 2021-12-08 백준형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기초로 사용자의 우울감을 진단하고 케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5239B1 (ko) 2023-05-24 2023-08-11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공황 장애 상태를 경험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7720B2 (ja) * 2003-07-28 2009-12-24 株式会社浜松早期認知症研究所 痴呆検査装置、痴呆検査サーバ、痴呆検査クライアント、および痴呆検査システム
JP4473744B2 (ja) * 2005-02-17 2010-06-02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ヒューマンエラー診断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269B1 (ko) * 2009-10-28 2011-07-04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개인 심리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06869B1 (ko) * 2021-01-29 2021-09-29 송태홍 불안증 환자의 치료반응속도에 따른 평가척도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484B1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ewen et al. Selective attention to threat versus reward: Meta-analysis and neural-network modeling of the dot-probe task
Baldwin et al. Adaptive training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EEG metrics for within-and cross-task workload classification
Tucker-Drob et al. The cognitive reserve hypothesis: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age-associated declines in reasoning and processing speed.
Meeten et al. Mood-as-input hypothesis and perseverative psychopathologies
Beaver et al. Emotional conditioning to masked stimuli and modulation of visuospatial attention.
Ethridge et al. Risk and resilience in an acute stress paradigm: Evidence from salivary cortisol and time-frequency analysis of the reward positivity
Hill et al. Contextualiz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rror monitoring: Links with impulsivity, negative affect, and conscientiousness
Brennan et al. Brain-behavior relationships in externalizing: P3 amplitude reduction reflects deficient inhibitory control
Kuo et al. How do you choose and how well does it work?: The selection and effectivenes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 severity
Smith et al. Youth psychotherapy outcomes in usual care and predictors of outcome group membership.
Mahoney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Worry Behaviors Inventory: replication and extension in a large clinical and community sample
KR100919484B1 (ko) 불안장애 검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Dong et al. The development of a sense of control scale
Butzbach et al. Metacognition, psychopathology and daily functioning in adult ADHD
McGrogan et al.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mania risk: A systematic review
Marx et al. Meta-analysis: Altered perceptual timing abilitie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US20150313528A1 (en) Validation process for ipsative assessments
Patrick et al. Detecting simulated versus bona fide traumatic brain injury using pupillometry.
Minnix et al. Total number of MMPI-2 clinical scale elevations predicts premature termination after controlling for intake symptom severity and personality disorder diagnosis
Kleiman et al. The brain health platform: combining resilience, vulnerability, and performance to assess brain health and risk of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Williams et al. The impact of ruminative processing on the development of intrusive memories
Crast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Sensory Processing, and Social Responsiveness Among Adults on the Autism Spectrum
KR102306869B1 (ko) 불안증 환자의 치료반응속도에 따른 평가척도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ndrews et al. Rapid quantification of the Binocular Visual Field for clinical trials: performance of a modified esterman supra-threshold test implemented with the Open Perimetry Interface
Lim et al. Steady-state pattern electroretinography in eyes with glaucoma and high myop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