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192A -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192A
KR20090043192A KR1020070108913A KR20070108913A KR20090043192A KR 20090043192 A KR20090043192 A KR 20090043192A KR 1020070108913 A KR1020070108913 A KR 1020070108913A KR 20070108913 A KR20070108913 A KR 20070108913A KR 20090043192 A KR20090043192 A KR 2009004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unmanned information
connection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상엽
Original Assignee
(주)인텔리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텔리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인텔리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7010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192A/ko
Publication of KR2009004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6Join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각 무인 정보 단말기와 디바이스 간의 P2P 접속(Peer To Peer)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 상기 제어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와 P2P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및 상기 제어 서버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 P2P 접속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 키오스크, 디바이스, P2P, XMPP

Description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REMOT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서버,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간의 P2P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P2P 접속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어 서버를 통하지 않고도 원격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키오스크(kiosk)를 비롯한 각종 무인 정보 단말기의 보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키오스크란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 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 장소에 설치한 무인 단말기를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 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도 하며, 대개 터치 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거나 구매, 발권, 등록 등의 업무를 처리한다.
키오스크에는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터치 스크린, 카드 판독기, 프린터, 네트워크 모듈, 스피커, 비디오 카메라, 인터폰, 감지기 등 다양한 주변 기기가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키오스크는 각 키오스크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하여 복구하는 제어 시스템에 네트워크 연결되므로, 원격에서의 종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키오스크는 푸시 기능을 통해 화면 일부에 광고를 전송하거나 전면광고 또는 특화된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축시, 화상회의 시스템과 스캐닝, 화면 공유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상 현실과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이에 키오스크는 쇼핑몰에서 고객들에 대한 객장 안내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영화나 공연 안내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공과금 납부 기기, 서류 자동 발급기로도 사용될 수 있는 등 그 적용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이러한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각종 무인 정보 단말기의 보급이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무인 정보 단말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또한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중앙 제어 시스템이 무인 정보 단말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공항 내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 공항 내의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앙 제어 서버가 상기 각 키오스크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을 통해서 무인 정보 단말기를 제 어하는 경우, 관리자가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에 상주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과는 다른 원격의 장소에서는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의 제어가 불가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무인 정보 단말기의 설치 업자와 중앙 제어 시스템의 운영자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설치 업자는 상기 운영자의 허락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을 통해서만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의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설치 업자의 요구에 따른 컨텐츠를 신속하게 업데이트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키오스크를 포함한 각종 무인 정보 단말기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어 서버,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간의 P2P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P2P 접속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어 서버를 통하지 않고도 원격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서버가 메신저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의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메신저를 사용하듯 보다 편리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각 무인 정보 단말기와 디바이스 간의 P2P 접속(Peer To Peer)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 상기 제어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와 P2P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및 상기 제어 서버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 P2P 접속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은, 제어 서버가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디바이스가 제어 서버로 제1 무인 정보 단말기와의 P2P(Peer To Peer)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무인 정보 단말기 간의 P2P 접속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P2P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제어 서버,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간의 P2P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P2P 접속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어 서버를 통하지 않고도 원격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 서버가 메신저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의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메신저를 사용하듯 보다 편리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어 서버(110), 디바이스(120),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를 포함한다.
제어 서버(110)는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와 디바이스 간의 P2P 접속(Peer To Peer)을 제어한다. 즉, 제어 서버(110)는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가 공항 내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서버(110)는 상기 각 키오스크에 각종 항공 정보에 대한 컨텐츠를 공급하는 공항 내 중앙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가 지하철 역이나 번화가에 설치되는 증명서 발급기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서버(110)는 상기 증명서 발급기에 증명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동사무소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서버(110) 및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 기(114)는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10) 및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TCP/IP를 통해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110) 및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이동통신망, PSTN 망, 근거리 통신망 등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제어 서버(110)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제어 서버(110)의 제어에 따라 디바이스(120)와 P2P 접속된다.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각종 무인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공항 내의 곳곳에 설치되어 공항 이용객들에게 항공편 정보, 출발 시간 정보, 도착 시간 정보, 항공기 지연 정보 등 공항 내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IP 방송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의 각 병동 및 로비 등에 LCD TV 등의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설치하고, 외부의 IP 방송 서버를 통해 상기 각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방송 컨텐츠를 공급하는 IP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상기 각 병동 및 로비 등에 설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특정 행정 구역 내의 지하철역이나 번화가에 설치되는 무인 증명서 발급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이러한 키오스크(kiosk)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기기, 냉난방 기기, 가전 기기, 방범 기기, 및 사무 자동화 기기 등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제어 서버(110)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무인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120)는 제어 서버(110)를 통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와 P2P 접속되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바이스(120)는 제어 서버(110) 및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와의 통신 및 컴퓨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20)는, 노트북, PC, 이동통신 단말기, PDA,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 서버(110)는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와 네트워크 연결을 항시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20)는 제어 서버(110)와 원격에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어 서버(110)와 원격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 서버(110)를 통하지 않고도 디바이스(120)를 통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120) 및 제1 무인 정 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는 동일한 장소에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원거리에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120)는 제어 서버(110)로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와의 P2P 접속을 요청한다. 디바이스(120)는 TCP/IP를 통한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제어 서버(110)로 상기 P2P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20)는 상기 인터넷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 등 당업자의 판단에 따른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제어 서버(110)로 상기 P2P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 서버(110)는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와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한다. 제어 서버(110)는 TCP/IP를 통한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와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110)는 디바이스(110)로부터 상기 P2P 접속을 요청 받는 경우,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 각각에 설치된 P2P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P2P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바이스(120) 및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 간의 상기 P2P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120) 및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에는 상기 P2P 접속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P2P 접속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서버(110)는 메신저 프로토콜을 통해 디바이스(120) 및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 간의 상기 P2P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10)는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를 통해 디바이스(120) 및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 간의 상기 P2P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P2P 접속 이후,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P2P 연결을 통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P2P 접속을 통해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에 대한 On/Off 제어, 디스플레이/재생 제어, 고장 감지/치료 제어, 볼륨 제어, 보안 제어, 또는 업데이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20)는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 모두와 상기 P2P 접속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120)는 상기 P2P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시게 제1 무인 정보 단말기(111) 내지 제N 무인 정보 단말기(114)의 동작을 모두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정보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정보 단말기(200)는 HKC(Housekeeping Manager)(210), 리모트 데스크탑(Remote Desktop)(220), 디바이스 스테이트(Device State)(230), 시스템 프로텍션(System Protection)(240), 업데이터 클라이언트(Updater Client)(250)를 포함하는 스택 구조를 갖는다.
HKC(Housekeeping Manager)(210)는 무인 정보 단말기(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리모트 데스크탑(Remote Desktop)(220)은 무인 정보 단말기(200)가 디바이스(120)와 P2P 접속되는 경우, 디바이스(120)로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다비이스(120)의 제어를 수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디바이스 스테이트(Device State)(230)는 무인 정보 단말기(200)의 상태 정보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상태 정보를 제어 서버(110)로 전송하여 보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시스템 프로텍션(System Protection)(240)은 무인 정보 단말기(200)로의 접근 및 제어 수준을 설정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무인 정보 단말기(200)와 상기 P2P 접속을 허용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유지하고,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에 기재된 디바이스에만 상기 P2P 접속 및 그에 따른 제어를 허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업데이터 클라이언트(Updater Client)(250)는 무인 정보 단말기(200)의 업데이트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1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업데이터 클라이언트(Updater Client)(250)는 상기 수신한 업데이터 정보를 통해 무인 정보 단말기(200)의 펌웨어나 컨텐츠 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은 무인 정보 단말기, 제어 서버, 및 디바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 및 상기 제어 서버는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한다(단계(31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서버로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와의 P2P(Peer To Peer) 접속을 요청한다(단계(312)).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 및 상기 디바이스 간의 P2P 연결을 제어한다(단계(313)). 상기 제어 서버는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등의 메신저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 및 상기 디바이스 간의 P2P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P2P 접속을 통해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로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단계(314)).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동작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단계(315)).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는 상기 P2P 연결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단계(316)). 또한,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상기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단계(317)).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의 동작 제어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서버로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와의 상기 P2P 접속 해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 간의 상기 P2P 연결 해제를 제어한다(단계(318)).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정보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어 서버
111: 제1 무인 정보 단말기
112: 제2 무인 정보 단말기
113: 제3 무인 정보 단말기
114: 제N 무인 정보 단말기
120: 디바이스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각 무인 정보 단말기와 디바이스 간의 P2P 접속(Peer To Peer)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
    상기 제어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와 P2P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및
    상기 제어 서버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 P2P 접속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에 대한 P2P 접속을 요청 받는 경우, 메신저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 간의 상기 P2P 접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프로토콜은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는 TCP/IP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P2P 접속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에 대한 On/Off 제어, 디스플레이/재생 제어, 고장 감지/치료 제어, 볼륨 제어, 보안 제어, 또는 업데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는 키오스크(kiosk), 디스플레이 기기, 냉난방 기기, 가전 기기, 방범 기기, 및 사무 자동화 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어 서버가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디바이스가 제어 서버로 제1 무인 정보 단말기와의 P2P(Peer To Peer)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무인 정보 단말기 간의 P2P 접 속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P2P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메신저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무인 정보 단말기 간의 상기 P2P 접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프로토콜은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의 상기 네트워크 연결은 TCP/IP를 통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P2P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무인 정보 단말기에 대한 On/Off 제어, 디스플레이/재생 제어, 고장 감지/치료 제어, 볼륨 제어, 보안 제어, 또는 업데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정보 단말기는 키오스크(kiosk), 디스플레이 기기, 냉난방 기기, 가전 기기, 방범 기기, 및 사무 자동화 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108913A 2007-10-29 2007-10-29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3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913A KR20090043192A (ko) 2007-10-29 2007-10-29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913A KR20090043192A (ko) 2007-10-29 2007-10-29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192A true KR20090043192A (ko) 2009-05-06

Family

ID=4085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913A KR20090043192A (ko) 2007-10-29 2007-10-29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31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332A (ko) * 2010-01-20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37041B1 (ko) * 2011-09-30 2013-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키오스크 제어 시스템
KR101339027B1 (ko) * 2012-09-28 2013-12-09 (주)디벨로피언스 피투피 기반의 원격 스크린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US9203809B2 (en) 2012-03-27 2015-12-01 Hanwha Techwin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CN114527872A (zh) * 2017-08-25 2022-05-24 深圳市瑞立视多媒体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交互系统、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332A (ko) * 2010-01-20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37041B1 (ko) * 2011-09-30 2013-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키오스크 제어 시스템
US9203809B2 (en) 2012-03-27 2015-12-01 Hanwha Techwin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339027B1 (ko) * 2012-09-28 2013-12-09 (주)디벨로피언스 피투피 기반의 원격 스크린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4527872A (zh) * 2017-08-25 2022-05-24 深圳市瑞立视多媒体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交互系统、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527872B (zh) * 2017-08-25 2024-03-08 深圳市瑞立视多媒体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交互系统、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39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의 부하 분리 방법
US202002133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endor remote support and management
US97427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providing access and elevated rights for remote support
KR101179554B1 (ko) 모바일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
CN101494620B (zh) 用于改进即时消息递送系统的控制的方法和系统
CN102739411B (zh) 提供证明服务
US7730417B2 (en) Terminal apparatus, network system, window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3487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forcing realtime access controls for endpoints
US9740375B2 (en) Routing web rendering to secondary display at gateway
JP5976210B2 (ja) 監視システム、設備管理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300291A1 (en) Network apparatus for secure remote access and control
US20130036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remote network visibility of the push functionality
CN102196003A (zh) 一种监控系统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KR20090043192A (ko)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6338198A (ja) サービス制御プログラム、サービス制御装置、およびサービス制御方法
JP2024519367A (ja) 情報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CN111711528A (zh) 网络会议的管控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设备
US97626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tended availability of representatives for remote support and management
CN102523236B (zh) 一种动态连接建立方法和设备
WO2010043234A1 (en) Web application server facilitating data access in a network environment
CN113031922A (zh) 一种大厅信息化的智能服务系统
WO2012173899A2 (en) Remotely retrieving information from consumer devices
US11824942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810264B (zh) 信息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461582A (zh) 文件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