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366A - Device for supporting user's arms assisting comfortable use of comput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supporting user's arms assisting comfortable use of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366A
KR20090042366A KR1020070108078A KR20070108078A KR20090042366A KR 20090042366 A KR20090042366 A KR 20090042366A KR 1020070108078 A KR1020070108078 A KR 1020070108078A KR 20070108078 A KR20070108078 A KR 20070108078A KR 20090042366 A KR20090042366 A KR 20090042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in body
arm
cradl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09353B1 (en
Inventor
방현정
Original Assignee
방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현정 filed Critical 방현정
Priority to KR102007010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353B1/en
Publication of KR2009004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3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91Wrist support for movement in the X-Y plane in front of a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arm supporting apparatus is provided to prevent user's arms from coming in contact with a desk, thereby preventing the pain or carpal tunnel syndrome which may be generated in a contact portion. A main body(40) is extended along a keyboard direction in a state that it is separated from a keyboard and mous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 supporting unit(2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supports arms of a user. An arm fixing unit(30) is extended as much a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unit. A coupling member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arm fixing unit to fix the user's arms to the supporting unit. Driving modules(70,71,90) move the supporting unit right and left.

Description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DEVICE FOR SUPPORTING USER'S ARMS ASSISTING COMFORTABLE USE OF COMPUTER}DEVICE FOR SUPPORTING USER'S ARMS ASSISTING COMFORTABLE USE OF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컴퓨터 사용자가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양 손을 자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피로감과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아암을 고정하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자유로운 아암의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사용자의 아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s arm mounting device to assist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fatigue and hassle caused by the computer user frequently moving both hands to use the keyboard and mouse It is related to the user's arm cradle designed to be able to move freely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arm while fixing the friction.

컴퓨터의 필수적인 주변기기로서 키보드와 마우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주로 키보드는 모니터 앞쪽 중앙 부위에 위치하고 마우스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일 경우에는 키보드의 오른 쪽에, 사용자가 왼손잡이일 경우에는 키보드의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As a necessary peripheral of the computer, the keyboard and mouse are comp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keyboard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monitor, and the mous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when the user is right-handed, an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when the user is left-handed. Done.

이러한 대략적인 위치를 가지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컴퓨터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할 경우에는 키보드의 키패드를 누르게 되고 스트롤 내지 커서 이동을 할 경우에는 마우스를 한 손으로 잡고 마우스 이동 내지 버튼을 클릭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When using a keyboard and mouse having such an approximate position, a computer user presses the keypad of the keyboard when entering a character, and when holding a cursor or moves a cursor, the user holds the mouse with one hand and clicks a mouse or a button. It would be general to become.

그런데, 키보드를 통한 문자 등의 마우스를 통한 입력과 스크롤 내지 커서 이동이 잦아질 경우 사용자의 손은 키보드에서 마우스로 상당히 빈번하게 번갈아가면서 잦은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키보드에서 마우스로 손이 이동할 때 책상에 의한 마찰력에 의하여 책상 면에 밀착한 팔뚝 부위, 즉 아암(arm) 부위에 통증이 발생할 수가 있다.However, when input through a mouse such as a character through a keyboard and scrolling or movement of a cursor become frequent, the user's hand is frequently moved from the keyboard to the mouse quite frequently. In particular, when the hand moves from the keyboard to the mouse, pain may occur in the forearm portion, that is, the arm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sk surface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desk.

또한, 사용자가 팔꿈치를 들고 키보드 내지 마우스를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 어깨 부분에 상당한 통증이 올 수 있으며, 이렇게 키보드 내지 마우스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하여 직장인 내지 사무직 종사자, 학생 등이 팔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CTS)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In addition, when the user has a habit of using the keyboard or the mouse while lifting the elbow, a considerable pain may occur in the shoulder part. Syndrome: CTS) is often appealed.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키보드와 마우스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키보드와 마우스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게시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팔목을 보다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방안을 마련하지 않고서는 이러한 장치의 사용에 의하여 근본적으로 사용자의 책상 면에 맞닿은 아암 부위의 마찰에 의한 통증이 해소되거나 불편함이 줄어든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there is a device that combines the keyboard and the mouse integrally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keyboard and the mouse at the same time in one device, but the special support for more convenient support of the user's wrist Without devising a solution, the use of such a device would not necessarily be able to reduce the discomfort or reduc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friction of the arm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desk surface.

따라서 기존 키보드와 마우스를 그대로 사용하되, 사용자의 아암 부위의 이동이 책상의 마찰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음과 동시에 이동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신규한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existing keyboard and mouse are used as it is, but the need for a new device that can facilitate the movement 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of the arm portion of the user is not hindered by the friction of the desk is emerging.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키보드 선단에 위치하게 될 사용자의 양 아암 부위를 책상의 모서리 내지 면 부위에 밀착 접촉되지 않도록 적절히 지지하여 마찰에 따른 고통 수반이 없고 보다 편리한 사용자의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의 사용을 도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by appropriately supporting both arm portions of the user, which will be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keyboard, so as no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r the surface of the desk, there is no pain associated with friction and more convenient. Its main purpose is to promote the use of a user's computer keyboard and mo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양 아암 부위를 지지하는 부위가 최소한 좌우, 최대한 전후좌우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마우스와 키보드의 교번적인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보조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 to move freely at least left, right, left and right as much as possible to support the parts of both arms of the user, to more conveniently assist the alternating use of the mouse and keyboar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아암 크기 내지 키보드에 위치하게 될 아암의 각도에 따라 장치의 일정 각도 범위에서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ilt adjustment in a certain angle rang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arm size of the user or the angle of the arm to be positioned on the keyboard.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사용자의 아암이 위치하는 부위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상하 이동 및 선회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느낄 우려가 있는 이물감 내지 답답함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user's arm position to move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range to prevent foreign objects or stuffiness that the user may fe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키보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1쌍의 아암을 안착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양단에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아암을 상기 거치대에 고정 위치하도록 하는 아암 고정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거치대를 적어도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ssists in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extending along the keybo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keyboard and mouse; A cradle mounted to the main body to seat a pair of arms of a user; An arm fixing part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lder and having a coupling member at both ends to fix the arm of the user to the holder; And a drive module mounted to the main body to move the cradle at least left and r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에 이용되는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 방향인 하방으로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무빙 박스; 상기 무빙 박스의 이동 경로인 수직 가이드 레일;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의 양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1쌍의 수평 가이드 레일;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의 양단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1쌍의 구동 박스;로 이루어져, 상기 거치대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e module used in the user's arm m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haft connected to the main body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cradle; A moving box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haft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 vertical guide rail which is a moving path of the moving box; A pair of horizontal guide rails extending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from both ends of the vertical guide rail; And a pair of drive boxe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guide rails while being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guide ra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is movabl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더불어, 상기 본체는 상부를 덮는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 부위에는 복수 개의 수직 및 수평 라인이 관통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샤프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 이동 라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ate covering the upp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through the cradle movement line through which the shaft can be moved through this. .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ssisting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컴퓨터 키보드 및 마우스의 교번 사용 시에 책상에 사용자의 아암이 접촉하지 않음으로서 접촉 부위에서 발생하게 될 통증 유발 내지 팔목터널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1) When the user's arm does not touch the desk when the computer keyboard and the mouse are alternately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ain-induced or the cuff tunnel syndrome that will occur at the contact area.

2) 이동 및 제동이 자유로운 지지 부위의 구동에 따라 키보드와 마우스로의 편리한 아암 이동이 보장될 수 있으며,2) Convenient arm movement to the keyboard and mouse can be guaranteed by the driving of the support part freely moving and braking.

3) 본체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편리하게 키보드에 양 손을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It is easy to adjust the tilt of the main body so that both hands can be conveniently placed o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tructure.

4) 거치대의 상하 이동 및 선회 이동이 가능하여 거치대에 고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아암이 답답하거나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4)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and turning of the cradle to prevent the user's arm fixed to the cradle to feel stuffy or foreign object to the maximu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ssisting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는 키보드(K) 앞쪽의 책상 모서리 내지 상면 부위에서 키보드(K)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키보드(K)와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양 아암(A) 부위를 고정 지지하되 양 아암(A)의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되어 키보드(K)는 물론 마우스(M)의 교번적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keyboard (K)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keyboard (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dge of the desk in front of the keyboard (K). In this case, the user's both arms (A) are fixedly supported, and the free movement of both arms (A) is ensured so that the keyboard (K) as well as the mouse (M) are alternately us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는 책상 상면에 맞닿아 있는 본체(40), 본체(40) 상에서 사용자의 아암(A)을 거치하는 거치대(20), 거치 대(2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아암(A)을 고정 지지하는 아암 고정부(30), 거치대(20)의 이동을 보장하는 구동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To this end,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ain body 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the holder 20 for mounting the user's arm (A) on the main body 40, the holder 20 It consists of a drive module for ensuring the movement of the arm fixing portion 30, the cradle 20 to support and support the user's arm (A).

본 발명에 따른 본체(40)는 키보드(K)에 상응하거나 보다 더 긴 길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책상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아암(A)을 지지하며 고형 내지 유연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고, 연성을 가져 책상의 모서리 부위에서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body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or longer than the keyboard K, is fixed to a desk to support the user's arm A, and is made of solid to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ductility. It is also possible to bend flexibly at the edge of the desk.

거치대(20)는 사용자의 아암(A) 부위가 안착되는 부위를 말하며, 아암 고정부(30)는 거치대(20)의 양 측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아암(A)을 둘러 싸 거치대(20)에서 아암(A)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구동 모듈은 거치대(20)가 최소한 좌우(수평 방향) 이동이 될 수 있도록 본체(40) 내 및 거치대(20)주변에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Cradle 20 refers to a portion of the user's arm (A) is seated, the arm fixing portion 30 is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cradle 20 to surround the user's arm (A) in the cradle 20 It provides a function to allow the arm (A) to be fixed, and the drive module is configured in the body 40 and around the cradle 20 so that the cradle 20 can be at least moved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 Sa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및 아암 고정부를 중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mainly showing the cradle and the arm fix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20)는 본체(20) 상에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의 아암(A)을 이에 부드럽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표면 부위에 실리콘과 같은 재질이 일정 두께로 도포되어 아암(A) 부위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합성소재로 이루어져 일정한 연성과 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The cradl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ain body 20 so that a material such as silicon is applied to the surface portion to a certain thickness so as to gently seat the user's arm A.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shock,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composite material to have a certain ductility and malleability.

또한, 거치대(20)의 형상은 평면 구조로 이루어져 자유로이 이에 사용자의 아암(A)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나, 사용자의 아암(A)을 자연스럽게 감쌀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아암(A) 방향으로 곡률지게 구부러져 있는 아치 내지 안장 형태를 가지는 것이 사용가 이물감 내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radle 20 has a flat structure, so that the user's arm (A) can be freely positioned therein, but ben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arm (A) to naturally wrap the user's arm (A). It is more desirable to have a curved arch or saddle shape in order to prevent the use from feeling foreign object or discomfort.

본 발명에 따른 아암 고정부(30)는 아암(A)을 둘러싸 거치대(20)에서 아암(A)이 불필요하게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아암 고정부(30)는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겠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의 양 측에서 마치 날개와 같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고 단부 주변의 내외측에는 바람직하게는 벨크로 테이프(물론, 지퍼, 단추 등의 공지의 결합 수담일 수도 있음)로 이루어진 결합 부재(31)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아암(A)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아암(A) 둘레를 둘러싼 다음 양 단을 결합 부재(31)의 결합으로 밀착함으로써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아암(A)을 거치대(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rm fixing par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to surround the arm A so that the arm A does not flow unnecessarily in the holder 20. The arm fixing part 30 may have various forms, but as shown in FIG. 2, both sides of the cradle 20 extend outwardly in a predetermined length, like a wing, and preferably in and out around the ends. It is configured to mount a coupling member 31 made of Velcro tape (which may of course be a known coupling paddle, such as a zipper, a button, etc.) and surrounds the user's arm A regardless of the user's arm thickness. Both end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member 31 is configured to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fix the user's arm (A) to the holder 2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및 구동 모듈이 자력 구동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도시한 일부 투시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plan view showing that the cradle and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gnetic drive method.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은 기본적으로 본체(40)에 연결 장착이 되어 있는 거치대(20)가 본체(40) 상에서 자유로이 최소한 좌우(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erves to enable the holder 20, which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40, to be freely moved at least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 on the main body 40.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대(20)는 스틸(steel)과 같이 자성이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거치대(20)는 본체(40)의 상부 표면에 안착되어 있으며, 본 체(40) 내의 구동 모듈은 측벽(62)에 의하여 좌우 이동 방향을 따라 2열로 연장되어 있는 구동 라인(61) 내에서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는 복수 개의 볼(ball)(60)이 구획벽(63)에 의한 공간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cradle 2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steel (steel), the cradle 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0, the drive in the body 40 The module is mounted in the space by the partition wall 63 each of a plurality of balls 60 made of magnets in the drive line 61 extending in two rows alo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direction by the side wall 62. It is.

볼(60)이 장착되어 있는 공간은 볼(60)이 일정 길이만큼 유동하거나 굴러갈 수 있는 여유로운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거치대(20)의 구동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더불어, 구획벽(63)이나 측벽(62)은 비상체로 이루어져 인접한 볼(60) 간에 상호 자력이 발생하는 것을 가급적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볼(60) 상호간 인력에 의하여 거치대(20)의 구동력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The space in which the ball 60 is mounted is more preferably in order to ensure the driving force of the cradle 20 made of a relaxed space in which the ball 60 can flow or roll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63 or the side wall 62 is made of an emergency body so that the mutual magnetic force between the adjacent balls 60 is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cradle 20 is not disturbed by the mutual attraction of the balls 60. It is preferable to avoid.

이러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거치대(20)는 자력이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본체(40) 내 공간에 복수 개로 위치한 볼(60)과 인력을 형성하여, 본체(40)와 볼(60)은 상호 자력 결합을 이루고 있으나, 본체(40) 내의 자석은 일정 길이로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니어(linear) 타입을 가지고 있지 않고 구동 라인(61)의 구획벽(63)에 의하여 구획되어 간헐적으로 자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볼(60)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거치대(20)가 수평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 거치대(20) 하부에 있는 볼(60)이 거치대(20)의 이동과 함께 구르다가 구획벽(63)에 이르면 구름을 멈추고 거치대(20)는 이러한 볼(60)의 자력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후속 볼(60)에 의한 자력의 영향으로 수직 인력의 작용을 받으면서 관성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이동되는 거치대(20)에 영향을 받은 후속 볼(60)의 구름 작용에 의하여 수평 방향 이동이 계속되는 것을 보장받음으로, 결국 수직 인 력에 의한 자력과 볼(60)의 구름 작용에 의한 수평 방향 이동력이 적절하게 결합되어 거치대(20)가 본체(4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적절하게 수평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radle 20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magnetic force is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balls 60 and the attraction force in the space in the main body 40, the main body 40 and the ball 60 Although mutual magnetic coupling is achieved, the magnets in the main body 40 do not have a linear type that extends continuously as a predetermined length, but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63 of the drive line 61 to intermittently have magnetic force. Sinc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ball 60 type to act, when the cradle 2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ball 6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radle 20 with the movement of the cradle 20 When the rolling reaches the partition wall 63, the cloud stops and the cradle 20 is released from the magnetic force of the ball 60 and at the same ti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by the subsequent ball 60, the vertical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by the inertia. Moved cradle It is ensured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is continued by the rolling action of the subsequent ball 60 affected by 20, so that the magnetic force by the vertical force and the horizontal movement force by the rolling action of the ball 60 are appropriate. Is coupled to the cradle 20 is able to ensure a state capable of appropriately horizontal movement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4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석 재질의 볼(60)을 이용한 구동 모듈에 의하면 자력을 능가하는 수직 항력(즉,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거치대를 들어 올릴 때)에 의하거나 좌우가 아닌 전후로 거치대(20)를 움직일 경우 쉽사리 거치대(20)가 본체(40)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거치대(20)의 매끄러운 수평 이동이 보장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개선된 방안을 제시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driving module using the magnetic ball 6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radle 20 is moved by the vertical force (that is, when the user artificially lifts the cradle) or surpasses the left and right rather than the magnetic force. The cradle 20 may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40, and sinc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radle 20 may not be guaranteed, the following improved method is sugges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이 거치대의 전후좌우 이동을 보장하는 가이드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side view showing that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ade of a guide rail shape to ensur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radle.

도 4를 참조하면, 본체(40)의 상부 커버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41)는 본체(40) 내부 구성을 보호함과 동시에 암(A)의 일 부위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할 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플레이트(41)에는 마치 복수 개의 우물 정(井) 형태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로서 관통되어 있는 거치대 이동 라인(4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late 41 serving as the upper cover of the main body 40 not only protect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40 but also supports a portion of the arm A to facilitate user convenience. It serves to ensure the overall durabi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late 4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radle moving line 42 which is penetrated as a plurality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wells. It can be seen that.

이러한 거치대 이동 라인(42)은 거치대(20)가 플레이트(41) 상에서 자유로운 전후좌우 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되, 수직(전후)방향 및 수평(좌우)방향을 따라 촘촘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수평 방향 으로 연장된 거치대 이동 라인(42) 중 중앙 부위는 다른 거치대 이동 라인보다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져 수평 방향으로 주로 이동하는 메인 이동 경로로서 사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radle moving line 42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cradle 20 can freely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on the plate 41, and is compact along the vertical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consists of forms. In particular, the center portion of the cradle movement line 4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icker than other cradle movement line can be used as the main movement path mainly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플레이트(41) 하부의 본체(40) 내부 중 둘레 부위에는 수평(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가이드 레일(81)이 일 측 및 타 측에 하나씩 총 1쌍으로 구비되어 있고, 수평 가이드 레일(81)에는 역시 일 측 및 타 측에 하나씩 총 1쌍으로 이루어진 구동 박스(8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1쌍의 구동 박스(80)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81)과 직각 방향, 즉 수직(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수평 가이드 레일(81)을 잇는 수직 가이드 레일(71)이 연결되어 있고, 수직 가이드 레일(71)에는 샤프트(90)에 의하여 거치대(20)와 연결되어 있는 무빙 박스(70)가 연결되어 있다. A horizontal guide rail 81 extending in a horizontal (left and right) direction is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main body 40 below the plate 41 in one pair, one on one side and the other, and a horizontal guide rail 81 ) And a pair of drive boxes 80, one on one side and the other on the other side, are connected, and the pair of drive boxes 80 are addition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guide rail 81, that is, vertical ( Vertical guide rails 71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connecting both horizontal guide rails 8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vertical guide rails 71 are connected to the cradle 20 by the shaft 90. 70) are connected.

도 4의 측면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수직 가이드 레일(71)은 무빙 박스(70) 내에 삽입되어 있되 그 주변에 베어링(85)이 형성되어 있어 무빙 박스(70)가 수직 가이드 레일(71)을 따라 이동할 때 접촉 마찰을 줄이면서 이동되는 것이 보장되고 이러한 원리는 1쌍의 수평 가이드 레일(81)과 구동 박스(8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side view of FIG. 4, the vertical guide rail 71 is inserted into the moving box 70, but a bearing 85 is formed around the moving box 70 to move the vertical guide rail 71. When moving along, it is guaranteed to move while reducing contact friction, and this principle applies equally to the pair of horizontal guide rails 81 and the drive box 80.

무빙 박스(70)와 거치대(20)를 연결하는 샤프트(90)의 일정 부위는 약간의 범위에서나마 자유로운 거치대(20) 자체의 상하 이동이 보장됨과 동시에 거치대(20)의 충격 흡수 작용을 하여 아암(A)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보유한 스프링(9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샤프트(90)의 일 측에는 힌지 (92)(회전을 보장하는 일반적인 힌지로서 당업자 수준에서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지는 않았음)가 장착되어 있어 거치대(20)의 회전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A certain portion of the shaft 90 connecting the moving box 70 and the cradle 20 ensures free movement of the cradle 20 itself in a slight range, and at the same time, acts as a shock absorber of the cradle 20 to prevent the arm ( In order to reduce the fatigue of A), it is composed of a spring 91 having an elastic force, one side of the shaft 90 is a hinge 92 (a general hinge to ensure rotation, it will be understoo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so Regard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not shown) is mounted to ensure the rotation state of the cradle 20.

상술한 플레이트(41) 및 구동 모듈의 구조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by the structure of the plate 41 and the drive module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거치대(20)는 플레이트(41) 상에 위치하여 있되, 하부에서 연결된 샤프트(90)가 플레이트(41)의 거치대 이동 라인(42)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무빙 박스(70)와 결합을 이룬다. 무빙 박스(70)는 수직 가이드 레일(71)과 연결되어 있어 자체적으로 수직 이동이 보장되며, 또한 수직 가이드 레일(71)은 구동 박스(80)에 연결되어 있어 구동 박스(80)가 수평 가이드 레일(81)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 무빙 박스(70) 및 수직 가이드 레일(71)도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보장된다. 따라서 거치대(20)는 플레이트(41)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이동 라인(42)의 경로 범위 이내에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The cradle 20 is located on the plate 41, the shaft 90 connected from the bottom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cradle movement line 42 of the plate 41 to form a coupling with the moving box 70. . The moving box 7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guide rail 71 to ensure vertical movement by itself, and the vertical guide rail 71 is connected to the drive box 80 so that the drive box 8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guide rail. When moving along the 8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oving box 70 and the vertical guide rail 71 are also guaranteed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radle 20 can be free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the path range of the cradle movement line 42 which is densely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from the plate 41.

또한, 거치대(20)는 이를 지지하는 샤프트(90)의 일 부위가 스프링(91)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스프링(91)의 탄성에 의하여 일정하게 상하 자체 움직임이 가능하고 더불어 힌지(92)에 의하여 거치대(20)를 자체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거치대 이동 라인(42)을 따라서만 아암(A)이 움직임으로 사용자가 답답하거나 이물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거치대(20)에 아암(A)을 위치한 다음 전후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손목을 움직이면서 일정 각도 로 선회하는 운동을 자유로이 보장받을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cradle 20 is a portion of the shaft 90 for supporting it is made of a spring 91 is able to move itself up and down constantly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91, and also by the hinge 92 Since the arm 20 can be rotated by itself, the arm A moves only along the cradle moving line 42 so as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frustrated or foreign object as much as possible. That is, the user can be freely guaranteed movement of turning the arm (A) on the cradle 20, then moving forward and backward, left and right, up and down, moving the wrist at a certain ang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각도 조절 수단 및 책상 연결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gle adjustment means and desk connection means mounted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는 사용자의 아암(A) 구조 내지 아임 위치의 편리한 선택 보장을 위하여 책상과 수평 밀착 구조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각으로 경사지게 책상에서 일 측이 이격되도록 하여 마치 키보드의 기울기 조절을 하는 수단과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 필요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하여 본체(40)의 저면에는 각도 조절 수단(10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The arm mounting apparatu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only the horizontal contact structure with the desk to ensure the convenient selection of the user's arm (A) structure to the position of the child, but one side away from the desk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if the keyboard It may be necessary to configure the role to act as a means for adjusting the tilt of the bar, the angle adjusting means 100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40 for this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수단(100)은 좌우 1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구체적으로 수용홈(101) 및 수용홈(101)의 일 측에 형성된 힌지(102), 힌지(102)와 연결되어 수용홈(101)에 수용된 상태를 가지는 지지대(102)로 이루어져, 힌지(102)의 회동에 의하여 수용홈(101)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02)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이 돌출된 지지대(102)에 의하여 책상 면에 본체(40)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결국 본체(40)가 책상 면에 놓아지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Angle adjusting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pecifically the receiving groove 101 and the hinge groove 102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01, the hinge 102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groove ( It consists of a support 102 having a state accommodated in 101,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102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01 by the rotation of the hinge 102 by this protruding support 102 By supporting the main body 40 on the desk surface serves to adjust the inclination that the main body 40 is eventually placed on the desk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가 책상에서 쉽사리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40)의 저면에 마우스 패드의 저면에서와 같이 실리콘 내지 이에 상응하는 타입의 합성수지재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for preventing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not easily flow from the desk,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f the silicone or equivalent type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40, as in the bottom of the mouse pad It is possible to apply.

더불어,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 가 보다 확실한 책상과의 결합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본체(40)의 일 측에 결합 슬릿(43)을 형성하고 이에서 상측으로 결합공(44)을 관통 형성하며, 이러한 결합슬릿(43)에 책상 두께에 상응하는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110)(역시 결합공(111)을 일정 면에 형성함)을 결합 장착하고 결합공(44,111)에 패스너(P)를 체결하여 본체(40)가 이러한 ㄷ 형 브라켓(110)에 의하여 책상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5,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oupling slit 43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40 in order to maintain a more secure connection with the desk therefrom Form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44, the coupling slit 43 is coupled to the bracket 110 (also formed to form a coupling hole 111 in a certain surface) of the c-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esk to combine and mount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fastener (P) to the ball 44, 111 so that the main body 4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desk by such a c-shaped bracket 110,

또한, 본체(40)의 양 측에서 일정 길이로 충분히 연장되는 결합 밴드(120)를 형성하고 단부에는 결합고리(121)를 형성하여, 이러한 결합 밴드(120)를 통해 본체(40)와 책상을 묶어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by forming a coupling band 120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0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upling ring 121 at the end, the main body 40 and the desk through the coupling band 120 It is also possible to tie and firmly bon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ssisting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assisting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및 아암 고정부를 중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mainly showing the cradle and the arm fix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및 구동 모듈이 자력 구동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도시한 일부 투시 평면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plan view showing that the cradle and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gnetic drive metho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이 거치대의 전후좌우 이동을 보장하는 가이드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guide rail shape to ensur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rad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각도 조절 수단 및 책상 연결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gle adjustment means and desk connection means mounted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 발명에 따른 장치 81: 수평 가이드 레일10: device 81 according to the invention: horizontal guide rail

20: 거치대 85: 베어링20: cradle 85: bearing

30: 아암 고정부 90: 샤프트30: arm fixing portion 90: shaft

40: 본체 91: 스프링40: main body 91: spring

41: 플레이트 92: 힌지41: plate 92: hinge

42: 거치대 이동 라인 100: 각도조절수단42: cradle movement line 100: angle adjusting means

43: 결합 슬릿 101: 수용홈43: engaging slit 101: receiving groove

60: 볼 110: 브라켓60: ball 110: bracket

61: 구동 라인 120: 연결밴드61: drive line 120: connection band

70: 무빙박스 121: 연결고리70: moving box 121: link

71: 수직 가이드 레일 A: 아암71: vertical guide rail A: arm

Claims (6)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로서,As a user's arm mounting device to assist the ease of use of the computer, 키보드 및 마우스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키보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A main body extending along the keyboard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keyboard and the mou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1쌍의 아암을 안착하는 거치대;A cradle mounted to the main body to seat a pair of arms of a user;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양단에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아암을 상기 거치대에 고정 위치하도록 하는 아암 고정부;An arm fixing part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lder and having a coupling member at both ends to fix the arm of the user to the holder;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거치대를 적어도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And a drive module mounted to the main body to move the cradle at least left and right. The arm mounting device of a user assisting in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모듈은,The drive module,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 방향인 하방으로 연결된 샤프트;A shaft connecte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holder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무빙 박스;A moving box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haft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무빙 박스의 이동 경로인 수직 가이드 레일;A vertical guide rail which is a moving path of the moving box;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의 양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1쌍의 수평 가이드 레일;A pair of horizontal guide rails extending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from both ends of the vertical guide rail;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의 양단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1쌍의 구동 박스;로 이루어져, 상기 거치대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And a pair of drive boxe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guide rails while being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guide rails, wherein the cradle is movabl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to assist the ease of us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상부를 덮는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비하되,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late covering an upper portion,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 부위에는 복수 개의 수직 및 수평 라인이 관통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샤프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 이동 라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penetrate the surface portion of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cradle movement line for allowing the shaft to move through this, arm mounting apparatus for a user assisting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샤프트는, 일 부위에 탄성력을 보유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The shaft has a spring for holding the elastic force in a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 mounting device of the user to assist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수용홈에 고정되어 있되 힌지에 의하여 선회 가능함으로 상기 수용 홈 외측으로 돌출이 가능한 각도 조절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which is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can be pivoted by a hinge so that the angle adjusting means which can protrude out of the receiv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user's arm to assist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Mount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는 결합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슬릿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 형 브라켓이 장착되어, 상기 ㄷ 형 브라켓을 통해 책상과 상기 본체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자의 아암 거치 장치.A coupling sli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c-type bracket is mount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slit, so as to fix the desk and the main body through the c-type bracket. User arm mounting device to aid ease of use.
KR1020070108078A 2007-10-26 2007-10-26 User's arm mounting device to aid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KR100909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078A KR100909353B1 (en) 2007-10-26 2007-10-26 User's arm mounting device to aid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078A KR100909353B1 (en) 2007-10-26 2007-10-26 User's arm mounting device to aid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366A true KR20090042366A (en) 2009-04-30
KR100909353B1 KR100909353B1 (en) 2009-07-24

Family

ID=4076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078A KR100909353B1 (en) 2007-10-26 2007-10-26 User's arm mounting device to aid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3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38B1 (en) * 2020-06-16 2020-11-06 (주)엔씨테크 Earthquake bracket
AU2019202220B2 (en) * 2019-03-18 2020-12-17 Hangzhou Fuyang Fuxiang Computer Co., Ltd. an auxiliary labor-saving mouse pa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343U (en) * 1996-12-24 1998-09-25 황기성 Wrist rest for computer keyboard
JPH1165732A (en) 1997-08-25 1999-03-09 Plus Kk Assistant stand for operation of keyboard
KR200313337Y1 (en) * 2003-02-19 2003-05-16 김봉규 Arm rest for a keyboard of computer
KR20050100081A (en) * 2004-04-13 2005-10-18 곽학순 Portable wrist protec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2220B2 (en) * 2019-03-18 2020-12-17 Hangzhou Fuyang Fuxiang Computer Co., Ltd. an auxiliary labor-saving mouse pad
KR102176038B1 (en) * 2020-06-16 2020-11-06 (주)엔씨테크 Earthquake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353B1 (en) 200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8057A (en) Free sliding hand rest
US5355811A (en) Adjustable leg supported mouse pad
US50588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repetitive or maintained stress injuries
US5342005A (en) Arm support apparatus for keyboard and other apparatus requiring repetitive hand operation
KR100909353B1 (en) User&#39;s arm mounting device to aid the convenient use of the computer
US8998153B2 (en) Wrist support
KR100919933B1 (en) mouse pad assembly
US6585198B2 (en) Wrist support for use with a computer mouse
US5845884A (en) Ergonomic tower support device for using data entry systems
JPH1071161A (en) Shoulder supporting device
KR101053459B1 (en) Extendable detachable armrest
JPH05501373A (en) forearm support
CN203054774U (en) Mouse pad with forearm support
US6217537B1 (en) Omnidirectional arm and wrist support
US7025310B2 (en) Mouse rest for hand and wrist
JP6460966B2 (en) Posture holder
KR200396789Y1 (en) A wrist support
KR101300210B1 (en) Tilting mouse pad with wrist and forearm support function
CN215275629U (en)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rheumatoid arthritis
EP0601162A1 (en) An arm or wrist support
KR102467657B1 (en) Height-adjustable wrist rest for computer mouse
CN214130161U (en) A hand elasticity appurtenance for parkinson disease
KR200412419Y1 (en) The human body put on Mouse Pad
KR101218557B1 (en) A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KR200304336Y1 (en) A mousepad for a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